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6113B1 - 전력선 압착장치 - Google Patents

전력선 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6113B1
KR100856113B1 KR1020070080483A KR20070080483A KR100856113B1 KR 100856113 B1 KR100856113 B1 KR 100856113B1 KR 1020070080483 A KR1020070080483 A KR 1020070080483A KR 20070080483 A KR20070080483 A KR 20070080483A KR 100856113 B1 KR100856113 B1 KR 100856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unit
members
node
engr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준
복기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호이엔지
이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호이엔지, 이병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호이엔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선 압착장치로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조각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조각부재들을 서로 조합시켜 상기 전력선의 외부를 감싸도록 하는 내부유닛; 및 상기 내부유닛의 외부를 감싸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디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마디부재를 서로 조합하여 고정시킬 경우, 상기 전력선의 부풀림 현상으로 인한 버드 케이지 현상을 억제하도록 상기 내부유닛을 일정한 압력으로 압착시키도록 하는 외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캄아롱을 이용한 가선 공법 및 기타 가선 공법을 이용하여 가선 작업을 하면서 발생하는 전력선의 부풀음 현상의 발생 및 이 부풀음 현상의 심화로 발생되는 버드 케이지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력선, 압착, 부풀음, 버드 케이지, 장치

Description

전력선 압착장치{Compression apparatus for a power line}
본 발명은 전력선 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캄아롱(Comealong)을 이용한 가선 공법 및 기타 가선 공법을 이용하여 가선 작업을 하면서 발생하는 전력선의 부풀음 현상의 심화로 발생되는 버드 케이지(Bird cage)를 효율적으로 방지하도록 하는 전력선 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선 공법은 캄아롱을 이용한 가선 공법과 캄아롱을 사용하지 않는 가선 공법으로 분류된다.
특히, 캄아롱을 이용한 가선 공법은 철탑 상에서 압축작업을 하기 위해 전력선을 절단점까지 끌어당기는 작업이나, 이도 조정 작업을 할 때 전력선에 캄아롱을 채워서 당김 작업을 하는 가선 공법을 말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캄아롱을 이용한 가선 공법은 먼저, 연결와이어(4)에 작업자가 올라탄 후(S1), 작업자는 크람프 프로텍터(Clamp protector)로 이동한다(S2).
이 후에 크람프 프로텍터를 해체하고(S3), 전력선(1)에 캄아롱(2)을 취부하며(S4), 이동활차(6)를 취부한다(S5).
상기 이동활차(6)에 긴선 와이어(7)를 취부하고(S6), 긴선 와이어(7)에 장력을 인가한 후(S7), 연결 와이어(4)를 해체 및 제거한다(S8).
이후, 압축 인류 크람프(3)를 애자 장치(미도시)에 연결하고(S9) 이동활차(6) 및 긴선 와이어(7)를 해체하며(S10), 최종적으로 캄아롱(2)을 해체한다(S11). 미설명된 도면부호 '5'는 '철탑아암'이다.
그러나, 통상 전력선(1)은 중심 강연선의 외주면에 알루미늄선을 다층으로 꼬아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캄아롱(2)을 이용한 가선 공법에서 캄아롱(2)으로 전력선(1)을 고정하여 당기는 편심에 의한 인장력으로 전력선(1)과 압축 인류 크람프(3)의 압축부분(도 2의 'A'부분)으로 전력선(1)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알루미늄선이 밀림으로 인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선(1)을 형성하는 알루미늄선에서 부풀음 현상이 발생하거나 이 알루미늄선의 부풀음 현상의 심화로 버드 케이지까지 발생되므로서, 시공후 전력선(1)이 손상됨과 더불어 이 손상된 부분을 통해 이물질이 축적되어 과열을 발생시키고, 코로나 발생 등을 유발하여 가공 송전선로의 시공 품질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 'A'부분에 고무나 로프를 감거나 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했었지만, 작업이 상당히 어렵고 그 효과도 미비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캄아롱을 이용한 가선 공법 및 기타 가선 공법을 이용하여 가선 작업을 하면서 발생하는 전력선의 부풀음 현상의 발생 및 이 부풀음 현상의 심화로 발생되는 버드 케이지를 효율적으로 방지함과 더불어, 특히 캄아롱을 이용한 가선 공법에서 캄아롱으로 전력선을 고정하여 당기는 편심에 의한 인장력이 발생하더라도 전력선과 압축 인류 크람프의 압축부분에 부풀음 현상의 발생 및 이 부풀음 현상의 심화로 발생되는 버드 케이지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선 압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전력선 압착장치로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조각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조각부재들을 서로 조합시켜 상기 전력선의 외부를 감싸도록 하는 내부유닛; 및 상기 내부유닛의 외부를 감싸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디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마디부재를 서로 조합하여 고정시킬 경우, 상기 전력선의 부풀림 현상으로 인한 버드 케이지 현상을 억제하도록 상기 내부유닛을 일정한 압력으로 압착시키도록 하는 외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압착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내부유닛의 조각부재와 상기 외부유닛의 마디부재가 서로 대응하는 일 정 위치에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에는 체결구가 삽입되어 상기 내부유닛의 조각부재와 상기 외부유닛의 마디부재를 서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각부재들을 서로 조합하여 상기 내부유닛을 구성할 경우, 상기 내부유닛의 내부에는 전력선과 동일한 형상의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각부재들은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력선이 상기 중공부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조각부재들의 내면은 상기 전력선의 외면과 동일한 형상의 요철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철부는 나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디부재를 서로 조합하여 상기 외부유닛을 구성할 경우, 상기 외부유닛의 내부에는 상기 내부유닛의 외부와 동일한 형상의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마디부재들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디부재들 중에서 양끝단에 위치한 마디부재들을 제외하고는 서로 적어도 하나의 힌지로 결합되며, 상기 양끝단에 위치한 마디부재들은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에 의해 체결된다.
외부유닛에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가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의 끝단에는 전력선 또는 긴선 와이어에 매달아 상기 외부유닛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후크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전력선 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유닛과 외부유닛으로 인해 전력선의 부풀림 현상으로 인한 버드 케이지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캄아롱을 이용한 가선 공법에서 캄아롱으로 전력선을 고정하여 당기는 편심에 의한 인장력이 발생하더라도 전력선과 압축 인류 크람프의 압축부분에 부풀음 현상의 발생 및 이 부풀음 현상의 심화로 발생되는 버드 케이지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압착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압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압착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압착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압착장치가 캄아롱을 이용한 가선 공법에 적용된 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압착장치(10)는 내부유닛(20)과 외부유닛(30)을 포함한다.
먼저, 내부유닛(20)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조각부재(21,22)로 구성된다.
이 내부유닛(20)은 상기 조각부재(21,22)들을 서로 조합시켜 전력선(50)의 외부를 감싸도록 한다.
실시예에서, 조각부재(21,22)들은 제1 및 제2 조각부재(21,22)로 이루어진 다. 하지만 조각부재(21,22)들은 2개 이상이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제1 및 제2 조각부재(21,22)들을 서로 조합하여 내부유닛(20)을 구성할 경우, 이 내부유닛(20)의 내부에는 전력선(50)과 동일한 형상의 중공부(24)가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내부유닛(20)의 중공부(24) 형상이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전력선(50)의 형상에 따라 기타 형상으로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제1 및 제2 조각부재(21,22)들은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며, 제1 및 제 2조각부재(21,22)들은 합성수지재질 중에서도 강화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조각부재(21,22)들이 합성수지재질인 이유는, 합성수지재질이 통상 전력선(50) 외부를 형성하는 알루미늄보다 경도가 낮음을 이용하여 전력선(50) 외부의 파손 및 손상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함이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 및 제2 조각부재(21,22)들의 내면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선(50)의 외면과 동일한 형상의 요철부(60)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전력선(50)을 감싸도록 제1 및 제2 조각부재(21,22)들을 서로 조합하여 내부유닛(20)을 구성할 경우, 제1 및 제2 조각부재(21,22)들과 전력선(50) 간의 마찰력이 작아서 내부유닛(20)의 중공부(24) 내에서 전력선(50)이 슬라이딩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도 있는데, 상기 요철부(60)는 전력선(50)의 외면과 마찰력을 높여 상기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력선(50)의 외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골과 산을 가진 나선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요철부(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선(50)의 외면과 동일한 골과 산을 가진 나선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유닛(20)의 제1 및 제2 조각부재(21,22)에는 구멍(23)이 형성되는데, 이 구멍(23)의 역할은 하기한 외부유닛(30)의 마디부재(31,32)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아울러, 제1 및 제2 조각부재(21,22)들을 서로 조합하여 내부유닛(20)을 구성할 경우, 내부유닛(20)이 양단에는 확장부(25)가 형성된다.
이러한 확장부(25)는 하기한 외부유닛(30)에 내부유닛(20)이 수용되었을 때, 외부유닛(30)의 양단에 걸려서 내부유닛(20)이 외부유닛(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외부유닛(30)은 내부유닛(20)의 외부를 감싸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디부재(31,32)로 구성되며, 마디부재(31,32)를 서로 조합하여 고정시킬 경우, 전력선(50)의 부풀림 현상으로 인한 버드 케이지 현상을 억제하도록 내부유닛(20)을 일정한 압력으로 압착시키도록 한다.
실시예에서, 마디부재(31,32)들은 제1 및 제2 마디부재(31,32)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마디부재(31,32)들은 2개 이상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1 및 제2 마디부재(31,32)를 서로 조합하여 상기 외부유닛(30)을 구성할 경우, 이 외부유닛(30)의 내부에는 내부유닛(20)의 외부와 동일한 형상의 중공부(37)가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제1 및 제2 마디부재(31,32)를 서로 결합하여 이루어진 외부유닛(30)의 중공부(37) 형상이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내부유닛(20)의 외부 형상에 따라 사각, 세모와 같은 형상 등으로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제1 및 제2 마디부재(31,32)들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제1 및 제2 마디부재(31,32)들은 금속재질 중에서도 스틸(Steel)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유닛(30)의 제1 및 제2 마디부재(31,32)에는 구멍(33)이 형성된다.
즉, 상기 언급한 내부유닛(20)의 제1 및 제2 조각부재(21,22)에 형성된 구멍(23)과 상기 외부유닛(30)의 제1 및 제2 마디부재(31,32)에 형성된 구멍(33)은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한 구멍(31,32)들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체결구(예를 들면, 무드 렌치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내부유닛(20)의 제1 및 제 2조각부재(21,22)와 외부유닛(30)의 제1 및 제 2마디부재(31,32)를 서로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외부유닛(30)을 구성하는 마디부재(31,32)들 중에서 양끝단에 위치한 마디부재(31,32)들을 제외하고는 서로 적어도 하나의 힌지(34)로 결합되며, 상기 양끝단에 위치한 마디부재(31,32)들은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36)에 의해 체결된다.
도면에서는, 마디부재(31,32)들이 제1 및 제2 마디부재(31,32)로 이루어지므로, 이 제1 및 제2 마디부재(31,32)들의 일측단은 서로 힌지(34)로 결합되고, 제1 및 제2 마디부재(31,32)들의 타측단은 체결구(36)인 볼트, 와셔 및 너트로 단단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마디부재(31,32)들의 타측단에는 볼트홈(3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체결구(36)인 와셔 및 볼트는 끝단이 볼트홈(35) 내에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와셔 및 너트는 제1 및 제2 마디부재(31,32)들의 타측단이 서로 접합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가 회동하여 볼트홈(35)에 수용된 후에 비로소 볼트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마디부재(31,32)를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고정시킬 경우, 전력선(50)의 부풀림 현상으로 인한 버드 케이지 현상을 억제하도록 내부유닛(20)을 일정한 압력으로 압착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유닛(30)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성재질의 와이어(40)가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40)의 끝단에는 전력선(50)이나 긴선 와이어에 매달아 외부유닛(30)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후크(4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후크(41)를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력선(50)과 나란하게 형성된 긴선 와이어(미도시)에 걸어서 상기 외부유닛(30)을 긴선 와이어에 매달아 놓고 작업자가 외부유닛(3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가선 작업의 효율을 극도로 높일 수가 있다.
종래의 캄아롱을 이용한 가선 공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압착장치(10)를 적용할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선(50)에 캄아롱(2)을 취부(S4)한 후 또는 이동활차(6)에 긴선 와이어(7)를 취부(S6)한 후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압착장치(10)의 조립순서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내부유닛(20)의 제1 및 제2 조각부재(21,22)를 'B'부분(도 7 참조)에 가결합하고 상기 제1 및 제2 조각부재(21,22)가 가결합된 내부유닛(20)의 외부를 일정한 압력으로 외부유닛(30)에 의해 압착시킨다.
여기서, 외부유닛(30)은 힌지(34)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유닛(20)의 제1 및 제2 조각부재(21,22)의 외부를 감싸도록 제1 및 제2 마디부재(31,32)를 가결합시키고, 제1 및 제2 마디부재(31,32)의 볼트홈(35)에 체결구(36)인 볼트를 삽입한 후 상기 볼트를 단단하게 쪼여 제1 및 제2 마디부재(31,32)를 결합시킨다.
이로 인해, 캄아롱으로 전력선(50)을 고정하여 당기는 편심에 의한 인장력이 발생하더라도 전력선(50)과 압축 인류 크람프의 압축부분인 'B'부분에 부풀음 현상의 발생 및 이 부풀음 현상의 심화로 발생되는 버드 케이지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캄아롱을 이용한 가선 공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캄아롱을 이용한 가선 공법을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캄아롱을 이용한 가선 공법을 적용하였을 경우 발생하는 전력선의 부풀음 현상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압착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압착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압착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압착장치가 캄아롱을 이용한 가선 공법에 적용된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압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압착장치에서 조각부재들의 내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력선 압착장치 20: 내부유닛
21: 제1 조각부재 22: 제2 조각부재
23: 구멍 24: 중공부
25: 확장부 30: 외부유닛
31: 제1 마디부재 32: 제2 마디부재
33: 구멍 34: 힌지
35: 볼트홈 36: 체결구
37: 중공부 40: 와이어
41: 후크 50: 전력선
60: 요철부

Claims (8)

  1. 삭제
  2. 전력선 압착장치로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조각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조각부재들을 서로 조합시켜 상기 전력선의 외부를 감싸도록 하는 내부유닛; 및
    상기 내부유닛의 외부를 감싸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디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마디부재를 서로 조합하여 고정시킬 경우, 상기 전력선의 부풀림 현상으로 인한 버드 케이지 현상을 억제하도록 상기 내부유닛을 일정한 압력으로 압착시키도록 하는 외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유닛의 조각부재와 상기 외부유닛의 마디부재가 서로 대응하는 일정 위치에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에는 체결구가 삽입되어 상기 내부유닛의 조각부재와 상기 외부유닛의 마디부재를 서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압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부재들을 서로 조합하여 상기 내부유닛을 구성할 경우, 상기 내부 유닛의 내부에는 전력선과 동일한 형상의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각부재들은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압착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이 상기 중공부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조각부재들의 내면은 상기 전력선의 외면과 동일한 형상의 요철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압착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나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압착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디부재를 서로 조합하여 상기 외부유닛을 구성할 경우, 상기 외부유닛의 내부에는 상기 내부유닛의 외부와 동일한 형상의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마디부재들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압착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마디부재들 중에서 양끝단에 위치한 마디부재들을 제외하고는 서로 적어도 하나의 힌지로 결합되며, 상기 양끝단에 위치한 마디부재들은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압착장치.
  8. 제 2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유닛에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가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의 끝단에는 전력선 또는 긴선 와이어에 매달아 상기 외부유닛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후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압착장치.
KR1020070080483A 2007-06-05 2007-08-10 전력선 압착장치 KR1008561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55096 2007-06-05
KR1020070055096 2007-06-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6113B1 true KR100856113B1 (ko) 2008-09-02

Family

ID=40022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483A KR100856113B1 (ko) 2007-06-05 2007-08-10 전력선 압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61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81922A (zh) * 2016-08-31 2016-12-07 通鼎互联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阻水带塞进钢带搭接缝的辅助装置及方法
KR102284284B1 (ko) * 2020-12-18 2021-07-30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전선접속 부풀음 방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3949A (ja) * 1993-12-28 1995-07-28 Yazaki Corp 電線固定具
JPH07322448A (ja) * 1994-05-23 1995-12-08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コルゲート管のクランプリング
JPH08205369A (ja) * 1995-01-19 1996-08-09 Asahi Tec Corp クサビ型クラン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3949A (ja) * 1993-12-28 1995-07-28 Yazaki Corp 電線固定具
JPH07322448A (ja) * 1994-05-23 1995-12-08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コルゲート管のクランプリング
JPH08205369A (ja) * 1995-01-19 1996-08-09 Asahi Tec Corp クサビ型クラン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81922A (zh) * 2016-08-31 2016-12-07 通鼎互联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阻水带塞进钢带搭接缝的辅助装置及方法
KR102284284B1 (ko) * 2020-12-18 2021-07-30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전선접속 부풀음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35041B2 (ja) ロープの端末定着方法および端末定着具付きロープ、ロープの端末定着方法に用いる端末金具
US20180100560A1 (en) Connector for synthetic and coated wire rope
WO2005043022A1 (en) Rain tight compression fitting coupling device
US20150075837A1 (en) Compression formed connector for carbon-fiber composite core conductor assembly used in transmission line installations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100856113B1 (ko) 전력선 압착장치
US20040035601A1 (en) Vibration damper for overhead power lines
AU2006202078A1 (en) A Fitting for Wire Rope
JP5258719B2 (ja) 繊維ロープの端末定着方法
EP2708642A2 (de) Drahtseil sowie ein Zwischenstück für dessem verspleissten Bereich
CA1077243A (en) Turn-back loop for wire strands
KR20130004814U (ko) 단부 고정형 강선 정착장치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
US20190386410A1 (en) Composite core conductor compression connectors and methods for using same
CN108797168B (zh) 一种钢丝绳专用压接装置的压接固定方法
RU2383979C1 (ru) Анкерный зажим для оптического кабеля типа восьмерки
JP2018097996A (ja) 圧縮スリーブ補助具
KR101264335B1 (ko) 코로나 링이 장착되는 고분자 애자
CN102056718A (zh) 强化的涂有金刚石的电缆及其制造方法
CA2550338A1 (en) A fitting for wire rope
CN111712652B (zh) 绳索连接系统、装置和方法
KR20100001363U (ko) 보강용 선재를 구비한 프레임
JP7440391B2 (ja) 延線工事用の電線接続方法
KR20230055661A (ko) 송전선 고정용 압축인류클램프
KR101947764B1 (ko) 퍼머넌트 웨이브용 로드 지지대
JPH0730716Y2 (ja) 繊維製ロープの端末処理構造
JP2010220276A (ja) カーボンファイバより線の引留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