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3162A - 자동걸림형 맨홀뚜껑 및 그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걸림형 맨홀뚜껑 및 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3162A
KR20110133162A KR1020100052739A KR20100052739A KR20110133162A KR 20110133162 A KR20110133162 A KR 20110133162A KR 1020100052739 A KR1020100052739 A KR 1020100052739A KR 20100052739 A KR20100052739 A KR 20100052739A KR 20110133162 A KR20110133162 A KR 20110133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cover
locking
handle
manhole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2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제
김상기
Original Assignee
니스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스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니스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2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3162A/ko
Publication of KR20110133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1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27Loc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02D2200/146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5Gully gratings with elastic lock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맨홀지지틀(110)의 걸림홈(113)에 맨홀뚜껑(120)의 걸림돌기(122)와 걸림판(126)을 끼워 걸림기능을 행하되, 스프링(127)이 손잡이(123)와의 연동작용에 의해 걸림판(126)을 맨홀뚜껑(120)의 테두리면(121)에 돌출시켜 걸림기능을 하거나 슬롯(125)내에 내장시켜 맨홀뚜껑(120)을 분리 가능하도록 한다. 이 발명은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해 걸림기능을 수행함과 더불어 손잡이가 항상 스프링의 탄성력을 제공받기 때문에, 대형 차량의 운행시에 맨홀뚜껑이 이탈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덜커덩거리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맨홀뚜껑을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개폐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걸림형 맨홀뚜껑 및 그 조립체{Manhole Covers Having Automatic Hanging Function and Assembly Thereof}
이 발명은 도로상에 지중 배선을 위한 전기·통신용이나 상하수도용으로 설치되는 맨홀뚜껑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 차량의 운행시에 덜커덩거리지 않으면서 필요에 따라 맨홀뚜껑의 개폐가 편리한 자동걸림형 맨홀뚜껑 및 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맨홀은 지하에 매설된 전기·통신 케이블이나 상하수도의 보수공사를 목적으로 대부분 도로 및 인도에 설치된다. 이런 맨홀은 맨홀뚜껑 조립체에 의해 지상과 연결된다. 맨홀뚜껑 조립체는 맨홀뚜껑과 이를 지지하는 맨홀지지틀로 구성된다. 여기서, 맨홀지지틀은 그 상단이 도로면과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고, 맨홀뚜껑은 맨홀지지틀에 삽입됨으로써 맨홀을 덮게 된다.
맨홀뚜껑 및 맨홀지지틀은 주로 중량이 무거운 주물로 제작된다. 이렇게 제작된 맨홀뚜껑은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맨홀지지틀에 고정되지 않고, 단지 맨홀지지틀에 삽입되어 얹혀진 상태로 사용된다. 따라서, 차량들이 맨홀뚜껑 위를 주행할 때마다 덜거덕 덜거덕 하는 소음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대형 차량이 맨홀뚜껑 위를 고속으로 주행할 경우에는 그 때 형성되는 강한 부압력에 의해 맨홀뚜껑이 맨홀지지틀에서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73327호에 공개된 "잠금기능을 구비한 맨홀뚜껑 및 그 조립체"등이 있다. 이 기술은 맨홀뚜껑에 형성된 손잡이와의 연동작용에 의해 잠금쇠가 맨홀지지틀에 잠기거나 잠금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 기술은 손잡이를 상부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경사지게 젖힘으로써 잠금쇠의 잠금상태가 해제되고, 맨홀뚜껑을 맨홀지지틀에 퉁하고 놓음에 따라 경사진 상태의 손잡이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잠금쇠가 맨홀지지틀에 잠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맨홀뚜껑을 맨홀지지틀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공구 등을 이용하여 홈에 끼워져 있는 손잡이를 상부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경사지게 젖혀 잠금쇠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맨홀뚜껑을 들어 올려야 한다. 그런데, 이 기술의 특징을 알지 못하는 작업자의 경우에는 공구 등을 이용하여 손잡이를 상부방향으로 계속 힘을 가해 맨홀뚜껑을 들어 올리려하기 때문에, 잠금쇠 및 손잡이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잠금쇠, 손잡이를 비롯한 맨홀뚜껑 및 맨홀지지틀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맨홀뚜껑을 맨홀지지틀에서 분리하여 바닥에 놓을 경우, 상부로 노출되어 있던 손잡이가 자중에 의해 맨홀뚜껑의 홈으로 들어가 상부로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손잡이를 다시 상부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맨홀뚜껑을 맨홀지지틀의 상부면에 덮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대형 차량의 운행시에 맨홀뚜껑이 이탈하지 않고 덜커덩거리지 않으면서 필요에 따라 맨홀뚜껑의 개폐가 가능한 자동걸림 구조를 통해 보다 편리하면서도 안전한 개폐가 가능한 자동걸림형 맨홀뚜껑 및 그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발명은 1쌍의 수직한 상하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손잡이가 일측에 형성되고 맨홀뚜껑 지지부에 착탈가능하게 덮여져 설치되는 맨홀뚜껑에 있어서, 맨홀뚜껑의 테두리면 일측에 형성되는 1개 이상의 걸림돌기와; 걸림돌기와 다른 위치에 형성되며 맨홀뚜껑의 테두리면에서 그 내측방향으로 손잡이 설치부위까지 형성되는 슬롯과; 슬롯에 삽입되어 손잡이의 작동에 따라 맨홀뚜껑의 테두리면에 돌출되거나 슬롯내에 내장되도록 수평이동 가능한 걸림판; 및 손잡이와의 연동작용에 의해 걸림판을 슬롯을 따라 수평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일측은 걸림판에 고정되고, 타측은 맨홀뚜껑의 하부쪽에 고정되는 회전축에 다수회 감기고 단부가 맨홀뚜껑의 일측에 밀착되어 걸림판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스프링은 타측에서 일측을 향해 곡선 형태를 갖되, 곡선 부분의 외측이 손잡이의 하부쪽에 밀착하도록 설치되어, 손잡이의 상하이동에 따라 스프링의 곡선 부분이 탄성변형되면서 걸림판을 슬롯을 따라 수평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스프링을 일정 간격을 두고 2개 설치할 수 있고, 2개의 스프링을 그 일측이 서로 연결되는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발명은 내측을 따라 맨홀뚜껑 지지부가 형성된 통상의 맨홀지지틀과, 1쌍의 수직한 상하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손잡이가 일측에 형성되고 맨홀뚜껑 지지부에 착탈가능하게 덮여져 설치되는 맨홀뚜껑 및, 맨홀뚜껑이 맨홀지지틀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맨홀지지틀에 자동으로 걸쳐져 맞물리거나 맞물림 상태의 해제가 가능한 자동걸림장치를 포함하는 맨홀뚜껑 조립체에 있어서, 자동걸림장치는, 맨홀뚜껑 지지부의 측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걸림홈과; 걸림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맨홀뚜껑의 테두리면 일측에 형성되는 1개 이상의 걸림돌기와; 걸림돌기와 다른 위치에 형성되며 맨홀뚜껑의 테두리면에서 그 내측방향으로 손잡이 설치부위까지 형성되는 슬롯과; 슬롯에 삽입되어 손잡이의 작동에 따라 맨홀뚜껑의 테두리면에 돌출되거나 슬롯내에 내장되도록 수평이동 가능한 걸림판; 및 손잡이와의 연동작용에 의해 걸림판을 슬롯을 따라 수평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일측은 걸림판에 고정되고, 타측은 맨홀뚜껑의 하부쪽에 고정되는 회전축에 다수회 감기고 단부가 맨홀뚜껑의 일측에 밀착되어 걸림판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스프링은 타측에서 일측을 향해 곡선 형태를 갖되, 곡선 부분의 외측이 손잡이의 하부쪽에 밀착하도록 설치되어, 손잡이의 상하이동에 따라 스프링의 곡선 부분이 탄성변형되면서 걸림판을 슬롯을 따라 수평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의 걸림판 중에서 걸림홈에 끼워지는 일측면에는 상하로 수직한 수직면과, 수직면에 연장하여 라운드진 라운드면이 형성되며, 수직면은 걸림홈에 끼워져 맨홀뚜껑이 맨홀지지틀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라운드면은 맨홀지지틀과 맨홀뚜껑 사이의 틈새에 위치하여 얇은 판으로 밀어 걸림판을 강제적으로 수평이동 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발명은 맨홀지지틀의 걸림홈에 맨홀뚜껑의 걸림돌기와 걸림판을 끼워 걸림기능을 행하되, 손잡이가 항상 스프링의 탄성력을 제공받기 때문에, 대형 차량의 운행시에 맨홀뚜껑이 이탈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덜커덩거리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맨홀뚜껑을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은 맨홀뚜껑을 맨홀지지틀에서 분리함에 있어서, 손잡이를 상부방향으로 들어 올리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 걸림상태가 해제되므로 누구나 손쉽게 맨홀뚜껑을 맨홀지지틀에서 분리할 수 있고, 그로 인해 걸림판, 손잡이를 비롯한 맨홀뚜껑 및 맨홀지지틀의 파손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손잡이가 들어 올려진 상태 그대로 위치함에 따라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이 발명은 걸림판의 라운드면이 맨홀지지틀과 맨홀뚜껑 사이에 위치함에 따라 걸림장치의 고장시에는 얇은 판으로 라운드면을 밀어 걸림판을 이동시켜 걸림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제약이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맨홀뚜껑의 상세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A-A 단면도, (c)는 A1-A1 단면도이고,
도 2는 이 발명에 따른 맨홀지지틀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걸림장치를 구성하는 걸림판의 상세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이고,
도 4는 이 발명의 걸림장치를 구성하는 스프링의 상세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이고,
도 5는 이 발명의 걸림장치를 맨홀뚜껑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1의 맨홀뚜껑을 도 2의 맨홀지지틀에 결합한 맨홀뚜껑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맨홀뚜껑 조립체에서 손잡이를 맨홀뚜껑의 하부쪽으로 밀어 넣은 상태에서의 자동걸림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6의 맨홀뚜껑 조립체에서 손잡이를 맨홀뚜껑의 상부쪽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의 자동걸림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9는 이 발명의 또다른 자동걸림장치를 구성하는 걸림판의 상세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이고,
도 10은 이 발명의 또다른 자동걸림장치를 구성하는 스프링의 상세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6의 맨홀뚜껑 조립체에서 손잡이를 맨홀뚜껑의 하부쪽으로 밀어 넣은 상태에서의 또다른 자동걸림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12는 도 6의 맨홀뚜껑 조립체에서 손잡이를 맨홀뚜껑의 상부쪽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의 또다른 자동걸림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아래에서, 이 발명에 따른 자동걸림형 맨홀뚜껑 및 그 조립체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맨홀뚜껑 조립체(100)는 맨홀지지틀(110)과, 맨홀지지틀(110)의 상단부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덮여져 설치되는 맨홀뚜껑(120), 및 맨홀뚜껑(120)이 맨홀지지틀(11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맨홀지지틀(110)에 자동으로 걸쳐져 맞물리거나 맞물림 상태의 해제가 가능한 자동걸림장치로 구성된다.
맨홀지지틀(110)에는 통상적인 맨홀지지틀과 같이 내측으로부터 맨홀 속뚜껑 지지부(111) 및 맨홀뚜껑 지지부(112)가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지지부(111, 112)는 맨홀지지틀(110)의 내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맨홀 속뚜껑 지지부(111)는 제일 내부에 덮여지는 맨홀 속뚜껑을 지지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맨홀뚜껑 지지부(112)는 외부에 덮여지는 맨홀뚜껑(120)을 지지하는데 사용된다.
이 실시예의 맨홀지지틀(110)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 외에 맨홀뚜껑(120)이 맨홀지지틀(11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자동걸림장치의 일부분이 맨홀지지틀(110)에 걸쳐져 맞물리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걸림홈(1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홈(113)은 맨홀지지틀(110)의 내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걸림홈(113)은 외부 맨홀뚜껑 지지부(112)와 동일면상에 위치하되 맨홀지지틀(110)의 외측방향으로 더 파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맨홀뚜껑(120)은 통상적인 맨홀뚜껑과 같이 대형 트럭의 반복 하중에 의해서도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갖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맨홀뚜껑(120)의 테두리면(121)에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걸림돌기(122)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122)는 맨홀지지틀(110)의 걸림홈(113)에 끼워져 맨홀뚜껑(120)의 이탈을 예방하는 것으로서, 걸림홈(113)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즉, 걸림돌기(122)는 맨홀뚜껑(120)의 테두리면(121)에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어, 걸림홈(113)의 어느 위치라도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실시예는 이러한 걸림돌기(122) 및 걸림홈(113)이 일부 자동걸림장치의 기능을 한다.
또한, 맨홀뚜껑(120)에는 도 3 내지 도 5,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일부 자동걸림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다른 일부 자동걸림장치는 맨홀뚜껑(120)을 개폐하는데 사용되는 손잡이(123)를 이용하여 걸림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맨홀뚜껑(120)에는 손잡이(123)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상하 관통구멍(124)이 맨홀뚜껑(120)의 테두리면(121) 주위에 형성된다.
손잡이(123)가 설치되는 맨홀뚜껑(120)에는 그 테두리면(121)에서 내측방향으로 일정 크기 및 깊이를 갖는 슬롯(125)이 형성되어 있다. 슬롯(125)은 걸림돌기(122)에 대향하거나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적어도 손잡이(123) 설치부위까지 형성된다. 또한, 슬롯(125)은 걸림기능을 하는 걸림판(126)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롯(125)은 상하 관통구멍(124)과 상하로 연통되어 있다.
손잡이(123)는 상하 관통구멍(124)의 폭에 맞도록 형성되어 상하 관통구멍(124)에 삽입되는 상부 손잡이(123a)와, 상부 손잡이(123a)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하부 손잡이(123b)로 구성된다. 이때, 손잡이(123)는 상하 관통구멍(124)을 따라 원활하게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하 관통구멍(124)은 손잡이 삽입홈(129)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즉, 손잡이(123)는 상하 관통구멍(124)을 따라 하부로 이동함과 아울러, 손잡이 삽입홈(129)에 안착되어 맨홀뚜껑(120)의 표면에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안착된다. 그리고, 손잡이 삽입홈(129)의 중간 둘레에는 손잡이(123)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둘레홈(도시안됨)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판(126)은 슬롯(125)에 수평이동할 수 있는 두께 및 크기를 갖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는 손잡이(123)와 연동하여 걸림판(126)을 슬롯(125)을 따라 수평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27)의 일측을 고정하는 고정부(126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부(126a)는 걸림판(126)의 내부 일부분에 형성된 구멍에 의해 형성된다. 한편, 걸림판(126) 중에서 걸림홈(113)에 끼워지는 일측면에는 상하로 수직한 수직면(126b)과, 수직면(126b)에서 안쪽방향으로 라운드진 라운드면(126c)이 형성된다. 여기서, 수직면(126b)은 걸림홈(113)에 끼워져 맨홀뚜껑(120)이 맨홀지지틀(11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라운드면(126c)은 걸림판(126)이 걸림홈(113)에 끼워진 상태에서 손잡이(123)와의 연동작동에 의해서도 수평이동하지 않을 때에, 맨홀지지틀(110)과 맨홀뚜껑(120) 사이로 보이는 라운드면(126c)을 얇은 판 등으로 밀어 걸림판(126)을 강제적으로 수평이동 시키는데 사용된다.
스프링(127)은 손잡이(123)와의 연동작용에 의해 걸림판(126)을 슬롯(125)을 따라 수평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일측은 걸림판(126)의 고정부(126a)에 고정되고, 타측은 맨홀뚜껑(120)의 하부쪽에 고정되는 회전축(128)에 다수회 감기고 단부가 맨홀뚜껑(120)의 일측에 밀착되어 걸림판(126)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설치된다. 즉, 스프링(127)의 타측은 집게형 스프링과 같은 기능을 한다.
한편, 스프링(127)은 타측에서 일측을 향해 곡선 형태를 갖되, 이 곡선 부분의 외측이 하부 손잡이(123b)에 밀착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손잡이(123)는 손잡이(123)가 어떤 위치에 위치하더라도 스프링(127)의 탄성력을 항상 제공받게 된다. 그로 인해, 손잡이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스프링(127)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들어 올려진 상태 그대로 있게 된다. 또한, 스프링(127)은 손잡이(123)의 상하이동에 따라 스프링(127)의 곡선 부분이 탄성변형되면서 걸림판(126)을 슬롯(125)을 따라 수평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은 스프링(127)을 이용해 걸림판(126)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스프링(127)의 일측과 타측간에 어느 정도의 거리가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맨홀뚜껑(120)의 하부면에 아래쪽으로 어느 정도 도출되는 도출부를 형성하고, 그 곳에 회전축(128)을 형성하여 스프링(127)의 타측을 감은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도출부 없이 별도의 회전축을 맨홀뚜껑(120)의 하부면에서 일정 거리에 위치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의 스프링(127)은 1개를 이용하여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도 4 및 도 5와 같이 서로 분리된 스프링 2개를 이용하여 탄성력을 부여하거나, 도 10과 같이 도 4와 동일 형태를 갖되 일측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는 스프링 1개를 이용하여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자동걸림장치는 다음과 같이 결합 배치함으로써 걸림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형태를 갖는 맨홀뚜껑(120)을 주물 제작한다. 이렇게 제작된 맨홀뚜껑(120)의 슬롯(125)에 걸림판(127)을 삽입한다. 그런 다음, 손잡이(123)의 일부분인 상부 손잡이(123a)를 상하 관통구멍(124)에 삽입해 맨홀뚜껑(120)의 하부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부 손잡이(123a)의 양 단부를 하부 손잡이(123b)로 용접 접합한다. 그런 다음, 스프링(127)의 타측을 회전축(128)에 끼우고, 스프링(127)의 곡선 부분의 외측을 하부 손잡이(123b)에 밀착시킨 상태로 스프링(127)의 일측을 걸림판(126)의 고정부(126a)에 고정한다. 이로써, 이 실시예와 같이 손잡이(123)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자동걸림장치가 완성된다.
여기서, 걸림판(126)은 손잡이(123)가 도 7 및 도 11과 같이 손잡이 삽입홈(129)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그 일부분이 맨홀뚜껑(120)의 테두리면(121)에서 돌출되어 걸림기능을 한다. 즉, 걸림판(126)의 테두리부분이 맨홀지지틀(110)의 걸림홈(113)에 끼워져 걸림기능을 한다. 그러나, 손잡이(123)가 도 8 및 도 12와 같이 상부로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는 걸림판(126)이 맨홀뚜껑(120)의 테두리면(121)에서 돌출되지 않고 슬롯(125)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걸림판(126)을 슬롯(125)에 삽입 설치하되, 손잡이(123)가 손잡이 삽입홈(129)에 안착될 때에는 걸림홈(113)에 대응하는 걸림판(126)의 일부분이 맨홀뚜껑(120)의 테두리면(121)에 돌출되고, 손잡이(123)가 상부로 들어 올려진 때에는 걸림판(126)이 맨홀뚜껑(120)의 테두리면(121)에 전혀 돌출되지 않도록, 걸림판(126)을 슬롯(125)에 배치하여야 한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자동걸림형 맨홀뚜껑 및 그 조립체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맨홀뚜껑 조립체(100)는 맨홀뚜껑(120)을 맨홀지지틀(110)의 상부면에 덮어씌움으로써 완성된다. 즉, 맨홀뚜껑(120)을 경사지게 한 상태로 하여 맨홀뚜껑(120)의 걸림돌기(122)를 맨홀지지틀(110)의 걸림홈(113)에 삽입한다. 그러면, 맨홀뚜껑(120)의 걸림돌기(122)가 맨홀지지틀(110)의 걸림홈(113)에 삽입되고, 걸림돌기(122)에 대향하거나 다른 위치에 형성된 손잡이(123) 부분은 들려있게 된다. 이때, 손잡이(123)는 도 8 및 도 12와 같이 상부로 들어 올려져 있으므로, 걸림판(126)은 맨홀뚜껑(120)의 테두리면(121)에 전혀 돌출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그런 다음, 이러한 상태의 맨홀뚜껑(120)의 손잡이(123) 부분도 맨홀지지틀(110)에 삽입한 후, 상부로 들어 올려져 있던 손잡이(123)를 발로 누른다. 그러면, 손잡이(123)는 점점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하부 손잡이(123b)에 의해 탄성변형 되었던 스프링(127)의 곡선 부분이 그 탄성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점점 복귀함에 따라 걸림판(126)의 일부분이 맨홀뚜껑(120)의 테두리면(121)으로 돌출되고, 이 돌출부분 중에서 걸림판(126)의 수직면(126b)쪽이 맨홀지지틀(110)의 걸림홈(113)에 끼워지고, 라운드면(126c)은 맨홀지지틀(110)과 맨홀뚜껑(120) 사이의 틈새에 위치하게 된다(도 7, 도 11 참조).
한편, 이 실시예의 맨홀뚜껑(120)을 맨홀지지틀(11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손잡이 삽입홈(129)의 둘레홈에 공구 등을 끼우고 손잡이(123)를 상부로 올린다. 그러면, 손잡이(123)의 하부 손잡이(123b)가 스프링(127)의 곡선 부분을 점점 밀면서 상부로 이동함과 더불어, 맨홀뚜껑(120)의 테두리면(121)에 일부분이 돌출되어 있던 걸림판(126)이 슬롯(125)의 안쪽으로 점점 이동한다. 그로 인해, 맨홀뚜껑(120)의 걸림판(126)과 맨홀지지틀(110)의 걸림홈(113)의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상부로 들어 올려진 손잡이(123)는 그 하부 손잡이(123b)가 스프링(127)에 밀착된 상태에서 스프링(127)의 탄성력을 제공받기 때문에, 상부로 들어 올려진 상태 그대로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맨홀뚜껑(120)의 손잡이(123) 부분을 먼저 들어 올리면서 순차적으로 맨홀뚜껑(120)의 걸림돌기(122)와 맨홀지지틀(110)의 걸림홈(113)의 걸림상태를 해제하여, 맨홀뚜껑(120)을 맨홀지지틀(110)에서 완전 분리한다.
이상에서 이 발명의 자동걸림형 맨홀뚜껑 및 그 조립체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이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맨홀뚜껑 조립체 110 : 맨홀지지틀
113 : 걸림홈 120 : 맨홀뚜껑
122 : 걸림돌기 123 : 손잡이
126 : 걸림판 127 : 스프링
128 : 회전축

Claims (5)

1쌍의 수직한 상하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손잡이가 일측에 형성되고 맨홀뚜껑 지지부에 착탈가능하게 덮여져 설치되는 맨홀뚜껑에 있어서,
상기 맨홀뚜껑의 테두리면 일측에 형성되는 1개 이상의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와 다른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맨홀뚜껑의 테두리면에서 그 내측방향으로 상기 손잡이 설치부위까지 형성되는 슬롯과;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손잡이의 작동에 따라 상기 맨홀뚜껑의 테두리면에 돌출되거나 상기 슬롯내에 내장되도록 수평이동 가능한 걸림판; 및 상기 손잡이와의 연동작용에 의해 상기 걸림판을 상기 슬롯을 따라 수평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일측은 상기 걸림판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맨홀뚜껑의 하부쪽에 고정되는 회전축에 다수회 감기고 단부가 상기 맨홀뚜껑의 일측에 밀착되어 상기 걸림판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타측에서 상기 일측을 향해 곡선 형태를 갖되, 상기 곡선 부분의 외측이 상기 손잡이의 하부쪽에 밀착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스프링의 곡선 부분이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걸림판을 상기 슬롯을 따라 수평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걸림형 맨홀뚜껑.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을 일정 간격을 두고 2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걸림형 맨홀뚜껑.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스프링은 상기 일측이 서로 연결되는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걸림형 맨홀뚜껑.
내측을 따라 맨홀뚜껑 지지부가 형성된 통상의 맨홀지지틀과, 1쌍의 수직한 상하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손잡이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맨홀뚜껑 지지부에 착탈가능하게 덮여져 설치되는 맨홀뚜껑 및, 상기 맨홀뚜껑이 상기 맨홀지지틀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맨홀지지틀에 자동으로 걸쳐져 맞물리거나 맞물림 상태의 해제가 가능한 자동걸림장치를 포함하는 맨홀뚜껑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자동걸림장치는,
상기 맨홀뚜껑 지지부의 측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걸림홈과; 상기 걸림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맨홀뚜껑의 테두리면 일측에 형성되는 1개 이상의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와 다른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맨홀뚜껑의 테두리면에서 그 내측방향으로 상기 손잡이 설치부위까지 형성되는 슬롯과;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손잡이의 작동에 따라 상기 맨홀뚜껑의 테두리면에 돌출되거나 상기 슬롯내에 내장되도록 수평이동 가능한 걸림판; 및 상기 손잡이와의 연동작용에 의해 상기 걸림판을 상기 슬롯을 따라 수평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일측은 상기 걸림판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맨홀뚜껑의 하부쪽에 고정되는 회전축에 다수회 감기고 단부가 상기 맨홀뚜껑의 일측에 밀착되어 상기 걸림판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타측에서 상기 일측을 향해 곡선 형태를 갖되, 상기 곡선 부분의 외측이 상기 손잡이의 하부쪽에 밀착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스프링의 곡선 부분이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걸림판을 상기 슬롯을 따라 수평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걸림형 맨홀뚜껑 조립체.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걸림판 중에서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는 일측면에는 상하로 수직한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에 연장하여 라운드진 라운드면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면은 상기 걸림홈에 끼워져 상기 맨홀뚜껑이 상기 맨홀지지틀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라운드면은 상기 맨홀지지틀과 상기 맨홀뚜껑 사이의 틈새에 위치하여 얇은 판으로 밀어 상기 걸림판을 강제적으로 수평이동 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걸림형 맨홀뚜껑 조립체.
KR1020100052739A 2010-06-04 2010-06-04 자동걸림형 맨홀뚜껑 및 그 조립체 KR201101331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739A KR20110133162A (ko) 2010-06-04 2010-06-04 자동걸림형 맨홀뚜껑 및 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739A KR20110133162A (ko) 2010-06-04 2010-06-04 자동걸림형 맨홀뚜껑 및 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162A true KR20110133162A (ko) 2011-12-12

Family

ID=45500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2739A KR20110133162A (ko) 2010-06-04 2010-06-04 자동걸림형 맨홀뚜껑 및 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31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5396A (zh) * 2019-05-31 2019-09-03 范拓 一种道路排水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5396A (zh) * 2019-05-31 2019-09-03 范拓 一种道路排水结构
CN110195396B (zh) * 2019-05-31 2021-03-23 江阴市港城市政工程有限公司 一种道路排水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4013B1 (ko) 무소음 트렌치 커버
KR102179723B1 (ko) 스크류를 이용한 맨홀덮개 개폐 구조
KR100968785B1 (ko) 맨홀뚜껑 잠금장치
KR100880208B1 (ko) 잠금장치를 갖는 맨홀조립체
KR20110133162A (ko) 자동걸림형 맨홀뚜껑 및 그 조립체
FI83983C (fi) Sjaelvlaosande lock foer ett manhaol.
KR101240285B1 (ko) 부양 기능을 갖는 잠금형 맨홀
KR101347073B1 (ko) 볼라드
KR20130142672A (ko) 맨홀 잠금장치
JP4593371B2 (ja) 矩形状マンホール
KR20070000106U (ko) 지렛대용 맨홀 뚜껑의 잠금장치
KR100796622B1 (ko) 맨홀 뚜껑의 이탈방지 구조
KR100712408B1 (ko) 경사형 잠금장치 맨홀
JP6741313B2 (ja) 側溝ブロック、側溝ブロック本体及び側溝蓋
KR100734937B1 (ko) 맨홀덮개 잠금장치
JP3867293B2 (ja) 蓋パネルの平面取手装置
KR100654419B1 (ko) 테이퍼 맨홀
EP1816718A2 (en) Recessed tower for floor-mounted electrical installations, with removable cover
KR200407998Y1 (ko) 맨홀덮개 잠금장치
KR101506158B1 (ko) 맨홀 뚜껑 잠금장치
KR101515997B1 (ko) 맨홀 뚜껑 조립체
KR20150144885A (ko) 맨홀 구조물
KR100473327B1 (ko) 잠금기능을 구비한 맨홀뚜껑 및 그 조립체
KR200296578Y1 (ko) 인상링을 구비하여 잠금기능을 갖는 맨홀뚜껑 조립체
JP4169430B2 (ja) マンホール蓋における蓋板の貫通孔の閉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