KR100306632B1 - 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6632B1
KR100306632B1 KR1019980028536A KR19980028536A KR100306632B1 KR 100306632 B1 KR100306632 B1 KR 100306632B1 KR 1019980028536 A KR1019980028536 A KR 1019980028536A KR 19980028536 A KR19980028536 A KR 19980028536A KR 100306632 B1 KR100306632 B1 KR 100306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height
bogie
cylind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8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636A (ko
Inventor
오치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28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6632B1/ko
Publication of KR20000008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6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rectangular shape, involving sidewalls or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1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comprising lif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하측에 바퀴가 축설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수직으로 돌출되며 복수개의 연결 프레임에 의해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중공체인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내측에 끼워지는 가이드 봉이 그 하측에 설치된 상판; 및 상기 상판의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연결프레임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흡, 배기되는 공압에 의해 상기 상판의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승강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피 조립품(또는 피 이송품)이 놓여지는 대차의 상판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본 발명은 대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 조립품(또는 피 이송품)이 놓여지는 대차의 상판을 높낮이 조절이 가능토록 한 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대차(臺車)(또는 손수레)는 도 1과 같이, 각종 산업 분야에서 생산되어 콘베이어 벨트 시스템 등과 같은 이송장치(T)를 이용하여 운반된 다양한 부품 및 조립품(또는 이송품)들을 정렬한 상태에서 또다른 부품 결합라인 및 적재라인과 같은 피 이동장소로 옮길 때 사용하는 것이다.
즉, 대차는 그 본체(10)를 유지하는 다수개의 프레임(11)과, 프레임(11)의 상측에 고정된 상판(12) 그리고 프레임(11)의 하측에 축설되는 바퀴(13)로 대별된다.
일반적으로, 바퀴(13)는 구름동작을 하면서도 대차의 방향전환이 용이하도록 360°회전이 가능하도록 축설된다.
또, 프레임(11)의 적당한 높이에는 본체(10)를 운반시 파지하는 손잡이(20)가 배치된다.
도면중 미설명 문자 "C"는 피 조립품이다.
따라서 본체(10)의 상측에 설치된 상판(12)에 대해 피 이송품 들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설정된 이동장소로 운반시킬 때 사용되거나, 또는, 피 조립품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조립작업 등을 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대차는 그 상판에 피 조립품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조립작업 등을 수행할 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본체(10)의 상측에 설치되며 피 조립품이 놓여지는 상판(12)의 높이는 본체(10)에 대해 한정된 높이를 유지하며 설치된 반면, 신장이 크거나 작은 작업자들은 피 조립품이 놓여지는 상판(12)의 높이가 작업자들의 신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거나 높게 되어 피 조립품에 대해 조립하는 조립작업이 곤란하여 생산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와 같은 대차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피 조립품이 놓여지는 대차의 상판을 높낮이 조절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작업자들의 신장에 비례하여 그 높낮이를 조절하며 사용토록 한 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의 신장에 비례하여 대차 상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며 사용토록 함으로써, 작업능률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대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대차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차의 승강부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의 a 내지 b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의 동작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대차의 본체 2 ; 베이스
3 ; 수직 프레임 4 ; 연결 프레임
5 ; 상판 6 ; 승강부
20 ; 바퀴 50 ; 가이드 봉
60 ; 실린더 61 ; 푸시 레버
62 ; 스프링 63 ; 에어공
64 ; 피스톤 64 ; 피스톤 로드
65 ; 밸브 66 ; 탄성부재
67 ; 작동레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측에 바퀴가 축설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수직으로 돌출되며 복수개의 연결 프레임에 의해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중공체인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내측에 끼워지는 가이드 봉이 그 하측에 설치된 상판; 및 상기 상판의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연결프레임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흡, 배기되는 공압에 의해 상기 상판의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승강부가 구비된 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대차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의 종단면도 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대차의 본체(1)는 그 하측에 바퀴(20)가 축설된 베이스(2)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2)의 양측에는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중공체인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3)이 수직으로 돌출되며 그 프레임들은 복수개의 연결 프레임(4)에 의해 수직상태를 유지한다.
또, 상기 수직 프레임(3)의 상측에는 피 조립품(또는 이송품)이 놓여지는 상판(5)이 설치된다.
상판(5)은 그 하측에 중공체인 수직 프레임(3)의 내측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 봉(50)이 배치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부는, 상기 상판(5)의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연결프레임(4)에는 선택적으로 흡, 배기되는 공압(또는 유압)에 의해 상기 상판(5)의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승강부(6)가 구비된다는 점이다.
상기 승강부(6)는 상기 연결프레임(4)에 고정설치되고 푸시 레버(61)가 스프링(62)에 의해 탄지되며 에어공(63)이 형성된 중공의 실린더(60)를 갖는다.
상기 실린더(60)의 내측에는 그 단부가 상기 상판(5)의 중앙부 하측에 대해 연결되는 피스톤(64)과 피스톤 로드(64')가 설치된다. 피스톤(64)은 후술하는 공기압에 동작되는 일반적인 그리스유 등이 채워진 유압 피스톤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실린더(60)의 내측에는 선택적으로 실린더에 대해 관로를 형성 및 차단하는 밸브(65)가 탄성부재(66)에 의해 탄지된다.
상기 밸브(65)는 실린더(60)의 외측으로 노출된 작동레버(67)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대차의 사용전 상태를 보인 정면도 이다.
즉, 이 상태는 대차의 상판은 본체에 대해 소정의 높이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라 할 것이다.
또, 이 상태는 상판(5)의 상측에는 피 조립품이 놓여지거나, 피 이송품이 또다른 이송장소로 옮겨지기 위해 대기중인 상태라 할수 있다.
이와 같은 최초의 상태에서 작업자의 신장에 따라 피 조립품이 놓여지는 상판(5)의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도 4의 a 와 같이, 스프링(62)에 탄지된 푸시 레버(61)를 반복하여 동작시킨다.
상기와 같이, 푸시 레버(61)를 동작시킴에 따라 상기 에어공(63)을 통하여 일점 화살표와 같이, 에어가 유입되고, 유입되는 에어의 압력에 의해 밸브(65)에 대해 탄지하는 탄성부재(66)의 탄성복원력은 극복되며 밸브(65)가 개방된다.
따라서, 푸시 레버(61)의 지속적인 동작에 의해 공급되는 에어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64)과 상판(5)에 대해 연결된 피스톤 로드(64)가 상승하게 된다.
또한, 이때에는 상기 상판(5)의 하측에 구비된 상기 가이드 봉(50)은 상기 수직 프레임(3)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되며 상승되는 상판(5)의 유동을 방지하고 정위치에서 상승시키는 기능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판(5)을 작업자가 원하는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시킨 후, 또다른 작업자의 작업위치를 고려하여 상판(5)의 높이를 낮출때에는 도 4의 b와 같이, 작동레버(67)를 작동시킨다.
즉, 상기와 같이, 작동레버(67)를 동작시키면, 상판(5)의 자중에 의해(또는 상판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작업자의 인위적인 동작에 의해)피스톤(64)과 상판(5)에 대해 연결된 피스톤 로드(64')가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 로드의 돌출상태를 유지하였던 에어는 밸브(65)의 동작에 의해 형성된 관로를 통해 역류하며 에어공(63)을 통하여 배기되며 상판의 하강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피 조립품이 놓여지는 상판의 높이가 설정된 높이를 유지하며 제작된 반면, 작업자의 신장은 각각 다르므로 작업자의 신장에 비해 상판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거나 높게 되어 피 조립품에 대해 조립하는 조립작업이 곤란하여 생산성을 저하시키게 되었던 종래의 문제점은 적극적으로 해결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 조립품이 놓여지는 대차의 상판을 높낮이 조절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작업자들의 신장에 비례하여 그 높낮이를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신장에 비례하여 대차 상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며 사용토록 함으로써, 작업능률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2)

  1. 하측에 바퀴가 축설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수직으로 돌출되며 복수개의 연결 프레임에 의해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중공체인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내측에 끼워지는 가이드 봉이 그 하측에 설치된 상판; 및
    상기 상판의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연결프레임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흡, 배기되는 공압에 의해 상기 상판의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승강부가 구비된 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연결프레임에 고정설치되고 푸시 레버가 탄지되며 에어공이 형성된 중공의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측에 설치되며 그 단부가 상기 상판의 중앙부 하측에 대해 연결 설치된 피스톤 로드,
    상기 실린더의 내측에 탄지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실린더에 대해 관로를 형성 및 차단하는 밸브, 그리고
    일단부는 상기 밸브에 대해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실린더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밸브를 작동시키는 작동레버로 구비된 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19980028536A 1998-07-15 1998-07-15 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0306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8536A KR100306632B1 (ko) 1998-07-15 1998-07-15 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8536A KR100306632B1 (ko) 1998-07-15 1998-07-15 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636A KR20000008636A (ko) 2000-02-07
KR100306632B1 true KR100306632B1 (ko) 2002-02-19

Family

ID=19544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8536A KR100306632B1 (ko) 1998-07-15 1998-07-15 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66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830A (ko) 2014-11-27 2016-06-07 고광민 자동 이송대차
KR20210034824A (ko) 2019-09-23 2021-03-31 고병기 유압 조절형 다단 하중조절 대차
EP3984857A1 (en) 2020-10-16 2022-04-20 OKO Co.,Ltd. Multi-stage load adjustment type moving car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442A (ko) 2014-10-17 2016-04-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파렛트 운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830A (ko) 2014-11-27 2016-06-07 고광민 자동 이송대차
KR20210034824A (ko) 2019-09-23 2021-03-31 고병기 유압 조절형 다단 하중조절 대차
EP3984857A1 (en) 2020-10-16 2022-04-20 OKO Co.,Ltd. Multi-stage load adjustment type moving cart
US11414115B2 (en) 2020-10-16 2022-08-16 Oko Co., Ltd. Multi-stage load adjustment type moving ca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636A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6847B1 (en) Conveyor lift and divert device with minimum overall height
KR100306632B1 (ko) 대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US4223901A (en) Hydraulic lift truck
KR960010225B1 (ko) 공기부상식 운반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제품의 제조방법과 생산라인
US3258287A (en) Holding hook for hollow work stock
EP0473865B1 (en) Conveyor unit
KR20040000088A (ko) 자동차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방법 및 장치
CA2012165C (en) Working line
KR0150562B1 (ko) 차체 패널 운반장치
JPS60152399A (ja) プレス装置
CN210133846U (zh) 手动叉车
CN211944911U (zh) 一种定位工件托盘的辊道输送机
CN109909665B (zh) 一种半挂车架拼装台
JPS6318532Y2 (ko)
CN208775822U (zh) 汽车后桥自动搬运上线设备
KR100774401B1 (ko) 차량용 부품 이송 장치
JPS642552B2 (ko)
DE602005019658D1 (de) Hublader zum Transport von Gegenständen
JP3388422B2 (ja) 台車段積装置
JPH08252730A (ja) 自動車用部品の組立方法および装置
JP2580328B2 (ja) 昇降作業台付き搬送装置
CN212953210U (zh) 一种运送物料的传送装置
CN217126148U (zh) 一种板料推送转运工作平台
SU1735188A1 (ru) Грузозахва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211920786U (zh) 一种用于汽车侧围零件输送的卸装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