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9814B1 - 크레인차량용 전자척시스템 - Google Patents

크레인차량용 전자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9814B1
KR100859814B1 KR1020080014365A KR20080014365A KR100859814B1 KR 100859814 B1 KR100859814 B1 KR 100859814B1 KR 1020080014365 A KR1020080014365 A KR 1020080014365A KR 20080014365 A KR20080014365 A KR 20080014365A KR 100859814 B1 KR100859814 B1 KR 100859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achable
jack
detachable jack
iron cor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기
Original Assignee
한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기 filed Critical 한승기
Priority to KR1020080014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9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 B66C1/0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electro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electrostatic or magnetic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66F9/182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by 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차량의 전자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크레인차량의 전자척시스템은, 크레인차량의 다단붐(M)의 단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코일(C)이 권회된 코어(P)가 내장된 척본체(10); 척본체(10)와 절연되게 설치되는 절연브라켓(20); 절연브라켓(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코일(C)의 일측단(C1)이 연결되는 제1착탈잭(30); 다단붐(M)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크레인차량 전원(G)의 + 단자(G1)와 제1전원케이블(W1)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2착탈잭(40); 제1착탈잭(30)과 제2착탈잭(40)에 착탈되어 그 제1착탈잭(30)과 제2착탈잭(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착탈식케이블(50); 절연브라켓(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코일(C)의 타측단(C2)이 연결되는 제5착탈잭(60); 다단붐(M)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크레인차량 전원(G)의 - 단자(G2)와 제2전원케이블(W1)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6착탈잭(70); 및 제5착탈잭(60)과 제6착탈잭(70)에 착탈되어 그 제5착탈잭(60)과 제6착탈잭(7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착탈식케이블(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크레인차량용 전자척시스템{A magnetic chuck for crane car}
본 발명은 크레인 차량에 장착되어 철제 대상물을 자력을 이용하여 부착함으로서 이동하는 크레인차량용 전자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척이란, 일반적으로 크레인차량의 다단붐의 단부에 연결되어, 주위의 철제 대상물을 자력으로 부착하여 이동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전자척은, 다단붐의 단부에 체인에 의하여 연결되는 척본체와, 척본체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코일이 권회된 코어와, 척본체에 설치되어 코일의 2선이 연결되는 단자와, 단자와 연결되어 + 및 - 전원을 인가하는 케이블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전자척이 체인에 의하여 크레인차량의 다단붐에 연결된 상태에서, 케이블의 +극은 크레인차량 전원의 + 단자와 연결되고, -극은 크레인차량 전원의 -극과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크레인차량의 전원으로부터 발생된 전류는 코일을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강한 자력이 발생되어 코어는 철제 대상물을 부착시키는 자력을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구조의 전자척이 사용되는 환경은 매우 가혹하기 때문에, 전자척이 철재 대상물을 부착 및 운반하는 과정에서 철재대상물의 접촉에 의하여 케 이블이 벗겨져 합선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많았고, 이에 따라 전자척시스템의 작동이 멈추곤 하였다.
또한 전자척의 사용이 완료된 이후에 케이블은 전자척시스템에 감겨진 상태로 보관된다. 그런데, 케이블이 감겨진 상태로 전자척을 이동하는 과정이나 전자척을 다단붐에 연결하는 과정에서 케이블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었다.
더 나아가 전자척이 보관되는 장소는 주차장에 주차된 크레인차량의 적제함이나 창고인 경우가 많은데, 케이블이 전자척과 함께 보관되므로 한 겨울에 저온에 의하여 케이블의 피복이 파손되는 경우가 많았고, 이에 따라 전자척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가혹한 환경에서 운영되는 과정에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케이블이 손상되거나 합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크레인차량용 전자척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척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을 때나 운반시, 전원을 인가하는 케이블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보관함으로써, 겨울에 저온에 의하여 케이블의 피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크레인차량용 전자척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차량용 전자척시스템은, 크레인차량의 다단붐(M)의 단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코일(C)이 권회된 코어(P)가 내장된 척본체(10); 상기 척본체(10)에 절연되게 설치되는 절연브라켓(20); 상기 절연브라켓(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코일(C)의 일측단(C1)이 연결되는 제1착탈잭(30); 상기 다단붐(M)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크레인차량 전원(G)의 + 단자(G1)와 제1전원케이블(W1)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2착탈잭(40); 상기 제1착탈잭(30)과 제2착탈잭(40)에 착탈되어 그 제1착탈잭(30)과 제2착탈잭(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착탈식케이블(50); 상기 절연브라켓(20)에 상기 제1착탈잭(30)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코일(C)의 타측단(C2)이 연결되는 제5착탈잭(60); 상기 다단붐(M)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크레인차량 전원(G)의 - 단자(G2)와 제2전원케이블(W1)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6착탈잭(70); 및 상기 제5착탈잭(60)과 제6착탈잭(70)에 착탈되어 그 제5착탈잭(60)과 제6착탈잭(7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착탈식케이블(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척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다단붐(M)의 단부에 연결되는 집게(T)에 의하여 잡혀지는 집게브라켓(15)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연브라켓(20)은 상기 척본체(10)의 상부측 소정부에 형성된 관통공(10a)의 주위에 볼트(B)에 의하여 설치되고; 상기 절연브라켓(20)에는 제1나사공(21) 및 제2나사공(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나사공(21)에는 상기 제1착탈잭(30)의 볼트부(30a)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2나사공(22)에는 상기 제2착탈잭(60)의 볼트부(60a)가 나사결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착탈식케이블(50)은, 상기 제1착탈잭(30)에 착탈되는 제3착탈잭(53)과, 상기 제2착탈잭(40)에 착탈되는 제4착탈잭(54)과, 상기 제3착탈잭(53)과 제4착탈잭(54)을 연결하는 제1케이블(55)을 포함하고; 상기 제2착탈식케이블(80)은, 상기 제5착탈잭(60)에 착탈되는 제7착탈잭(83)과, 상기 제6착탈잭(70)에 착탈되는 제8착탈잭(84)과, 상기 제7착탈잭(83)과 제8착탈잭(84)을 연결하는 제2케이블(85)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차량용 전자척시스템에 따르면, 척본체와 절연되게 설치되는 절연브라켓과, 절연브라켓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코일의 일측단(C1) 및 타측단(C2)이 각각 설치되는 제1착탈잭 및 제5착탈잭과, 다단붐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크레인차량 전원의 + 단자와 제1전원케이블(W1)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2착탈잭 및 전원(G)의 - 단자(G2)와 제2전원케이블(W1)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6착탈잭과, 제1착탈잭과 제2착탈잭에 착탈되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착탈식케이블과, 제5착탈잭과 제6착탈잭에 착탈되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착탈식케이블;을 포함함으로써, 철재 대상물을 부착 및 운반하는 과정에서 철재대상물에 의하여 케이블이 벗겨져 합선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자척시스템의 작동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착탈식케이블을 자력을 이용하여 제1착탈잭과 제2착탈잭에 용이하게 접속 또는 분리할 수 있으므로 전자척시스템의 운용이 용이하다.
그리고, 전자척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을 때나 운반시, 제1,2착탈식케이블을 분리하여 따뜻한 장소에 보관할 수 있어, 겨울에 착탈식케이블 피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한겨울에도 전자척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라는 작용,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차량용 전자척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크레인차량에 본 발명에 따른 전자척시스템이 장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척본체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척본체의 부분단면도이다. 또,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절연브라켓과 제1,2착탈잭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전자척시스템에 있어서, 전자척과 제1,2착탈식케이블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도 5의 제1,2착탈식케이블에 있어서, 제3,4착탈잭 및 제7,8착탈잭의 상세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제1,2착탈식케이블이 한 몸체를 이루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절연브라켓이 척본체의 측부가장자리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차량용 전자척시스템은, 크레인차량의 다단붐(M)의 단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코일(C)이 권회된 코어(P)가 내장된 척본체(10)와; 척본체(10)와 절연되게 설치되는 절연브라켓(20)과; 절연브라켓(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코일(C)의 일측단(C1)이 연결되는 제1착탈잭(30)과; 다단붐(M)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크레인차량 전원(G)의 + 단자(G1)와 제1전원케이블(W1)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2착탈잭(40)과; 제1착탈잭(30)과 제2착탈잭(40)에 착탈되어 그 제1착탈잭(30)과 제2착탈잭(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착탈식케이블(50)과; 절연브라켓(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코일(C)의 타측단(C2)이 연결되는 제5착탈잭(60)과; 다단붐(M)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크레인차량 전원(G)의 - 단자(G2)와 제2전원케이블(W1)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6착탈잭(70)과; 제5착탈잭(60)과 제6착탈잭(70)에 착탈되어 그 제5착탈잭(60)과 제6착탈잭(7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착탈식케이블(80);을 포함한다.
척본체(10)는, 크레인차량의 다단붐(M)의 단부에 체인에 의하여 연결되거나, 다단붐(M)에 설치되는 집게(T)에 의하여 들어올려지는 것이다. 이러한 척본체(10)는 전체적으로 납작한 원통 또는 사각통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는 다단붐(M)의 단부에 연결되는 체인이 결합되는 체인브라켓이 설치되거나, 다단붐(M)의 단부에 연결되는 집게(T)에 의하여 잡혀지는 집게브라켓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척본체(10)에 집게브라켓(15)이 형성된 것을 예로들어 설명한다.
집게브라켓(15)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T)의 단부가 끼어지는 3개 또는 그 이상의 집게홈(15a)이 형성되어 있다. 집게브라켓(15)은, 척본체(10)의 상부에 용접에 의하여 형성된다.
절연브라켓(20)은, 척본체(10)의 상부측의 집게브라켓(15)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10a)의 주위에 볼트(B)에 의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절연브라켓(20)에는 후술할 제1착탈잭(30)의 볼트부(30a)가 체결되는 제1나사공(21)과, 후술할 제5착탈잭(60)의 볼트부(60a)가 체결되는 제2나사공(22)이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1착탈식케이블(50)은, 제1착탈잭(30)에 착탈되는 제3착탈잭(53)과, 제2착탈잭(40)에 착탈되는 제4착탈잭(54)과, 제3착탈잭(53)과 제4착탈잭(54)을 연결하는 제1케이블(55)을 포함한다.
제2착탈식케이블(80)은, 제5착탈잭(60)에 착탈되는 제7착탈잭(83)과, 제6착탈잭(70)에 착탈되는 제8착탈잭(84)과, 제7착탈잭(83)과 제8착탈잭(84)을 연결하는 제2케이블(85)을 포함한다.
상기한 제1착탈잭(30)과 제3착탈잭(53)은 상호 착탈가능하고, 제2착탈잭(40)과 제4착탈잭(54)은 상호 착탈가능하다. 이러한 제1착탈잭(30)과 제3착탈잭(53), 그리고 제2착탈잭(40)과 제4착탈잭(54)은 자력에 의하여 착탈이 용이함과 동시에, 전기적인 접속이 확실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착탈잭(30)과 제3착탈잭(53) 중 어느 하나는 철심봉으로 되어 있고, 제1착탈잭(30)과 제3착탈잭(53) 중 다른 하나는 철심봉을 자력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자석소켓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착탈잭(30)은 철심봉으로 되어 있고, 제3착탈잭(53)은 자석소켓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2착탈잭(40)과 제4착탈잭(54) 중 어느 하나는 철심봉으로 되어 있고, 제2착탈잭(40)과 제4착탈잭(54) 중 다른 하나는 철심봉을 자력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자석소켓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착탈잭(40)은 철심봉으로 되어 있고, 제4착탈잭(54)은 자석소켓으로 되어 있는 것 으로 설명한다. 이때 제2착탈잭(40)은 다단붐(M)의 단부에 설치된 브라켓에 고정된다.
또한, 제5착탈잭(60)과 제7착탈잭(83)은 상호 착탈가능하고, 제6착탈잭(70)과 제8착탈잭(84)은 상호 착탈가능하다. 이러한 제5착탈잭(60)과 제7착탈잭(83), 그리고 제6착탈잭(70)과 제8착탈잭(84)은 자력에 의하여 착탈이 용이함과 동시에, 전기적인 접속이 확실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착탈잭(60)과 제7착탈잭(83) 중 어느 하나는 철심봉으로 되어 있고, 제5착탈잭(60)과 제7착탈잭(83) 중 다른 하나는 철심봉을 자력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자석소켓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착탈잭(60)은 철심봉으로 되어 있고, 제7착탈잭(83)은 자석소켓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6착탈잭(70)과 제8착탈잭(84) 중 어느 하나는 철심봉으로 되어 있고, 제6착탈잭(70)과 제8착탈잭(84) 중 다른 하나는 철심봉을 자력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자석소켓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착탈잭(70)은 철심봉으로 되어 있고, 제8착탈잭(84)이 자석소켓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때 제6착탈잭(70)은 다단붐(M)의 단부에 설치된 브라켓에 고정된다.
상기한 제1 내지 8 착탈잭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착탈잭(30)은 원통형상의 철심봉으로 되어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측에 형성된 볼트부(30a)에 의하여 절연브라켓(20)의 제1나사공(21)에 나사결합된다. 제1착탈잭(30)에 형성된 볼트부(30a)는 절연브라켓(20)에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제1착탈잭(30)과 착탈되는 제3착탈잭(5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착탈잭(30)의 플러그-인을 위한 소켓홈(53a)과, 소켓홈(53a) 내부에 설치되는 철심링(53b)과, 철심링(53b)의 바닥측에 설치되는 영구자석(53c)을 포함한다. 이때 철심링(53b)은 제1케이블(55)의 전선과 연결된다.
제2착탈잭(40)은 원통형상의 철심봉으로 되어 있으며,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붐(M)의 단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2착탈잭(40)은, 크레인차량 전원(G)의 + 단자(G1)와 제1전원케이블(W1)에 의하여 연결된다.
제2착탈잭(40)과 착탈되는 제4착탈잭(5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착탈잭(40)의 플러그-인을 위한 소켓홈(54a)과, 소켓홈(54a) 내부에 설치되는 철심링(54b)과, 철심링(54b)의 바닥측에 설치되는 영구자석(54c)을 포함한다. 이때 철심링(53b)은 제1케이블(55)의 전선과 연결된다.
제5착탈잭(60)은 원통형상의 철심봉으로 되어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측에 형성된 볼트부(60a)는 절연브라켓(20)의 제2나사공(22)에 나사결합된다. 제5착탈잭(60)에 형성된 볼트부(60a)는 절연브라켓(20)에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제5착탈잭(60)과 착탈되는 제7착탈잭(8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착탈잭(60)의 플러그-인을 위한 소켓홈(83a)과, 소켓홈(83a) 내부에 설치되는 철심 링(83b)과, 철심링(83b)의 바닥측에 설치되는 영구자석(83c)을 포함한다. 이때 철심링(83b)은 제2케이블(85)의 전선과 연결된다.
제6착탈잭(70)은 원통형상의 철심봉으로 되어 있으며,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붐(M)의 단부에 설치된다. 제6착탈잭(70)은, 크레인차량 전원(G)의 - 단자(G2)와 제2케이블(W2)에 의하여 연결된다.
제6착탈잭(70)과 착탈되는 제8착탈잭(84)은, 제6착탈잭(70)의 플러그-인을 위한 소켓홈(84a)과, 소켓홈(84a) 내부에 설치되는 철심링(84b)과, 철심링(84b)의 바닥측에 설치되는 영구자석(84c)을 포함한다. 이때 철심링(84b)은 제2케이블(85)의 전선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는, 설명을 위하여 제1착탈식케이블(50)과 제2착탈식케이블(80)을 분리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착탈식케이블(50)과 제2착탈식케이블(80)은 일체로 될 수도 있다. 즉, 제3착탈잭(53)과 제7착탈잭(83)이 한 몸체를 이루고, 제4착탈잭(54)과 제8착탈잭(84)이 한 몸체를 이루며, 제1케이블(55)과 제2케이블(85)이 한 몸체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1착탈잭(30) 및 제5착탈잭(60)에는 본원의 전자척시스템을 보관할 때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착탈잭덮개(25)가 덮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착탈잭덮개(25)는 줄에 의하여 절연브라켓(2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착탈잭(30) 및 제5착탈잭(60)은 집게브라켓(15)의 상부에 설치되는 절연브라켓(20)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착탈잭(30') 및 제5착탈잭(60')은 척본체(10)의 측부가장자리에 설 치되는 절연브라켓(20')에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착탈잭(30)을 이루는 철심봉의 직경과 제2착탈잭(40)을 이루는 철심봉의 직경을 달리하고, 제5착탈잭(60)을 이루는 철심봉의 직경과 제6착탈잭(70)을 이루는 철심봉의 직경을 달리함으로써, 제1착탈식케이블(50)과 제2착탈식케이블(80)을 이용하여 연결할 때 + 극과 - 극이 바뀌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전자척시스템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척본체(10)를 다단붐(M)의 단부에 연결한 후, 제1착탈식케이블(50)을 이용하여 제1착탈잭(30)과 제2착탈잭(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2착탈식케이블(80)을 이용하여 제5착탈잭(60)과 제6착탈잭(7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러면, 전원(G)의 +단자(G1)와 -단자(G2)는 제1,2전원케이블(W1)W2) 및 제1,2착탈케이블(50)(80)을 통하여 코일의 일측단(C1) 및 타측단(C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1,2착탈잭(30)(40)과 제1착탈식케이블(50)의 제3,4착탈잭(53)(54)은 자력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접속되고, 제5,6착탈잭(60)(70)은 제2착탈식케이블(80)의 제7,8착탈잭(83)(84)에 순간적으로 접속되므로, 착탈이 매우 용이하다. 이후, 전자척시스템을 보관하거나 이동할 때에는, 제1,2착탈식케이블(50)(80)을 잡아당겨서 제1,2착탈잭(30)(40) 및 제5,6착탈잭(60)(70)으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제1,2착탈식케이블(50)(8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T)의 상부측을 통과하여 다단붐(M)의 제2착탈잭(40) 및 제6착탈잭(60)에 착탈되므로, 전자척이 철제대상물을 부착 및 운반하는 과정에서 철제대상물에 의하여 제1,2착탈식케이블(50)(80)이 접촉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어떠한 가혹한 환경에서도 제1,2착탈식케이블이 손상되거나 합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전자척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척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을 때나 운반시, 제1,2착탈식케이블을 분리하여 따뜻한 장소에 보관할 수 있어, 겨울에 착탈식케이블 피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한겨울에도 전자척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도중 전자척시스템인 다단붐으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질 경우에, 제1,2착탈식케이블이 자연스럽게 분리됨으로써 그 착탈식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크레인차량에 본 발명에 따른 전자척시스템이 장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척본체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척본체의 부분단면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절연브라켓과 제1,2착탈잭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의 전자척시스템에 있어서, 전자척과 제1,2착탈식케이블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제1,2착탈식케이블에 있어서, 제3,4착탈잭 및 제7,8착탈잭의 상세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제1,2착탈식케이블이 한 몸체를 이루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절연브라켓이 척본체의 측부가장자리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척본체 10a ... 관통공
15 ... 집게브라켓 15a ... 집게홈
20 ... 절연브라켓 21 ... 제1나사공
22 ... 제2나사공 25 ... 착탈잭덮개
30 ... 제1착탈잭 30a ... 볼트부
40 ... 제2착탈잭 50 ... 제1착탈식케이블
53 ... 제3착탈잭 53a ... 소켓홈
53b ... 철심링 53c ... 영구자석
54 ... 제4착탈잭 54a ... 소켓홈
54b ... 철심링 54c ... 영구자석
55 ... 제1케이블 60 ... 제5착탈잭
60a ... 볼트부 70 ... 제6착탈잭
80 ... 제2착탈식케이블 83 ... 제7착탈잭
83a ... 소켓홈 83b ... 철심링
83c ... 영구자석 84 ... 제8착탈잭
84a ... 소켓홈 84b ... 철심링
84c ... 영구자석 85 ... 제2케이블
W1 ... 제1전원케이블 W2 ... 제2전원케이블
C ... 코일 C1 ... 일측단
C1a ... 접지링 C2 ... 타측단
C2a ... 접지링 B ... 볼트

Claims (8)

  1. 크레인차량의 다단붐(M)의 단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코일(C)이 권회된 코어(P)가 내장된 척본체(10);
    상기 척본체(10)에 절연되게 설치되는 절연브라켓(20);
    상기 절연브라켓(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코일(C)의 일측단(C1)이 연결되는 제1착탈잭(30);
    상기 다단붐(M)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크레인차량 전원(G)의 + 단자(G1)와 제1전원케이블(W1)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2착탈잭(40);
    상기 제1착탈잭(30)과 제2착탈잭(40)에 착탈되어 그 제1착탈잭(30)과 제2착탈잭(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착탈식케이블(50);
    상기 절연브라켓(20)에 상기 제1착탈잭(30)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코일(C)의 타측단(C2)이 연결되는 제5착탈잭(60);
    상기 다단붐(M)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크레인차량 전원(G)의 - 단자(G2)와 제2전원케이블(W1)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6착탈잭(70); 및
    상기 제5착탈잭(60)과 제6착탈잭(70)에 착탈되어 그 제5착탈잭(60)과 제6착탈잭(7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착탈식케이블(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차량의 전자척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척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다단붐(M)의 단부에 연결되는 집게(T)에 의하여 잡혀지는 집게브라켓(1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차량의 전자척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브라켓(20)은 상기 척본체(10)의 상부측 소정부에 형성된 관통공(10a)의 주위에 볼트(B)에 의하여 설치되고;
    상기 절연브라켓(20)에는 제1나사공(21) 및 제2나사공(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나사공(21)에는 상기 제1착탈잭(30)의 볼트부(30a)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2나사공(22)에는 상기 제2착탈잭(60)의 볼트부(60a)가 나사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차량의 전자척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탈식케이블(50)은, 상기 제1착탈잭(30)에 착탈되는 제3착탈잭(53)과, 상기 제2착탈잭(40)에 착탈되는 제4착탈잭(54)과, 상기 제3착탈잭(53)과 제4착탈잭(54)을 연결하는 제1케이블(55)을 포함하고;
    상기 제2착탈식케이블(80)은, 상기 제5착탈잭(60)에 착탈되는 제7착탈잭(83)과, 상기 제6착탈잭(70)에 착탈되는 제8착탈잭(84)과, 상기 제7착탈잭(83)과 제8착탈잭(84)을 연결하는 제2케이블(8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차량의 전자척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탈잭(30)과 제3착탈잭(53) 중 어느 하나는 철심봉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1착탈잭(30)과 제3착탈잭(53) 중 다른 하나는 철심봉을 자력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으로서, 상기 철심봉의 플러그-인을 위한 소켓홈(53a)과, 상기 소켓홈(53a) 내부에 설치되는 철심링(53b)과, 상기 철심링(53b)의 바닥측에 설치되는 영구자석(53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차량의 전자척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착탈잭(40)과 제4착탈잭(54) 중 어느 하나는 철심봉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2착탈잭(40)과 제4착탈잭(54) 중 다른 하나는 철심봉을 자력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으로서, 상기 철심봉의 플러그-인을 위한 소켓홈(54a)과, 상기 소켓홈(54a) 내부에 설치되는 철심링(54b)과, 상기 철심링(54b)의 바닥측에 설치되는 영구자석(54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차량의 전자척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5착탈잭(60)과 제7착탈잭(83) 중 어느 하나는 철심봉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5착탈잭(60)과 제7착탈잭(83) 중 다른 하나는 철심봉을 자력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으로서, 상기 철심봉의 플러그-인을 위한 소켓홈(83a)과, 상기 소켓홈(83a) 내부에 설치되는 철심링(83b)과, 상기 철심링(83b)의 바닥측에 설치되는 영구자석(83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차량의 전자척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6착탈잭(70)과 제8착탈잭(84) 중 어느 하나는 철심봉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6착탈잭(70)과 제8착탈잭(84) 중 다른 하나는 철심봉을 자력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으로서, 상기 철심봉의 플러그-인을 위한 소켓홈(84a)과, 상기 소켓홈(84a) 내부에 설치되는 철심링(84b)과, 상기 철심링(84b)의 바닥측에 설치되는 영구자석(84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차량의 전자척시스템.
KR1020080014365A 2008-02-18 2008-02-18 크레인차량용 전자척시스템 KR100859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365A KR100859814B1 (ko) 2008-02-18 2008-02-18 크레인차량용 전자척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365A KR100859814B1 (ko) 2008-02-18 2008-02-18 크레인차량용 전자척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9814B1 true KR100859814B1 (ko) 2008-09-23

Family

ID=40023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365A KR100859814B1 (ko) 2008-02-18 2008-02-18 크레인차량용 전자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981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448B1 (ko) * 2011-01-21 2011-07-15 해성마그네트 주식회사 스크랩 마그네트 장치
KR101075213B1 (ko) 2011-04-28 2011-10-19 해성마그네트 주식회사 스크랩 마그네트 장치
KR101194892B1 (ko) * 2012-03-28 2012-10-25 한승기 집게차량용 전자척의 전원공급장치
KR101195969B1 (ko) 2010-06-15 2012-10-30 한석민 차량 적재형 전자척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652A (ja) * 1994-07-19 1996-01-30 Komatsu Ltd 把持機能を持つ装置に着脱可能な電磁石装置を備えた作業機械およびその作業方法
JP2000264569A (ja) * 1999-03-19 2000-09-26 Nishiki Kogyo Kk 磁気的吸着装置
KR20060008668A (ko) * 2004-07-23 2006-01-27 한승기 집게차용 전자척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652A (ja) * 1994-07-19 1996-01-30 Komatsu Ltd 把持機能を持つ装置に着脱可能な電磁石装置を備えた作業機械およびその作業方法
JP2000264569A (ja) * 1999-03-19 2000-09-26 Nishiki Kogyo Kk 磁気的吸着装置
KR20060008668A (ko) * 2004-07-23 2006-01-27 한승기 집게차용 전자척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969B1 (ko) 2010-06-15 2012-10-30 한석민 차량 적재형 전자척
KR101049448B1 (ko) * 2011-01-21 2011-07-15 해성마그네트 주식회사 스크랩 마그네트 장치
KR101075213B1 (ko) 2011-04-28 2011-10-19 해성마그네트 주식회사 스크랩 마그네트 장치
KR101194892B1 (ko) * 2012-03-28 2012-10-25 한승기 집게차량용 전자척의 전원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9814B1 (ko) 크레인차량용 전자척시스템
CN105121326B (zh) 起重机
JP2013073767A (ja) 接地短絡器具及び接地短絡器具統合体
KR100859813B1 (ko) 크레인차량용 전자척시스템
KR20130063129A (ko) 집게차용 전자석
MXPA05013479A (es) Cable de carga devanado.
CN205294606U (zh) 一种电池模组吊装结构及所用吊具
CN101359817B (zh) 电缆拉线网套
CN101009422A (zh) 用于便于相邻预制电导管的连接的装置
KR101049448B1 (ko) 스크랩 마그네트 장치
CN201278442Y (zh) 电缆拉线网套
KR101075213B1 (ko) 스크랩 마그네트 장치
CN205487713U (zh) 一种用于大功率直流电源的电感
CN201584729U (zh) 耐张线夹
CN219314506U (zh) 一种架空线铁塔配件转运用的移动式吊装机构
JP4068011B2 (ja) 鉄塔建て替え工法
CN217182437U (zh) 多功能组合式成套接地线
CN214850899U (zh) 一种磁极简易自动翻转工具
CN217881944U (zh) 一种电缆连接装置
CN210914940U (zh) 一种汽车救援用吊装装置
CN215752255U (zh) 新能源汽车电池管理系统线束
CN107558942A (zh) 井下杂物清除用打捞装置
CN211789866U (zh) 一种带有usb集线器的usb连接线
CN204230646U (zh) 一种地震应急供电配电箱及其配电系统
CN208226237U (zh) 双臂延伸型可伸缩接线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