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5969B1 - 차량 적재형 전자척 - Google Patents

차량 적재형 전자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5969B1
KR101195969B1 KR1020100056556A KR20100056556A KR101195969B1 KR 101195969 B1 KR101195969 B1 KR 101195969B1 KR 1020100056556 A KR1020100056556 A KR 1020100056556A KR 20100056556 A KR20100056556 A KR 20100056556A KR 101195969 B1 KR101195969 B1 KR 101195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ple
hole
electronic chuck
vehicle
ch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6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6500A (ko
Inventor
한석민
Original Assignee
한석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석민 filed Critical 한석민
Priority to KR1020100056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969B1/ko
Publication of KR20110136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 B66C1/0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electro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66F9/182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by magnetic means

Abstract

차량 적재형 전자척이 개시된다. 그러한 차량 적재형 전자척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적재형 전자척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류가 코일에 흐르면 일정한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다수개가 돌출되며 서로 일정 간격 떨어짐으로써 그 사이에 결합홀이 형성되어 상기 그라플의 집게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돌출되며, 이웃한 프레임과 일정 거리 떨어짐으로써 그 사이에 그라플의 집게가 삽입가능한 결합홀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그라플의 집게가 결합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헤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적재형 전자척{ELECTROMAGNETIC CHUCK FOR CARGO CRANE}
본 발명은 차량 적재형 전자척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물을 자력에 의하여 부착시키는 전자척을 차량에 구비된 그라플(Grapple)에 의하여 용이하게 픽업할 수 있는 차량 적재형 전자척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자척은 코일(Coil)이 구비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자력이 발생함으로써 철물과 같은 자성체를 픽업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전자척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Case)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코일이 권회되어 외부 전류가 인가되면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자척이 철물 인접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되어 자력이 발생함으로써 철물이 부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자척을 이동시킴으로써 철물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자척은 그 자중으로 인하여 이동이 자유롭지 못하므로 차량에 장착된 그라플에 의하여 픽업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그라플은 다수개의 집게가 유압장치에 의하여 벌려지거나 오무라짐으로써, 전자척의 상부에 돌출된 픽업부를 집거나 해제시킨다.
이때, 상기 전자척의 픽업부는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며,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원판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그라플의 집게가 유압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내측 방향으로 오무라들면서 집게가 원판 테두리의 외측 하부 방향에서 내측방향으로 접근하여 테두리면에 접촉함으로써 전자척을 집을 수 있다.
상기 전자척을 이용하여 철물을 부착시키는 경우, 차량에 구비된 그라플의 유압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집게가 벌려지고, 이 집게가 픽업부를 집게되고, 차량과 전자척 사이에 케이블을 연결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한 후, 그라플을 조종하여 전자척을 이동시킴으로써 해당 장소의 철물을 픽업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그라플 장치는 전자척의 픽업부가 원판형상이므로, 다수개의 집게가 원판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오므라들어 원판의 테두리면에 접촉할 때, 집게가 테두리면을 따라 미끄러질 수도 있어서 픽업부를 확고하게 집지못함으로써 전자척이 그라플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수개의 집게가 픽업부의 원판 테두리면에 일정 위치에 정확하게 접촉하여야 전자척이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픽업될 수 있으나, 집게가 약간 이라도 원판의 어긋난 위치에 접촉하게 되면 전자척이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픽업하게 되므로 전자척이 낙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척의 구조가 개선됨으로써 그라플이 전자척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는 차량 적재형 전자척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라플이 집어서 이동 가능한 차량 적재형 전자척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적재형 전자척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류가 코일에 흐르면 일정한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다수개가 돌출되며 서로 일정 간격 떨어짐으로써 그 사이에 결합홀이 형성되어 상기 그라플의 집게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돌출되며, 이웃한 프레임과 일정 거리 떨어짐으로써 그 사이에 그라플의 집게가 삽입가능한 결합홀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그라플의 집게가 결합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차량 적재형 전자척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라플이 집어서 이동 가능한 차량 적재형 전자척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적재형 전자척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류가 코일에 흐르면 일정한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면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그라플의 집게가 외측에 접촉되어 내측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전자척이 들어올려질 수 있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의 관통홀 내부 양측부에 배치되어 전원 공급시 자력을 발생시키는 보조 전자석; 그리고 상부는 상기 그라플의 저면에 연결되고, 하부는 상기 그라플이 걸림부에 접근할 때, 상기 걸림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보조 전자석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보조 전자석의 자력에 의하여 관통홀의 내측에 걸림으로써 상기 전자척이 상승중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형 전자척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적재형 전자척은 다수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걸림부를 구비하고, 이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결합홀에 그라플의 집게를 용이하게 진입시켜서 전자척을 들어올릴 수 있음으로, 전자척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픽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수개의 프레임에 구비된 헤드부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함으로써, 그라플의 집게가 결합홀에 삽입되어 상승하는 경우, 집게가 이 헤드부의 저면에 접촉함으로써 전자척이 자연히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안정적으로 픽업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걸림돌기의 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됨으로써, 그라플의 집게가 결합홀에 진입하는 경우, 집게가 이 경사면에 접촉한 상태로 진입하게 되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라플에 안전부재를 추가로 장착함으로써, 그라플이 상승할 때, 낙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척이 차량에 그라플에 의하여 픽업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적재형 전자척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자척의 걸림부에 그라플의 집게가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자척에 그라플의 집게가 삽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척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안전부재의 삽입부가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안전부재의 삽입부가 관통홀에 걸린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적재형 전자척이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척이 차량에 그라플에 의하여 픽업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척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자척의 걸림부에 그라플의 집게가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척(1)은 차량에 장착된 그라플(2)의 집게(11)에 의하여 픽업되고, 또한 전원 케이블(C)에 의하여 차량의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그라플(2)이 전자척(1)을 픽업하여 철물 위치로 이동한 후, 전자척(1)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자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철물을 부착시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척(1)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3)와; 상기 케이스(3)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류가 코일에 흐르면 일정한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C)과; 상기 케이스(3)의 상부에 구비되는 받침부(5)와; 상기 받침부(5)의 상부에 다수개가 돌출되며 서로 일정 간격 떨어짐으로써 그 사이에 결합홀(h)이 형성되어 상기 그라플(2)의 집게(11)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부(7)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전자척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C)은 코일이 다수회 권회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전원 케이블(C)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전자석(C)에 상기 전원 케이블(C)을 통하여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전자석(C)은 자력이 발생함으로써 철물을 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5)는 케이스(3)의 상면에 구비되며, 용접 등의 방식에 의하여 케이스(3)의 상면에 일체로 연결되거나 나사 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부(5)는 상기 케이스(3)의 상부와 걸림부(7)의 하부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철물 등이 케이스(3)에 자력에 의하여 들러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케이스(3)로부터 자력이 발생되어 철물이 부착될 때, 걸림부(7)도 자화되어 자력이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일부 철물이 케이스(3) 구간을 지나 걸림부(7)에까지 도달하여 부착될 수 있다
이때, 걸림부(7)에 도달한 철물이 상기 결합홀(h)의 내측에도 부착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그라플(2)의 집게(11)가 결합홀(h)에 안정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받침부(5)는 케이스(3)의 상부로부터 적절한 높이로 돌출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받침부(5)는 전자척(1)의 사양에 따라 생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걸림부(7)는 상기 받침부(5)의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걸림돌기(8,16)를 포함한다. 이러한 다수개의 걸림돌기(8,16)는 소정 갯수, 바람직하게는 그라플(2)의 집게(11) 수와 동일한 갯수로 구성된다.
즉, 걸림돌기(8)와 걸림돌기(16)의 사이에 형성된 결합홀(h)에 그라플(2)의 집게(11)가 삽입되므로, 걸림돌기(8)의 수와 그라플(2)의 수가 동수이면 그라플(2)의 모든 집게(11)가 걸림돌기(8) 사이의 결합홀(h)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걸림돌기(8)의 수가 그라플(2)의 집게(11) 보다 많은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다수개의 걸림돌기(8,16)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이하, 하나의 걸림돌기(8)에 의하여 설명한다.
상기 걸림돌기(8)는 받침부(5)의 상면에 돌출되며, 이웃한 프레임(12)과 일정 거리(D) 떨어짐으로써 그 사이에 그라플(2)의 집게(11)가 삽입가능한 결합홀(h)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12)의 상부에 구비되어 그라플(2)의 집게(11)가 결합홀(h)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헤드부(14)를 포함한다.
이러한 걸림돌기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프레임(12)은 서로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됨으로써 그 사이에는 결합홀(h)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결합홀(h)에는 그라플(2)의 집게(11)가 외측 방향으로부터 내측으로 접근함으로써, 집게(11)의 선단(9)이 결합홀(h)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홀(h)의 간격(D)은 집게(11)의 폭(W)보다 큰 길이를 갖음으로써 집게(11)가 이 결합홀(h)에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14)는 프레임(12)의 상부에 형성되며 역삼각형상을 갖는다.즉, 상기 헤드부(14)는 프레임(12)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양측 상향으로 경사면(13)이 형성됨으로써 역삼각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헤드부(14)는 동일 높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그라플(2)의 집게(11)가 이 결합홀(h)에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그라플(2)이 상승하게 되면, 상기 집게(11)의 선단(9)이 이 헤드부(14)의 경사면(13)과 이웃한 경사면(15)에 걸릴 수 있다.
그리고, 그라플(2)이 추가적으로 상승함으로써, 상기 그라플(2)은 전자척(1)을 상향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드부(14)는 동일 높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그라플(2)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집게(11)가 이 헤드부(14)를 동일 높이에서 끌어올림으로써 전자척(1)이 수평상태에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14)와 헤드부(14a)의 사이 간격(D1)은 그라플(2)의 집게(11)의 폭(W)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결합홀(h)의 간격(D)과, 헤드부(14) 사이의 간격(D1)과, 집게(11)의 폭(W)의 관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즉, D1〈 W〈D (D:결합홀 간격, D1:헤드부 간격, W: 집게 폭)
또한, 상기 헤드부(14)의 경사면(13,15)은 수평선(L1)에 대하여 상향으로 0도 내지 170도 범위 이내의 각도(θ)를 갖는다. 즉, 경사면(13,15)이 0도 각도(θ)를 유지하는 경우는 경사면(13,15)이 수평선(L1)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고, 경사면(13,15)이 170도 각도(θ)인 경우는 경사면(13,15)이 수직면에 가깝게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헤드부(14)의 형상을 역삼각형상에 의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라플(2)의 집게(11)가 걸릴 수 있는 형상이면 모두 포함한다. 즉, 상기 헤드부(14)의 형상은 사각형상 혹은 삼각형상, 원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12)의 측면(S)이 내측방향으로 경사면(13,15)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프레임(12)의 양측면(S)은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이웃한 프레임(12) 방향으로 경사지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그라플(2)의 집게(11)가 결합홀(h)에 진입할 때, 이 경사면(13,15)에 접촉됨으로써 집게(11)가 결합홀(h)에 보다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적재용 전자척의 작동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적재용 전자척(1)을 이용하여 철물을 픽업하는 경우, 먼저 차량에 설치된 그라플(2)을 전자척(1)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라플(2)이 전자척(1)의 상부 픽업위치에 도달하면, 그라플(2)의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그라플(2)의 집게(11)들을 벌리게 되고, 이 상태에서 하강한다.
일정 높이로 하강하여 집게(11)들이 결합홀(h) 위치에 도달하면 그라플(2)의 하강을 멈춘다.
그리고, 그라플(2)의 유압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집게(11)들이 내측방향으로 오므라들게 한다.
이와 같이, 다수의 집게(11)들이 내측 방향으로 오므라들면, 집게(11)들의 선단(9)이 프레임(12) 사이에 형성된 결합홀(h)로 진입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집게(11)들의 선단(9)이 프레임(12)의 측면(S)에 접촉함으로써 용이하게 결합홀(h)의 내측으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그라플(2)의 집게(11)들이 결합홀(h)의 내측에 완전히 진입하면, 상기 그라플(2)이 상승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 그라플(2)이 상승하면 상기 집게(11)의 선단(9)이 헤드부(14)의 저면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그라플(2)이 상승하면, 상기 집게(11)가 걸림부(7)를 집고 있는 상태이므로 전자척(1)이 들어 올려진다. 이때, 상기 전자척(1)에는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자력이 발생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철물이 전자척(1)에 부착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전자척(1)을 작업장 바닥에 내려 놓는 경우에는 상기와 역순으로 진행된다.
즉, 상기 그라플(2)이 하강하여 전자척(1)이 바닥에 안착되면, 상기 그라플(2)의 집게(11) 선단(9)부가 전자척(1)의 헤드부(14) 저면에 접촉된 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그라플(2)의 하강에 의하여 상기 집게(11)가 일정 거리 하강하게 되며, 그라플(2)의 유압장치가 작동함으로써 집게(11)가 외측방향으로 벌어진다.
따라서, 상기 집게(11)가 결합홀(h)로부터 이탈됨으로써 그라플(2)과 전자척(1)은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차량에 탑재된 그라플(2)은 전자척(1)을 픽업하거나 내려놓을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는 전자척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 실시예에 비교하여 걸림부(28)의 형상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고, 안전부재(23)가 더 장착된 차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안전부재를 추가로 더 포함함으로써 전자척이 상승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낙하를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전자척(22)은 전 실시예와 동일하게 내부에 전자석이 구비된 케이스(2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척(22)은 상기 케이스(21)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면에 관통홀(38)이 형성되고, 상기 그라플(20)의 집게(25)가 외측에 접촉되어 내측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전자척(22)이 들어올려질 수 있는 걸림부(28)와; 상기 걸림부(28)의 관통홀(38) 내부 양측부에 배치되어 전원 공급시 자력을 발생시키는 보조 전자석(36)과; 그리고 상부는 상기 그라플(20)의 저면에 연결되고, 하부는 상기 그라플(20)이 걸림부(28)에 접근할 때, 상기 걸림부(28)에 형성된 관통홀(38)에 삽입되어 상기 보조 전자석(36)의 자력에 의하여 관통홀(38)의 내측에 걸림으로써 상기 전자척(22)이 상승중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부재(23)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걸림부(28)는 케이스(21)의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원통형상의 프레임(37)이 돌출되고, 이 원통형상의 프레임(37)의 상부에는 커버(3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34)에는 관통홀(38)이 형성되어 걸림부(28)의 내부와 연통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28)의 내부에는 원통형상의 보조 전자석(36)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안전부재(23)의 하부가 관통홀(38)을 통과하여 보조 전자석(36)의 내측으로 진입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전자석(36)은 전선(32)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되며, 이 전선(32)은 케이스(21) 내부에 구비된 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안전부재(23)는 안전바(24)와, 상기 안전바(24)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그라플(20)의 저면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고리(26)와, 상기 안전바(24)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부(28)에 형성된 관통홀(38)에 삽입되는 삽입부(30)와, 상기 삽입부(30)의 측부에 구비되어 내외측 방향으로 유동함으로써 상기 관통홀(38)에 걸리거나 해제될 수 있는 걸림핀(42)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안전부재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24)는 상기 고리(26)를 통하여 그라플(20)의 저면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안전바(24)가 고리(26)를 통하여 그라플(20)의 저면에 연결되는 방식은 여러 가지 방식이 가능하지만, 일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고리(26)는 그라플(20)의 저면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안전바(24)의 상부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리(26)에 삽입되는 방식이다.
따라서, 상기 안전바(24)는 이 고리(26)에 의하여 좌우 전후로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안전바(24)가 유동가능하게 그라플(2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그라플(20)이 걸림부(28)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안전바(24)가 관통홀(38)에 원활히 삽입되지 못하여도 안전바(24)의 하부가 걸림부(28)의 상면에 미끄럼 접촉을 함으로써 안전바(24)가 그라플(20)과 걸림부(28)의 사이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30)는 하부 직경이 상부 직경보다 작은 쐐기형상의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외부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취부홀(40)과, 상기 다수개의 취부홀(40)의 내측에 구비되는 자석(44)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삽입부에 있어서, 상기 몸체(31)의 상부 직경은 관통홀(38)의 내경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몸체(31)가 관통홀(38)을 통하여 용이하게 보조 전자석(36)의 내측으로 진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31)가 쐐기 형상을 갖음으로써 상기 관통홀(38)의 내부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몸체(31)가 원통형상을 갖는 것도 무방하며, 상기 관통홀(38)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이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취부홀(40)은 상기 몸체(31)의 측면으로부터 몸체(31)의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취부홀(40)의 내직경은 상기 걸림핀(42)의 외직경부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핀(42)이 취부홀(40)에 측방향을 따라 삽입되거나 이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취부홀(40)은 원형단면일 수도 있고, 사각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며, 상기 취부홀(40)에 삽입되는 걸림핀(42)도 취부홀(40)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다수개의 취부홀(40)의 내측에는 자석(44)이 구비되어 자력을 발생시킴으로써 걸림핀(42)을 끌어당겨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석(44)은 바람직하게는 영구자석을 의미하며, 몰론, 전자석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38)의 내측 벽면에는 상기한 보조 전자석(36)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전자석(36)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보조 전자석(36)의 자력이 취부홀(40)의 내부에 구비된 자석(44)의 자력보다 큰 세기의 자력이 작용함으로써 취부홀(40)에 삽입되어 고정된 걸림핀(42)이 보조 전자석(36)의 자력에 의하여 이끌려서 취부홀(40)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안전부재(23)의 몸체(31)가 걸림부(28)의 관통홀(38)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다수개의 걸림핀(42)이 취부홀(40)의 자석(44)에 의하여 당겨짐으로써 취부홀(40)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몸체(31)가 관통홀(38)을 용이하게 통과하여 내측으로 진입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31)가 관통홀(38)의 내측에 진입한 후에는 상기 보조 전자석(36)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취부홀(40)에 삽입된 걸림핀(42)이 외측방향으로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그라플(20)이 전자척(22)을 들어올리는 경우, 상기 걸림핀(42)이 관통홀(38)의 턱부(46)에 걸림으로써 전자척(22)이 상승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1: 전자척 2: 그라플
3: 케이스 5: 받침대
7: 걸림부 8: 걸림돌기
11: 집게 12: 프레임
13,15: 경사면 14,14a: 헤드부
C: 전원 케이블 S:측면
h: 결합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그라플의 집게로 집어서 이동 가능한 차량 적재형 전자척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적재형 전자척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전류가 코일에 흐르면 일정한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면에 관통홀(38)이 형성되고, 상기 그라플의 집게가 외측에 접촉되어 내측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전자척이 들어올려질 수 있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의 관통홀 내부 양측부에 배치되어 전원 공급시 자력을 발생시키는 보조 전자석(36); 그리고
    상기 보조 전자석(36)으로 진입가능토록 상기 그라플의 저면에 연결되고, 하부는 상기 그라플이 걸림부에 접근할 때, 상기 걸림부에 형성된 관통홀(38)을 통과하여 상기 보조 전자석(36)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보조 전자석(36)의 자력에 의하여 관통홀(38)의 내측에 걸림으로써 상기 전자척이 상승중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부재(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형 전자척.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재(23)는,
    상기 그라플의 저면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고리(26)와,
    상기 고리(26) 하부에 연결되는 안전바(24)와,
    상기 안전바(24)의 하부에 구비되고 측부에 취부홀(40)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홀(38)에 삽입되는 삽입부(30)와,
    상기 삽입부(30)의 취부홀(40) 내측에 설치하는 자석(44)과,
    상기 자석(44)과 대향되게 상기 삽입부(30)의 취부홀(40) 내측에 구비되어 내외측 방향으로 유동함으로써 상기 관통홀에 걸리거나 해제되는 걸림핀(42)을 포함하여,
    상기 걸림핀(42)은 상기 자석(44)에 의하여, 상기 취부홀의 내측으로 당겨지고, 이 상태에서 상기 보조 전자석에 자력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취부홀의 외측으로 인출됨으로써 상기 관통홀의 내측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형 전자척.



KR1020100056556A 2010-06-15 2010-06-15 차량 적재형 전자척 KR101195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556A KR101195969B1 (ko) 2010-06-15 2010-06-15 차량 적재형 전자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556A KR101195969B1 (ko) 2010-06-15 2010-06-15 차량 적재형 전자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500A KR20110136500A (ko) 2011-12-21
KR101195969B1 true KR101195969B1 (ko) 2012-10-30

Family

ID=45503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6556A KR101195969B1 (ko) 2010-06-15 2010-06-15 차량 적재형 전자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9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731B1 (ko) * 2023-02-20 2023-08-04 한아름특장(주) 마그네트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603B1 (ko) 2007-07-18 2007-11-13 (주)미르 알엔티 장탈착이 용이한 전자척을 갖는 집게차
KR100859814B1 (ko) 2008-02-18 2008-09-23 한승기 크레인차량용 전자척시스템
KR100859813B1 (ko) * 2008-02-18 2008-09-23 한승기 크레인차량용 전자척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603B1 (ko) 2007-07-18 2007-11-13 (주)미르 알엔티 장탈착이 용이한 전자척을 갖는 집게차
KR100859814B1 (ko) 2008-02-18 2008-09-23 한승기 크레인차량용 전자척시스템
KR100859813B1 (ko) * 2008-02-18 2008-09-23 한승기 크레인차량용 전자척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500A (ko) 201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43078B1 (en) Locking device, fixed base and electric vehicle
KR101195969B1 (ko) 차량 적재형 전자척
KR20100133705A (ko)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US2023005913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a Load Handling Device
CN212249407U (zh) 立体车库及移车装置
US5630634A (en) Device for magnetically engaging objects having variable surface contours
JP3212406U (ja) がいし取替工具
CN213906110U (zh) 一种高强度消弧滑车
KR102553326B1 (ko) 낙뢰회피 기능 탑재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KR102557488B1 (ko) 변압기로의 전선 연결이 쉬운 편의성 향상 가공배전설비
JP5075266B1 (ja) 引戸ガイド装置
CN214527806U (zh) 爬升架及其安装结构以及顶升装置
CN212609001U (zh) 拱形轧机牌坊吊具
CN217264198U (zh) 一种吊装箱式变电站的吊装工具及其配合的箱式变电站
JPH0753216Y2 (ja) 照明器具等の昇降装置
JPH03428Y2 (ko)
JPS6334298Y2 (ko)
CN115009967A (zh) 一种电永磁吊具
KR20140005460A (ko) 열관류 시편 카트리지 이송장치
JP2020082089A (ja) 自動車の板金修復具
KR200186854Y1 (ko) 클로버 리프 소켓용 블럭형 리프팅 후크
KR20110133162A (ko) 자동걸림형 맨홀뚜껑 및 그 조립체
JP3245490B2 (ja) 吊戸のガイド装置
EP2056417B1 (en) Elongated gutter with terminal holder
KR100939523B1 (ko) 전자척의 전원연결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