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0308A - 범세계 공용 격자 좌표계에 의한 지도 및 지도표기 방식 - Google Patents

범세계 공용 격자 좌표계에 의한 지도 및 지도표기 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0308A
KR20020000308A KR1020000034726A KR20000034726A KR20020000308A KR 20020000308 A KR20020000308 A KR 20020000308A KR 1020000034726 A KR1020000034726 A KR 1020000034726A KR 20000034726 A KR20000034726 A KR 20000034726A KR 20020000308 A KR20020000308 A KR 20020000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itude
longitude
lattice
map
minu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2808B1 (ko
Inventor
이상지
Original Assignee
정구영, 이상지
주식회사 지지21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구영, 이상지, 주식회사 지지21 filed Critical 정구영, 이상지
Priority to KR10-2000-0034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2808B1/ko
Publication of KR20020000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0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8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10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WGS-84 지구타원체의 경위도 좌표를 기반으로 하여 지도에 경도와 위도선이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최소단위의 격자크기를 1㎝×1㎝ 정도가 되도록 격자선을 그리고 지도 축척에 따라 격자좌표를 코드화하여 지도 테두리에 표시하는 격자좌표 방식의 기준 좌표계에 의해 지도를 표기하여 전세계 어디서나 쉽고 정확하게 위치를 찾을 수 있는 범세계 공용 위치 좌표계에 의한 지도 및 지도표기 방식에 관한 것으로, 실제 지도가 표시되는 가운데 격자부분(11)과; 도곽관련 공통정보를 표기할 수 있는 4귀퉁이 빈부분(12, 12, 12, 12)과; 각 격자에 대응하는 경도가 표시되는 상단(13)및 하단(13')과; 각 격자에 대응하는 위도가 표시되는 좌단(14) 및 우단(14')과;로 구성되어 새로운 주소체계로 이용할 수 있으며, 위치 검색 서비스가 효율적으로 개선되며, 종이지도에서 도곽색인표 또는 색인지도를 이용하여 지도의 검색이 용이해지며, GPS 단말기에 본 발명에 의한 격자좌표로 현재위치 및 진행방향 그래픽을 표시함으로써 길안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범세계 공용 격자 좌표계에 의한 지도 및 지도표기 방식{a map using geodedic grid reference system and a method for making a map using the system}
본 발명은 범세계 공용 위치 좌표계에 의한 지도 및 지도표기 방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WGS-84 지구타원체의 경위도 좌표를 기반으로 하여 지도에 경도와 위도선이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최소단위의 격자크기를 1㎝×1㎝ 정도가 되도록 격자선을 그리고 지도 축척에 따라 격자좌표를 코드화하여 지도 테두리에 표시하는 격자좌표 방식의 기준 좌표계에 의해 지도를 표기하여 전세계 어디서나 쉽고 정확하게 위치를 찾을 수 있는 범세계 공용 위치 좌표계에 의한 지도 및 지도표기 방식에 관한 것이다.
타원체의 지구를 평면의 지도로 표시하기 위해, 우선 지구 타원체의 형상을 적절한 형상으로 모델링한 후에 (예를 들면, WGS-84, Bessel 등) 여러가지 방식의 각기 다른 투영(Projection)(예를 들면, TM, UTM 등)을 적용하는데, 서로 다른 지구 타원체와 서로 다른 투영을 적용하여 제작되는 경우 지도의 종류에 따라 동일한 위치점에 대한 좌표값이 각기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경위도 좌표는 전세계적으로 통일된 방식으로 임의의 위치를 유일한 좌표값으로 나타낼 수 있으나, 우리나라와 같이 기본 좌표계를 TM 좌표계로 하여 위치를 측량하고 지도를 TM 투영을 기반으로 표기하는 경우 경위도 좌표선이 곡선으로 표기되고 축척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또한 임의의 영역을 TM 좌표에 기반하여 단순히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격자선을 긋고 차례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형태로 표시되는 종이 지도의 경우, 경위도 좌표와 대부분의 종이지도에 표시된 격자선이 일치되지 않으므로 경위도 좌표값으로 위치를 지도에서 식별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는 대부분 국가 기본도인 국립지리원의 지도를 기반으로 하여 각종 지도를 제작하고 있으며 대부분 Bessel 타원체의 TM 좌표계로 표시하고 있다. 이 경우 우리나라는 동부, 중부 및 서부의 세가지 영역으로 나뉘어 각각 다른 원점을 중심으로 가로축과 세로축이 직교하는 형태로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영역경계 부분에서는 경계의 이음부분이 벌어지고 위치 오차가 크게 되므로, 다른 영역간에 오차없이 통일된 좌표로 지도를 표기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GPS 같이 전세계적으로 오차없이 통일된 좌표표기가 필요한 응용분야를 위해서는 활용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WGS-84 지구타원체의 경위도 좌표를 기반으로 격자형태의 좌표로 표기하여 범세계적으로 공통으로 동시에 적용할 수 있는 범세계 공용 격자 좌표계에 의한 지도 및 지도표기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치 검색이 정확하고 용이해지며, 경위도 좌표를 기반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표기되는 격자좌표로 현재위치 및 진행방향 그래픽을 표시할 수 있는 범세계 공용 격자 좌표계에 의한 지도 및 지도표기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지구타원체 모델과 다양한 투영방식에 의해 그려진 지도에 대해서도 격자좌표선은 경도및 위도선과 일치하게 그리고 격자좌표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지도를 표기하는 범세계 공용 격자 좌표계에 의한 지도 및 지도표기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경도 및 위도 격자구간을 1도씩 구분하여 동경 124도와 동경 132도 사이, 북위 32도에서 북위 44도 사이를 표시한 예,
도 2는 경도 및 위도 격자구간을 1분씩 구분하여 동경 126도 51분에서 동경126도 60분 사이, 북위 37도 36분에서 북위 37도 47분사이를 표시한 예,
도 3은 경도 및 위도 격자구간을 1/10분씩 구분하여 동경 126도 55.4분에서 동경126도 56.3분 사이, 북위 37도 41.6분에서 북위 37도 42.7분사이를 표시한 예,
도 4는 경도 및 위도 격자구간을 1/100분씩 구분하여 동경 126도 55.71분에서 동경126도 55.80분 사이, 북위 37도 42.11분에서 북위 37도 42.22분 사이를 표시한 예,
도 5는 상기 격자구간을 포함하는 동경 126도 55.777분에서 동경 126도 55.782분 사이, 북위 37도 42.198분에서 북위 37도 42.203분 사이를 표시한 예,
도 6a-6f는 축척에 따라 최소 격자간격을 달리하여 표기한 예,
도 7은 경도 및 위도를 초단위까지 사용하여 격자좌표를 표시한 예,
도 8은 실제로 TM 투영에 의해 표시하는 경우 경도선이 기울어져 나타나는지도의 예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가운데 격자부분 12 : 4귀퉁이 빈 부분
13, 13' : 상단, 하단 14, 14' : 좌단, 우단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범세계 공용 위치 좌표계에 의한 지도는 실제 지도가 표시되는 가운데 격자부분(11)과; 도곽관련 공통정보를 표기할 수 있는 4귀퉁이 빈부분(12, 12, 12, 12)과; 각 격자에 대응하는 경도가 표시되는 상단(13)및 하단(13')과; 각 격자에 대응하는 위도가 표시되는 좌단(14) 및 우단(14')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범세계 공용 격자 좌표계에 의한 지도표기 방식은 다양한 형태로 마타낼 수 있는데, 첫번째 방식은 가상투영방식을 적용하여 위도 및 경도를 직각 좌표계로 하여 지도를 나타내고, 도곽 테두리에 경도 및 위도값에 대응하는 코드화된 격자 좌표값으로 표시한다. 또 다른 지도표기방식은 지구 타원체 모델이 WGS-84가 아니거나, 투영방식이 가상투영이 아닌 형태로 지도가 그려진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격자선은 WGS-84 경도및 위도선과 일치하게 지도에 중첩하여 그리고 각 격자에 대응하는 겨자좌표값을 테두리에 표기하는 방식이다.
지구타원체는 지구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WGS-84를 기본으로 하되 Bessel 등 다른 지구타원체 모델을 적용하여 지도를 제작한 경우 좌표변환을 통해 WGS-84를 지원한다.
투영방식에 있어서 위도 및 경도 좌표를 직각 좌표계로 나타내는 가상투영(Virtual Projection) 방식을 적용하여 평면지도를 나타내고 도곽 테두리에 표시하는 방식을 기본으로 하고, 가상투영이 아닌 투영방식으로 제작된 지도의 경우에는 좌표변환을 통해 각 지도 축척 및 범위에 따른 격자 좌표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한 좌표계를 적용하여 지도를 제작하고 특정점의 위치 좌표를 표시하는 경우, 임의의 도곽에 대해 축척이나 범위에 무관하게 일관된 방식으로 좌표를 표현할 수 있다.
경도 및 위도를 격자형태의 좌표로 표기하는 경우 최소 단위 격자를 나타내는 기준 좌표를 격자코드 값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 경우 경도는 격자의 왼쪽 경계선에 해당하는 경도 좌표값을 격자구간 기준으로 하고, 위도는 아래쪽 경계선에 해당하는 위도 좌표값을 격자구간 기준으로 하여 코드값을 부여한다.
우선 단위 격자구간 간격이 경도 및 위도 모두 1도 이상인 경우에 다음과 같이 코드를 부여한다. 경도는 서경 180도(W180)에서 동쪽방향으로 서경 0도 구역까지는 격자구간 기준 경도 위치값 앞에 문자 W를 붙여 쓰고, 0도(E0)를 기준으로 동경 180도(E180)까지는 격자구간 기준경도 도(degree) 단위 위치값 앞에 문지 E를 붙여 쓴다. 0도는 W, E 모두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관하나 가능하면 E를 붙여 쓰도록 한다. 또한 위도는 남극(S90)에서 적도 이전까지는 문자 S 뒤에 격자구간 기준위도 도(degree) 단위 위치값을 붙여 쓰고 적도(N0)부터 북극(N90)까지는 문자 N 뒤에 격자구간 기준위도 위치값을 붙여 쓴다.
도 1에 경도 및 위도 격자구간을 1도씩 구분하여 동경 124도와 동경 132도 사이, 북위 32도에서 북위 44도 사이를 표시한 예가 도시된다.
가운데 격자부분(11)은 실제 지도가 표시되는 부분이고 4귀퉁이 빈부분(12, 12, 12, 12)은 도곽관련 공통정보(예를들면, 페이지, 색인정보 등)를 표기할 수 있다. 상단(13)과 하단(13')에는 각 격자에 대응하는 경도가 표시되고, 좌단(14)과 우단(14')에는 각 격자에 대응하는 위도가 도시된다. 따라서, 각 격자에 대응하는 좌표값은 각 격자의 좌하 교차점의 좌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격자구간이 경도 및 위도 각각 15도 씩 구분하여 표시한 세계지도의 경우 우리나라가 속해 있는 격자구간이 동경 120도에서 동경 135도 사이, 북위 30도에서 45도 사이에 위치하므로 우리나라의 격자좌표는 (E120, N30)이 된다. 또한, 다른 예로 경도 및 위도 격자구간을 1도씩 구분하여 동경 124도와 동경 132도 사이, 북위 32도에서 북위 44도사이를 표시한 도1에 있어서, 인천광역시가 동경 126도와 동경 127도 사이, 북위 37도와 북위 38도사이에 속하므로 빗금친 구간격자에 해당하며 이 구간을 코드로 나타내면 (E126, N37)이 된다.
다음에 1도(degree) 단위의 각 격자구간을 정수로 나누어 최소 격자구간을 1분(minute)의 정수배 값으로 나타내는 경우에는 각 최소 격자구간을 나타내는 경도의 격자코드 값은 좌측 경계선에 해당하는 경도선을 기준으로 하고, 위도 코드 값은 아래쪽 경계선을 기준으로 코드값을 부여한다.
도 2에 경도및 위도 격자구간을 1분씩 구분하여 동경 126도 51분에서 동경126도 60분 사이, 북위 37도 36분에서 북위 37도 47분사이를 표시한 예가 도시된다.
상단(13)과 하단(13')은 경도의 도를 표시하는 경도 표시부(131, 131')와 경도의 분을 표시하는 분 표시부(132,132')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좌단(14)과 우단(14')은 위도의 도를 표시하는 위도 표시부(141, 141')와 분을 표시하는 분 표시부(142, 142')로 구성된다.
동경 126 도 55분 47초, 북위 37도 42분 12초에 위치한 서울의 특정지점을 예로즐어 격자좌표로 표현하는 예를 설명한다. 격자 1도를 1분 간격으로 60등분하여 표시하는 축척 1:200,000 지도의 경우 경도는 동경 126도 55분과 56분 사이에 위치하고 위도는 북위 37도 42분과 북위 37도 43분사이에 위치하므로 이 격자구간의 좌표는 (E126M55, N37M42)로 나타낼 수 있다.
도 2에서 격자좌표로 표현하는 격자구간 (E126M55, N37M42)이 빗금으로 표시된다. 또한 축척 1:3백만의 우리나라 전도를 최소 격자구간 15분으로 4등분하여 나타내는 경우 앞에서 예를 든 지점이 속하는 격자구간은 동경 126도 45분과 동경 127도 00분사이에 위치하고, 위도는 북위 37도 30분과 45분사이에 위치하므로 이경우의 격자구간의 좌표는 (E126M45, N37M30)으로 나타낼 수 있다.
다음에 1분(minute) 단위의 각 격자구간을 더 작은 격자구간으로 나누기 위해 축척에 따라 10등분하는 경우, 100등분하는 경우 및 1000등분하는 경우 등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10등분하는 경우는 경도는 분이하의 격자좌표를 1분 단위의 소수점이하 값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X 문자뒤에 1/10분 단위의 배수에 해당하는 1자리수 정수로 격자좌표를 나타내고 위도는 Y 문자뒤에 1/10 분의 배수에 해당하는 1자리수 정수로 격자좌표를 나타낸다. 100등분하는 경우 경도 및 위도를 각각 2자리 정수로 나타내고, 1000등분하는 경우 3자리 정수로 나타낸다.
앞에서 예로 든 동경 126도 55분 47초(126도 55.780분), 북위 37도 42분 12초(37도 42.200분)에 위치한 동일한 지점에 대해 먼저 축척 1:15,000의 지도에서 1분을 10등분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도 3에 경도및 위도 격자구간을 1/10분씩 구분하여 동경 126도 55.4분에서 동경126도 56.3분 사이, 북위 37도 41.6분에서 북위 37도 42.7분사이를 표시한 예가 도시된다.
상단(13)과 하단(13')은 경도와 분을 표시하는 경도 및 분 표시부(133, 133')와 경도의 분을 1/10분 단위로 표시하는 1/10분 표시부(134, 134')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좌단(14)과 우단(14')은 위도와 분을 표시하는 위도 및 분 표시부(143, 143')와 위도의 분을 1/10분 단위로 표시하는 1/10분 표시부(144, 144')로 구성된다.
이때는 최소 격자간격이 1/10이므로 경도는 동경 126도 55.7분과 55.8분 사이에 위치하므로 E129M55X7 격자구간에 해당하고, 위도는 북위 37도 42.2분과 42.3분 사이에 위치하므로 N37M42Y2 격자구간에 해당한다. 따라서 동경 126도 55분 47초(126도 55.780분)북위 37도 42분 12초(37도 42.200분)를 포함하는 격자구간의 좌표는 (E126M55X7, N37M42Y2)로 나타낼 수 있다.
도 4에 경도및 위도 격자구간을 1/100분씩 구분하여 동경 126도 55.71분에서 동경126도 55.80분 사이, 북위 37도 42.11분에서 북위 37도 42.22분사이를 표시한 예가 도시된다.
상단(13)과 하단(13')은 경도와 분을 표시하는 경도 및 분 표시부(133, 133')와 경도의 분을 1/100분 단위로 표시하는 1/100분 표시부(135, 135')로 구성되고, 좌단(14)과 우단(14')은 위도와 분을 표시하는 위도 및 분 표시부(143, 143')와 위도의 분을 1/100분 단위로 표시하는 1/100분 표시부(145, 145')로 구성된다.
최소 격자구간을 1/100분 간격으로 1분을 100등분하여 나타내는 경우, 앞에서 예를 든 지점이 속하는 격자구간은 동경 126도 55.78분과 55.79분 사이에 위치하고 북위 37도 42.20분과 북위 37도 42.21 분 사이에 위치하므로 도 4에 빗금친 부분과 같이 이 격자구간의 좌표는 (E126M55X78, N37M42Y20)으로 나타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최소구간을 1/1000분 간격으로 1분을 1000등분하여 나타내는 경우, 도 5에 상기 격자구간을 포함하는 동경 126도 55.787분에서 동경 126도 55.792분 사이, 북위 37도 42.198분에서 북위 37도 42.203분 사이를 표시한 예가 도시된다.
상단(13)과 하단(13')은 경도와 분을 표시하는 경도 및 분 표시부(133, 133')와 경도의 분을 1/1000분 단위로 표시하는 1/1000분 표시부(136, 136')로 구성되고, 좌단(14)과 우단(14')은 위도와 분을 표시하는 위도 및 분 표시부(143, 143')와 위도의 분을 1/1000분 단위로 표시하는 1/1000분 표시부(146, 146')로 구성된다.
상기 예를 든 지점이 속하는 격자구간은 동경 126도 55.780분과 55.781분 사이에 위치하고 북위 37도 42.200분과 북위 37도 42.201분 사이에 위치하므로 따라서 이 격자구간의 좌표는 (E126M55X780, N37M42Y200)으로 나타낼 수 있고 도 5에 빗금친 부분으로 표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경우는 1분을 1/10, 1/100, 1/1000 등으로 나누어 초단위를 사용하지 않고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넜으나 또 다른 표시방법으로 초단위를 사용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단위 앞에 문자 S를 사용하고 초단위 숫자뒤에 소수점을 나타내기 위해 경도 방향에는 문자 X를 위도방향에는 문자Y를 사용한다. 도 7은 1초간격의 격자좌표로 표시한 예이다. X또는 Y 뒤에 숫자를 붙여 쓸수가 있는데 1초를 1/10로 나눈 경우는 X 또는 Y 뒤에 1 자리수로 나타내고 애 경우 1초가 대략 30m 정도이므로 1초의 1/10 은 약 3m에 해당한다.
참고로 1분이 대략 2km 이하이고 1분을 1000 등분하여 나타내는 대축척의 지도에서 1개 격자간격이 대략 2m이하로 표시되므로, 2000년 5월 1일부터 SA(Selection Availability)가 제거된 상태에서 GPS 위치 정확도가 6-10m인 점을 고려하면 1분을 최대 1000등분하여 위치를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척별로 격자좌표의 표시간격을 다르게 표시함으로써, 최소격자 간격은 아래와 같이 축척에 따라 달리 나타낼 수 있으며, 지도상의 최소격자 간격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대략 1cm×1㎝ 를 기준으로 조금씩 가감하여 나타내는 경우 지도상에서 원하는 위치점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세계지도 : 경도및 위도 각각 15도 간격
축척 1:3백만(전도) : 경도및 위도 각각 15분 간격
축척 1:2백만 지도 : 경도및 위도 각각 10분 간격
축척 1:1백만 지도 : 경도및 위도 각각 5분 간격
축척 1:200,000 지도 : 경도및 위도 각각 1분 간격
축척 1:150,000 지도 : 경도및 위도 각각 1분 간격
축척 1:125,000 지도 : 경도및 위도 각각 5/10분 간격
축척 1:100,000 지도 : 경도및 위도 각각 5/10분 간격
축척 1: 50,000 지도 : 경도및 위도 각각 2/10분 간격
축척 1: 25,000 지도 : 경도및 위도 각각 1/10분 간격
축척 1: 20,000 지도 : 경도및 위도 각각 1/10분 간격
축척 1: 15,000 지도 : 경도및 위도 각각 1/10분 간격
축척 1: 12,500 지도 : 경도및 위도 각각 5/100분 간격
축척 1: 10,000 지도 : 경도및 위도 각각 5/100분 간격
축척 1: 5,000 지도 : 경도및 위도 각각 2/100분 간격
축척 1: 2,000 지도 : 경도및 위도 각각 1/100분 간격
축척 1: 1,000 지도 : 경도및 위도 각각 5/1,000분 간격
축척 1: 200 지도 : 경도및 위도 각각 1/1,000분 간격
종이지도를 인쇄하는 경우는 도곽의 크기와 위치영역이 미리 결정되지만, 동일한 축척에 대해서도 사용목적에 따라 특정 위치영역을 포함하는 지도제작이 요구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에 나타내는 수치지도의 경우는 지도를 표시하는 화면(종이지도의 경우와 비교하면 도곽에 해당함)의 크기와 표시영역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수시로 바뀔 수 있다. 따라서 도곽은 임의의 크기로 임의의 영역에 대해 선정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서, 축척과 도곽의 영역변화에 관계없이 일관된 방식으로 격자좌표를 표기한다.
1도 이상의 간격으로 격자가 표시되는 소축척의 지도인 경우 가로 및 세로 테두리에 각각의 격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경도 및 위도 격자코드를 표기한다.
도 6a는 한반도 전역을 포함하는 도곽 및 1도 간격의 격자좌표를 테두리에 표시한 예이다. 도 6b는 최소 격자간격이 10분으로 표기되는 축척 1:2 백만 지도로 중부지역 일부를 나타내는 경우 도곽 테두리 표기예가 도시된다.
최소격자 단위인 10분의 배수에 해당하는 격자코드와 10분이 6개씩 모여 이루어지는 1도에 해당하는 상위 단위격자를 구분하여 이원화하여 표시하고 1도의 경계선을 굵게 또는 색을 다르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c에 최소격자 간격이 1분인 축척 1:200,000 지도의 경우 군산 근방을 나타낸 예가 도시된다.
경도는 동경 126도 42 분에서 51분까지의 영역이고 위도는 북위 36도 56분에서 북위 37도 7분까지의 영역을 나타낸다.
도 6d에 최소 격자간격이 6초(1/10분)인 축척 1:15,000 지도의 경우 서울 시내 일부를 나타낸 예가 도시된다.
경도는 동경 126도 58분 24초(58.4분)에서 동경 126도 59분 24초(59.4분)까지의 영역이고 위도는 북위37도 34.6분에서 북위 37도 35.7분까지의 영역을 나타낸다.
도 6e에 최소격자간격이 2/100분인 축척 1:5,000 지도의 경우를 나타낸 예가 도시된다.
경도는 동경 126도 58.88분에서 동경 126도 59.06분까지의 영역이고 위도는 북위37도 34.92분에서 북위 37도 35.16분까지의 영역을 나타낸다.
도 6f에 최소격자 간격이 1/1000분인 축척 1:200 지도의 예가 도시된다.
경도는 동경 126도 58.997분에서 동경 126도 58.003분까지의 영역이고, 위도는 북위 37도 34.998분에서 북위 37도 35.004분까지의 영역이다.
도 7에 경도 및 위도를 초단위까지 사용하여 격자좌표를 표시한 예가 도시된다.
경도 및 위도를 나타내는 단위를 도(degree), 분(minute) 초(second)까지 사용하여 격자좌표를 표시하는 경우, 초단위 숫자앞에 S를 표시하고, 상기 S 문자뒤에 초단위 수를 표현하고, 1초의 1/10에 해당하는 좌표값은 X 문자 뒤에 1자리수로 나타내며, 1초의 1/100에 해당하는 좌표값은 X 뒤에 2자리수로 나타내고, 위도는 S 문자 뒤에 초단위 수를 표현하고 1초의 1/10에 해당하는 좌표값은 Y 문자뒤에 1자리수로 나타내고 1초의 1/100 에 해당하는 좌표값은 두자리수로 나타낸다.
이상은 실제 지구 형상이 다양한 형태의 타원체로 모델링된 후 평면에 투영을 통해 지도로 표시되는데 이것을 실제로 TM 투영에 의해 지도를 그려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도선이 기울어져 나타아고, 도곽의 4귀퉁이의좌표중 우상/우하 또는 좌상/좌하 경도값이 다르거나, 우상/좌상 및 우하/ 좌하 위도 값이 다른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선이 기울어져 나타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새로운 주소체계로 이용할 수 있으며, 각국마다 고유하게 사용하고 있는 주소체계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보조주소로 본 발명에 의한 격자좌표를 이용하면 위치서비스를 획기적으로 개선, 개발비용이 저렴하고 단시간에 개발가능하고, 범세계적으로 공통으로 적용가능하다. 위치 검색 서비스가 효율적으로 개선되며, 종이지도에서 도곽색인표 또는 색인지도로 이용하여 지도의 검색이 용이해지며, GPS 단말기에 본 발명에 의한 격자좌표로 현재위치 및 진행방향 그래픽을 표시함으로써 길안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Claims (8)

  1. 실제 지도가 표시되는 가운데 격자부분(11)과;
    도곽관련 공통정보를 표기할 수 있는 4귀퉁이 빈부분(12, 12, 12, 12)과;
    각 격자에 대응하는 경도가 표시되는 상단(13)및 하단(13')과;
    각 격자에 대응하는 위도가 표시되는 좌단(14) 및 우단(14')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세계 공용 격자 좌표계에 의한 지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도와 위도는 가상 투영방식을 적용하여 지도를 나타내는 경우 경도와 위도선을 직각좌표계로 나타내고, 가상 투영방식이 아닌 투영방식으로 지도를 나타내는 경우 해당 투영방식에 따라 실제 경도와 위도선을 직선 또는 곡선으로 나타내고 경도와 위도선에 의해 만들어지는 격자구간에 대해 상기 상단(13), 하단(13'), 좌단(14) 및 우단(14')에 격자 좌표값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세계 공용 격자 좌표계에 의한 지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좌표값의 격자구간 간격이 경도 및 위도 모두 1도 이상인 경우,
    경도는 서경 180도(W180)에서 동쪽방향으로 서경 0도 구역까지는 격자구간 기준 경도 위치값 앞에 문자 W를 붙여 쓰고, 0도(E0)를 기준으로 동경 180도(E180)까지는 격자구간 기준경도 위치값 앞에 문자 E를 붙여 쓰며,
    위도는 남극(S90)에서 적도 이전까지는 문자 S 뒤에 격자구간 기준위도 위치값을 붙여 쓰고 적도(N0)부터 북극(N90)까지는 문자 N 뒤에 격자구간 기준위도 위치값을 붙여 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세계 공용 격자 좌표계에 의한 지도.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좌표값의 1도 단위의 각 격자구간을 정수로 나누어 최소 격자구간을 1분(minute)의 정수배 값으로 나타내는 경우
    상단(13)과 하단(13')은 경도의 도를 표시하는 경도 표시부(131, 131')와 경도의 분을 표시하는 분 표시부(132,132')로 구성되고, 좌단(14)과 우단(14')은 위도의 도를 표시하는 위도 표시부(141, 141')와 분을 표시하는 분 표시부(142, 14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세계 공용 격자 좌표계에 의한 지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좌표값의 1분(minute) 단위의 각 격자구간을 축척에 따라 10등분, 100등분 및 1000등분하는 경우,
    10등분하는 때, 경도는 분이하의 격자좌표를 나타내기 위하여 X 문자뒤에 1/10분 단위의 배수에 해당하는 1자리수 정수로 격자좌표를 나타내고 위도는 Y 문자뒤에 1/10 분의 배수에 해당하는 1자리수 정수로 격자좌표를 나타내고,
    100등분하는 때, 경도는 분이하의 격자좌표를 나타내기 위하여 X 문자뒤에 1/100분 단위의 배수에 해당하는 2자리수 정수로 격자좌표를 나타내고 위도는 Y 문자뒤에 1/100 분의 배수에 해당하는 2자리수 정수로 격자좌표를 나타내고,
    1000등분하는 때, 경도는 분이하의 격자좌표를 나타내기 위하여 X 문자뒤에 1/1000분 단위의 배수에 해당하는 3자리수 정수로 격자좌표를 나타내고 위도는 Y 문자뒤에 1/1000 분의 배수에 해당하는 3자리수 정수로 격자좌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세계 공용격자 좌표계에 의한 지도.
  6. 가상투영방식을 적용하여 지도를 나타내는 경우 위도 및 경도를 직각 좌표계로 나타내고, 도곽 테두리에 코드화된 격자 좌표값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세계 공용격자 좌표계에 의한 지도표기 방식.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도곽테두리에 표시하는 격자 좌표값은 축척별로 최소격자구간을 달리하여 축척과 표시영역이 다른 경우에도 각각의 격자에 대해 전세계적으로 고유한 위치좌표 코드값을 가지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세계 공용 격자 좌표계에 의한 지도 표기 방식.
  8. 제 5항에 있어서, 경도 및 위도를 나탸내는 단위를 도(degree), 분(minute) 외에 초(second)까지 사용하여 격자좌표를 표시하는 경우, 경도는 초단위 숫자앞에 S를 표시하고, 상기 S 문자뒤에 초단위 수를 표현하고, 1초의 1/10에 해당하는 좌표값은 X문자 뒤에 1자리수로 나타내며, 1초의 1/100에 해당하는 좌표값은 X 뒤에 두자리수로 나타내고, 위도는 S 문자 뒤에 초단위 수를 표현하고 1초의 1/10에 해당하는 좌표값은 Y 문자뒤에 1자리수로 나타내고 1초의 1/100 에 해당하는 좌표값은 두자리수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세계 공용 격자 좌표계에 의한 지도 표기 방식.
KR10-2000-0034726A 2000-06-23 2000-06-23 범세계 공용 격자 좌표계에 의한 지도 KR100402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726A KR100402808B1 (ko) 2000-06-23 2000-06-23 범세계 공용 격자 좌표계에 의한 지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726A KR100402808B1 (ko) 2000-06-23 2000-06-23 범세계 공용 격자 좌표계에 의한 지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308A true KR20020000308A (ko) 2002-01-05
KR100402808B1 KR100402808B1 (ko) 2003-10-30

Family

ID=19673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726A KR100402808B1 (ko) 2000-06-23 2000-06-23 범세계 공용 격자 좌표계에 의한 지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28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287B1 (ko) * 2005-03-16 2007-02-22 윤홍식 공간정보/위치정보의 정밀 위치정보 변환을 위한 변동량모델링 방법
KR100852594B1 (ko) * 2001-12-10 2008-08-14 주식회사 케이티 참조맵을 사용하지 않는 이미지 맵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47804A (ko) * 2016-11-01 2018-05-10 권요한 격자와 단어조합을 이용한 위치표시장치
WO2018186591A1 (ko) * 2017-04-06 2018-10-11 권요한 격자와 단어를 이용한 위치 표시와 검색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594B1 (ko) * 2001-12-10 2008-08-14 주식회사 케이티 참조맵을 사용하지 않는 이미지 맵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KR100686287B1 (ko) * 2005-03-16 2007-02-22 윤홍식 공간정보/위치정보의 정밀 위치정보 변환을 위한 변동량모델링 방법
KR20180047804A (ko) * 2016-11-01 2018-05-10 권요한 격자와 단어조합을 이용한 위치표시장치
WO2018186591A1 (ko) * 2017-04-06 2018-10-11 권요한 격자와 단어를 이용한 위치 표시와 검색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984025B2 (en) 2017-04-06 2021-04-20 John Kwo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nd searching for location by using grid and wor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2808B1 (ko) 200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77811B (zh) 一种交通渠化地图设计开发方法
CN102870146B (zh) 三维地图绘制系统
KR101159395B1 (ko) 임의의 선형 및 비선형 지도를 설계하고 사용하기 위한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N108267154B (zh) 一种地图显示方法及装置
CN103136371A (zh) 多源空间数据的剖分标识生成方法以及数据检索方法
US5275568A (en) Geographic locator system
CN102200451A (zh) 用于3d导航的程式化过程建模
CN106409129B (zh) 路况绘制方法及装置
CN108052642A (zh) 基于瓦片技术的电子海图显示方法
CN103970859A (zh) 一种基于SVG的Google用户地图文本标注方法
JPH0333268B2 (ko)
KR20070107595A (ko) 지도 데이터 처리 장치, 지도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지도데이터 처리 시스템
CN110174114B (zh) 车道线级路径生成方法、装置和存储介质
JPS63115189A (ja) 地図の表示方法
US7382290B2 (en) Mapping program including a map, process and system for precisely representing or determining a location on the map and an electronic device and a storage medium therefor
JP2012203408A (ja) 緯度経度の座標変換方法、およびその位置情報コード
Swetz The Sea Island mathematical manual: Surveying and mathematics in ancient China
CN105809616B (zh) 基于ArcGIS的1:1万国家标准地形图的制作方法
CN108491427A (zh) Pdf瓦片地图及制作方法
KR100402808B1 (ko) 범세계 공용 격자 좌표계에 의한 지도
Marelić Conformal cylindrical properties of Adriatic Sea basin renderings on portolan charts
CN108182269A (zh) 一种选择性背景敲除的注记符号化方法
CN109903358B (zh) 一种世界自然遗产申报图件的绘制方法
CN102096083B (zh) 位置编码方法、位置编码定位、发送方法及位置服务终端
CN111369676B (zh) 地图图像处理方法、装置和车载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