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4479B1 - 레일설치지그 및 이를 이용한 매립식 철도궤도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레일설치지그 및 이를 이용한 매립식 철도궤도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4479B1
KR100854479B1 KR1020070116658A KR20070116658A KR100854479B1 KR 100854479 B1 KR100854479 B1 KR 100854479B1 KR 1020070116658 A KR1020070116658 A KR 1020070116658A KR 20070116658 A KR20070116658 A KR 20070116658A KR 100854479 B1 KR100854479 B1 KR 100854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pipe
pupil
trough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세규
Original Assignee
(주) 아시아방재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시아방재연구원 filed Critical (주) 아시아방재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16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44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2Rail fastenings incorporating resilient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8Pads or the like, e.g. of wood, rubber, placed under the rail, tie-plate, or ch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립식 철도궤도구조와 이와 같은 철도궤도의 시공시에 사용되는 지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매립식 철도궤도구조는 레일이 설치될 부위에 레일 방향을 따라 홈통(11)이 형성된 궤도슬래브(10), 상기 홈통(11)에 설치되는 레일(20), 레일(20)이 설치된 홈통(11)에 충진되는 탄성충진재(40), 시공시에 사용되다가 시공을 완료한 후에는 제거하는 것으로서 레일(20)의 위치를 조정하고 레일(20)을 홈통의 측벽에 고정하는 설치지그(30), 시공중 탄성충진재(40)가 낮은 쪽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격판(50), 열차의 중량과 레일의 중량을 지지하는 탄성판(60), 홈통(11)에 충진되는 탄성충진재(40)의 량을 절감하기 위한 동공파이프(70), 동공파이프가 탄성충진재(40)의 부력에 의하여 떠오르거나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파이프고정장치(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인 매립식 철도궤도구조는 탄성재료에 의하여 레일이 궤도슬래브와 완벽하게 분리되므로 아주 높은 진동차단성능을 가지고, 시공중에 레일의 위치를 아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어 시공이 편리하고, 고가의 원자재를 절감할 수 있다.
레일, 철도, 진동, 매립, 궤도구조, 탄성판, 충진재

Description

레일설치지그 및 이를 이용한 매립식 철도궤도 시공방법{Rail Installation Jig and Method of Construction of Fill up Type Rail Structure Using the Jig}
본 발명은 매립식 철도궤도구조와 이와 같은 철도궤도의 시공시에 사용되는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자세하게는 철도궤도의 레일을 침목으로 단속적으로 궤도슬래브에 지지하는 대신 궤도슬래브에 레일이 설치될 홈통을 형성하여 레일을 매립하여 설치하는 매립식 철도 궤도 구조와, 상기와 같은 매립식 철도궤도를 설치할 때 레일의 간격을 조정하고 조정된 위치에 레일을 경고하게 고정하는 설치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철도의 레일은 자갈 도상 또는 콘크리트 궤도슬래브 위에 단속적으로 침목을 설치하고, 고정볼트, 스프링클립 등의 레일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레일을 침목에 고정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 경우 아주 중량물인 열차의 바퀴가 침목 위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침목에 일정 주기로 큰 힘을 가하여 진동이 유발되고, 이 진동이 침목과 궤도슬래브를 통하여 주변지역으로 전파되어 구조물의 파손, 주변 정밀 기기의 작동 방해, 구조전달음(Structure Borne Noise) 발생 등 각종 진동관련 문제를 유발한다. 그 이외에도 레일 이음매를 바퀴가 통과할 때 발생하는 충격성 진동이 상기와 같은 전파경로를 통하여 주변으로 전달되어 진동과 함께 소음문제를 유발한다. 그리고 레일과 침목 사이의 타격음, 레일 자체의 진동에 의한 구조소음 등이 발생하여 소음공해를 유발한다. 이러한 철도의 진동과 소음 문제는 역사건물, 교량, 터널 등에서 더욱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그리고 열차의 바퀴가 침목과 침목 사이를 지날 때, 레일이 휘게 되고, 이에 따라 열차의 바퀴와 레일 사이의 접촉이 일정하지 않아 바퀴와 레일의 마모가 크다. 이와 같은 열차의 바퀴 또는 레일의 마모는 그 자체로도 큰 문제가 되지만, 이로 인하여 큰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여 문제가 된다. 또한 레일이 휨에 따라 침목 위의 레일고정 부위에서 마찰이 발생하여 레일의 마모와 함께 소음이 발생하고, 레일고정장치에 큰 하중이 가해져 레일고정장치가 파손되거나 풀리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레일과 침목 사이, 침목과 궤도슬래브 사이, 또는 궤도슬래브와 건축 구조체 사이 등에 금속스프링, 방진고무 등의 탄성체를 설치하여 진동의 전달을 완화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충분한 정도로 진동을 차단하려면 상기 방진 재료의 스프링상수(=하중/변위)가 충분히 낮아야 하는데, 이 경우 열차가 통과할 때 가해지는 큰 하중에 의하여 큰 변위가 발생하여 열차의 주행 안전성이 문제가 된다. 따라서 열차의 안전한 주행을 위해서는 탄성체로 지지되는 레일의 변위가 일정 범위 내로 제한되어야 하고, 따라서 진동 차단 성능도 제한적이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에서도 열차의 바퀴가 침목과 침목 사이를 지날 때, 레일이 휘는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진동차단 방법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궤도슬래브의 레일이 설치될 부위에 홈통을 을 형성하고, 레일의 하부를 이 홈통 속에 설치한 다음 두 레일의 간격을 정확하게 조정한 후, 홈통에 폴리우레탄 등의 탄성 재료를 충진하여 레일을 매립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상기와 같은 매립식 궤도구조의 경우, 단속적으로 설치되는 침목이 없으므로 열차의 바퀴가 레일을 통과하더라도 궤도슬래브에 주기적으로 가해지는 힘이 없어서 진동의 발생이 적고, 레일의 이음매를 바퀴가 통과할 때 발생하는 등의 충격과 진동 및 여타 원인에 의한 진동은 탄성 재료에 의하여 높은 정도로 차단되어 주변으로 전파되지 않고, 레일의 하부 전체가 점탄성체(Visco-Elastic Material)에 접하고 있어서 점탄성체가 진동 댐핑재(Damping Material)로 작용하여 레일 자체의 진동이 현저히 저감되므로 구조소음의 발생이 적어 철도진동과 소음의 저감에 아주 효과적이다. 또한 열차의 바퀴가 레일 위를 주행할 때 레일이 휘는 정도가 작아 레일과 열차 바퀴의 마모가 적고, 레일체결장치가 없으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매립식 궤도구조의 경우, 레일 설치시 레일 간격을 일정하게 조정하고, 열차 주행시 레일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1 내지 2미터)으로 고정블록을 설치하는데. 이 고정블록은 정밀한 간격조정이 가능하여야 하므로 구조가 아주 복잡하고, 생산원가가 높고, 시공이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레일의 진동이 이 고정블록 부위를 통하여 궤도슬래브로 전달되는 것은 차단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매립형 철도 궤도 시스템에서 아주 많은 량이 사용되는 점탄성체는 아주 고가인데, 이를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이 특별히 없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매립식 궤도구조는 철도진동 및 소음의 저감에 아주 효과적이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많은 문제점이 있는바, 레일을 안전하게 고정하고, 열차 주행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진동이 궤도슬래브를 통하여 주변으로 전달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궤도구조가 필요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궤도구조를 시공할 때, 레일간의 간격을 정밀하게 조정하고, 조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설치지그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한 매립식 궤도구조와 이와 같은 구조의 궤도구조를 설치할 때 사용되는 지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매립식 궤도구조로서, 종래의 매립식 궤도구조에서 레일을 시공할 때 레일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레일고정장치가 없는 궤도구조로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궤도구조는 레일을 궤도슬래브에 완벽하게 탄성재료로만 고정하게 하여, 레일의 진동이 궤도슬래브를 통하여 주변으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레일고정장치가 없는 궤도구조에서 시공시에만 레일의 위치를 조정하고 조정된 위치에 레일이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게 하고, 시공이 끝난 후에는 제거할 수 있는 레일설치지그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부수적으로 고가의 재료로서 시공비용에서 상당히 큰 비중을 차지하는 탄성충진재를 절감할 수 있는 방법으로, 특별히 안출된 파이프지지장치를 사용하여 동공파이프를 고정하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본 발명인 매립식 철도궤도구조는 탄성재료에 의하여 레일이 궤도슬래브와 완벽하게 분리되므로 아주 높은 진동차단성능을 가진다.
본 발명인 레일설치지그는 레일 시공중에 레일의 위치를 아주 간편하게 조정하고, 레일이 조정된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게 하며, 시공을 용이하게 하고, 레일의 시공 후에는 이를 제거하여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구성품을 통하여 진동이 궤도슬래브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된다.
본 발명은 매립식 궤도구조의 시공을 용이하게 하는 구성품들을 구비하여, 시공이 편리하고, 정밀한 시공을 가능하고, 고가의 원자재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매립식 철도궤도구조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이 설치될 부위에 레일 방향을 따라 홈통(11)이 형성된 궤도슬래브(10), 상기 홈통(11)에 설치되는 레일(20), 레일(20)이 설치된 홈통(11)에 충진되는 탄성충진재(40),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시공시에 사용되다가 시공을 완료한 후에는 제거하는 것으로서 시공시 홈통(11) 속에서 레일(20)의 위치를 조정하고 레일(20)을 홈통의 측벽에 고정하는 레일설치지그(30), 그리고 레일(20)이 길이방향으로 경사가 있을 경우 시공중 탄성충진재(40)가 낮은 쪽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격판(50), 레일의 하면에서 열차의 중량과 레일의 중량을 지지하는 탄성판(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홈통(11)에 충진되는 탄성충진재(40)의 량을 절감하기 위한 동공파이프(70)가 사용될 수 있고, 이와 같은 동공파이프(70)을 사용할 때는 설치 중에 동공파이프가 탄성충진재(40)의 부력에 의하여 떠오르거나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파이프고정장치(80)가 사용된다.
궤도슬래브(10)는 통상의 철도의 궤도슬래브와 동일하게, 다져진 노면 또는 건축물의 슬래브 상면에 콘크리트로 형성된다. 이 궤도슬래브의 레일(20)이 설치될 자리에는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레일의 하부 플랜지의 폭보다 다소 넓은 폭과 레일의 상단으로 열차의 바퀴가 활주하는데 지장이 없을 만큼 노출될 수 있는 깊이를 가지는 홈통(11)이 형성된다.
레일(20)은 통상의 철도궤도에 사용되는 레일과 동일하다.
레일설치지그(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의 좌우에 설치되는 2개의 레일 고정구(31)와 고정판(32)으로 구성되는데, 레일(20)을 홈통(11)에 설치할 때 레일을 정확한 위치로 조정하고, 조정된 위치에서 고정이 되게 하는 기능을 한다.
고정구(3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에 각각 오른나사와 왼나사가 형성된 조정너트(311)와 조정너트(311)의 양측에 상기 조정너트(311)에 나사결합을 하는 2개의 "ㄱ"자 형상의 조정봉(312)로 구성된다. 하나의 조정봉(312)의 수평부 의 끝단에는 왼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조정봉(312)의 수평부의 끝단에는 오른나사가 형성되어 있어서, 조정너트(311)을 돌리는 방향에 따라 양 조정봉(312)의 수직부의 간격이 넓어지고 좁아진다. 조정봉(312)의 수직부에는 조정봉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핀을 꽂은 수 있는 핀구멍(313)이 형성되어 있다.
레일 설치시, 레일의 안쪽과 바깥쪽에 있는 두 개의 고정구(31)의 수직부의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레일을 홈통 속에서 정확한 위치로 조정하고, 탄성충진재(40)가 경화될 동안 레일을 조정된 위치에서 고정되어 있게 한다. 탄성충진재(40)가 완전히 경화되어 탄성충진재가 레일을 고정시키게 되면 레일설치지그(30)는 제거된다.
고정판(32)은 일정 두께와 일정 폭을 가진 판 형상으로, 상기 고정구(31)의 조정봉(312)의 수직부가 통과할 수 있는 슬롯(321)이 4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판(32)의 양단에는 이 고정판을 궤도슬래브(10) 위에 임시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충진재(40)는 시공시에는 액체상태를 유지하다가 시공 후에는 굳어서 탄성체가 되는 재료로서, 열차가 주행할 때 레일을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을 정도의 하중 지지력을 가진 탄성재료를 사용한다. 탄성충진재(40)로는 실리콘 고무, 발포 폴리우레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통상의 열차의 바퀴는 원추형으로 제작되므로, 열차가 레일(20) 위를 주행할 때는 열차의 중량에 의한 수직력과 함께 양 레일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벌리려는 수평력이 상당한 크기로 작용하는데, 상기 탄성충진재는 이와 같은 수평력을 지지하여 레일이 횡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구속하는 기능을 하고, 레일의 측면부에서 홈통(11)의 벽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격판(50)은 레일(20)이 길이방향으로 경사가 있을 경우 레일 설치시 홈통(11)에 주입한 액체상태의 탄성충진재(40)가 낮은 쪽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격판(50)에는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두께를 가진 판에 레일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는 레일홈(51)과 동공파이프(70)이 통과하는 구멍(52)가 형성되어 있다.
열차의 바퀴가 원추형이고, 바퀴의 내측에는 열차의 탈선을 방지하기 위한 플랜지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레일의 내측은 탄성충진제(40)가 낮게 충진되고, 레일의 외측은 탄성충진재가 거의 레일의 놀이만큼 높게 충진되므로, 격판(50)도 이에 따라 그 상단이 내측은 낮게, 외측은 높게 제작한다.
격판(50)은 설치의 편의를 위하여 도 4의 (b)5와 같이 내측부와 외측부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 제작할 수 있다. 격판의 재료로는 모든 종류의 판상의 재료가 다 사용될 수 있으나, 이 격판을 통한 진동의 전달을 차단하기 위하여 고무판, 스티로폼판, 두꺼운 종이판 등 연성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탄성판(60)은 일정 두께의 방진고무판으로서, 홈통(11)의 바닥에 설치되어 레일의 하부플랜지를 통하여 전달되는 열차의 하중을 지지한다. 이 탄성판은 열차진동의 주된 전달경로인 레일과 궤도슬래브 사이의 진동전달을 차단한다.
동공파이프(70)은 레일의 하부 플랜지의 바로 위인 홈통(11)의 하부에 설치 되어 탄성충진재(40)의 내부에 매립된다. 이 동공파이프는 홈통(11)에 충진되는 탄성충진재(40)가 상당히 고가이므로 그 량을 절감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필요할 경우 전선, 신호선 등이 지나가는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 동공파이프의 재료로는 모든 종류의 강성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나, 저렴하면서도 다양한 규격의 제품이 있는 PVC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파이프고정장치(80)는 동공파이프(70)를 사용할 때, 설치 중에 동공파이프가 탄성충진재(40)의 부력에 의하여 떠오르거나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파이프고정장치는 설치중 동공파이프(70)을 정해진 위치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동공파이프(70)의 직경이 비교적 크고, 길이도 길기 때문에 동공파이프가 차지하는 부피가 크고, 부력의 크기는 동공파이프의 부피와 같은 부피의 탄성충진재의 중량과 동일하므로 상당한 크기의 부력을 받는다. 따라서 파이프고정장치(80)는 상기와 같은 부력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견고하게 동공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어야 하는데,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강철클립형, 고정판형, 보강고정판형, 쇄기형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강철클립형 파이프고정장치(81)는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폭(10mm 정도면 충분하다.)의 탄성이 있는 금속판을 구부려서 제작한다. 이 강철클립형 파이프고정장치의 하단은 레일의 하부플랜지에 단단히 걸릴 수 있도록 하고, 상부는 동공파이프(70)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게 한다.
고정판형 파이프고정장치(82)는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두께(10mm 정도면 충분하다.)를 가진 판에 동공파이프(70)가 지나가는 구멍을 형성하 고, 하단에는 레일의 하부플랜지에 단단히 걸릴 수 있는 홈을 형성하여 제작한다. 고정판형 파이프고정장치의 재료는 일정 강도를 가진 임의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일정 탄성이 있는 고무판, 스티로폼판 등을 사용하는 것이 레일과의 밀착이 좋다.
보강고정판형 파이프고정장치(83)는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형 파이프고정장치(82)와 외형은 동일하나, 재질이 고무이고, 하단부의 레일과 결합되는 부위에 금속판으로 제작된 보강재(831)를 삽입하여 레일과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한 것이다.
쇄기형 파이프고정장치(84)는 도 5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공파이프(70)과 홈통(11)의 벽 사이에 삽입되는 일정 폭의 쇄기 형상의 탄성체 블록으로서, 걸치가 간단한 장점이 있다. 쇄기의 경사를 작게 하면 쇄기의 면과 홈통의 벽 그리고 쇄기의 면과 동공파이프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동공파이프(70)가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매립형 철도궤도 구조의 시공은 다음과 같이 한다.
먼저 궤도슬래브(10)에 레일이 놓일 자리를 따라 두 줄로 홈통(11)을 형성한다. 이 홈통(11)은 궤도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거푸집을 설치하여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홈통(11)의 바닥에 탄성판(60)을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레일의 하면이 모두 접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그 다음으로, 레일(20)에 일정간격으로 격판(50)을 끼우고, 상기 격판의 구 멍을 관통하여 동공파이프(70)을 설치하고, 동공파이프를 파이프고정장치(80)을 이용하여 레일의 하단 좌우측에 고정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격판(50)과 동공파이프(70)이 결합된 레일(20)을 크레인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궤도슬래브의 홈통(11)에 안착시킨다.
그 다음으로, 레일(20)의 상단에 레일과 수직인 황방향으로 레일설치지그(30)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레일설치지그를 궤도슬래브상면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두 레일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면서 레일설치지그의 조정너트(311)를 돌려서 홈통(11)속에서 레일이 정확한 위치로 조정한다. 이때 만약 홈통(11)의 위치와 크기가 정밀하지 않아 격판(50)의 측면과 홈통(11)의 벽 사이에 틈새가 생기면 이 틈새를 스티로폼등을 잘라 만든 밀봉재를 이용하여 밀봉을 하고, 격판(50)의 측면과 홈통(11)의 간격이 좁아 서로 간섭을 일으키면 격판(50)의 측면 일부를 절단해 낸다.
그 다음으로 동공파이프(70)들응 서로 연결한다.
그 다음으로 레일 좌우의 홈통(11)에 액상의 탄성충진재(40)를 격판(50)의 높이만큼 충진한다. 탄성충진재는 홈통속에서 레일(20)의 하면과 측면에 빈틈없이 스며들어서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경화되고, 레일의 하부가 경화된 탄성충진재(40)에 감싸여 레일이 궤도슬래브(10)에 매립된 형태가 된다.
그 다음으로 탄성충진재(40)이 완전히 경화되고 나면 레일설치지그(30)을 제거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레일 위로 열차가 지나갈 경우, 열차의 하중은 대부분 레일 하면의 탄성판(60)이 지지하게 되고, 레일은 탄성체인 탄성판(60)과 경화된 탄성충진재(40)에 의하여 궤도슬래브(10)와 완전히 분리되므로 열차 주행시 발생하
는 레일의 진동이 궤도슬래브(10)로 전달되는 것이 상당량 저감된다.
본 발명은 궤도차량이 주행하는 철도 궤도의 시공에 이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매립식 철도궤도구조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매립식 철도궤도구조의 단면 상세도이다.
도 3은 고정구의 상세도이다.
도 4는 격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파이프고정장치의 실시예이다.
※ 주요 구성품 번호
10 : 궤도슬래브, 20 : 레일, 30 : 레일설치지그
40 : 탄성충진재, 50 : 격판, 60 : 탄성판,
70 : 동공파이프, 80 : 파이프고정장치

Claims (5)

  1.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시공시에 사용되다가 시공을 완료한 후에는 제거하는 것으로서,
    양단에 각각 오른나사와 왼나사가 형성된 조정너트(311)와, 상기 조정너트(311)의 양측 나사구멍에 각각 결합되는 2개 조정봉(312)으로 구성되는 고정구(31);
    그리고, 일정 두께와 일정 폭을 가진 판 형상으로, 상기 조정봉(312)의 수직부가 통과할 수 있는 4개의 슬롯(321)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32);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철도궤도 시공시 홈통(11) 속에서 레일(20)의 위치를 조정하고 레일(20)을 홈통의 측벽에 고정하는 레일설치지그(30).
  2. 다음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시공하는, 매립식 철도궤도 시공방법.
    1. 궤도슬래브(10)에 레일이 놓일 자리를 따라 두 줄로 홈통(11)을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홈통(11)의 바닥에 탄성판(60)을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
    3. 레일(20)에 일정간격으로 격판(50)을 끼우고, 상기 격판의 구멍을 관통하여 동공파이프(70)를 설치하고, 동공파이프를 파이프고정장치(80)를 이용하여 레일의 하단 좌우측에 고정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에서 준비한 격판(50)과 동공파이프(70)가 결합된 레일(20)을 크레인 등의 취급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궤도슬래브의 홈통(11)에 안착시키는 단계.
    5. 레일(20)의 상단에 레일과 수직인 횡방향으로 제1항의 레일설치지그(30)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궤도슬래브상면에 고정시키고, 두 레일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면서 레일설치지그의 조정너트(311)를 돌려서 홈통(11)속에서 레일이 정확한 위치에 놓이도록 조정하여, 레일(20)을 홈통(11)속에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단계.
    6. 레일(20)의 측면에 고정된 동공파이프(70)들을 서로 연결하는 단계.
    7. 레일 좌우의 홈통(11)에 액상의 탄성충진재(40)를 격판(50)의 높이만큼 충진하는 단계.
    8. 탄성충진재(40)가 완전히 경화되고 난 후 레일설치지그(30)을 제거하는 단계.
  3. 제2항에 있어서, 3.단계에서 사용되는 파이프고정장치(80)는,
    일정 폭의 탄성이 있는 금속판을 구부려서 제작하여 하단이 레일(20)의 하부 플랜지에 고정되고, 상부에 큰 원호를 형성하여 상기 동공파이프(70)를 고정할 수 있는 강철클립형 파이프고정장치(81);
    일정 두께를 가진 판에 동공파이프(70)가 지나가는 구멍을 형성하고, 하단에는 레일의 하부플랜지에 걸릴 수 있는 홈을 형성하여 제작한, 고정판형 파이프고정장치(82);
    고무를 성형하여 제작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판형 파이프고정장치(82)와 외형은 동일하고, 레일의 하부플랜지에 걸리는 홈부위의 내부에 금속판으로 제작된 보강재가 삽입된, 보강고정판형 파이프고정장치(83);
    그리고, 일정 폭의 쇄기 형상의 탄성체 블록으로서, 동공파이프(70)와 홈통(11)의 벽 사이에 삽입되어, 쇄기의 면과 홈통의 벽 그리고 쇄기의 면과 동공파이프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동공파이프(70)를 고정하는, 쇄기형 파이프고정장치(84);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식 철도궤도 시공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070116658A 2007-11-15 2007-11-15 레일설치지그 및 이를 이용한 매립식 철도궤도 시공방법 KR100854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658A KR100854479B1 (ko) 2007-11-15 2007-11-15 레일설치지그 및 이를 이용한 매립식 철도궤도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658A KR100854479B1 (ko) 2007-11-15 2007-11-15 레일설치지그 및 이를 이용한 매립식 철도궤도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4479B1 true KR100854479B1 (ko) 2008-08-26

Family

ID=39878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658A KR100854479B1 (ko) 2007-11-15 2007-11-15 레일설치지그 및 이를 이용한 매립식 철도궤도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447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279B1 (ko) 2009-09-02 2010-03-18 주식회사 이알에스 레일조정장치를 구비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KR101144244B1 (ko) * 2011-02-09 2012-05-09 김용택 프리캐스트 레일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17923A (ko) 2015-04-01 2016-10-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교용 철골철근콘크리트 슬래브 궤도 및 그 시공 방법
KR20200054409A (ko) 2018-11-09 2020-05-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산악철도용 선로 시공방법
KR20220005694A (ko) 2020-07-07 2022-01-14 주광준 충전층에 EVA foam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고정구가 구비된 슬래브 패널을 이용한 열차궤도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11467A1 (de) 1999-03-15 2000-09-21 Knape Vermoegensverwaltungs Gm Gleiskonstruktion mit gedämmter/elastischer Lagerung von Schienen an einer um Dämm-Material/Elastikmaterial herum geformten Stützschicht
KR20040030113A (ko) * 2001-08-14 2004-04-08 막스 뵈글 바우운터네뭉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리지드 트랙 상에 레일을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방법 및 리지드 트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11467A1 (de) 1999-03-15 2000-09-21 Knape Vermoegensverwaltungs Gm Gleiskonstruktion mit gedämmter/elastischer Lagerung von Schienen an einer um Dämm-Material/Elastikmaterial herum geformten Stützschicht
KR20040030113A (ko) * 2001-08-14 2004-04-08 막스 뵈글 바우운터네뭉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리지드 트랙 상에 레일을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방법 및 리지드 트랙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279B1 (ko) 2009-09-02 2010-03-18 주식회사 이알에스 레일조정장치를 구비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KR101144244B1 (ko) * 2011-02-09 2012-05-09 김용택 프리캐스트 레일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17923A (ko) 2015-04-01 2016-10-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교용 철골철근콘크리트 슬래브 궤도 및 그 시공 방법
KR20200054409A (ko) 2018-11-09 2020-05-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산악철도용 선로 시공방법
KR20220005694A (ko) 2020-07-07 2022-01-14 주광준 충전층에 EVA foam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고정구가 구비된 슬래브 패널을 이용한 열차궤도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3285B1 (ko) 교량 구조물의 고정 주행 트랙
KR100854479B1 (ko) 레일설치지그 및 이를 이용한 매립식 철도궤도 시공방법
AU2015382274B2 (en) Modular system for the laying of underground and railroad and tram lines
AU2016269737A1 (en) Support for a panel of a section of guided transport track
KR102135562B1 (ko) 매립형 철도궤도의 설치구조 및 이를 위한 고정블럭
KR20080103664A (ko) 진동차단 성능이 우수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CZ296446B6 (cs) Soustava pro upevnení zeleznicní a tramvajové kolejnice a zpusob pokládání zeleznicní nebo tramvajové kolejnice
KR20120039429A (ko) 철도궤도용 프리캐스트 레일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KR100948279B1 (ko) 레일조정장치를 구비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KR20160117923A (ko) 철도교용 철골철근콘크리트 슬래브 궤도 및 그 시공 방법
JP4689272B2 (ja) 鉄道交通機関用の固定軌道の架設方法
JP2012026094A (ja) 縦型マクラギを使用した車両用軌道の支持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軌道位置支持具
KR101272472B1 (ko) 탄성수지 고정방식의 저진동 철도교
KR100964734B1 (ko) 복합탄성체에 의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KR20130007077U (ko) 조립식 매립형 레일구조
US20110049255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Rail Track Fixing
KR101670587B1 (ko) 철도궤도용 z형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이용한 철도궤도구조
JP4858850B2 (ja) 既存軌道の防振軌道化施工方法
KR20210116907A (ko) 다중레일자켓 트램궤도의 설치구조
CN110616634A (zh) 一种内嵌拼装化连续支承轨板梁结构及生产方法
KR20130035150A (ko) 매립식 레일 구조
KR102122610B1 (ko) 자갈궤도의 급속개량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와 철도 부설장치
KR102212757B1 (ko) 자갈궤도의 급속개량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콘크리트슬래브 지지장치와 철도 부설장치
KR101510833B1 (ko)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관 직결 궤도 및 그 시공 방법
US4262845A (en) Concrete slab structure for railway tr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