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2594B1 - 참조맵을 사용하지 않는 이미지 맵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참조맵을 사용하지 않는 이미지 맵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2594B1
KR100852594B1 KR1020010077788A KR20010077788A KR100852594B1 KR 100852594 B1 KR100852594 B1 KR 100852594B1 KR 1020010077788 A KR1020010077788 A KR 1020010077788A KR 20010077788 A KR20010077788 A KR 20010077788A KR 100852594 B1 KR100852594 B1 KR 100852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ap
image
map
temporary
war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7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7324A (ko
Inventor
정미영
정현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10077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2594B1/ko
Publication of KR20030047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참조맵을 사용하지 않는 이미지 맵 변환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이미지 맵 변환 작업에서 변환 유틸리티와 참조맵이 없는 경우에 와핑점 선택을 용이하게 하고 참조점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과 오차 전파 가능성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미지 맵 변환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이미지 맵 변환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소스 이미지 맵(이하 제1 이미지 맵)에 대해 격자좌표를 포함시켜 신규 이미지 맵(이하 제2 이미지 맵)을 생성하기 위한 이미지 맵 생성수단; 상기 이미지 맵 생성수단에서 입력받은 제1 이미지 맵으로부터 이미지 파일(이하 제1 이미지 파일)을 추출하고, 상기 이미지 맵 생성수단에서 생성한 제2 이미지 맵으로부터 상기 격자좌표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이하 제2 이미지 파일)을 추출하기 위한 이미지 파일 추출수단; 상기 이미지 파일 추출수단에서 추출한 제1 이미지 파일을 변환 대상 이미지 맵 포맷을 따르는 제1 임시 이미지 맵으로 등록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 추출수단에서 추출한 제2 이미지 파일을 변환 대상 이미지 맵 포맷을 따르는 제2 임시 이미지 맵으로 등록하기 위한 이미지 파일 등록수단; 및 상기 이미지 파일 등록수단에서 등록한 제1 임시 이미지 맵 및 제2 임시 이미지 맵을 변환 대상 이미지 맵 좌표체계 상에 오버레이한 후에, 상기 제2 임시 이미지 맵의 각 격자선의 교차점 일부를 와핑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각 와핑점을 각각의 변환 대상 좌표값에 매핑시켜 와핑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와핑처리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망설계 시스템, 위치정보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GIS 응용 프로그램에서 이미지 맵을 서비스하기 위해 응용 프로그램의 플랫폼에 적합한 포맷과 좌표체계로 이미지 맵을 변환하는 등에 이용됨.
이미지 맵, 참조맵, 와핑, GIS, 좌표정보, 격자좌표정보

Description

참조맵을 사용하지 않는 이미지 맵 변환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image map without any reference map}
도 1 은 종래의 이미지 맵 변환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2 는 종래의 참조맵을 이용한 이미지 맵 변환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맵 변환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맵 변환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맵 변환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이미지 맵 생성기 32 : 이미지 파일 추출기
33 : 이미지 파일 등록기 34 : 와핑 처리기
본 발명은 지리정보시스템(GIS) 데이터 중 한 형태인 이미지 맵간의 포맷 변 환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두 포맷간의 변환규칙을 구현한 변환 유틸리티가 없는 경우, 이미지 맵 등록에 의해 변환하는 것이다.
위치정보 서비스 등과 같은 GIS 데이터 서비스의 시작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작업이 데이터 구축 작업이며, 일반적으로 데이터 포맷 변환 작업은 구축 비용보다는 적게 든다 하더라도 많은 비용과 시간을 소요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방안이 여러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무선망 설계 시스템과 같은 GIS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동일 지역에 대해 여러 종류의 맵을 오버레이해서 운용하게 된다. 이를 위해, 초기 구축 과정에서 원시 데이터를 무선망 설계 시스템에서 운용되는 형태의 포맷으로 변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런데, 데이터 포맷 변환은 많은 비용과 시간이 드는 작업이다. 또한, 두 시스템간의 포맷 변환 유틸리티가 없으면 작업이 불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이미지는 포맷 변환과 별개로 헤더를 제외한 이미지 데이터를 등록하는 작업을 통해 포맷변환을 단순화할 수 있다. 즉, 두 시스템간의 포맷 변환 유틸리티없이 다른 시스템으로 등록이 가능하다.
그럼, 일반적인 이미지 맵 좌표등록 절차와 이 과정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살펴보기로 한다.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많은 GIS 플랫폼이 존재하고, 각각은 시스템의 성능과 기능에 있어 차별화를 위해 독자적인 데이터 포맷을 가지고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플랫폼 기반으로 구현되어 있는 GIS 응용 프로그램에서 서비스를 위 해 GIS 데이터를 운용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포맷을 응용 프로그램 플랫폼의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해주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GIS 데이터 포맷도 데이터가 작성된 GIS 플랫폼에 종속적이므로 이론상 모든 종류의 GIS 데이터를 원하는 GIS 응용 프로그램으로 순조롭게 변환하기 위해서는 N×(N-1)개의 변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성능상, 기능상의 이유로 데이터의 포맷도 새로운 표준이 지속적으로 등장하므로, 이에 따라 변환 유틸리티를 보완하는 것도 한계가 있으며, 데이터 변환은 특성상 정보의 손실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완벽한 변환은 불가능하다. 또한, 변환 작업의 효율을 위해 데이터 표준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도 일반화되어 있지는 않은 실정이다.
종래의 이미지 맵간의 포맷 변환 방법은 한 포맷에서 다른 포맷으로의 변환 규칙을 구현한 변환 유틸리티를 통해서 이루어지고, 변환 유틸리티가 없는 경우에는 이미지 파일을 등록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미지 맵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그래픽 정보와 GIS 맵으로서의 맵 경계정보, 좌표체계 정보 등을 포함한 헤더정보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한 시스템에서 다른 시스템으로 데이터 포맷을 변환하기 위해, 변환 유틸리티가 없는 경우 변환할 A 포맷의 이미지 맵(1a)에서 헤더정보를 제외한 이미지 파일 정보(1b)를 추출하고, 새로운 B 포맷의 이미지 맵(1c)으로 등록하는 형태로 작업이 가능하다.
일반적인 이미지 맵 등록 작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맵(2b)을 추 가적으로 필요로 하며, 내부적으로 이미지 파일(2a)을 참조맵(2b)과 일치시키는 와핑작업을 포함한다. 와핑작업은 이미지맵을 변형하는 기법으로, 그래픽 이미지(2a)를 좌표체계를 갖는 이미지 맵(2c)으로 변환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미지상의 와핑점과 참조맵 상의 참조점(매핑점)과의 관계로부터 생성된 수식을 이미지상의 모든점에 적용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법은 초기 원시 데이터를 등록하는 경우와, 강제적으로 다른 종류의 데이터와 일치시켜 오버레이하려는 경우에는 필요한 절차이나, 그 이외의 경우는 오차를 포함하는 좌표 등록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도엽의 크기가 커서 여러 개의 와핑점과 매핑점을 선택해야 하는 경우, 실수에 의해 재작업을 하는 경우가 빈번한데, 기존에 체크한 점을 다시 찾기 위한 노력에 시간이 낭비되고, 오차가 포함될 우려가 있다. 한편, 참조맵이 없이 작업이 불가능하다는 원론적인 문제도 현실적으로 적용하기에 어려움을 초래하는 문제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미지 맵간의 포맷 변환작업에서 변환 유틸리티와 참조맵이 없는 경우 와핑점 선택을 용이하게 하고 참조점을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과 오차전파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이미지 맵 변환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이미지 맵 변환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소스 이미지 맵(이하 제1 이미지 맵)에 대해 격자좌표를 포함시켜 신규 이미지 맵(이하 제2 이미지 맵)을 생성하기 위한 이미지 맵 생성수단; 상기 이미지 맵 생성수단에서 입력받은 제1 이미지 맵으로부터 이미지 파일(이하 제1 이미지 파일)을 추출하고, 상기 이미지 맵 생성수단에서 생성한 제2 이미지 맵으로부터 상기 격자좌표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이하 제2 이미지 파일)을 추출하기 위한 이미지 파일 추출수단; 상기 이미지 파일 추출수단에서 추출한 제1 이미지 파일을 변환 대상 이미지 맵 포맷을 따르는 제1 임시 이미지 맵으로 등록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 추출수단에서 추출한 제2 이미지 파일을 변환 대상 이미지 맵 포맷을 따르는 제2 임시 이미지 맵으로 등록하기 위한 이미지 파일 등록수단; 및 상기 이미지 파일 등록수단에서 등록한 제1 임시 이미지 맵 및 제2 임시 이미지 맵을 변환 대상 이미지 맵 좌표체계 상에 오버레이한 후에, 상기 제2 임시 이미지 맵의 각 격자선의 교차점 일부를 와핑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각 와핑점을 각각의 변환 대상 좌표값에 매핑시켜 와핑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와핑처리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이미지 맵 변환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소스 이미지 맵(이하 제1 이미지 맵)을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제1 이미지 맵에 대해 격자좌표를 포함시켜 신규 이미지 맵(이하 제2 이미지 맵)을 생성하는 이미지맵 생성단계; 상기 제1 이미지 맵으로부터 이미지 파일(이하 제1 이미지 파일)을 추출하고, 상기 제2 이미지 맵으로부터 상기 격자좌표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이하 제2 이미지 파일)을 추출하는 이미지파일 추출단계; 상기 추출한 제1 이미지 파일을 변환 대상 이미지 맵 포맷을 따르는 제1 임시 이미지 맵으로 등록하고, 상기 추출한 제2 이미지 파일을 변환 대상 이미지 맵 포맷을 따르는 제2 임시 이미지 맵으로 등록하는 이미지파일 등록단계; 및 상기 등록한 제1 임시 이미지 맵 및 제2 임시 이미지 맵을 변환 대상 이미지 맵 좌표체계 상에 오버레이한 후에, 상기 제2 임시 이미지 맵의 각 격자선의 교차점 일부를 와핑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각 와핑점을 각각의 변환 대상 좌표값에 매핑시켜 와핑 작업을 수행하는 와핑 처리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이미지 맵 변환 장치에, 외부로부터 소스 이미지 맵(이하 제1 이미지 맵)을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제1 이미지 맵에 대해 격자좌표를 포함시켜 신규 이미지 맵(이하 제2 이미지 맵)을 생성하는 기능; 상기 제1 이미지 맵으로부터 이미지 파일(이하 제1 이미지 파일)을 추출하고, 상기 제2 이미지 맵으로부터 상기 격자좌표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이하 제2 이미지 파일)을 추출하는 기능; 상기 추출한 제1 이미지 파일을 변환 대상 이미지 맵 포맷을 따르는 제1 임시 이미지 맵으로 등록하고, 상기 추출한 제2 이미지 파일을 변환 대상 이미지 맵 포맷을 따르는 제2 임시 이미지 맵으로 등록하는 기능; 및 상기 등록한 제1 임시 이미지 맵 및 제2 임시 이미지 맵을 변환 대상 이미지 맵 좌표체계 상에 오버레이한 후에, 상기 제2 임시 이미지 맵의 각 격자선의 교차점 일부를 와핑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각 와핑점을 각각의 변환 대상 좌표값에 매핑시켜 와핑 작업을 수행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이미지 맵 변환 유틸리티와 등록 과정시 필요한 참조맵없이 한 포맷을 다른 포맷으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이미지 등록 과정중 와핑(warping)점과 참조점 선택시 발생되는 오차 문제점을 해결하여 변환 유틸리티없이 정확도 높은 이미지 맵 변환 결과를 얻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변환하려는 이미지 맵(소스 이미지 맵)으로부터 격자좌표를 포함하는 신규 이미지 맵을 생성하고, 상기 소스 이미지 맵에 대해 포맷정보와 좌표정보가 없는, 예컨대 포맷정보와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헤더정보가 없는 순수한 이미지 파일을 추출하고 상기 신규 이미지 맵에 대해 그 이미지 상에 상기 격자좌표가 포함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추출하고, 상기 각각의 이미지 파일을 변환하려는 대상 이미지 맵의 포맷으로 임시 등록하고, 상기 각각의 임시 등록된 이미지 맵을 도시하기 위해 두 이미지를 오버레이한 후에 신규 이미지 맵의 각 격자선의 교차점 일부를 와핑점으로 설정하고 각 와핑점에 대해 변환될 좌표값을 매핑하여 와핑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이러한 와핑 작업 수행에 따라 소스 이미지 맵 상의 모든 픽셀이 타겟 이미지 맵 좌표체계에 맞게 위치 변환되게 되며 소스 이미지 맵이 타겟 이미지 맵으로 변환되는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격자좌표가 포함되어 있는 이미지 맵이 기존의 이미지 맵 변환 방식의 참조 맵 기능을 수행하며, 신규 이미지 맵의 이미지 파일에 포함되는 격자좌표가 기존의 이미지 맵 변환 방식의 변환 유틸리티가 사용하는 헤더정보와 각 이미지 픽셀에 대한 위치 변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무선망설계 시스템, 위치정보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GIS 응용 프로그램에서 이미지 맵을 서비스 하기 위해 응용 프로그램의 플랫폼에 적합한 포맷과 좌표체계로 이미지 맵을 변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맵 변환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맵 변환 장치는, 참조맵과 변환 프로그램없이 이미지 맵을 등록하는 것으로서, 변환할 이미지 맵을 입력받아, 변환할 이미지 맵에서 격자좌표를 포함하는 이미지 맵을 생성하기 위한 이미지 맵 생성기(31)와, 변환할 이미지 맵과 격자좌표 포함 이미지 맵으로부터 각각 이미지 파일을 추출하기 위한 이미지 파일 추출기(32)와, 이미지 파일 추출기(32)에서 추출된 변환할 이미지 파일과 격자좌표 포함 이미지 파일을 변환하려는 대상 이미지 맵의 포맷으로 임시 등록하기 위한 이미지 파일 등록기(33)와, 각각의 등록된 이미지 맵을 오버레이후 격자선의 교차점을 와핑점으로 설정하고, 각 와핑점에 대해 변환될 좌표값을 매핑하여 와핑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와핑처리기(34)를 포함한다.
이미지 맵 생성기(31)는 변환할 이미지 맵을 입력받아 격자좌표를 포함하는 새로운 이미지맵을 생성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변환할 이미지 맵에서 소정 거리간격으로 격자선과 각 격자선에 해당하는 좌표값을 포함하는 새로운 이미지 맵을 생성한다.
이미지 파일 추출기(32)는 변환할 이미지맵과 격자좌표포함 이미지 맵으로부터 이미지 파일을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상기 변환할 이미지맵(소스 이미지 맵)에 대해 포맷정보와 좌표정보가 없는, 예컨대 포맷정보와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헤더정보가 없는 순수한 이미지 파일을 추출하고, 상기 격자좌표포함 이미지 맵(신규 이미지 맵)에 대해 그 이미지 상에 상기 격자좌표가 포함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추출한다. 예컨대, 상기 격자좌표포함 이미지 맵(신규 이미지 맵)은 이미지 맵 생성기(31)에 의해 그 격자좌표가 이미지 파일 상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에 상기 이미지 파일 추출기(32)는 신규 이미지 맵에 대해 그 이미지 상에 상기 격자좌표가 포함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추출하는 것이다.
이미지 파일 등록기(33)는 변환 목적 이미지 맵 포맷으로의 초기 등록 작업을 수행한다. 즉, 변환할 이미지 파일과 격자좌표포함 이미지 파일을 변환하려는 대상 이미지 맵의 포맷으로 임시 등록한다.
와핑처리기(34)는 등록된 이미지 맵에 목적 이미지 맵 포맷에 적합한 좌표정보를 부여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한다. 즉, 각각의 등록된 이미지 맵을 오버레이 도시후 격자선의 교차점을 와핑점으로 설정하고, 각 와핑점에 대해 변환될 좌표값을 매핑하여 와핑 작업을 수행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맵 변환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변환할 이미지 맵(4a)과, 상기 변환할 이미지 맵(4a)에 대해 격자선과 좌표정보를 포함하여 이미지화한 이미지 맵(4b)으로부터 추출한 두 이미지 파일(4c,4d)을 가지고 변환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변환할 이미지 맵(4a)으로부터 추출한 이미지 파일(4c)은 헤더정보가 없고, 격자선과 좌표정보를 포함하여 이미지화한 이미지 맵(4b)으로부터 추출한 이미지 파일(4d)에는 이미지 상에 그 격자좌표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두 이미지 파일(4c,4d)을 변환하고자 하는 대상 이미지 맵 포맷으로 임시 등록한다(4e). 이미지 맵은 이미지 맵으로서의 좌표정보만을 가지므로 초기 등록시에는 보통 좌하단이 좌표축에 접하는 형태로 임시 등록이 된다. 따라서, 변환 대상 이미지 맵의 좌표체계로 매핑을 위해 세 개 이상의 와핑점을 선택하고 새로운 맵상의 대응되는 좌표값을 입력하여 와핑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변환된 결과 이미지 맵을 얻는다(4f). 이러한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맵 변환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맵 변환 방법은, 먼저 이미지 맵 생성기(31)에서 변환할 소스 이미지맵으로부터 좌표정보를 나타내는 격자선과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이미지 맵을 생성한다(501).
이후, 이미지 파일 추출기(32)에서 변환할 소스 이미지 맵과 새롭게 생성된 격자정보 포함 이미지 맵으로부터 각각 이미지 파일을 추출한다(502).
다음으로, 이미지 파일 등록기(33)에서 추출된 두 이미지 파일을 각각 변환 목적 이미지 맵 포맷으로 임시 등록한다(503). 이 경우 두 이미지 맵은 변환 대상 이미지 맵의 좌표체계 상에 아직 좌표 등록되지 않은 초기 등록 상태이다. 따라서, 와핑처리기(34)에서는 변환 대상 이미지 맵의 좌표체계 상에 임시 등록된 두 이미지 맵을 오버레이한 후에(504), 화면상에 나타나는 격자선의 교차점들 중에 세 점 이상을 선택해 와핑 기준 좌표값으로 사용한다(505).
이후, 각각의 와핑 기준 좌표값에 대해서 소스 이미지 교차점에 해당하는 좌표값을 매핑 좌표값으로 키 입력하여 일대일로 매핑된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와핑 작업을 수행한다. 이 경우 만일 새로운 이미지 맵과 소스 이미지 맵간의 좌표체계가 다른 경우는 소스 이미지 맵상에서 생성된 격자좌표값을 좌표변환하여 매핑 좌표값으로 사용한다(506 ~ 509).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이미지 맵 변환작업에서 별도의 참조맵없이 데이터 등록이 가능하도록 하여 데이터 포맷 변환 작업에 드는 메모리량, 비용,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또한 참조맵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참조점을 이용하는 등록방법에서 와핑점과 참조점 선택과정중 발생할 수 있는 작업의 비효율성 및 오차 전파의 문제점을 피할 수 있으며, 편리하고 정확한 변환 결과를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이미지 맵 변환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소스 이미지 맵(이하 제1 이미지 맵)에 대해 격자좌표를 포함시켜 신규 이미지 맵(이하 제2 이미지 맵)을 생성하기 위한 이미지 맵 생성수단;
    상기 이미지 맵 생성수단에서 입력받은 제1 이미지 맵으로부터 이미지 파일(이하 제1 이미지 파일)을 추출하고, 상기 이미지 맵 생성수단에서 생성한 제2 이미지 맵으로부터 상기 격자좌표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이하 제2 이미지 파일)을 추출하기 위한 이미지 파일 추출수단;
    상기 이미지 파일 추출수단에서 추출한 제1 이미지 파일을 변환 대상 이미지 맵 포맷을 따르는 제1 임시 이미지 맵으로 등록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 추출수단에서 추출한 제2 이미지 파일을 변환 대상 이미지 맵 포맷을 따르는 제2 임시 이미지 맵으로 등록하기 위한 이미지 파일 등록수단; 및
    상기 이미지 파일 등록수단에서 등록한 제1 임시 이미지 맵 및 제2 임시 이미지 맵을 변환 대상 이미지 맵 좌표체계 상에 오버레이한 후에, 상기 제2 임시 이미지 맵의 각 격자선의 교차점 일부를 와핑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각 와핑점을 각각의 변환 대상 좌표값에 매핑시켜 와핑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와핑처리수단
    을 포함하는 참조맵을 사용하지 않는 이미지 맵 변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맵 생성수단은,
    상기 제1 이미지 맵에 대해 소정 거리간격으로 격자선과 좌표값을 포함시켜, 상기 격자좌표가 포함된 상기 제2 이미지 맵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조맵을 사용하지 않는 이미지 맵 변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은, 포맷정보와 좌표정보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조맵을 사용하지 않는 이미지 맵 변환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핑처리수단은,
    상기 제1 임시 이미지 맵 및 제2 임시 이미지 맵을 변환 대상 이미지 맵 좌표체계 상에 오버레이한 후에, 상기 제2 임시 이미지 맵의 각 격자선의 교차점을 다수개 선택해 와핑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각 와핑점에 대해 상기 교차점에 해당되는 좌표값을 변환 대상 좌표값에 매핑시키되, 변환 대상 이미지 맵과 상기 제1 임시 이미지 맵간 좌표체계가 서로 다름에 따라 상기 제1 임시 이미지 맵에 의한 격자좌표값을 좌표변환해 매핑 좌표값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조맵을 사용하지 않는 이미지 맵 변환 장치.
  5. 이미지 맵 변환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소스 이미지 맵(이하 제1 이미지 맵)을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제1 이미지 맵에 대해 격자좌표를 포함시켜 신규 이미지 맵(이하 제2 이미지 맵)을 생성하는 이미지맵 생성단계;
    상기 제1 이미지 맵으로부터 이미지 파일(이하 제1 이미지 파일)을 추출하고, 상기 제2 이미지 맵으로부터 상기 격자좌표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이하 제2 이미지 파일)을 추출하는 이미지파일 추출단계;
    상기 추출한 제1 이미지 파일을 변환 대상 이미지 맵 포맷을 따르는 제1 임시 이미지 맵으로 등록하고, 상기 추출한 제2 이미지 파일을 변환 대상 이미지 맵 포맷을 따르는 제2 임시 이미지 맵으로 등록하는 이미지파일 등록단계; 및
    상기 등록한 제1 임시 이미지 맵 및 제2 임시 이미지 맵을 변환 대상 이미지 맵 좌표체계 상에 오버레이한 후에, 상기 제2 임시 이미지 맵의 각 격자선의 교차점 일부를 와핑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각 와핑점을 각각의 변환 대상 좌표값에 매핑시켜 와핑 작업을 수행하는 와핑 처리단계
    를 포함하는 참조맵을 사용하지 않는 이미지 맵 변환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맵 생성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 맵에 대해 소정 거리간격으로 격자선과 좌표값을 포함시켜, 상기 격자좌표가 포함된 상기 제2 이미지 맵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조맵을 사용하지 않는 이미지 맵 변환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파일은, 포맷정보와 좌표정보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조맵을 사용하지 않는 이미지 맵 변환 방법.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핑 처리단계는,
    상기 제1 임시 이미지 맵 및 제2 임시 이미지 맵을 변환 대상 이미지 맵 좌표체계 상에 오버레이한 후에, 상기 제2 임시 이미지 맵의 각 격자선의 교차점을 다수개 선택해 와핑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각 와핑점에 대해 상기 교차점에 해당되는 좌표값을 변환 대상 좌표값에 매핑시키되, 변환 대상 이미지 맵과 상기 제1 임시 이미지 맵간 좌표체계가 서로 다름에 따라 상기 제1 임시 이미지 맵에 의한 격자좌표값을 좌표변환해 매핑 좌표값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조맵을 사용하지 않는 이미지 맵 변환 방법.
  9. 프로세서를 구비한 이미지 맵 변환 장치에,
    외부로부터 소스 이미지 맵(이하 제1 이미지 맵)을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제1 이미지 맵에 대해 격자좌표를 포함시켜 신규 이미지 맵(이하 제2 이미지 맵)을 생성하는 기능;
    상기 제1 이미지 맵으로부터 이미지 파일(이하 제1 이미지 파일)을 추출하고, 상기 제2 이미지 맵으로부터 상기 격자좌표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이하 제2 이미지 파일)을 추출하는 기능;
    상기 추출한 제1 이미지 파일을 변환 대상 이미지 맵 포맷을 따르는 제1 임시 이미지 맵으로 등록하고, 상기 추출한 제2 이미지 파일을 변환 대상 이미지 맵 포맷을 따르는 제2 임시 이미지 맵으로 등록하는 기능; 및
    상기 등록한 제1 임시 이미지 맵 및 제2 임시 이미지 맵을 변환 대상 이미지 맵 좌표체계 상에 오버레이한 후에, 상기 제2 임시 이미지 맵의 각 격자선의 교차점 일부를 와핑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각 와핑점을 각각의 변환 대상 좌표값에 매핑시켜 와핑 작업을 수행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10077788A 2001-12-10 2001-12-10 참조맵을 사용하지 않는 이미지 맵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KR100852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788A KR100852594B1 (ko) 2001-12-10 2001-12-10 참조맵을 사용하지 않는 이미지 맵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788A KR100852594B1 (ko) 2001-12-10 2001-12-10 참조맵을 사용하지 않는 이미지 맵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324A KR20030047324A (ko) 2003-06-18
KR100852594B1 true KR100852594B1 (ko) 2008-08-14

Family

ID=29573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788A KR100852594B1 (ko) 2001-12-10 2001-12-10 참조맵을 사용하지 않는 이미지 맵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25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514B1 (ko) * 2005-07-28 2007-05-09 엔에이치엔(주) 좌석 예매/판매를 위한 공연장 맵 생성 방법 및 이를이용한 좌석 예매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3733A (ko) * 1998-12-29 2000-07-15 이계철 교차점 샘플링에 의한 디지털 고도 모델 생성방법
KR20010078502A (ko) * 1999-12-16 2001-08-21 이계철 라스터 맵 오버레이 방법
KR20020000308A (ko) * 2000-06-23 2002-01-05 정구영, 이상지 범세계 공용 격자 좌표계에 의한 지도 및 지도표기 방식
KR20020004298A (ko) * 2000-07-04 2002-01-16 김정진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
KR20020014011A (ko) * 2000-08-12 2002-02-25 이명구 디지털 수치 지도와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및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3733A (ko) * 1998-12-29 2000-07-15 이계철 교차점 샘플링에 의한 디지털 고도 모델 생성방법
KR20010078502A (ko) * 1999-12-16 2001-08-21 이계철 라스터 맵 오버레이 방법
KR20020000308A (ko) * 2000-06-23 2002-01-05 정구영, 이상지 범세계 공용 격자 좌표계에 의한 지도 및 지도표기 방식
KR20020004298A (ko) * 2000-07-04 2002-01-16 김정진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
KR20020014011A (ko) * 2000-08-12 2002-02-25 이명구 디지털 수치 지도와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및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324A (ko)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25630B (zh) 一种基于svg的电力系统地理接线图背景地图生成方法
JP2007241356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6065407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プログラム
KR100368198B1 (ko) 마이크로컴퓨터
KR100852594B1 (ko) 참조맵을 사용하지 않는 이미지 맵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KR100362171B1 (ko) 영상 특징점 매칭을 이용한 변환 행렬 추정 장치, 방법 및 그 기록매체와 그를 이용한 모자이크 영상 생성 장치, 방법 및 그 기록매체
CN108920117B (zh) 一种跨终端的多屏显示方法、客户端及系统
JP2000105813A (ja) 画像連接システム、および画像連接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4062602A (ja) 画像表示装置及び方法
KR20010038800A (ko) 저니키/의사 저니키 모멘트 추출 방법
US20200134353A1 (en) Monitoring-screen-data generation device, monitoring-screen-data generation method, and reecoridng medium
JP3155617B2 (ja) 文書処理方法及び装置
KR100586602B1 (ko) 라스터 맵 오버레이 방법
KR100932123B1 (ko) 영상축소방법 및 장치
JPH06168278A (ja) 設備データ検索装置
US10410052B2 (en) Stroke based skeletonizer
KR100321773B1 (ko) 공간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서공간데이터를포스트스크립트형식으로변환하는방법
CN107146269B (zh) 一种图像填充方法及系统
CN105373822A (zh) 一种矩形防伪标签、以及对其进行识读的方法与系统
CN113658294A (zh) 图像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2526004B2 (ja) グラフィック・システムのイメ―ジをテキスト処理システムへ組み込むシステム及びグラフィック・イメ―ジをテキスト処理システムに組み込む方法
CN111870955A (zh) 一种高度图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4114812B2 (ja) 記号画像の管理方法
KR19990032083A (ko) 삼각형 화소 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래픽 데이터의 좌표변환 방법
KR0175738B1 (ko) 인포맵 데이타베이스를 디엑스에프 데이타 포맷으로 변환시키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