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4298A -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 - Google Patents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4298A
KR20020004298A KR1020000038044A KR20000038044A KR20020004298A KR 20020004298 A KR20020004298 A KR 20020004298A KR 1020000038044 A KR1020000038044 A KR 1020000038044A KR 20000038044 A KR20000038044 A KR 20000038044A KR 20020004298 A KR20020004298 A KR 20020004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information system
general information
movie
system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명달
박용국
Original Assignee
김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진 filed Critical 김정진
Priority to KR1020000038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4298A/ko
Publication of KR20020004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29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04Texture ma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8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all processing steps from image acquisition to 3D model ge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우 작은 용량으로 끊어짐 없이 빠르고 자유롭게 이동시키고 회전시키며 확장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안출된 작은 용량으로 끊어짐 없이 빠르게 운용되는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General lnformation System Map)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3D MAX 편집 과정을 비롯한 FASH 편집 과정을 통한 픽셀 이미지에서 벡터 이미지로의 변환 과정 및 2D 드로잉과 3D 그래픽 디자인에 의한 벡터 그래픽(VECTOR GRAPHICS)과정 등 복잡하고 수학적인 과정을 거쳐서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세계 각 국가별 지도를 비롯한 지역별 지도 및 특정 건물의 사진과 기타자료 또는 그래픽 도면 등을 스케닝(SCANNING) 받아서 포토샵(PHOTOSHOP;사진 합성 및 수정용 소프트웨어)으로 경계선 하나하나를 PATH로 라인을 생성한 후 지도 등 스케닝 자료로는 버리고 작업한 PATH만 남겨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방법으로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되는 것으로서, 적용범위는 국가적 차원을 비롯하여 개인에게 이르기까지 매우 광범위하고 다양하다.
특히, 본 발명의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General lnformation System Map)는, 3D 제공되는 그래픽 또는 사진의 화면으로 해당지역을 가보지 않고도 구석구석 구체적으로 빈틈없이 지리 지형을 완벽하게 살펴볼 수 있게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정부차원의 국토개발계획 또는 지역개발계획을 비롯한 부동산 중개 또는 매매 업 ·항공 업·철도 업·선박 업·자동차 운송 업·관광 업·유/무선 통신업·광고업·유/무선방송 업·인터넷 통신업·제조업·유통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이용할 수 있게 된 다.
특히, 본 발명은 인공위성 및 무선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분야에서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한 지리 지형적 정보를 세계 어느 곳 에서나 서비스 할 수 있고 받을 수 있게되므로 생활 속에서 폭 넓은 도움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General lnformation System Map}
본 발명은 매우 작은 용량으로 끊어짐 없이 빠르고 자유롭게 이동시키고 회전시키며 확장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안출된 작은 용량으로 끊어짐 없이 빠르게 운용되는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General lnformation System Map)에 관한 것이다.
지도란!? 인간이 땅에 대한 정보를 얻는 수단으로 이용되는 지형, 시설물 등 땅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각각 해당분야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자료를 가리키는 용어이고, 이와 같은 지도는 수시로 변하는 내용들을 수록하지 못하면 이용의 한계를 느끼게 된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 처리, 분석함으로서 효과적인 이용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컴퓨터의 이용은 방대하고 다양한 자료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종합적 공간처리 기술인 지리 정보 시스템으로 발달하기에 이르게 되었다.
이와 같은 시스템의 발달은 "지형, 지세, 토지이용, 도시계획, 지역계획 등공간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며 그러한 정보들을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분석하여 필요한 결과물을 생산하고 공간분석에 관하여 종합적인 정보를 관리 운용하는 시스템"이라고 한다.
이를 전문적 학술 용어로 정의하자면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General lnformation System Map)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용어를 가리켜서 통상 GIS 지도라고 한다.
한편, 지금까지 알려지고 있는 GIS 지도의 발달 과정과 현황을 살펴볼 때, GIS 정보 시스템 지도는 1960년에 처음 캐나다의 토지 및 환경 정보시스템(GIS) 사업의 일환으로 캐나다의 광대한 토지자원 조사와 분석 관리를 위해 활용되기 시작되면서 1960년대 후반에 센서스 자료를 취급하는 캐나다 통계 국의 GIS가 개발되었다.
1960년대에는 영국, 호주에서도 GIS 연구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특히 통계 국이 1970년 국세조사에 Geo-cicling system (주소로부터 위치 좌표를 검색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하여, 도로와 위치 좌표를 중첩시킴으로 각 지방 공공단체가 쉽게 GIS 지도를 도입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표준화가 이루어진 결과 1980년대 초 Syneroom, Intergraph, ESRI와 같은 업체가 GIS Turnkey을 판매하게 되어 보급의 박차를 가하게 되었고, 이 당시에는 줄과 배열을 저장하기 쉬운 격자형 시스템이 주로 보급되었다.
그러나 격자형 시스템은 초기의 인기와는 달리 화소크기에 따른 현상학적 인식구조의 변질 문제, 이에 따른 속성정보의 손실, 당시의 기술수준에 비하여 엄청나게 요구되는 기존의 격자형 자료구조의 시스템에 비하여 백터(VECTOR)형식의 자료구조를 갖는다.
이 자료구조는 현상학적 테이터 구조의 제공과 압축된 데이터 구조, 상호 연결성, 도형과 비도형 데이터의 수정 및 일반화가 가능하다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지방 공공 단체에서 각광받기 시작하였다.
1990년 현재, 북미 대륙 내에서 이미 4,000개 이상의 GIS 자동차 시스템이 가동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또한 영국을 비롯한 유럽지역은 물론 남미 지역에서도 정부 및 민간 연구기관에서 GIS의 활발한 개발과 이용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본, 자유중국, 홍콩 등에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자유중국의 경우에는 국립대만대학에서 180만불의 예산을 바탕으로 NGIS(National geography Information System)의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가 시행되고 있고, 일본의 경우는 1970년대에 들어와서 미국, 캐나다, 등지에서 개발된 GIS가 도입되기 시작하여 1975년에는 국토청의 주도로 국토 정보 사업이 착수되었으며, 80년대부터는 건설성에서 도시정보 시스템(UIS)의 구축이 시작되었다.
즉, 국토지리원내에 지도정보실 및 사진측량기술 개발실을 신설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지형도, 주제도 등의 자동화 기술개발에 착수하였으며, 이후 일본은 중앙정부와 각급 지방단체에서 지리정보의 활발한 구축이 진행되었고 민간부문에 있어서도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해외 연구동향에 비추어 볼 때 GIS의 역사가 매우 짧으나국립지리원, 국토개발연구원, 한국전력기술, 통계청, 도로공사, 토지개발공사, 농어촌진홍공사, 지적공사, 주택공사, 서울시청, 인천시청, 건설부등의 각 기관과 서울대학교, 한양대학교, 강원대학교, 수원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경북대학교 등을 비롯한 각 대학과 과학기술 연구원, 동력자원연구소, 해양연구소, 국토개발연구원 등의 연구소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 들어서 기술상으로 점차 성숙되어 이전의 많은 문제점이 해결되고 되고 실용적인 시스템으로 발전됨에 따라 GIS는 지리정보를 정리, 취급하기 위한 유용한 도구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연구보고에 따르면 미국 정부 각 부문의 정책 결정 과정에서 80%이상이 GIS 분석자료의 이용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미국정부는 매년 많은 예산을 투자하여 필요한 지형과 지리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또한 GIS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것이라는 전망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발전과 새로운 자료출처의 개발에 있어서 낙관적인 추세에서 그 근거를 쉽게 찾을 수가 있다.
현재에 있어서의 GIS 연구 방향은 현실 세계의 변화를 설명하는 방법과 인간의 인식능력 한계를 보완하는 새로운 수단을 찾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현재 구현되고 있는 기술을 살펴보면, 현재, 인터넷 통신상에서 GIS를 구현하기 위한 사용자 시스템의 개발방향은 CGI 기반, PLUG-IN 및 ACTIVX 기반 JAVA 기반의 세가지로 나뉘어 개발 또는 사용되고 있다.
한편, 초기의 인터넷 GIS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방식인 CGI(Common GatewayInterface)는 HTTP의 단순한 기능확장으로 보통의 HTML 문서가 정적인 데이터를 다루는데 비하여 CGI는 실시간으로 작동되며 동적인 정보를 만들어 낼 수 있다.
CGI 방식에서는 서버가 모든 기능을 수행해야 하므로 서버에 과중한 부하가 걸리며-통신부하가 걸리는 단점이 있고 단순한 맵디스플레이 등 매우 제한된 범위에서 이용될 뿐 다양한 GIS 분석 기능을 포괄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현재 CGI 방식을 이용한 싸이트는 YAHOO MAP 등이 있다.
GIS PLUG-IN은 웹브라우져 내부에서 GIS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작은 프로그램이다.
필요한 경우에 웹서버로부터 전송되어져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설치되고 작동된다.
AUTODESK사의 MAPGUIDE 등의 인터넷 GIS 프로그램들이 PLUG-IN 방식의 프로그램이다.
MS사의 ACTIVE는 OLE와 COM을 결합한 일련의 기술과 서비스를 이른다. GIS ACTIVEX CONTROL은 ACTIVEX CONTROL을 이용하여 개발된 작은 GIS 프로그림으로 연산능력과 전송기능, 자체적인 그래픽 인터페이스 기능 등을 가진다.
ACTIVEX의 장점은 어떠한 어플리케이션에도 결합할 수 있는 일반화된 컴포넌트웨어(Componentware)라는 점이다. 즉 ACTIVEX CONTROL은 COM 표준을 만족하는 어떠한 언어(VISUAL BASIC등)나 어플리케이션(EXCEL등)에 의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ACTIVEX의 작동방식은 PLUG-IN과 유사하다. 이 모듈은 서버에 저장되고 필요한 경우 클라이언트로 전송되어 웹브라우져 내부에서 운용되며, 웹브라우져가 GIS데이터를 인식하면 HTML 파일에서 참조된 ACTIVEX CONTROL을 작동시키게 된다.
ESRI의 MAPOBJECT IMS, INTERGRAPH의 GEIMEDIA WAB MAP, CITRIX의 WINFRAME WEB CLIENT ACTIVEX CONTROL 등 많은 상업 GIS들이 이러한 방식을 체택하고 있다. PLUG-IN과 ACTIVEX 방식은 사용되지 않을 때는 메모리 공간을 차지 하지 않고 화면제어(ZOOM, PAN), 질의(QUERY)등 간단한 GIS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에서 작동되므로 클라이언트의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이들은 플랫트폼 의존적 즉 특정 하드웨어와 OS에서만 작동된다는 한계가 있으며, 따라서 여러 가지 하드웨어와 OS를 위한 PLUG-indnl 개발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ACTIVEX는 현재 DCOM 등 미들웨어(MIDDLEWARE)를 통해 다른 하드웨어 및 OS와 연계 할 수 있는 방안이 개발되고 있지만 근본적으로 MS의 OS에서 작동되는 표준이다. 이러한 문제로인해 현재 상업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이 방식의 웹서버 프로그램들을 특정 OS(WINDOWSNT)만을 지원한다.
JAVA는 SUN에 의해 개발된 객체지향형 프로그래밍 언어로 JAVA APPLET은 작동가능한 작은 JAVA 어플리케이션이다.
JAVA APPLET은 파일크기가 작아서 인터넷을 통해 효율적으로 전송될 수 있고, 서버에 저장되며 클라이어트의 웹브라우져를 통해 접근된다.
GIS 기능과 데이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로 보내지는데, 모든 작동이 클라이언트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초기의 APPLET 및 데이터의 전송 이외에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통신부하는 크지 않으며 작동이 끝나면자동적으로 설치 해제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JAVA는 또한 다양한 그래픽 도구들을 제공하여 진보된 인터페이스와 복잡한 맵을 표현할 수 있고, 질의(QUWRY) 기능을 포함할 수 있어, GIS 데이터를 웹상에서 처리하기에 적합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JAVA의 보안 메커니즘 때문에 분석결과를 클라이언트에 저장할 수 없고 초기 접속한 서버이외의 네트워크 컴퓨터와 연결이 제한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인터넷 GIS의 기능이 많아지고 복잡해지면 JAVA APPLET의 종류가 많아지고 크기도 커져서 전송에 부하가 발생할 수도 있다. INTERNET GIS ACTIVEMAPS 등의 인터넷 GIS 서버가 JAVA 기반의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장래의 인터넷 GIS는 처리방식에 있어서 전송부하를 취소화 하는 동시에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컴퓨팅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혼합방식이 주류를 이룰 것이며 데이터 포맷에 있어서는 전송 속도 면에서 유리하고 객체 선택이 가능한 벡터 방식이 주를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PLUG-IN, ACTIVEX, JAVA등 인터넷 GIS의 구현방식들은 각각의 장단점을 결합하는 혼합방식이 주된 흐름을 형성할 것이다.
이미 GEOSYSTEM의 MAPQUEST는 ACTIVE와 JAVA를 혼합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 현제 구현되고 있는 GIS 중, CGI (Common Gateway Interface)는,
·서버가 모든 기능을 수행, 클라이언트에게 걸리는 부하가 적고,
·기존의 GIS 분석가능과 도구를 변경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의 H/W와 OS와 무관하게 작동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서버에 과중한 부하가 걸린다는 단점과,
·통신부하가 크고, 클라이언트의 모든 요구가 CGI를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보내지며,
·정적(STATCI)이미지의 상호 작용적 제한이 있으며,
또 다른 GIS인 PLUG-IN, ActiveX의 경우에는 GIS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작은 프로그램으로 필요한 경우에 웹사이버로부터 전송되어져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설치되고 작동되며, 이 경우
·사용되지 않을 때는 메모리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며,
·간단한 GIS 기능 수행, 클라이언트에게 작동, 클라이언트의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단점으로는
·다양한 데이터 형식을 위한 PLUG-IN을 필요로 한다는 것과,
·클라이언트에게 저장공간이 필요하다는 점을 들을 수 있다.
그리고, JAVA는 SUN에 의해 개발된 객체지향형 프로그래밍 언어로서,
장점으로는,
·클라이언트 지원 활용,
·프랫트폼 중립적,
·진보된 그래픽과 인터페이스,
·파일크기가 작고 효율적인 전송이 가능,
·보안성 우수, JAVA APPLET은 JVM(JAVA VIRTUAL MACHINE)을 통해 작동하며, 클라이언트의 지원을 접근하지 않는 반면에,
단점으로는,
·분석결과를 클라이언트에 저장할 수 없고
·초기 접속한 서버 이외의 네트워크 서버와의 연결이 제한되며
·기능이 많아지고 복잡해지면 JAVA APPLET의 종류도 많아져 크기가 커지고 따라서 전송에 부하가 많이 걸린다.
일반적으로 도시, 환경, 토지, 자원에 관련된 행정업무에 있어서 GIS의 필요성은 행정환경의 변화에 대응한 능동적이며 과학적인 행정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하는 본질적 목적이 부합되어야 한다.
현대의 토지, 문화, 도시화, 다원화의 현상이 심화되는 점이다. 또한 이들분야에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1) 제도적 측면의 문제로는,;
통계담당 부서와 각 전문 부서간의 업무연락 미약, 통계전담 부서 및 인원부족, 지역통계 자료의 미약하고,
(2) 내용적 측면의 문제로는,;
시간적 또는 공간적 자료의 부족과, 개념 및 기준의 불일치로 신뢰도가 저하되며, 자료의 세분화가 미비하고,
(3) 모집 관리 활용 측면의 문제로는,;
자료 중복조사 및 분산관리, 대부분의 통계자료가 작업의존, 통계조사 및 행정업무 자료의 일반적 활용이 곤란함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GIS와 같은 기범을 활용하여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아 사회복지시책의 발굴 및 추진과 함께 행정절차 내용의 합리화와 사회, 경제 및 관리능력의 향상을 실현시켜야 된다.
따라서 복잡하게 변화하는 제반문제의 해결을 GIS를 통해 실현하기 위해서는, 첫째, 관련정보의 구조적 특성 분석, 둘째, 관련정보의 항목별 분류 및 정립, 셋째, 관련 법규를 활용한 자료의 표준화, 넷째, 정보시스템 자료기반 구축의 기본구상 등과 같은 과학적이고 체계 적인 구축방법이 면밀히 분석되어 추진되어야 한다.
한편, 사회 전 분야에 걸친 효율적인 관리 방안과 정책조정을 위하여 지상, 항공 및 원격탐측과 GIS의 도입 및 활용이 절실히 요구됨에 따라 정확한 자료의 지속적 모집, 수집된 자료의 전송 및 전산기 입력, 효율적인 자료저장 방법, 각종 자료의 처리 기법, 적합한 지형공간정보 선정 및 개발, 이미 개발돼 지형공간 정보와의 연결 호환성, 고해상도의 결과를 출력하는 기법 등과 같은 사항들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GIS가 성공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심도있는 전문교육의 실시를 통한 인력양성이 절실하며, 최고관리자로부터 각부서의 실무자까지 관련된 모든 사람들의 관심과 협력이 필요하다.
향후 GIS의 핵심을 이루는 주요 분야를 예측하여 보면,;
첫 번째; 측량학(SURVEING) 및 측지학(GEODESY)분야가 있다.
가). 측량학에 관하여,;
측량학은 지구 및 우주공간에 존재하는 제점간의 상호위치 관계와 그 특성을 해석하는 학문으로서 측량학의 대상은 지표면은 물론 지하, 수중, 해양, 공간 및 우주 등 인간 활동이 미칠 수 있는 모든 영역에 이르며, 그 범위 내에서 자연물, 인공물 등의 대상을 길이, 각, 시 등의 요수에 의하여 정량화 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환경 및 자원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해석한다. 측량학의 처리 순서는 대상물에 대한 조사, 관측, 정량화, 계획 및 설계, 평가 및 유지관리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측량학의 정량적 처리에 있어서는 평면, 곡선 및 공간을 고려한 거리와 각의 조합 해석에 의하여 위치(수평, 수직 또는 삼차원)를 결정하고, 그 위치를 시간 또는 도형학과 함께 해석함으로써 자연물 및 시설물의 개발과 관리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측량학에서는 상대적인 위치관계와 절대적인 위치관계를 규명하는 것은 물론 중력, 지자기, 전기, 탄성파, 전자기파, 음파, 광파, 온도, 농도, 광도 등을 이용하여 지구내부, 지표면, 해양 및 공간상의 물리적 특성을 규명하는 것도 측량에서 다루고 있다.
최근 측량학은 측량기기의 발달과 항공기, 인공위성 등의 활용이 고도화되고, 정보처리의 전산화에 힘입어 토지현황 및 토지측량은 물론 토지개발, 해양개발, 우주개발에 필수적인 학문으로 급성장하고 있다. 측량학은 관측, 해석활동의 기반이 되는 장소에 따라서 지표면 측량, 지하측량, 해양측량으로 나눌 수 있다.
나). 측지학에 관하여,;
측지학은 지구의 형상, 크기, 운동, 지구 내부의 특성 등을 해석하는 학문이다. 넓은 지구 표면의 지형과 중력 변화를 헤아리는 측지측량을 하기 위해서는 지학의 지식을 필요로 하고 있다. 측지학은 지구에 대한 특성을 해석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며, 제반 대상물에 대한 저량화를 수행하는 측량과는 상호보완적인 관계이다.
두 번째 ; 사진 측정학 분야에서,
※사진측정학에 관하여,;
사진측정학은 전자기파에 의한 영상을 이용하여 대상물에 대하여 정성 및 정량적인 해석을 하는 학문이다.
PHOTOGRAMMETRY는 라틴어로 PHOTOS(광, 전자기파, 사진), GRAMMA(형상)와 METRON(관측, 측량),의 합성어로서 사진측량(PHOTOGRAPHIC SURVERY), 사진판독(PHOTOGRAPHIC INTERPOLATION)과 원격탐측(REMOTE SENSING)으로 구별하여연구 개발되어 왔으며 광의 사진 측량으로도 통칭되고 있다.
세 번째 ; 원격탐측(REMOTE SENSING) 및 수치영상처리(DIGITAL IMAGE PROCESSING) 분야에서,
※원격탐측 및 수치 영상처리에 관하여,;
원격탐측 및 수치 영상처리는 지상, 항공기 및 인공위성 등으로부터 지표, 지하, 대기권 및 우주공간의 대상물에서 반사 또는 방사되는 전자기파를 탐지하여 처리함으로써 현대산업사회에 급증하고 있는 제반문제의 해결에 필요한 자료 및 정보를 제공하는데 매우 유용한 첨단 과학기술의 한 분야이다.
네 번째 ; 지리학 분야에서,
※지리학에 관하여,;
지리학은 세계와 인간의 터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지리학은 공간분석에 있어서 중요하게 사용되며, 공간의 인식과 공간적 분석을 하기 위한 기법을 제공한다.
다섯 번째 ; 지도제작 분야에서,
※지도제작에 관하여,;
지도제작은 공간적 정보의 출력을 나타낸다. 현재의 GIS에 대한 입력자료의 주요 원칙은 지도이며, 출력의 형태도 지형도의 형태가 주이다. 전산기 지도 제작술은 수치적 표현, 지도제작 특징의 조정, 시각화방법에 대한 기법을 제공한다.
여섯 번째 ; 통계학 분야에서,
※통계학에 관하여,;
GIS를 사용하여 만든 많은 모형들은 통계학적이고, 많은 통계학적 기법이 분석을 위해 사용되어진다. 통계학은 GIS 자료에서 오차와 불확실성의 문제를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일곱 번째 ; 공정관리 분야에서,
※공정관리에 관하여,;
GIS의 많은 응용은 의사결정을 하기 위한 최적기법의 사용을 요구한다. 이것은 특히 경영자들에게 의사결정의 도구로 사용되어 많은 도움을 준다.
여덟 번째 ; 전산학 분야에서,
※전산학에 관하여,;
전산지원설계는 특히 3차원에서 자료입력, 출력, 시각화, 재현을 위한 기법과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전산도형에서의 발전은 시각화의 기법, 도형 대상물의 출력과 취급을 위한 전산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자료기반 관리 시스템은 수치형태, 시스템설계를 위한 절차와 자료의 많은 양을 다루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인공지능은 지도의 특성을 일반화시키고 지도를 설계하는것과 같은 기능에서 전문가로서 활용할 수 있는 의사결정 전산기와 인간의 지능을 모조하는 방법으로 전산기가 자료를 이용하기 위해서 선택을 할 수 있게 한다.
아홉번째 ; 수학 분야에서,
※수학에 관하여,;
수학의 가지인 기하학과 도형 이론은 공간자료의 분석과 GIS 설계와 처리에 사용된다.
열번째 ; 토목공학 분야에서,
※토목분야에 관하여,;
GIS는 사회기반시설을 관리하고 유지하는데 많이 이용되며, 이를 위해서는 토목공학과의 연결이 매우 중요하다. 토목공학과에 한 각종 자료들은 GIS의 중요한 자료기반으로 활용되며, 또한 GIS의 분석결과가 토목공학에 필수자료로 이용되는 상호 보완작용을 하게 된다.
열한번째 ; 물리학 분야에서,
※물리학에 관하여,;
물리학은 전자공학, 원격탐측, 측지학 및 지리학의 기반이 되는 학문으로서 위성을 통해 원격탐측의 기초이론을 제공하며, 더불어 양자역학, 천체물리, 전산물리 및 수리물리 분야는 수치해석의 기반을 이루고, 이는 곧 공간정보의 효율적인 표현으로 이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에서 열거한 바와 같이 GIS 시스템은 사회 및 학회 연구회 거의 모든 분야에서 사용이 불가피하고 요구되는데 반하여 지금까지 알려진 GIS 기술 즉, 현재 사용되고 있는 GIS 지도는 깨알 만한 점 조차도 하나의 화면으로 인식하는 문제 때문에 사진 및 그림 등의 지도를 인식하고 실행하는 데에는 매우 큰 용량의 컴퓨터가 필요했으며 그나마 용량이 매우 무겁고 부하가 발생되므로 인하여 컴퓨터가 실행되는 동작은 매우 느릴 수 밖에 없었다.
뿐만 아니라 지도의 지역 이동(화면 이동)시에는 시경계 및 도경계 등의 구획선이 연결되지 못하고 끊어진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동하기 전 화면과 이동후의 화면에 나타난 구획선을 연결하여 판독하기란 매우 큰 어려움이 있었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GIS 지도는 마치 책장을 한 장씩 넘기는 것처럼 화면이 한 컷 씩 이동하기 때문에 이동하기 전 화면과 이동 후의 화면에 나타난 구획선을 연결 지어서 판독하는 데에는 전문가들조차도 많은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특히 상기와 같은 문제들은 많은 용량이 제공되는 컴퓨터 또는 인터넷 통신 상 에서 조차 빠르게 실행할 수 없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요구하는 무선통신상의 지도 서비스 즉, 유/무선방송 또는 인공위성을 통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서비스가 시행되지 못하고 있으며, 현재의 시스템으로 GIS 지도를 서비스 제공하려면 각 업체는 엄청나게 많은 시설비의 투자가 불가피한 동시에 소비자는 매우 많은 서비스 사용료를 지불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종래 문제를 감안하여 현재 설비되어 있는 중계시설 또는 사용 또는 보유하고 있는 컴퓨터와 무선전화기(핸드폰)로 양질의 GIS 지도를 서비스 방송하고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안 출 하게 된 것으로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세계 각 국가별 및 지역별 지도(특정 건물의 사진을 비롯한 도면 등의 기타자료 포함)를 SCANNING 받아서 PHOTOSHOP으로 경계선 하나 하나를 PATH로 라인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이용된 지도(특정 건물의 사진을 비롯한 도면 등의 기타자료 포함)는 버리고 작업한 PATH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작은 용량으로 끊어짐 없이 빠르게 운용되는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GeneralInformation System Map) 지도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크게 3D MAX 편집 단계와, FLASH 편집 단계로 구현한다.
즉, 전자의 3D MAX 편집 단계는, PHOTOSHOP에서 저장했던 파일을 3D MAX의 지형작업을 해놓은 OBJECT에 맵핑하여 JPG로 그래픽 압축하고 압축된 그래픽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작업을 실시하며,
후자의 FLASH 편집 단계는, 전 단계에서 3D MAX로 편집한 이미지를 FLASH로 불러와서 레이어를 추가한후 선툴이나 연필툴을 이용하여 지도 라인을 다시 한 번 생성하여 재생된 라인 내부에 페인트 툴을 사용해서 원하는 색상을 채워 넣은 작업을 실시한다.
한편, 상기 작업 실시중에는 처음에 3D MAX에서 생성했던 이미지가 들어있는 레이어를 삭제하는 작업이 포함된다.
상기에서 레이어를 삭제하는 이유는 데이터베이스의 용량 손실을 예방하는 반면에 손실이 예방된 만큼의 용량을 확장하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레이어를 삭제하는 목적도 조합되는 여럿의 특징적 요소중 하나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주지의 전 세계 지도를 비롯한 개별 국가별 지도·도별(주별)지도·구별 지도·동별 지도·특정지역별 지도와, 항공기의 항로·선박의 항로·열차 및지하철 철로·버스 노선이 표시된 지도와, 관광안내지도 및 특정 건물 등을 나타내고 표시하는 지도 및 사진 및 도면 등의 기타자료(예; 회사를 소개하는 소재지 약도를 비롯한 건축양식과 건물의 구조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건축설계 도면 등)를 스케너로 SCANNING 받아서 PHOTOSHOP으로 경계선 하나 하나를 PATH로 라인으로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PATH로 라인을 저장한 후 PATH 라인 생성에서 밑그림(자료)으로 사용하였던 지도를 데이터 상에서 지워서 상기 생성된 PATH 라인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로 작은 용량으로 끊어짐 없이 빠르게 운용되는 범용 정보 시스템지도(General Information System Map)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크게 3DX MAX 편집하는 단계와, FLASH 편집하는 단계로 구현되는데, 여기에서 전자의 3DX MAX 편집 단계라 함은, PHOTOSHOP에서 저장했던 파일을 3DX MAX의 지형작업을 해놓은 OBJECT에 맵핑하여 JPG로 그래픽 압축하고, 그 압축된 라인(선)에 의한 그래픽 또는 사진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말함이다.
그리고, 후자의 FLASH 편집 단계라 함은, 상기 전 단계에서 3DX MAX로 편집한 이미지를 FLASH로 불러와서 레이어를 추가한 후 선 툴 이나 연필 툴 을 이용하여 지도 라인을 다시 한 번 생성하고, 재생된 라인 내부에 페인트 툴 을 사용해서 원하는 색상을 채워 넣는 편집 단계를 설명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편집 작업을 마친 후 3D MAX에서 생성했던 이미지가 들어있는 레이어를 삭제한다는 설명은, 이미 서두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불필요한 레이어가 데이터에 남아서 용량이 감소되는 것을 예방하는 동시에 그 삭제된 용량 많큼 데이터베이스의 용량이 확대 증가되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는 편집 작업 단계를 설명하는 것이다.
한편, 3D MAX 편집 단계 후 진행되는 FLASH 편집 단계는 VECTOR(벡터)에 의해 실시되는 것으로서, 벡터는 컴퓨터 그래픽에서 양 끝점의 좌표에 의해 표현된 선, 좌표 값은 공식에 의거하기 때문에 벡터는 아주 긴 선이나 아주 짧은 선도 같은 양의 데이터로 나타낸다.
이와 같은 설명을 바꾸어서 말하면, 벡터는 아무리 큰 전 세계 지도나 채색된 대형 사진이라 할지라도 명령에 따라 그 것을 작은 점 하나로 인식하기 때문에 그 명령을 주게되면 데이터는 지구 전체의 지도나 또는 채색된 대형 컬러 사진도 하나의 점으로만 인식하게 된다.
즉, 벡터는 수의 크기만 변할 뿐 수의 양이 변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벡터 도형은 큰 이미지도 작은 양의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는 공간 효율성과 다양한 크기로 변화해도 외곽 선이 깨지지 않으며, 그렇기 때문에 해상도 독립성을 제공하면서 최종 출력 장치의 해상도가 이미지의 해상도를 좌우하게 되며, 아울러 벡터 그래픽(VECTOR GRAPHICS)은, 수학적 공식을 사용하여 점들을 연속적으로 연결시켜 형상을 만드는 그래픽 작업, 비트맵 이미지는 X, Y 축의 비연속적이고 독립적인 화소로 구성되는 데 반해 벡터 함수는 수학적 공식에 의해 점들을 연속적으로 연결시켜서 특정한 형상을 만드는데, 예를 들면, 원은 X2 + Y2 = R2의 공식이 사용되고 있는바, 본 발명은 상기 공식을 적용시켜서 작은 용량으로 끊어짐 없이 빠르게 운용할 수 있는 범용 정보 시스템지도(General Information System Map)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벡터 그래픽을 실시하는 것은 이미지 해상도에 독립적이기 때문에 축소, 확대 시에도 이미지 형상의 왜곡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용량을 최대한 가볍게 해줄 수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주지의 디지털 이미지 구현으로 정보에 필요한 자료 즉, 그래픽 생성에 필요한 지도 및 사진, 도면을 SCANNING 받아서 PHOTOSHOP으로 경계선 하나 하나를 PATH로 라인으로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생성된 PATH로 라인을 저장한 후 PATH 라인 생성에서 밑그림(자료)으로 사용하였던 지도를 데이터 상에서 지워버리고 상기 생성된 PATH 라인만 저장하는 방법으로 작은 용량으로 끊어짐 없이 빠르게 운용되는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General Information System Map)를 제공할 수 있게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컴퓨터 정보처리 단위인 비트에 화소를 대응시켜서 구현 한 다.
소스의 구현 방법은,;
html
<html>
<head>
<title>3</title>
</head>
<frameset cols="256,*"border=0> 측프레임에 256, 우측에 나머지
<frame src="2.html" target="contents"> 좌측프레임속성
<frame src="1.html" name="contents"> 우측프레임 속성
</frameset>
</html> JAVA SCRIPT를 적용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General Information System Map)
지도를 구현하고 실행하는 명령어는,;
<화면의 좌측에>
◎.사용할 각각의 버튼 만들기
◎.각각 버튼에 사용할 script를 URL로 호출
(버튼을 더블 클릭 하여 frame properties 창을 연후 actions를 선택한다
+ 버튼을 누른 뒤 Get URL항목선택, 오른쪽창의 url항목에는 불러올 script명을 기입하고 windows항목에는 위의 html에 설정한 타겟 명(contents)을 기입한다.)
(+..javascript:movie_zoom()
-..javascript:movie_zoom2()
위..javascript:movie_pan()
아래..javascript:movie_pan3()
왼쪽..javascript:movie_pan2()
오른쪽..javascript:movie_pan4()
작은지도버튼..javascript:movie_zm()
javascript:movie_zm1()
javascript:movie_zm2()
버튼 개수만큼 }
◎. 텍스트필드를 만든 다음 variable항목에 적당한 이름(name)을 기입한다.
◎. enter버튼의 액션에
On(Release)
If (name="지역구")
Get URL ("지역구.html")
Else
Get URL("html")
End If
End On를 적용한다.
◎. file>publish settings를 선택한 뒤 html에서 dimensions 항목을 percent로 scalei 항목을 exact fit로 설정한 뒤 publish를 클릭 하여 swf와 html 파일 을 생성한다.
◎. 파일명을 2(예)로 하고 저장한다.
<화면의 우측에>
◎. 지도 불러오기
◎. 레이어 추가하여 선 툴 이나, 연필 툴 을 이용하여 지도 라인 재생하기
◎. 재생된 라인 내부에 페인트 툴 을 이용하여 원하는 색 채워 넣기
◎. 지도가 들어 있는 레이어 삭제
◎. ctrl+L 키를 눌러 라이브 창을 뛰워서 지도를 선택한 후 삭제한다.(반드시)
◎. file>publish settings를 선택한 뒤 html에서 dimensions 항목을 percent로 scalei항목을 exact fit로 설정한 뒤 publish를 클릭 하여 swf와 html 파일 을 생성한다.
◎. 파일명을 1(예)로 하고 저장한다.
javascript
◎. 1.html 파일 을 열어 소스를 보이게 한다.
◎. </head>와 <body>사이에
<SCRIPT LANGUAGE="JavaScript">
function whichObj(objName)
if (navigator.appName.indexOf("Microsoft")!=-1)
return window[objName];
}else
return window.document[objName];
function movie_zoom()
whichObj('1').Zoom(50); 타겟을 50%로 확대
function movie_zoom()
whichObj('1').Zoom(200); 타겟을 200%로 확대
function movie_pan()
whichObj('1').Pan(0,-50,1); 타겟을 y축으로 -50만큼이동
function movie_pan2()
whichObj('1').Pan(50,0,1); 타겟을 x축으로 50만큼 이동
function movie_pan3()
whichObj('1').Pan(0,50,1); 타겟을 y축으로 50만큼 이동
function movie_pan4()
whichObj('1').Pan(-50,1); 타겟을 x축으로 -50만큼 이동
(x축,y축,0은 픽셀단위 1은 %단위)
function movie_zm()
whichObj('1').SetZoomRect(?,?,?,?); 보이고자하는 영역의 각 모서리 좌표
(left,top,right,bottom)
function movie_zm1()
whichObj('1').SetZoomRect(?,?,?,?);
</script>
를 써넣어서 저장한다.
한편, 3D 건물의 경우에는 대상건물의 내부와 외부 및 구조를 확인할 수 있도록 촬영한 사진과 그 건물의 위치를 나타내는 자료(지도, 약도 등)를 파악한 후 SHADE라는프로그램으로 건물의 선과 색채를 채워 넣는 방법으로 건물의 그래픽을 제작한다.
상기 그래픽 건물 제작 후에는 다시 FASH로 불러들여 벡터이미지로 변환하며, FASH에서는 이미지를 심벌로 저장 한다.
상기에서 이미지를 심벌로 제작하는 이유는 일단 한번 제작했던 이미지의 SIZE로 1개, 10개, 100개 또는 그 이상의 이미지를 생성하더라도 그 횟수에 관계없이 처음 이미지의 1개의 용량밖에 늘어나지 않도록 하여 용량이 감소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이며, 이러한 이미지 심벌의 제작은 아무리 크고 많은 데이터라 할지라도 용량을 감소시키지 않고 빠르게 운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건물을 먼저 작업한 지도 위에 나타내고자 할 때에는 건물작업 이전에 먼저 작업한 지도 위에 건물을 붙여 넣기하고 페이지 링크를 시켜 주게되면 가상이 아닌 실제의 지도 위에 건물이 링크되어 표현되는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General Information System Map)를 제공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현재 사용중인 무선전화기를 비롯한 컴퓨터 단말기의 용량을 업그레이드하거나 바꾸지 않고서도 양질의 GIS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인터넷 통신상의 모니터(무선 전화기 포함)로 서비스 제공되는 지도만으로 해당 지역을 가보는 것보다 지리 지형을 더 구체적으로 빈틈없이 살펴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현재 널리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 통신 기반으로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이 되었으므로, 국가 또는 개인에 이르기까지 누구에게나 도움을 줄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국가적 차원의 지역개발계획을 비롯한 지역개발계획과 기업 또는 개인 차원의 부동산 소개 또는 중개/매매·항공·철도·선박·자동차 등의 여객운송 및 화물운송·관광업·유/무선 통신·광고업·유/무선방송·인터넷 통신·제조업·유통업 등 각종 분야에서 그리고, 보이스카웃 및 걸스카웃 등의 봉사단체와 개인에게 이르기까지 폭 넓게 다양한 분야에서 지리에 관한 정보를 구체적으로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인공위성 및 무선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 분야(유/무선 통신업 분야·유/무선 방송업 분야 등...)에서는 현재와 비교할 때, 데이터 용량은 기존에 비하여 15 ~ 20배 이하 작은 용량으로 사용할 수 있게되는 동시에 서비스 내용과 속도는 50배 이상 80배 많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게되는 더 많은 정보를 더 저렴한 비용으로 확대하여 제공하고 받을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9)

  1. 주지의 지도(위성사진·세계지도·국가별지도·시, 구, 동, 도, 읍, 면, 리 지도·항공기 항로·선박 항로·열차/지하철 선로·차량 노선도·특정지도 등)를 스케닝 해서 PHOTOSHOP으로 경계선 하나 하나를 PATH로 라인(선)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편집한 데이터를 OBJECT에 맵핑하여 JPG로 벡터 그래픽으로 압축하여 저장하는 3D MAX 편집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편집된 이미지에 레이어를 추가하여 선 툴 또는 연필 툴로 지도 라인(선)을 다시 한 번 더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 생성한 라인(선) 내부에 원하는 색상을 채워 넣은 FLASH 편집 단계와,;
    상기 3D MAX의 처음 이미지가 들어있는 레이어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작은 용량으로 끊어짐 없이 360。 회전하고 빠르게 운용할 수 있게 되는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General Information System Map).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General Information System Map)는, 특정의 시설물들과 건축물들의 소재지 또는 위치를 나타내고 그 시설물들 또는 건축물들의 외형적 형상 모양을 나타내는 사진(위성 사진·디지털 사진·폴라로이드 사진·스넵 사진·비디오를 포함하는 흑백 또는 컬러 사진 및 필름)을 비롯한 상기 시설물들과 건축물들의 내부의 세부적인 내용이 게재된 설계도를 스케닝 받아서 PHOTOSHOP으로 경계선 하나 하나를 PATH로 라인(선) 생성하여 저장하는 편집 단계와,;
    상기 편집된 데이터를 OBJECT에 맵핑하여 JPG로 벡터 그래픽 압축 저장하고 3D MAX 편집하는 단계와,;
    상기 편집된 이미지에 레이어를 추가하여 툴 라인(선)으로 다시 한번 더 생성하고 상기 재 생성된 라인 내부에 페인트 툴을 사용하여 원하는 색상을 채워 넣어서 시설물 또는 건축물을 3D MAX 편집하는 단계와,;
    상기 편집된 시설물 또는 건축물의 3D MAX 그래픽을 FLASH로 불러들여서 벡터 이미지로 변환 시키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이미지를 상기 편집된 가상이 아닌 실제의 지도 위에 링크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3D MAX의 처음 이미지가 들어있는 레이어를 삭제하는 방법으로 작은 용량으로 끊어짐 없이 360。 회전하고 빠르게 운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General Information System Map)
  3.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된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General Information System Map)는, 가상이 아닌 실제의 지도에 시설물 또는 건축 구조물을 링크하여 링크된 지도와 건축구조물이 동시에 360°회전되게 구현함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General Information System Map).
  4. 상기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General Information System Map)는, 링크된 지도 또는 건축물에 광고판을 제작하여 동영상 또는 그래픽 광고 할 수 있게됨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General Information System Map).
  5. 상기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General Information System Map)는, 상기 링크된 지도 또는 건축물마다 전광판의 애니메이션 효과를 줄 수 있는 고정식 광고판과 이동식 광고판을 프로그렘 제작하여 광고와 이벤트 행사를 광고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General Information System Map).
  6.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General Information System Map)는, 부가적인 플러그인 없이 익스플로러 넷스케이프만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General Information System Map).
  7.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General Information System Map)는,
    html
    <html>
    <head>
    <title>3</title>
    </head>
    <frameset cols="256,*"border=0> 측프레임에 256, 우측에 나머지
    <frame src="2.html" target="contents"> 좌측프레임속성
    <frame src="1.html" name="contents"> 우측프레임 속성
    </frameset>
    </html> JAVA SCRIPT를 적용하여 구현함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General Information System Map)
  8.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General Information System Map)지도를 구현하고 실행하는 명령어는,
    <화면의 좌측에>
    ◎.사용할 각각의 버튼 만들기
    ◎.각각 버튼에 사용할 script를 URL로 호출
    (버튼을 더블 클릭 하여 frame properties 창을 연후 actions를 선택하며,
    + 버튼을 누른 뒤 Get URL항목을 선택하고, 오른쪽창의 url항목에는 불러올 script명을 기입하고 windows항목에는 위의 html에 설정한 타겟 명(contents)을 기입하는 것.)
    (+..javascript:movie_zoom()
    -..javascript:movie_zoom2()
    위..javascript:movie_pan()
    아래..javascript:movie_pan3()
    왼쪽..javascript:movie_pan2()
    오른쪽..javascript:movie_pan4()
    작은지도버튼..javascript:movie_zm()
    javascript:movie_zm1()
    javascript:movie_zm2()
    버튼 개수만큼 }
    ◎. 텍스트필드를 만든 다음 variable항목에 적당한 이름(name) 기입하기
    ◎. enter버튼의 액션에
    On(Release)
    If (name="지역구")
    Get URL ("지역구.html")
    Else
    Get URL("html")
    End If
    End On를 적용하며,
    ◎. file>publish settings를 선택한 뒤 html에서 dimensions 항목을 percent로 scalei 항목을 exact fit로 설정한 뒤 publish를 클릭 하여 swf와 html 파일 을 생성하고,
    ◎. 파일명을 2(예)로 하고 저장하며,
    <화면의 우측에>
    ◎. 지도 불러오기
    ◎. 레이어 추가하여 선 툴 이나, 연필 툴 을 이용하여 지도 라인 재생하기
    ◎. 재생된 라인 내부에 페인트 툴 을 이용하여 원하는 색 채워 넣기
    ◎. 지도가 들어 있는 레이어 삭제하기
    ◎. ctrl+L 키를 눌러 라이브 창을 뛰워서 지도를 선택한 후 삭제하기
    ◎. file>publish settings를 선택한 뒤 html에서 dimensions 항목을 percent로 scalei항목을 exact fit로 설정한 뒤 publish를 클릭 하여 swf와 html 파일 을 생성하기
    ◎. 파일명을 1(예)로 하고 저장하기
    javascript
    ◎. 1.html 파일 을 열어 소스를 보이게 하기
    ◎. </head>와 <body>사이에
    <SCRIPT LANGUAGE="JavaScript">
    function whichObj(objName)
    if (navigator.appName.indexOf("Microsoft")!=-1)
    return window[objName];
    }else
    return window.document[objName];
    function movie_zoom()
    whichObj('1').Zoom(50); 타겟을 50%로 확대
    function movie_zoom()
    whichObj('1').Zoom(200); 타겟을 200%로 확대
    function movie_pan()
    whichObj('1').Pan(0,-50,1); 타겟을 y축으로 -50만큼이동
    function movie_pan2()
    whichObj('1').Pan(50,0,1); 타겟을 x축으로 50만큼 이동
    function movie_pan3()
    whichObj('1').Pan(0,50,1); 타겟을 y축으로 50만큼 이동
    function movie_pan4()
    whichObj('1').Pan(-50,1); 타겟을 x축으로 -50만큼 이동
    (x축,y축,0은 픽셀단위 1은 %단위)
    function movie_zm()
    whichObj('1').SetZoomRect(?,?,?,?); 보이고자하는 영역의 각 모서리 좌표
    (left,top,right,bottom)
    function movie_zm1()
    whichObj('1').SetZoomRect(?,?,?,?);
    </script>
    를 써넣어서 실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General Information System Map).
  9.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General Information System Map)는, 대상물체와 위치 등의 자료를 파악한 후 파악된 구조물을 SHADE로 제작하고, 상기 제작된 내용을 FLASH로 불러들여서 벡터 이미지로 변환시켜서 이미지를 심벌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General Information System Map).
KR1020000038044A 2000-07-04 2000-07-04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 KR200200042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044A KR20020004298A (ko) 2000-07-04 2000-07-04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044A KR20020004298A (ko) 2000-07-04 2000-07-04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298A true KR20020004298A (ko) 2002-01-16

Family

ID=19676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044A KR20020004298A (ko) 2000-07-04 2000-07-04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4298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621A (ko) * 2001-12-11 2002-01-23 박인철 영상과 결합된 전자지도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KR20020067779A (ko) * 2001-02-19 2002-08-24 주식회사 지아이에스라이프 채팅으로 동시검색이 가능한 역 방향 플래쉬지도서비스
KR20020090475A (ko) * 2001-05-28 2002-12-05 주식회사 지아이에스라이프 무선인터넷 플래쉬 지도서비스
KR20030037453A (ko) * 2001-11-05 2003-05-14 최진오 무선 지도서비스를 위한 동적 약도 생성방법
KR100399735B1 (ko) * 2001-03-26 2003-09-29 이호균 스틸 사진을 이용한 가상 네비게이션 구현 방법
KR100420402B1 (ko) * 2000-11-01 2004-02-2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전 대상 객체와 비회전 대상 객체를 갖는 묘화 데이터처리용 그래픽스 묘화장치
KR100463834B1 (ko) * 2002-08-30 2004-12-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852594B1 (ko) * 2001-12-10 2008-08-14 주식회사 케이티 참조맵을 사용하지 않는 이미지 맵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KR101425576B1 (ko) * 2012-11-15 2014-08-01 (주)다인디지컬처 정밀한 광역 축척 모형 제작을 위한 3차원 데이터 획득 및 가공 방법
CN111382165A (zh) * 2020-03-13 2020-07-07 河南省鑫源土地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移动国土管理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3433A (en) * 1979-04-23 1986-12-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 system for displaying maps having two-dimensional roads
JPH0737067A (ja) * 1993-07-15 1995-02-07 Mitsubishi Electric Corp 地図情報表示装置
JPH0765151A (ja) * 1993-08-30 1995-03-10 Hitachi Ltd 図形編集装置
JPH0778254A (ja) * 1993-09-08 1995-03-20 Hitachi Ltd 図形閉領域抽出方法
US5844570A (en) * 1995-05-02 1998-12-01 Ames Research Laboratories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digital map images of a uniform forma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3433A (en) * 1979-04-23 1986-12-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 system for displaying maps having two-dimensional roads
JPH0737067A (ja) * 1993-07-15 1995-02-07 Mitsubishi Electric Corp 地図情報表示装置
JPH0765151A (ja) * 1993-08-30 1995-03-10 Hitachi Ltd 図形編集装置
JPH0778254A (ja) * 1993-09-08 1995-03-20 Hitachi Ltd 図形閉領域抽出方法
US5844570A (en) * 1995-05-02 1998-12-01 Ames Research Laboratories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digital map images of a uniform format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402B1 (ko) * 2000-11-01 2004-02-2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전 대상 객체와 비회전 대상 객체를 갖는 묘화 데이터처리용 그래픽스 묘화장치
KR20020067779A (ko) * 2001-02-19 2002-08-24 주식회사 지아이에스라이프 채팅으로 동시검색이 가능한 역 방향 플래쉬지도서비스
KR100399735B1 (ko) * 2001-03-26 2003-09-29 이호균 스틸 사진을 이용한 가상 네비게이션 구현 방법
KR20020090475A (ko) * 2001-05-28 2002-12-05 주식회사 지아이에스라이프 무선인터넷 플래쉬 지도서비스
KR20030037453A (ko) * 2001-11-05 2003-05-14 최진오 무선 지도서비스를 위한 동적 약도 생성방법
KR100852594B1 (ko) * 2001-12-10 2008-08-14 주식회사 케이티 참조맵을 사용하지 않는 이미지 맵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06621A (ko) * 2001-12-11 2002-01-23 박인철 영상과 결합된 전자지도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KR100463834B1 (ko) * 2002-08-30 2004-12-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425576B1 (ko) * 2012-11-15 2014-08-01 (주)다인디지컬처 정밀한 광역 축척 모형 제작을 위한 3차원 데이터 획득 및 가공 방법
CN111382165A (zh) * 2020-03-13 2020-07-07 河南省鑫源土地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移动国土管理系统
CN111382165B (zh) * 2020-03-13 2023-09-15 河南省鑫源土地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移动国土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aak et al. Cartography: visualization of geospatial data
Yu et al. Google Earth as a virtual globe tool for Earth science applications at the global scale: progress and perspectives
Batty et al. Visualizing the city: communicating urban design to planners and decision-makers
US7283909B1 (en) Overlaying orthorectified aerial images with map information tied to a state plane coordinate system
WO2011072467A1 (zh) 湿地资源与生态环境监管方法及系统
CN111080782A (zh) 基于实景三维地理信息系统的可视化系统
Kimball 3D Delineation: A modernisation of drawing methodology for field archaeology
San José et al. Advances in 3D visualization of air quality data
Khayyal et al. Creation and spatial analysis of 3D city modeling based on GIS data
KR20020004298A (ko) 범용 정보 시스템 지도
Yu et al. A hybrid system of expanding 2D GIS into 3D space
Huixian The construction of virtual simulation platform for pingtan experimental area based on HTML5 and WebGL
Sang et al. A virtual 3D geological library based on UAV and SFM: application for promoting teaching and research on geological specimen and heritage online
Agugiaro et al. 7.2 3D GIS for cultural heritage sites: The queryarch3d prototype
WO2005092072A2 (en) Orthorectified aerial images overlayed with spcs map information
Vote A new methodology for archaeological analysis: Using visualization and interaction to explore spatial links in excavation data
Fricke et al. Optimising a Virtual 3D City Model for Citizen-Based Urban Development in East Jerusalem
Schilling 3D Spatial Data Infrastructures for Web-Based Visualization
Kouzeleas Architectural and Urban Spatial Digital Simulations
Reed Data integration and interoperability: OGC standards for geo-information
Denbo Interactive graphics toolkit for Java applications and web applets
Leaver VRML terrain modeling for the Monterey Bay National Marine Sanctuary (MBNMS)
Garba et al. The use of GIS and Google Earth images for mapping of Taraba State University Campus
Mozaffari et al. Virtual reality models for location-based facilities management systems
Kostadinov et al. An Approach to Creating a Virtual 3D Model of a Medieval Tow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