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560B1 - 주행금지 구역 위반 차량 단속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행금지 구역 위반 차량 단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560B1
KR100862560B1 KR1020080023374A KR20080023374A KR100862560B1 KR 100862560 B1 KR100862560 B1 KR 100862560B1 KR 1020080023374 A KR1020080023374 A KR 1020080023374A KR 20080023374 A KR20080023374 A KR 20080023374A KR 100862560 B1 KR100862560 B1 KR 100862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osition data
data
unit
extra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우
오주택
Original Assignee
(주) 서돌 전자통신
한국교통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서돌 전자통신, 한국교통연구원 filed Critical (주) 서돌 전자통신
Priority to KR1020080023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5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8Detecting or categorising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도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도로의 실제 위치 데이터 및 주행금지 구역의 실제 위치 데이터가 매치되는 기준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촬영부에 의하여 촬영되는 영상과 상기 기준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차량의 위치데이터를 추출하는 위치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위치 데이터 추출부에 의하여 추출되는 차량의 위치 데이터가 상기 주행금지 구역의 위치 데이터 범위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주행금지 구역의 위치 데이터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촬영부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금지 구역 단속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에 의하면, 별도의 장치 및 인력을 투입하지 않고 주행금지 위반차량을 단속할 수 있어서 편리하고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위치 데이터, 기준 영상데이터, 주행금지구역

Description

주행금지 구역 위반 차량 단속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regulating a traffic violatio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주행금지 구역 단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위치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추출하여 주행금지 구역을 주행하는 주행금지 위반차량을 단속하는 주행금지 구역 위반 차량 단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중교통 수단인 버스의 주행 속도를 높여 심각한 대도시 교통체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버스 전용차로 제도는 버스의 주행속도를 높이는 데는 성공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버스전용차로를 위반하는 차량으로 인해 그 효과가 반감되고 있다.
버스전용차로 제도를 도입하는 이유는 버스와 같은 수송 효율이 높은 대중교통수단의 주행 속도를 향상시키고 서비스 질을 개선시켜 자가용 이용을 억제하는 것인데, 이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일반 차량이 버스전용차로로 진입하지 말아야 함에도 다수의 차량이 이를 위반하는 것은 쉽게 볼 수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한편 고속도로에서 경찰차량 또는 도로관리차량 등을 포함하는 공무수행 차량 및 고속도로 주행 중 비상상황에 처한 차량이 비교적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 록 마련된 갓길은 공무수행 차량 및 비상차량을 위해 일반차량의 주행을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고속도로의 정체 혹은 운전자의 휴식 등을 이유로 많은 일반차량들이 갓길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정작 갓길을 이용하여야 하는 공무수행 차량 및 비상차량 등이 길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버스전용차로 및 갓길로 일반차량의 진입 및 주행을 방지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많은 예산을 들여 도로상에 감시카메라를 설치하고, 단속원을 상주시켜 위반차량을 단속하며 고속도로의 통행량이 많은 때에는 위반차량을 단속하기 위해 헬리콥터를 동원하여 적발시 과징금 및 벌점을 부과하고 있지만 현재 적용되고 있는 감시방법은 모두 지역적으로 제한되어 있어서, 버스전용차로 및 갓길 주행금지를 위반한 운전자는 해당 지역만 피하면 되므로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감시카메라와 인력을 추가로 배치해야 되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차량의 위치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추출하여 주행금지 위반차량을 단속할 수 있는 차량 주행금지 구역 단속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 주행금지 구역 단속 시스템은, 도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도로의 실제 위치 데이터 및 주행금지 구역의 실제 위치 데이터가 매치되는 기준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촬영부에 의하여 촬영되는 영상과 상기 기준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차량의 위치데이터를 추출하는 위치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위치 데이터 추출부에 의하여 추출되는 차량의 위치 데이터가 상기 주행금지 구역의 위치 데이터 범위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주행금지 구역의 위치 데이터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촬영부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차량이 차지하는 면적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면적으로부터 차량의 크기를 판단하고, 판단된 크기가 기설정된 기준크기보다 작은 경우,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크기가 기설정된 기준보다 큰 경우,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차량의 노선번호를 추출하고, 노선번호가 추출되지 않는 경 우,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한다.
한편 상기 촬영부는, 상기 도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제1 촬영부; 및 상기 위치 데이터가 추출된 차량의 위치로 팬틸팅 및 포커싱되어 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는 제2 촬영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촬영된 영상 데이터, 상기 추출된 차량 번호 데이터 및 촬영 시간 데이터를 포함하는 위반차량 전보 데이터를 원격지의 관리센터로 전송하는 송신부; 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금지 구역 단속 시스템에 따르면, 차량의 위치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추출하여 주행금지 위반차량을 용이하게 단속할 수 있다.
또한 버스전용차로 또는 갓길을 포함하는 주행금지 구역을 주행하는 차량을 주행금지 위반차량으로 단속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버스전용차로를 포함하는 전용차로의 주행금지 구역을 주행하는 노선차량과 비노선차량을 구별하여 비노선차량을 주행금지 위반차량으로 단속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주행금지 위반차량의 차량번호를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주행금지 위반차량의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원격지에서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고, 사후에 증빙자료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로를 파해치고 루프검지기 등을 설치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주행금지 위반차량을 단속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금지 구역 단속 시스템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금지 구역 단속 시스템(100,100'...100n)은, 저장부(10), 위치데이터 추출부(20), 제어부(30), 촬영부(40) 및 송신부(50)를 포함한다.
저장부(10)에는 도로의 실제 위치데이터 및 주행금지 구역의 실제 위치데이터가 매치되는 기준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기준 영상 데이터는, 촬영부(4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도로의 실제 위치데이터가 매치된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촬영부(4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도로의 실제 위치 데이터((X1, X2, X3...XN),(Y1, Y2, Y3...YN))가 매치된다.
위치 데이터 추출부(20)는 기준영상 데이터와 촬영부(40)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을 비교하여 차량의 실제 위치 데이터를 추출한다. 촬영부(4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차량이 발견되면, 영상에서 차량이 위치하는 지점을 기준 영상 데이터에 매치시키고, 매치된 지점의 위치데이터를 실제 위치데이터가 매치된 기준 영상 데이터로부터 차량의 실제 위치데이터를 추출한다. 기준 영상 데이터 및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을 비교하면, 촬영된 영상에서 확인되는 차량의 정확한 위치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위치 데이터를 소정범위로 설정할 경우, 설 정된 소정범위에 차량이 위치하는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촬영된 영상에 도로의 실제 위치데이터(X,Y)를 매치시킨 기준 영상 데이터와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을 비교한다. 차량(1)이 A위치에서 발견되면, 기준 영상 데이터에 차량(1)이 발견된 A위치를 매치시키고, 기준 영상 데이터로부터 A의 위치데이터 (X3, Y6)를 추출한다. 여기서 추출된 위치데이터 (X3, Y6)은 차량(1)의 실제 위치데이터로 간주한다. 이에 의하면, 차량(1)이 도로상에서 위치하는 지점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추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위치 데이터의 범위를 소정범위((X1,0)과 (X4, YN)을 잇는 직선보다 큰 범위)로 설정하여 구역(P)을 설정하면, 기준 영상데이터와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을 비교하여, 설정된 구역(P)에서 차량이 주행하는지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데이터 추출부(20)로부터 추출된 차량(2)의 위치데이터(X2, Y4)가 설정된 구역(P)의 위치데이터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차량(2)는 설정된 구역(P)을 주행한다고 판단한다. 이후 차량(2)를 계속 추적하면서 위치데이터를 추출하고 계속하여 추출된 위치데이터가 변경 즉, 주행되면서 구역(P)이내에 있는 경우 단속 대상이 된다.
한편, 설정되는 구역(P)을 버스전용차로 또는 갓길과 같이, 일반차량은 주행하지 못하고 허가된 특정차량만이 주행할 수 있는 주행금지구역(P)으로 설정하는 경우, 설정된 주행금지구역(P)으로 주행하는 차량을 확인할 수 있다.
주행금지구역(P)의 위치데이터는 각 상황에 적합하게 그 범위를 무한히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사 또는 사고 등으로 인해 지형이 변하여 주행금지구역(P)을 다시 설정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주행금지구역(P)의 위치데이터를 변경시켜 주는 것만으로 주행금지구역(P)을 다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여러 장소에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금지 단속 시스템(100,100'...100n)은 차량의 실제 위치를 추출하기 위해 루프검지기, 초음파 또는 초단파 등의 센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 사용되고 있는 교통정보수집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주행금지구역(P)으로 진입하고 주행하는 차량을 확인하기 위해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고 유지보수하는 것에 투입되는 엄청난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도 3c를 참조하여 주행금지구역(P)이버스전용차로(Q)인 경우를 설명한다.
제어부(30)는 위치데이터 추출부(20)에 의하여 추출되는 차량의 위치데이터가 주행금지구역(Q)의 위치데이터의 범위내에 있는지를 확인하고, 촬영된 영상에서 차량이 차지하는 면적 및 크기를 추출하여 허가되지 않은 차량이 주행금지구역(Q)의 위치데이터의 범위내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촬영부(40)를 제어하여 차량번호를 추출한다.
버스전용차로(Q)를 포함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버스(3,6), 승용차(4,7) 및 대 형화물차(5)가 주행한다. 제어부(30)는 위치 데이터 추출부(20)로부터 추출된 차량들(3 내지 7)의 위치 데이터를 근거로 차량들(3 내지 7)의 위치를 확인한다. 여기서 차량( 3 내지 6)이 버스전용차로(Q)로 주행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즉 추출된 위치데이터가 주행금지구역(Q)의 영역내에서 변화되는 경우, 차량들(3 내지 6)이 영상으로부터 차지하는 실제면적을 추출하고 이를 근거로 차량들(3 내지 6)의 크기를 판단하며, 판단된 차량들(3 내지 6)의 크기를 기준크기와 비교한다. 여기서 버스전용차로(Q)는 버스(3)만이 주행할 수 있도록 허가되어 있으므로 기준크기는 버스(3)의 크기로 한다.
차량(4)과 같이 판단된 크기가 기준크기(3)보다 작은 경우에는, 차량(4)은 버스전용차로(Q)를 주행할 수 없는 차량(4)으로 간주하여 촬영부(40)를 통해 차량(4)의 차량번호를 촬영한다. 한편 차량(4)과 같은 크기의 차량(7)은 추출되는 위치 데이터가 버스전용차로(Q)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영상에서 차지하는 면적 및 차량의 크기를 추출하지 않는다. 이에 의하면, 주행금지 위반차량을 단속하는데 추출 및 판단되어야 하는 데이터를 줄일 수 있어서 빠르게 연산하여 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차량(5)과 같이 판단된 크기가 기준크기(3)보다 큰 경우에는, 차량(5)은 버스전용차로(Q)를 주행할 수 없는 차량(5)으로 간주하여 촬영부(40)를 통해 차량(5)의 차량번호를 촬영한다.
또한 차량(6)과 같이 판단된 크기가 기준크기(3)와 동일한 경우에는, 촬영부(40)를 통해 차량(6)의 노선번호를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추출되는 차량(6)의 크 기가 기준크기(3)와 동일하면 차량(6)은 버스로 간주된다. 여기서 버스는 노선버스(3) 및 비노선버스(6)로 구분되는데, 버스전용차로(Q)를 주행할 수 있는 버스는 노선버스(3)로 한정된다. 따라서 촬영부(40)의 촬영에 의해 노선번호가 확인되는 차량(3)은 노선버스(3)로 간주하여 버스전용차로(Q)를 주행하는 것을 허가하고, 노선번호가 확인되지 않는 차량(6)은 비노선버스(6)로 간주하여 버스전용차로(Q) 위반차량으로 단속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주행금지구역(P)이 갓길(R)인 경우를 설명한다. 여기서 갓길(R)로 진입한 차량의 위치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은 주행금지구역(Q)을 버스전용차로(Q)로 설정한 경우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갓길(R)을 운행하는 차량(3', 4', 5', 6')은 촬영부(40)에 의해 그 차량번호가 촬영된다. 이후 촬영된 차량번호를 갓길(R)주행이 허가된 차량의 차량번호와 일치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허가차량은 경찰차량, 도로관리차량 또는 엠블란스와 같이 공공의 안전 또는 사람의 생명에 관련되는 일에 사용되는 차량을 의미한다. 차량(4')의 차량번호가 허가차량의 차량번호와 일치되면, 차량(4')는 갓길(R)을 적법하게 주행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에 차량(3', 5', 6')의 차량번호는 허가차량의 차량번호와 일치되지 않으므로 갓길(R)을 불법적으로 주행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촬영된 차량번호를 근거로 차량(3', 5', 6')을 갓길(R) 주행금지 위반차량으로 단속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촬영부(40)는 제1 촬영부 및 제2 촬영부를 포함한다. 제1 촬영부는 도로 및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을 포함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주행금지구역(Q)을 주행하는 차량을 촬영한다.
제2 촬영부는 제어부(30)에 의해 주행금지구역 위반차량이 단속된 경우, 위치데이터가 추출된 위반차량의 위치로 팬틸팅(Qan/tilt) 및 포커싱(focus)되어 위반차량의 차량번호를 정확하게 촬영한다.
송신부(50)는 주행금지구역 위반차량에 대한 정보를 원격지에 마련된 관리센터(60)로 송신한다. 이로 인해 주행금지구역 위반차량에 대한 정보가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5,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금지 단속 시스템의 작동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주행금지구역을 버스전용차로로 설정한 경우이고, 도 6은 주행금지구역을 갓길로 설정한 경우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로를 촬영하고(S10), 촬영된 영상에 도로의 실제 위치 데이터를 매치시켜 기준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S20). 매치된 위치데이터의 범위를 설정하여 주행금지구역을 설정하고(S30), 버스전용차로를 포함하는 주행금지구역으로 물체가 진입하는지를 확인한다(S32,진입확인 단계). 진입확인 단계(S32)에서 진입한 물체가 차량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주행금지구역으로 진입하는 물체를 계속 감지한다(S30). 진입확인 단계(S32)에서 진입한 물체가 차량으로 확인되는 경우, 차량의 위치데이터를 추출한다(S40,위치데이터 추출단계). 추출된 위치데이터가 주행금지구역의 위치데이터의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S42,포함확인 단계). 여기서 추출된 위치데이터가 주행금지구역의 위치데이터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추출된 위치데이터가 주행금지구역의 위치데이터의 범위에서 변 경되는지를 판단한다(S44, 변경판단 단계). 변경판단 단계(S44)에서 위치데이터가 변경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영상에 표시되는 차량의 면적을 추출한다(S50), 또한 추출된 면적을 근거로 차량의 크기를 판단하고(S52), 판단된 차량의 크기와 기준크기를 비교확인한다(S60, 동등비교단계). 여기서 기준크기는 버스전용차로로 주행하는 것이 허가된 노선버스의 크기를 의미한다. 포함확인 단계(S42)에서 추출된 위치데이터가 주행금지구역의 위치데이터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계속적으로 위치데이터를 추출(S40)한다. 이에 의하면, 차량이 주행금지구역으로 진입하는 시점이 달라도 주행금지구역으로 진입하는 시점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동등비교단계(S60)에서 추출된 차량의 크기가 기준크기와 동등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차량은 버스로 간주된다. 여기서 버스가 노선버스인지 또는 비노선버스인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노선번호를 촬영한다(S90, 노선번호 촬영단계). 이후 촬영된 노선번호가 확인가능한지를 판단한다(S92, 노선번호 확인단계). 노선번호가 확인가능하면 노선버스로 간주하여 차량 주행금지 단속 시스템을 종료한다. 반면에 노선번호가 확인 불가능하면 비노선버스로 간주하여 차량번호를 촬영하고(S70, 촬영단계), 촬영된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원격지에 마련된 관리센터로 송신한다(S80).
동등비교단계(S60)에서 추출된 차량의 크기가 기준크기와 동등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차량번호를 촬영하고(S70), 촬영된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원격지에 마련된 관리센터로 송신한다(S80).
도 6을 참조하면, 도로를 촬영하고(S110), 촬영된 영상에 도로의 실제 위치 데이터를 매치시켜서 기준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S120). 매치된 위치데이터의 범위를 설정하여 주행금지구역을 설정하고(S130), 갓길을 포함하는 주행금지구역으로 물체가 진입하는지를 확인한다(S132,진입확인 단계). 진입확인 단계(S132)에서 진입한 물체가 차량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주행금지구역으로 진입하는 물체를 계속 검지한다(S130). 진입확인 단계(S132)에서 진입한 물체가 차량으로 확인되는 경우, 차량의 위치데이터를 추출한다(S140,위치데이터 추출단계). 추출된 위치데이터(S140)가 주행금지구역의 위치데이터의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S142,포함확인 단계). 포함확인 단계(S142)에서 차량의 위치데이터가 갓길의 위치데이터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추출된 위치데이터가 주행금지구역의 위치데이터의 범위에서 변경되는지를 판단한다(S144, 변경판단단계). 변경판단단계(S144)에서 추출된 위치데이터가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한다(S170). 그리고 촬영된 차량번호가 갓길을 운행할 수 있는 허가차량의 차량번호와 동일한지를 확인한다(S160, 허가번호 확인단계), 여기서 차량이 갓길을 운행할 수 있는 허가차량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의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원격지에 마련된 관리센터로 송신한다(S180).
한편 포함확인 단계(S142)에서 추출된 차량의 위치데이터가 주행금지구역의 위치데이터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위치데이터 추출단계(S140)를 수행하여 계속적으로 차량의 위치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에 의하면, 차량이 주행금지구역으로 진입하는 시점이 달라도 주행금지구역으로 진입하는 시점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허가번호 확인단계(S160)에서 촬영된 차량의 번호가 허가차량의 차량번호와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차량 주행금지 단속 방법을 종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금지 단속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 영상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나타낸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금지구역이 설정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금지구역을 버스전용차로로 설정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금지구역을 갓길로 설정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금지구역을 버스전용차로를 설정하여, 버스전용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을 단속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금지구역을 갓길로 설정하여, 갓길을 주행하는 차량을 단속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저장부 20...위치데이터 추출부
30...제어부 40...촬영부
50...송신부 60...관리센터

Claims (5)

  1. 도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도로의 실제 위치 데이터 및 주행금지 구역의 실제 위치 데이터가 매치되는 기준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촬영부에 의하여 촬영되는 영상과 상기 기준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차량의 위치데이터를 추출하는 위치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위치 데이터 추출부에 의하여 추출되는 차량의 위치 데이터가 상기 주행금지 구역의 위치 데이터 범위내에서 변경되는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주행금지 구역의 위치 데이터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촬영부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금지 구역 위반차량 단속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차량이 차지하는 면적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면적으로부터 차량의 크기를 판단하고, 판단된 크기가 기설정된 기준크기보다 작은 경우,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금지 구역 위반차량 단속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크기가 기설정된 기준보다 큰 경우,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차량의 노선번호를 추출하고, 노선번호가 추출되지 않는 경우,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금지 구역 위반차량 단속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도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제1 촬영부; 및
    상기 위치 데이터가 추출된 차량의 위치로 팬틸팅 및 포커싱되어 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는 제2 촬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금지 구역 위반차량 단속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영상 데이터, 상기 추출된 차량 번호 데이터 및 촬영 시간 데이터를 포함하는 위반차량 정보데이터를 원격지의 관리센터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금지 구역 위반차량 단속 시스템.
KR1020080023374A 2008-03-13 2008-03-13 주행금지 구역 위반 차량 단속 시스템 KR100862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374A KR100862560B1 (ko) 2008-03-13 2008-03-13 주행금지 구역 위반 차량 단속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374A KR100862560B1 (ko) 2008-03-13 2008-03-13 주행금지 구역 위반 차량 단속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2560B1 true KR100862560B1 (ko) 2008-10-09

Family

ID=40153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374A KR100862560B1 (ko) 2008-03-13 2008-03-13 주행금지 구역 위반 차량 단속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256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548B1 (ko) 2016-08-19 2016-11-30 렉스젠(주) 차량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KR101694155B1 (ko) * 2016-11-11 2017-01-09 렉스젠(주) 주행 차량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KR101731175B1 (ko) 2015-09-18 2017-04-27 윤여민 차량의 추월차선 주행 여부 판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06184A (ko) * 2017-01-02 2017-09-20 이대규 교통 cctv 단속 시스템을 위한 통합 단속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9698A (ja) * 1990-10-08 1992-05-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バス専用レーン通行車両検出警告装置
KR19990079022A (ko) * 1998-02-27 1999-11-05 이종수 버스 전용차선 감시장치
KR20030050725A (ko) * 2001-12-19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 전용차선 감시방법 및 관리방법
KR20060095612A (ko) * 2005-02-28 2006-09-01 삼인데이타시스템 (주) 불법 주정차 무인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9698A (ja) * 1990-10-08 1992-05-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バス専用レーン通行車両検出警告装置
KR19990079022A (ko) * 1998-02-27 1999-11-05 이종수 버스 전용차선 감시장치
KR20030050725A (ko) * 2001-12-19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 전용차선 감시방법 및 관리방법
KR20060095612A (ko) * 2005-02-28 2006-09-01 삼인데이타시스템 (주) 불법 주정차 무인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175B1 (ko) 2015-09-18 2017-04-27 윤여민 차량의 추월차선 주행 여부 판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80548B1 (ko) 2016-08-19 2016-11-30 렉스젠(주) 차량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KR101694155B1 (ko) * 2016-11-11 2017-01-09 렉스젠(주) 주행 차량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106184A (ko) * 2017-01-02 2017-09-20 이대규 교통 cctv 단속 시스템을 위한 통합 단속 방법 및 장치
KR101951534B1 (ko) * 2017-01-02 2019-02-22 이대규 교통 cctv 단속 시스템을 위한 통합 단속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82180A1 (en) Errant vehicle countermeasures
KR101354057B1 (ko) 다중 카메라를 이용한 차선 위반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 위반 검출 방법, 다중 카메라에 의한 차선 위반 검출 장치를 이용하는 차선 위반 차량 단속시스템
KR100812397B1 (ko) 버스를 이용한 버스전용차로 위반차량의 단속방법
CN108806272B (zh) 一种提醒多辆机动车车主违法停车行为的方法及装置
CN105575127B (zh) 道路交通违章自动取证处罚系统
CN107111940B (zh) 交通违章管理系统和交通违章管理方法
KR101491020B1 (ko) 지능형 실시간 교통위반단속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62560B1 (ko) 주행금지 구역 위반 차량 단속 시스템
KR102107791B1 (ko) 어린이 보호구역의 안전속도준수 제어시스템
KR100910905B1 (ko) 자동차 위법 전조등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881185A (zh) 侧向车道检测交通指示系统
KR102159144B1 (ko) 보행신호등 주변의 위반차량 무인단속시스템
KR20120019828A (ko) 교차로 통행위반 차량 단속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차로 통행위반 차량 단속방법
KR20100036630A (ko) 버스 전용차선 위반차량 감시 시스템
KR100867336B1 (ko) 주정차단속 시스템 및 방법
KR101394201B1 (ko) 버스장착 무선cctv 촬영단속시스템
KR102526194B1 (ko) 이동차량 추적에 의한 불법 끼어들기 차량 감지시스템
KR20100000306A (ko) 스쿨존 종합 교통 관리 시스템
KR102452046B1 (ko)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85759B1 (ko) 차량 탑재형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 및 방법
KR20160037251A (ko) 이중 카메라를 이용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WO2017022268A1 (ja) 車両特定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車両特定システム
WO2013165328A1 (en) A traffic safety system
KR101694155B1 (ko) 주행 차량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JP2005301377A (ja) 車両照会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車両照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