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609B1 - 분체선별장치 - Google Patents

분체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609B1
KR100862609B1 KR1020067018262A KR20067018262A KR100862609B1 KR 100862609 B1 KR100862609 B1 KR 100862609B1 KR 1020067018262 A KR1020067018262 A KR 1020067018262A KR 20067018262 A KR20067018262 A KR 20067018262A KR 100862609 B1 KR100862609 B1 KR 100862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network
casing
ring member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8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3913A (ko
Inventor
후미오 가토
테루오 이노우에
요시오 사카키바라
신사쿠 카미무라
Original Assignee
츠카사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카사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츠카사공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03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3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50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07B1/24Revolving drums with fixed or moving interior agit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50Cleaning
    • B07B1/52Cleaning with brushes or scraper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원통 형상의 망상체를 이용한 분체선별장치에 있어서, 망상체의 외측 상부에서 분체가 잔류되는 것을 억제하는 동시에, 망상체의 장수명화를 도모한다. 분체가 유입되는 체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망상체(26)를 갖는 시브(21)와, 망상체(26)의 내측에 배치되며, 망상체(26)의 내면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날개를 갖는 부스터를 구비하고, 시브(21)의 내측으로 유입된 분체를 부스터에 의해 교반시키면서 망상체(26)를 통과하지 않은 분체 및/또는 이물질과 통과하는 분체로 선별하도록 구성된 분체선별장치에 있어서, 시브(21)를, 망상체(26)의 원통 중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한다. 시브(21)는 전동기를 구동원으로 하여 강제적으로 회전시켜도 좋고, 구동원을 폐지하여, 회전날개에 의해 교반되는 혼합기의 운동에너지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Figure R1020067018262
분체선별장치, 케이싱, 망상체, 제1링부재, 전동기

Description

분체선별장치{PARTICULATE SIFTER}
[0001]
본 발명은 분체를 입경(粒徑) 별로 분급(分級)하는 선별 및 분체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선별을 행하는 분체선별장치(sifter)에 관한 것이다.
[0002]
종래에 특허문헌 1 등에 기재되어 있는 이러한 종류의 분체선별장치는, 도 20을 참조하듯이, 분체가 유입되는 케이싱(X1)과, 이 케이싱(X1) 내에 고정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망상체(X2)와, 이 망상체(X2) 내에서 회전하는 회전날개(X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분체선별장치에서는, 화살표(X4)에 나타내듯이 망상체(X2)의 내측으로 유입된 분체는, 회전날개(X3)에 의해 교반되면서, 망상체(X2)를 통과하지 않은 분체 및/또는 이물질과 통과하는 분체로 선별된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2001-70885호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0003]
그러나, 상기 종래의 분체선별장치에서는, 망상체(X2)를 케이싱(X1) 내에 고정시켜 배치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 장치를 장기간 운전하는 중에, 도 20 중 부호(X5)에 나타내듯이 망상체(X2)의 외측 상부에 분체가 서서히 잔유되어 간다. 그러면, 이하의 (1) ~ (4)에 나타내는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생긴다.
[0004]
(1) 잔유된 분체에 해충인 미생물이 번식할 우려가 있다. 또한, 근래에는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 축산물 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의 주축이 되는「(식품)제조공정에 있어서의 총합안전위생관리」에 있어서의 플랜(plan) 목표 달성을 목적으로 하고, 제조환경의 정비, 위생확보에 중점을 둔 적정제조기준(GMP : Good Manufacturing Practice)에 대항하는 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상기 미생물 번식의 우려는 적정제조기준달성의 저해요인이 된다.
[0005]
(2) 망상체(X2) 중 분체가 잔유되어 있는 부분은 망목(網目)이 막힌 상태가 되기 때문에, 망상체(X2)의 유효선정면적이 저하되어, 망상체(X2)의 처리능력(단위시간당 선정 가능한 분체의 양)이 저하된다.
[0006]
(3) 분체선별장치로부터 유출되는 분체는, 유입되는 분체에 대해서 잔유된 분체의 양만큼 손실이 생기기 때문에, 특히, 분체선별장치로 유입되는 분체가 계량완료된 것일 경우에는 계량과 다른 분체의 양이 유출되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
[0007]
(4) 잔유된 분체가 분체 유동화의 방해가 되므로, 망상체(X2)의 처리능력이 저하된다. 특히, 유동성이 나쁜 분체 및 응집성이 높은 분체(예를 들면 유지분을 다량 함유한 분체)를 선정하도록 한 경우에는, 본래, 망상체(X2)를 마땅히 통과하게 되어 있는 입경의 분체 중 다수가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적정한 선정이 곤란하게 된다.
[0008]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망상체(X2)를 이용한 분체선별장치에서는, 망상체(X2) 내측에 있어서의 분체의 밀도분포는 균일하지 않고, 망상체(X2)에는 분체가 집중하여 부하가 커지는 부분과, 분체가 그다지 집중되지 않아 부하가 적게 걸리는 부분이 존재한다. 따라서, 망상체(X2) 중 부하가 크게 걸리는 특정 일부에서 국소적으로 마모가 생기기 때문에 망상체(X2)의 수명이 단축되게 된다.
[0009]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원통 형상의 망상체를 이용한 분체선별장치에 있어서, 망상체의 외측 상부에서 분체가 잔유되는 것을 억제하는 동시에, 망상체의 장수명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0010]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서는, 분체가 유입되는 케이싱(10,20,110,120,210,220)과,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의 망상체(26,126,226)와, 상기 망상체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망상체의 내면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날개(23,123,223)를 구비하고, 상기 망상체의 내측으로 유입된 분체를 상기 회전날개에 의해 교반시키면서, 상기 망상체를 통과하지 않은 분체 및/또는 이물질과, 통과한 분체를 선별하는 분체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망상체가 이 망상체의 원통 중심축 주위로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1]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망상체를, 지지부재(45,245)로 지지하고, 전동기(45M,145M,245M)를 구동원으로 하여 강제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2]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망상체와, 이 망상체의 양단부 중 분체 흐름 상류 측의 단부를 지지하는 제1링부재(27,227)와, 상기 망상체의 양단부 중 분체 흐름 하류 측의 단부를 지지하는 제2링부재(28,228)와, 상기 제1, 2링부재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로드(29,229)로 회전구조체를 구성하고, 상기 회전구조체의 전체가 상기 망상체와 아울러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3]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제1링부재를 지지부재(45,245)에 의해 지지함으로써, 상기 회전구조체를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4]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제2링부재에는, 그 내측영역에 프레임(28a)과, 상기 망상체의 회전 중심에 위치하는 피지지부(28b)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 중 상기 제2링부재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상기 망체를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취출하는 개구부(20e)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부재(25)에는, 상기 피지지부와 계합되는 지지부(25e)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가 피지지부를 회전하도록 지지함으로써, 상기 회전구조체를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5]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전동기(245M)가 상기 덮개부재(225)에 설치되고, 전동기의 구동축(245e)이 상기 지지부이며, 상기 구동축(245e) 및 프레임(228a)에 각각 쾌지부(253,253)를 구비하여 이 괘지부를 걸어 둠으로써 상기 전동기(245M)가 상기 망상체(226)를 회전시키는 청구항 5 기재의 분체선별장치이다.
[0016]
또한, 상기 각 수단의 괄호 내의 부호는, 후술하는 실시형태에 기재된 구체적 수단과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일례이다.
<발명의 효과>
[0017]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망상체를 회전 가능하게 배치함으로써, 망상체의 외측 상부에 분체가 잔유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미생물의 번식 우려를 회피할 수 있고, 망상체의 처리능력 저하를 억제할 수 있으며, 계량완료분체의 손실을 삭감할 수 있고, 유동성이 나쁜 분체 및 응집성이 높은 분체에 대응하는 적정한 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망상체를 회전 가능하게 배치함으로써, 망상체 중 부하가 크게 걸리는 부분은 망상체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망상체의 특정 일부가 국소적으로 마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망상체의 장수면화를 도모할 수 있다.
[0018]
여기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청구항 2에 기재된 것과 같이, 전동기를 구동원으로 하여 강제적으로 망상체를 회전시키는 예와, 구동원을 폐지하고 회전날개에 의해 교반되는 혼합기의 운동에너지 및 분체와 망상체 사이에서 생기는 마찰력 등에 의해 망상체를 회전시키는 예를 들 수 있다. 구동원을 폐지한 예에 있어서는, 부품수의 삭감에 의해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0019]
한편,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망상체의 회전속도를 소망하는 속도에 의해 이것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고, 또한, 망상체의 회전방향을 회전날개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향하도록 하는 것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동기는 인버터 등에 의해 회전속도를 가변 제어할 수 있어도 좋고, 일정 속도로 고정하여 구동되도록 하여도 좋다. 회전속도를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감속기를 이용하여 소망하는 회전속도를 얻도록 하는 예를 들 수 있다.
[0020]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망상체는 제1링부재와 제2링부재 및 로드에 의해 지지 고정되고, 회전구조체로서 일체적으로 회전되므로, 망상체를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제1링부재를 회전롤러에 의해 지지하는 구조 및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제2링부재의 피지지부(축삽입공 등)를 덮개부재의 지지부(지지축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를 들 수 있다.
[0021]
특히, 제1링부재의 내측은 분체의 유입구로서 기능을 하므로, 제1링부재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구조를 채용하면, 제1링부재의 내측을 분체유입구로서 최대한 활용할 수가 있어 좋다.
[0022]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전동기가 덮개부재의 외면에 설치되므로 인해, 내부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가 있다.
[0023]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분체선별장치(4)가 접속된 분체수송설비의 배치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분체선별장치(4)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분체선별장치(4)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시브(21)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링부재(27), 지지용 회전롤러(45) 및 가이드용 회전롤러(46)를 나 타내는 도 5의 B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도이다.
도 7은 제2링부재(28)의 지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링부재(27)의 지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분체선별장치(104)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관한 분체선별장치(204)의 외관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분체선별장치(204)의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나타내는 분체선별장치(204)의 외관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나타내는 분체선별장치(204)의 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에 나타내는 분체선별장치(204)의 전동기 부근의 확대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0에 나타내는 분체선별장치(204)의 내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내는 분체선별장치(204)의 시브(221)의 기단부 부근의 단면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나타내는 분체선별장치(204)의 시브(221)의 지지부재(245)로 끼워 넣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5에 나타내는 분체선별장치(204)의 제2링부재(228)와 전동기구동축단부와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체수송설비의 배치도이다.
도 20은 특허문헌 1에 개지된 분체선별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0024]
20 : 체케이싱 21 : 시브(회전구조체)
23 : 회전날개 26 : 망상체
27 : 제1링부재 28 : 제2링부재
29 : 로드 45 : 회전롤러
45M : 전동기
[0026]
(제1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분체선별장치는, 도 1에 나타내는 분체수송설비의 수송라인에 접속된 인라인형 장치이다. 우선, 상기 분체수송설비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의 부호 1은 분체(粉體)를 기력(氣力) 수송하는 수송공기(압축공기)를 배관(2)으로 보내는 송풍수단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스톡빈(stock bin)(3)에서 스크류콘베이어(3a)로 반출되어 자동계량기(3b)에서 계량되는 분체와, 일본국 특허제3336305호 등에 기재된 로타리밸브(3c)를 통해 배관(2) 내로 투입된다. 그러면, 투입된 분체는 수송공기와 혼합하고, 혼합기로서 배관(2) 내를 화살표(2a) 방향을 따라 수송된다.
[0027]
배관(2) 중 로타리밸브(3c)의 하류 부분에는 혼합기 중의 이물질을 선별하여 제거하는 인라인형의 분체선별장치(4)가 접속되어 있고, 분체선별장치(4)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혼합기는 배관(5)을 통해 서버(server)(6)로 유입된다. 서버(6)로 유입된 혼합기는 필터(6a)에 의해 수송공기와 분체로 분리된다. 분리된 수송공기는 필터(6a)의 하류에 위치하는 송풍기(6b)를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되고, 분리된 분체는 서버(6) 내에서 자중 낙하하여, 로터리밸브(6c)를 통해 교반익(攪拌翼)(7a)을 갖는 믹서(7)로 배출된다. 이렇게 하여, 스톡빈(3) 내의 분체는 계량 및 이물질 제거가 시행된 상태로 믹서(7)까지 기력 수송되는 것이다.
[0028]
다음에, 분체선별장치(4)의 구조를,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분체선별장치(4)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분체선별장치(4)의 단면도이며, 분체선별장치(4)는, 혼합기가 유입되는 혼합기유입실(10a)을 형성하는 유입케이싱(10)과, 혼합기유입실(10a)과 연통되는 체처리실(20a)을 형성하는 체케이싱(20)을 구비하고 있다. 혼합기유입실(10a)과 체처리실(20a)은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0029]
또한, 체케이싱(20)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케이싱에 상당한다. 본 실시형 태에서는, 유입케이싱(10)과 체케이싱(20)은 각각 금속제(예를 들면, 스테인레스제) 판부재(板部材)로 형성되고 있고, 이들 케이싱(10,20)은 용접으로 일체화되어 있다. 유입케이싱(10) 및 체케이싱(20)은 높이 조절에 의해 수평레벨의 인출이 가능한 지지다리(30a)를 갖는 설치대(30) 상에 탑재되어 지지되어 있다.
[0030]
유입케이싱(10)에는, 혼합기를 혼합기유입실(10a)로 유입시키는 유입구(10b)가 개구되어 있고, 이 유입구(10b)에는 상류의 송풍수단(1) 및 로타리밸브(3c)를 경유하여 배관(2)으로부터 공급되는 혼합기를 공급하는 혼합기입구(11)가 접속되어 있다. 혼합기입구(11)는 환형(丸形)의 관이고, 유입구(10b)는 유입케이싱(10)의 하부로 개구되어 있다.
[0031]
유입케이싱(10)은 수평방향(도 2 및 도 3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3의 A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인 도 4에 나타내듯이, 혼합기입구(11)는 유입케이싱(10)의 외주면에서 접속방향으로 비스듬히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혼합기유입실(10a)로 유입된 혼합기는 유입케이싱(1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한 후 체처리실(20a)로 수송되게 된다. 이렇게 혼합기를 수송하는 데에는 혼합기입구(11)의 혼합기유입실(10a)에 대한 입사각도를 약 4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혼합기입구(11)의 유입케이싱(10)에 대한 입사위치에 따르는 입사각도는 0 ~ 90°의 범위를 갖는다.
[0032]
유입케이싱(10) 내에는 격벽(12)에 의해 혼합기유입실(10a)과 구획된 축받이수용실(10c)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40)은 축받이수용실(10c)로부터 혼합기유입실(10a)과 체처리실(20a)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격벽(12)에는 회전축(40)을 통과시키기 위한 축공(12a)이 형성되어 있고, 축공(12a)에는 제1축받이(41)가 구비되어 있다. 또, 축받이수용실(10c) 중 격벽(12)과 반대 측의 단부에는 제2축받이(42)(도 2 참조)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제1 및 제2축받이(41,42)에 의해 회전축(40)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0033]
또한, 제1축받이(41) 및 제2축받이(42)는 카트리지형 유닛이 되어, 제1축받이(41)에는 도시되지 않은 라비린스링(labyrinth ring), 에어퍼지(air purge)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혼합기유입실(10a)의 혼합기가 축받이수용실(10c)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회전축(40)의 단부에는 도 2에 나타내는 풀리(43)가 고정되어 있고, 풀리(43)에는 도시되지 않은 벨트를 통해 전동기(44)의 회전구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0034]
도 3에 나타내듯이, 체처리실(20a)에는 유입케이싱(10) 및 체케이싱(20)의 연통로(10d)를 통해 체처리실(20a)로 유입된 혼합기 중의 분체 및/또는 이물질을 선별하는 회전구조체로서 시브(sheave : 도르래)(21)가 배치되어 있다. 이 시브(21)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심을 회전축(40)이 관통하도록 동축(同軸)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체처리실(20a) 은 시브(21)의 내측영역(20b)과 시브(21)의 직경 방향 외측영역(20c)으로 분할된 대략 이중 원통 구조로 되어 있고, 내측영역(20b)이 혼합기유입실(10a)과 연통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시브(21)의 구조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0035]
회전축(40)은 일단부가 제1 및 제2축받이(41,42)로 지지된 편축받이 구조로 이루어지고, 자유단인 타단부는 체처리실(20a)에 있어서 시브(21)의 우단부 근처까지 돌출되어 있다. 회전축(40)에는 도 3에 나타내듯이, 부스터(booster)(22,23)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스터(22,23)는 시브(21)의 내측영역(20b)으로 확장되어 회전축(40)과 함께 회전됨으로써 풍력증폭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0036]
상기 부스터는 방사형상체(放射形狀體)(22) 및 회전날개(23)로 구성되어 있다. 방사형상체(22)는 회전축(40) 중 내측영역(20b)의 양단부에 복수(여기서는 2매)가 구비되고, 회전날개(23)를 지지하는 것이다. 회전날개(23)는 이들 방사형상체(22)의 각 선단에 끼워 넣어져 고정되고, 회전축(40)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약간의 각도(예를 들면 3 ~ 7°, 바람직하게는 5°)로 경사져서 연장 돌출되도록 형성된 장척판상부재(長尺板狀部材)이다. 이 기울기에 의해, 혼합기유입실(10a)로부터 시브(21)의 내측영역(20b)으로 유입된 혼합기는 그 풍력이 한층 더 증폭된다.
[0037]
또, 회전날개(23)는 시브(21)의 내경면(內徑面)에 대하여 간격이 형성되어 분체를 내측영역(20b)으로부터 시브(21)를 경유하여 외측영역(20c)으로 퍼내는 판 상의 스크래퍼(scrapper)로서 기능한다. 또한, 회전날개(23)는 복수(여기서는 4매)가 구비되어 있고, 이들 회전날개(23)는 측면에서 볼 때 소정각도(여기서는 90°) 를 이루도록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회전날개(23) 중 혼합기유입실(10a)측의 단부(23a)는 커터(cutter) 형상(예를 들면 삼각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0038]
체케이싱(20)의 하부에는 시브(21)를 통과하여 외측영역(20c)으로 유입된 언더(under)분체를 체케이싱(20)의 외부로 배출하는 언더분체배출구(20d)가 설치되어 있고, 이 언더분체배출구(20d)에는 혼합기출구(24)가 접속되어 있다. 이 혼합기출구(24)는 호파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혼합기출구(24)의 배출구(24a)에 접속되는 배관(5)에 분체를 집합시키도록 기능하다.
[0039]
체케이싱(20)의 측방에는 시브(21)를 통과하지 않고 내측영역(20)으로부터 회전축(40) 방향으로 수송된 오버(over)분체를 체케이싱(20)의 외부로 배출하는 개구부서의 오버분체배출구(20e)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오버분체배출구(20e)에는 덮개부재로서의 점검도어(25)가 설치되어 있다. 점검도어(25)의 측부는 경첩(25a)(도 7 참조)에 의해 체케이싱(20)에 접속되어 있고, 나사부의 노브(knob)(25b)에 의해 점검도어(25)는 체케이싱(20)에 복수 부위가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노브(25b)를 떼어냄으로써 점검도어(25)는 수평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된다. 점검도어(25)를 개방함으로써, 체케이싱(20) 내부를 점검하거나, 체케이싱(20)으로부터 시브(21)를 탈착 가능하게 된다.
[0040]
또, 점검도어(25)는 미도시의 이물질배출구가 형성되고, 이 이물질배출구는 체처리실(20a)로 개구되어 있다. 도 3에서는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도 2에 나타내듯이, 이물질배출구는 밸브(25c)를 통해 이물질수용통(25d)과 연통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시브(21) 내에 잔유되어 있는 오버분체 및/또는 이물질은 이물질배출구로부터 배출되어 이물질수용통(25d)에 저장된다.
[0041]
또한, 이물질배출구와 이물질수용통(25d) 사이에는 안전밸브로서 역류방지밸브가 구비되어 있고, 이 안전밸브는 공기 수송되어 온 분체와 공기의 혼합기에 의해 체처리실(20a)로부터 더해지는 압력이 일정치를 초과한 때에 개방된다. 이에 의해, 체처리실(20a)로부터 더해지는 압력이 일정치를 초과한 때에, 안전밸브가 열리고, 시브(21) 내에 잔유되어 있던 오버분체 및 이물질이 자동적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점검도어(25)를 열지 않고 내부에 잔유되어 있는 분체 및 이물질을 제거할 수가 있게 되고, 시브(21)의 내부는 깨끗한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상세한 구조는 W002/38290A1을 참조하기 바람.
[0042]
이어서, 시브(21) 구조에 대해 도 5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시브(21) 단체(單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시브(21)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망상체(26)와, 이 망상체(26)의 양단부 중 연통로(10d)측(분체흐름 상류측)에 위치하는 단부를 지지하는 제1링부재(27)와, 오버분체배출구(20e) 측(분체흐름 하류측)에 위치하는 단부를 지지하는 제2링부재(28)와, 제1 및 제2링부재(27,28)를 연결하는 복수(여기서는 4개의 봉)의 로드(29)로 구성되어 있다.
[0043]
망상체(26)는 가요성(可撓性), 유연성(柔軟性)이 있는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스텐레스강 및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가 소재의 예로 제시된다. 또, 망상체(26)는 소선(素線)을 망과 같이 짠 것이어도 좋고, 합성수지로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치수는 용도에 맞게 적정치를 취한다. 본 실시형태의 망상체(26)에는 망목(網目)이 약 0.5mm로 설정된 것을 채용하고 있다.
[0044]
제1 및 제2링부재(27,28)는 망상체(26)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텐레스를 소재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링부재(27)의 외주면(27a)은 체케이싱(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여기서는 2개)의 지지용 회전롤러(45)에 의해 하방이 지지되어 있다. 또, 체케이싱(20)에는 제1링부재(27)의 외주면(27a)의 상방 부분에 대향하는 가이드용 회전롤러(4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0045]
도 6은 제1링부재(27), 지지용 회전롤러(45) 및 가이드용 회전롤러(46)를 나타내는 도 5의 B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이고, 이 도 6에 나타내듯이, 제1링부재(27)는 2개의 지지용 회전롤러(45)와 1개의 가이드용 회전롤러(46)에 의해 직경 방향으로 위치가 규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링부재(27)는 망상체(26)의 원통 중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다.
[0046]
도 3 및 도 6에 나타내듯이, 가이드용 회전롤러(46)는 체케이싱(20)에 고정된 축부재(46a)와, 이 축부재(46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부재(46b)로 구성되어 있다. 또, 지지용 회전롤러(45)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전동기(45M)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동축(45a)과, 이 구동축(45a)과 일체로 회전하는 롤러부재(45b)로 구성되어 있다. 전동기(45M)는 체케이싱(20)의 외면에 설치되어 있다.
[0047]
또한, 도 8에 나타내듯이, 롤러부재(45b,46b)의 각부(角部)(45c,46c)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혼합기유입실(10a)의 소정위치에 시브(21)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것에 대응하여, 3개의 회전롤러(45,46) 내에 제1링부재(27)를 끼워 넣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0048]
한편, 제2링부재(28)에는 그 내측영역에 프레임(28a)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외단부는 용접 등에 의해 제2링부재(28)의 내측 주연(周緣)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프레임(28a)을 십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도 7은 제2링부재(28)의 지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프레임(28a) 중 시브(21)의 원통 중심축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축삽입공(28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점검도어(25) 중 시브(21)의 원통 중심축 상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축삽입공(28b)에 삽입되는 지지축(25e)이 설 치되어 있다. 구동축(45a)의 회전에 따라 축삽입공(28b)이 지지축(25e)의 주위를 회전 가능하게 된다.
[0049]
이에 의해, 제2링부재(28)는 망상체(26)의 원통 중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1 및 제2링부재(27,28)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시브(21)는 체처리실(20a)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 전동기(45M)에 의해 지지용 회전롤러(45)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시브(21)를 전동기(45M)를 구동원으로 하여 강제적으로 회전시킬 수가 있다.
[0050]
또한, 축삽입공(28b)과 지지축(25e)이 접촉하는 면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에 의해, 시브(21)를 체처리실(20a) 내의 소정위치에 배치하여, 점검도어(25)를 닫고 축삽입공(28b)에 지지축(25e)을 삽입하면 그 삽입은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0051]
이와 관련하여, 도 7 중 부호47은 체케이싱(20)에 구비되고, 시브(21)의 하방에서 원통 중심축 방향(도 7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가이드봉을 나타내고 있다. 점검도어(25)를 열고 체케이싱(20)으로부터 시브(21)를 탈착할 때에는, 제1 및 제2링부재(27,28)를 가이드봉(47) 상에서 미끄러지게 하면서 시브(21)를 이동시킴으로써, 시브(21)의 탈착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3개의 회전롤러(45,46) 내에 제1링부재(27)가 끼워 넣어진 상태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링부 재(27,28)와 가이드봉(47)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어 가이드봉(47)이 회전하는 시브(21)와 간섭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0052]
도 8은 제1링부재(27)의 지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체케이싱(20)에는 제1링부재(27)의 내면을 따라 연장 돌출되는 원통링(48)이 용접 등으로 부착되어 있다. 원통링(48)의 외주면과 제1링부재(27)의 내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고, 원통링(48)이 회전하는 시브(21)와 간섭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원통링(48)에 의해 제1링부재(27)와 체케이싱(20)의 간극이 덮어 씌워지므로 이 간극으로 분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링부재(27)가 지지용 회전롤러(45)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나 떨어지는 경우에 원통링(48) 외주면 중 상방 부분에 시브(21)가 낙하됨으로써, 시브(21)의 낙하거리를 짧게 할 수 있고, 시브(21)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0053]
또한, 도 8에 나타내듯이, 망상체(26)의 양단부에는 한 쌍의 링 형상 돌출부(26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로드(29)를 따라 이동 가능 또는 고정 가능한 한 쌍의 원형 링 형상의 가압프레임(26b)과, 제1 및 제2링부재(27,28) 사이에 링 형상 돌출부(26a)를 끼워 넣음으로써, 망상체(26)의 양단을 제1 및 제2링부재(27,28)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압프레임(26b)은 로드(29)에 고정된 볼트(BT)가 삽입 배치됨으로써 볼트(BT)에 대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또, 제1회전링(27)에 대해 너트(NT)로 견고히 체 결함으로써 고정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0054]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분체선별장치(4)의 동작에 대해서 혼합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 3 중 화살표 F1 ~ F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0055]
우선, 전동기(44)가 회전함으로써 회전축(40) 및 부스터(22,23)가 일체로 회전하고, 혼합기입구(11)로부터 혼합기가 접선방향으로 혼합기유입실(10a)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면(화살표 F1 참조), 혼합기유입실(10a)의 외주부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입사된 혼합기가 회전축(40)의 주위를 나선 형상으로 처리실(20a)로 향해 강제적으로 흘러 들어가서(화살표 F2 참조), 시브(21)의 내측영역(20b)에 도달한다.
[0056]
시브(21)의 내부에는 회전축(40)의 회전에 의해 부스터(22,23)가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부스터의 회전날개(23)가 혼합기를 교반시킨다. 부스터(22,23)가 교반을 개시하면, 회전날개(23)가 행하는 혼합기의 교반에 의해 분체의 멍울처리 및 멍울붕괴가 행해진다. 또한, 시브(21)의 망상체(26)의 망목보다 가는 입자의 언더분체를 포함하는 혼합기가 외측영역(20c)으로 송출되어(화살표 F3 참조), 언더분체배출구(20d), 출구(24) 및 배출구(24a)를 통해 수송공기와 함께 혼합기로서 배관(5)(도 1 참조)으로 유출된다(화살표 F4 참조).
[0057]
한편, 시브(21)의 내측영역(20b)에 도달된 혼합기 중 망상체(26)의 망목보다 큰 오버분체 및 이물질은 내측영역(20b)으로부터 이물질배출구와 밸브(25c)를 통해 이물질수용통(25d)으로 유출되어 저장된다.
[0058]
여기서, 전동기(44)의 회전과 아울러 2개의 전동기(45M)를 회전시켜 지지용 회전롤러(45)를 각각 회전시킨다. 그러면, 지지용 회전롤러(45)와 제1링부재(27)의 외주면(27a)의 마찰력에 의해 시브(21)가 부스터(22,23)와 동축상에서 회전한다.
[0059]
이렇게 시브(21)를 회전시킴으로써 망상체(26)의 외측 상부에 분체가 잔유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분체의 잔유를 억제하는 것에 의해 이하의 효과가 생긴다. 즉, 미생물의 번식 우려를 회피할 수 있다. 또, 망상체(26)의 처리능력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계량기(3b)로 계량완료분체의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유동성이 나쁜 분체이거나 응집성이 높은 분체이어도 적정하게 선정 처리를 할 수가 있다.
[0060]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혼합기입구(11)로부터 혼합기유입실(10a)로 원주방향으로 입사된 혼합기가 회전축(40)의 주위를 회전하고 나서 체처리실(20a)로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망상체(26) 중 혼합기가 체처리실(20a)에 유입되어 최초로 망상체(26)에 충돌하는 부분은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혼합기가 집중되어 부하가 크게 걸린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시브(21)를 회전시킴으로써, 망상체(26) 중 부하가 크게 걸리는 부분은 망상체(26)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 게 되므로, 망상체(26)의 특정 일부가 국소적으로 마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망상체의 장수명화(長壽命化)를 도모할 수 있다.
[0061]
(제2실시형태)
상기 제1실시형태에서는 분체 및 수송공기로 이루어진 혼합기가 분체선별장치(4)로 유입된다고 하는 인라인식(inline type) 분체선별장치(4)에 본 발명을 적용하였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송공기를 이용하지 않고 분체를 중력으로 분체선별장치(4)로 투입하는 중력식 분체선별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하고 있다.
[0062]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중력식의 분체선별장치(104)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제1실시형태의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본 실시형태의 구성 요소의 설명은, 도 중의 부호를 100번대로 하여 설명한다. 인라인식의 분체선별장치(4)에서는 입구(11) 및 유입구(10b)를 유입케이싱(10)의 하방에 배치한 것에 비하여, 중력식 분체선별장치(104)에서는 입구(111) 및 유입구(110b)를 유입케이싱(110)의 상방에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입구(111)를 호퍼 형상으로 형성하고, 입구(111)의 투입구(111a)로부터 분체가 투입된다. 그 외의 구성은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므로, 부품번호를 100번대로 하여 설명한다. 상세한 구조는 일본국 특개평3-131372호공보, 일본국 특개평11-244784호공보, 일본국 특개소63-69577호공보 등을 참조하기 바람.
[0063]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분체선별장치(104)의 동작을 설명한다. 입구(111)의 투입구(111a)는 대기(大氣)와 연통되어 있고, 대기압의 상태에서 혼합기유입실(110a)에 투입된 분체는 유입실(110a)로 연장 돌출되는 회전날개(123)의 회전력에 의해 체처리실(120a)로 보내져서 시브(121)의 내측영역(120b)에 도달한다.
[0064]
시브(121)의 내부에는 회전축(140)의 회전에 의해 부스터(122,123)가 고속으로 회전되고 있기 때문에, 부스터의 회전날개(123)가 분체를 교반시킨다. 부스터(122,123)가 교반을 개시하면, 회전날개(123)가 행하는 교반에 의해 분체의 멍울처리 및 멍울붕괴가 행해진다. 또한, 시브(121)의 망상체(126)의 망목에 부착된 분체의 멍울이 회전날개(123)에 의해 제거된다. 이렇게 하여 망상체(126)의 망목보다 가는 입자의 언더분체가 외측영역(120c)으로 송출되고, 중력에 의해 출구(124)로 낙하하여 배출구(124a)로부터 배출된다.
[0065]
한편, 시브(121)의 내측영역(120b)에 도달한 분체 중 망상체(126)의 망목보다 큰 오버분체 및/또는 이물질은 내측영역(120b)으로부터 이물질배출구와 밸브(125c)를 통해 이물질수용통(125d)으로 유출되어 저장된다.
[0066]
여기서, 전동기(144)의 회전과 아울러 두 개의 전동기(145M)(도 4 참조)를 회전시키는 지지용 회전롤러(145)(도 6참조)의 각각을 회전시킴으로써, 시브(121)는 부스터(122,123)와 동축상에서 회전된다. 이에 의해, 망상체(126)의 외측 상부 에 분체가 잔유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미생물의 번식 우려를 회피할 수 있고, 망상체(126)의 처리능력저하를 억제할 수 있으며, 계량완료분체의 손실을 저감할 수 있고, 유동성이 나쁜 분체이거나 응집성이 높은 분체이어도 적절히 선정 처리를 수행할 수가 있다. 또, 망상체(126) 중 부하가 크게 걸리는 부분은 망상체(126)의 회전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망상체(126)의 특정 일부가 국소적으로 마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망상체(126)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0067]
(제3실시형태)
상기 제1실시형태의 분체선별장치(4)는 전동기(45M)가 롤러(45)를 회전시켜서 롤러(45) 및 롤러(46)에 의해 망상체(26)의 제1링부재(27)를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구조를 구비하지만, 제3실시형태의 분체선별장치(204)는 전동기(245M)의 위치를 변경하고, 망상체(226)의 하류측에 있는 제2링부재(228)를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구조를 구비한다. 또, 회전롤러(45,46) 대신에,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지지부재(245)를 사용한다. 이 지지부재(245)는 제1링부재(227)의 내측에 끼워 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즉, 분체선별장치(204)는 도 10 ~ 도18에 나타낸 것과 같이, 분체 흐름의 하류가 되는 케이싱(220)의 단부에 설치되는 개구(220e)와, 개구(220e)를 개폐하는 점검도어(225)를 구비하고 있다. 점검도어(225)의 외측면에 전동기(245M)를 고정하고 있다. 망상체(226)와 전동기(245M)의 구동축(245e)를 계합(係合)하도록 되어 있다. 분체선별장치(204)는 제2링부재(228)의 프레임(228a)와 연결되는 동시에 축삽입공(228b)이 중심에 형성된 제2링부재(228)의 중심에 있는 센터부재(251)와, 센터부재(251)의 후방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1개 이상의 바(253)와, 구동축(245e)의 축단부와 감합되는 중앙이 개구된 접시형상의 오목부(256)를 구비하고 있다. 단원통(短圓筒) 형상의 지지부재(245)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듯이, 원환상(圓環狀)의 판재이고, 수평부(245a)의 경사부(245b)를 연속적으로 형성한 것이다. 경사부(245b)는 전방을 향해 축경(縮徑)되도록 경사져 있다. 이 지지부재(245)의 일측 테두리는 수직벽면(249)의 원형의 관통공(250)의 주연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 경사부(245b)를 형성한 것은 제1링부재(227)의 내주면을 지지부재(245)의 외주면에 끼워 넣기가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0068]
도 18에 나타내듯이, 분체선별장치(204)의 운전상태에 있어서, 전동기(245M)가 구동되면, 상기 제1링부재(227)가 지지부재(245)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된다. 또, 점검도어(225)가 닫힘으로써, 오목부(256)에 구동축(245e)의 축 단부가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구동축(245e)의 바(253)를 회전시켜, 도면 18의 화살표에 나타내듯이, 바(253)를 핀(252)에 걸어 둔다. 이에 의해, 전동기(245M)에 의해 핀(252)과 바(253)가 일체로 회전하여, 망상체(226)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점검도어(225)가 닫히고, 전동기(245M)가 회전을 시작하면, 핀(252)과 바(253)가 걸려서, 전동기(245M)가 망상체(226)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점검도어(225)가 개방되면, 오목부(256)에서 구동축(245e)이 이탈됨으로써 핀(252)과 바(253)가 이탈되고, 구동축(245e)이 망상체(226)로부터 이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체케이싱(220)에 하나 이상의 점검도어(260,262)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에 대응하는 노브(264,266)로 점검도어(260,262)를 계지(係止)하고 체케이싱(220)을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점검도어(225)의 외면에 손잡이(225f)가 고정되어 있다. 유입케이싱(210)의 상부에 필터장치를 구비하고, 이 필터장치는 체케이싱(220) 내의 상부에 설치되는 리테이너(retainer)에 여과헝겊을 피복한 필터(270)와, 필터(270)에 분체·기체분리 및 역세(逆洗)를 행하는 필터제어장치(280,285)를 구비한 것이다. 필터장치의 구조에 대해서는 일본국 특허제2634042호, 일본국 특개2000-157815, 일본국 특개2001-62225 등을 참조하기 바람. 그 외의 구성은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므로, 부품번호를 200번대로 하여 설명한다. 이에 의해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도모한다.
[0069]
(이외의 실시형태)
(1) 상기 제1 ~ 제3실시형태에서는, 시브(21,121,221)를, 전동기(45M,245M)를 구동원으로 하여 강제적으로 회전시키고 있지만, 제1실시형태 및 제2실시형태의 실시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원(45M,145M 또는 245M)을 폐지(廢止)하고, 지지용 회전롤러(45,145)를 풀리로 회전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회전날개(23 또는 123)에 의해 교반되는 혼합기에 의한 시브(21,121)의 회전에 의해(회전날개(23 또는 123)에 의해 교반되는 분체와 망상체(26 도는 126)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 시브(21,121)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취시킬 수가 있고, 아울러, 부품수 삭감에 의한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제3실시형태의 실시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원(245M)을 폐지하고 센터부재(251) 등을 제1실시형태의 지지축(25e)과 축삽입공(28b)의 구성으로 치환하여 풀리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전동기(45M,145M,245)에 의해 강제적으로 시브(21,121,221)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시브(21,121,221)의 회전속도를 소망의 설정속도로 하는 것이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고, 또한, 시브(21,121,221)의 회전방향을 회전날개(23,123,223)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하는 것이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다.
[0070]
(2) 상기 제1 ~ 제3실시형태에서는, 시브(21,121,221)의 제2링부재(28,128,228)가 지지축(25e,125e,245e)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지만, 그 변형예로서, 제2링부재(28,128,228)를 체케이싱(20,120,220)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0071]
(3) 상기 제1 ~ 제3실시형태에서는, 제2링부재(28,128,228)의 프레임(28a,128a,228a)에 형성된 축삽입공(28b,128b,251)에 지지축(25e,125e,245e)을 삽입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제2링부재(28,128,228)의 외주면을 회전롤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0072]
(4) 상기 제1실시형태 ~ 제3실시형태에는 수송기체로서 공기를 이용하였지만, 질소가스 이외의 불활성가스를 이용하여 분체의 산화(酸化)를 방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0073]
(5) 상기 제1 ~ 제3실시형태에서는 이물질 제거의 용도로 분체선별장치(4,104,204)를 이용하고 있지만, 분체를 입자 지름별로 분급(分級)하는 용도에 이용되어도 좋다.
[0074]
(6) 상기 제1실시형태에서는, 자동계량기(3b)로 자동 계량된 분체를 기력(氣力) 수송하는 분체수송설비에 본 발명의 분체선별장치(4)를 적용시키고 있지만, 본 발명의 분체선별장치(4)는 이러한 적용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9(a)에 나타내듯이, 수동투입서버(3d)를 통해 인력으로 분체를 투입하도록 한 분체수송설비 및 도 19(b)에 나타내듯이, 분체선별장치(4)를 통과한 후에 인력으로 분체를 투입하도록 한 분체수송설비 및 도 19(b)에 나타나 분체선별장치(4)를 통과한 후에 분체를 계량하여 자루에 채워넣도록 한 분체수송설비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0075]
이와 관련하여, 도 19(a)에 나타내는 분체수송설비에서는, 분체선별장치(4)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혼합기는 배관(5)을 통해 믹서(7) 또는 저장탱크(8)로 유입되고, 필터(7b,8b)에 의해 수송공기와 분체로 분리된다. 분리된 수송공기는 필터(7b,8b)의 하류에 위치하는 송풍기(7c,8c)에 의해 대기 중으로 배출되고, 분리된 분체는 자동 낙하한 후, 스크류콘베이어(8a) 등으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수동투입서버(3d)에서 인력에 의해 투입된 분체는, 이물질 제거가 시행된 후에 믹서(7) 또는 저장탱크(8)까지 기력(氣力) 수송되는 것이다.
[0076]
또, 도 19(b)에 나타내는 분체수송설비에서는, 분체는 계량되지 않고 믹서(7)에서 배관(2)으로 투입되고, 분체선별장치(4)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혼합기(5)를 통해 서버(6)로 유입되며, 필터(6a)에 의해 수송공기와 분체로 분리된다. 분리된 분체는 자동 낙하한 후, 팩커(packer)(9)까지 기력 수송되는 것이다.
[00770
본 발명의 분체선별장치는 체장치, 이물질제거장치, 분체수송설비, 분체자루포장장치 등에 적용된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분체가 유입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의 망상체와,
    상기 망상체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망상체의 내면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망상체의 내측으로 유입된 분체를 상기 회전날개에 의해 교반시키면서, 상기 망상체를 통과하지 않은 분체 및/또는 이물질과, 통과한 분체를 선별하는 분체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망상체가 이 망상체의 원통 중심축 주위로 회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망상체를, 지지부재로 지지하고, 전동기를 구동원으로 하여 강제적으로 회전시키되,
    상기 망상체와, 이 망상체의 양단부 중 분체 흐름 상류측의 단부를 지지하는 제1링부재와, 상기 망상체의 양단부 중 분체 흐름 하류측의 단부를 지지하는 제2링부재와, 상기 제1, 2링부재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로드로 회전구조체를 구성하고,
    상기 회전구조체의 전체가 상기 망상체와 아울러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분체선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부재를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함으로써, 상기 회전구조체를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분체선별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부재에는, 그 내측영역에 프레임과, 상기 망상체의 회전 중심에 위치하는 피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 중 상기 제2 링부재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상기 망상체를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취출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부재에는, 상기 피지지부와 계합되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가 피지지부를 회전하도록 지지함으로써, 상기 회전구조체를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선별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부재에는, 그 내측영역에 프레임과, 상기 망상체의 회전 중심에 위치하는 피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 중 상기 제2 링부재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상기 망상체를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취출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부재에는, 상기 피지지부와 계합되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가 피지지부를 회전하도록 지지함으로써, 상기 회전구조체를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선별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가 상기 덮개부재에 설치되고, 전동기의 구동축이 상기 지지부이며, 상기 구동축 및 프레임에 각각 쾌지부를 구비하고, 이 괘지부를 걸어 둠으로써 상기 전동기가 상기 망상체를 회전시키는 분체선별장치.
  8. 분체가 유입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의 망상체와,
    상기 망상체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망상체의 내면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망상체의 내측으로 유입된 분체를 상기 회전날개에 의해 교반시키면서, 상기 망상체를 통과하지 않은 분체 및/또는 이물질과, 통과한 분체를 선별하는 분체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망상체가 이 망상체의 원통 중심축 주위로 회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망상체와, 이 망상체의 양단부 중 분체 흐름 상류측의 단부를 지지하는 제1링부재와, 상기 망상체의 양단부 중 분체 흐름 하류측의 단부를 지지하는 제2링부재와, 상기 제1, 2링부재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로드로 회전구조체를 구성하고,
    상기 회전구조체의 전체가 상기 망상체와 아울러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분체선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부재를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함으로써, 상기 회전구조체를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분체선별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부재에는, 그 내측영역에 프레임과, 상기 망상체의 회전 중심에 위치하는 피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 중 상기 제2 링부재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상기 망상체를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취출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부재에는, 상기 피지지부와 계합되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가 피지지부를 회전하도록 지지함으로써, 상기 회전구조체를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선별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부재에는, 그 내측영역에 프레임과, 상기 망상체의 회전 중심에 위치하는 피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 중 상기 제2 링부재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상기 망상체를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취출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부재에는, 상기 피지지부와 계합되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가 피지지부를 회전하도록 지지함으로써, 상기 회전구조체를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선별장치.
KR1020067018262A 2004-04-23 2005-04-22 분체선별장치 KR1008626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29059 2004-04-23
JPJP-P-2004-00129059 2004-04-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913A KR20070003913A (ko) 2007-01-05
KR100862609B1 true KR100862609B1 (ko) 2008-10-09

Family

ID=35196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8262A KR100862609B1 (ko) 2004-04-23 2005-04-22 분체선별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99178B2 (ko)
EP (1) EP1743711B1 (ko)
JP (1) JP4771943B2 (ko)
KR (1) KR100862609B1 (ko)
CN (1) CN1921957B (ko)
DE (1) DE602005015952D1 (ko)
WO (1) WO200510254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367B1 (ko) * 2009-06-05 2013-10-28 츠카사 컴퍼니 리미티드 통형시브 및 통형시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D20050063A1 (it) * 2005-04-18 2006-10-19 Pal Srl Apparecchiatura e procedimento per separare particelle di granulometria finissima da una massa incoerente di materiale legnoso
US8240481B2 (en) 2006-05-10 2012-08-14 Tsukasa Co., Ltd. Sifter
RU2447952C2 (ru) 2006-05-10 2012-04-20 Цуказа Ко., Лтд. Просеиватель
US7878430B2 (en) 2006-11-20 2011-02-01 The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Method and apparatus for uniformly dispersing additive particles in fine powders
US20110185785A1 (en) * 2010-02-04 2011-08-04 Eagle Press & Equipment Co. Ltd. Servo Hemming Press
CN102825008A (zh) * 2012-09-19 2012-12-19 吴江市物华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制药用的金属筛网
CN103111359B (zh) * 2013-02-22 2014-06-04 厦门大学 自动沉积物筛洗器
US20150296760A1 (en) * 2014-04-21 2015-10-22 Douglas A. Perednia Rotating feeder bin for growing, feding and harvesting insect larvae
CN104162515B (zh) * 2014-08-04 2017-03-29 陈化学 厨余垃圾分选装置
JP1602552S (ko) * 2017-07-07 2018-04-23
JP1602553S (ko) * 2017-07-07 2018-04-23
CN108499859A (zh) * 2018-04-14 2018-09-07 新郑市新材料专业孵化器服务中心 一种金刚石微粉多级负压分选装置
CN112823915A (zh) * 2019-11-20 2021-05-21 湖南大三湘茶油股份有限公司 一种茶籽拣选机
CN112676021A (zh) * 2020-11-27 2021-04-20 张毅 一种建筑涂料生产用原料的研磨筛选装置
CN113412732A (zh) * 2021-03-24 2021-09-21 吉林天朗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秸秆打捆机的转筛式秸秆收集装置
US20220355225A1 (en) * 2021-05-10 2022-11-10 Lyco Manufacturing Inc. Externally Fed Screen for Filtration
CN114308191B (zh) * 2021-11-19 2023-04-28 重庆灏真现代农业有限公司 砻谷机
CN114247640B (zh) * 2021-12-06 2024-03-01 安徽东方钙业有限公司双桥石灰石矿 用于土石分离技术的无轴筛沙机滚筒筛网维护设备
KR102468246B1 (ko) * 2022-02-04 2022-11-16 박진영 드럼형 이물질 흡착 선별장치
CN116951927B (zh) * 2023-08-01 2024-04-05 山东彩客新材料有限公司 一种磷酸铁制备用滤饼干燥装置及其干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9492Y2 (ja) 1980-06-10 1984-11-05 石川島建材工業株式会社 砂等の材料ふるい装置
JP2001070885A (ja) * 1999-09-02 2001-03-21 Tsukasa Kogyo Kk ターボシフタ内蔵粉粒体受入装置
KR20030045160A (ko) * 2000-11-08 2003-06-09 츠카사공업 주식회사 인라인 시프터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81902B (de) 1960-12-10 1964-11-19 Condux Werk Vorrichtung zum Trennen und Einordnen von Gummi- und Kordfaserteilen
JPS5888077A (ja) * 1981-11-17 1983-05-26 槙野産業株式会社 分級装置
US4507202A (en) * 1982-01-18 1985-03-26 Dan Nord Device for the separation of a liquid
JPS6021793B2 (ja) * 1982-06-16 1985-05-29 タ−ボ工業株式会社 撹拌式円筒スクリ−ン分級機
JPS5939492A (ja) 1982-08-27 1984-03-03 Mitsubishi Electric Corp レ−ザ加工方法
JPS60193573A (ja) * 1984-03-14 1985-10-02 タ−ボ工業株式会社 撹拌式2重円筒スクリ−ン分級機
JPH01120985A (ja) * 1987-11-04 1989-05-12 Nec Corp 加入者回路
JPH02104884A (ja) * 1988-10-14 1990-04-17 Kyoei Kogyo Kk 外し防止施錠引き戸
FR2651694B1 (fr) * 1989-09-14 1992-01-24 Mvs Motoviticulture Saumuroise Dispositif pour trier des produits juteux et collants.
FR2723543B1 (fr) 1994-08-10 1996-10-11 Lamort E & M Perfectionnements aux tamis cylindriques munis d'un rotor.
US5458246A (en) * 1994-09-30 1995-10-17 Roskamp Champion Horizontal cylindrical sifter with adjustable agitator arms
US5507396A (en) * 1994-11-29 1996-04-16 Carter Day International, Inc. Rotating sizer with screen panels
CA2159567C (en) * 1995-09-29 2004-05-25 Herbert Gunter Joachim Langner Rotary screening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screening cylinder casing
JPH09122591A (ja) * 1995-11-02 1997-05-13 Sugihara Kogyo:Kk 横型篩分機
US6016921A (en) * 1997-12-01 2000-01-25 Carter Day International, Inc. Sizing panel for rotating cylindrical separator
CN2360172Y (zh) * 1999-01-29 2000-01-26 河北公路工程建设集团有限公司第四公司 滚动式粉碎筛分机
US6305552B1 (en) * 1999-03-12 2001-10-23 Universal Leaf Tobacco Company, Inc. Apparatus for removing matter from tobacco stems
JP2000354830A (ja) * 1999-06-16 2000-12-26 Tadashi Sato 篩い分け機
JP2001286823A (ja) 2000-04-06 2001-10-16 Tsukasa Kogyo Kk 粉粒体篩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9492Y2 (ja) 1980-06-10 1984-11-05 石川島建材工業株式会社 砂等の材料ふるい装置
JP2001070885A (ja) * 1999-09-02 2001-03-21 Tsukasa Kogyo Kk ターボシフタ内蔵粉粒体受入装置
KR20030045160A (ko) * 2000-11-08 2003-06-09 츠카사공업 주식회사 인라인 시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367B1 (ko) * 2009-06-05 2013-10-28 츠카사 컴퍼니 리미티드 통형시브 및 통형시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71943B2 (ja) 2011-09-14
US20090020460A1 (en) 2009-01-22
CN1921957B (zh) 2011-04-20
JPWO2005102543A1 (ja) 2008-03-13
KR20070003913A (ko) 2007-01-05
EP1743711A1 (en) 2007-01-17
EP1743711B1 (en) 2009-08-12
US7699178B2 (en) 2010-04-20
CN1921957A (zh) 2007-02-28
WO2005102543A1 (ja) 2005-11-03
DE602005015952D1 (de) 2009-09-24
EP1743711A4 (en) 200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2609B1 (ko) 분체선별장치
US7896163B2 (en) Sifter
JP4601236B2 (ja) 穀物の選別システム
WO2017212898A1 (ja) セパレータ装置及びショット処理装置
CN108658631A (zh) 一种粪禽有机肥的生产设备
JPH05508339A (ja) 密度差の小さい物品を浮遊流を利用して選別する方法及び装置
JP4033454B2 (ja) 防臭型異物分別機
CN112936116B (zh) 一种应用于抛丸机上的抛丸用回收处理装置
JPS641181B2 (ko)
RU247947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орожнения упаковки
CN211386255U (zh) 废弃物处理装置
US8240481B2 (en) Sifter
JP4692836B2 (ja) 異物選別装置
KR101576989B1 (ko) 혼합 물체의 입자 분리 시스템
EP1340699A2 (en) An apparatus for feeding particulate products to a user machine
CN114345681B (zh) 一种螺旋落体式颗粒状食品加工用金属分离器
CN210411441U (zh) 一种方便进行分拣的食品加工用传送装置
WO2012117783A1 (ja) 投射材分別装置およびショット処理装置
JP3831552B2 (ja) 廃石膏ボ−ド破砕分別処理装置
NL1009142C2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opvangen en afvoeren van relatief licht materiaal.
JP2001162230A (ja) 廃棄物の回転式風力選別装置
CN220111589U (zh) 一种铁粉筛选器
TR2022009036A2 (tr) Toz ayriştirma maki̇nasi
RU227802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енерации абразивной среды при абразивно-струйной обработке
US4117982A (en) Asbestos delum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