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2375B1 -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 - Google Patents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2375B1
KR100852375B1 KR1020067016028A KR20067016028A KR100852375B1 KR 100852375 B1 KR100852375 B1 KR 100852375B1 KR 1020067016028 A KR1020067016028 A KR 1020067016028A KR 20067016028 A KR20067016028 A KR 20067016028A KR 100852375 B1 KR100852375 B1 KR 100852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marine
offshore
floating
protruding
circumferentia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6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8848A (ko
Inventor
마코토 니시가키
마사미 마츠우라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16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2375B1/ko
Publication of KR20070018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8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2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 B63B39/03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by transferr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26Stationary floating buildings for human use, e.g. floating dwellings or floating restaur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해양구조물의 동요를 충분히 줄일 수 있는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가 제공된다.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는, 원통 형상의 부유 해양구조물 (1), 해수면 아래의 위치에서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에 고정되며,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의 하단 상방의 위치에서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에 설치되어 있는 돌출 구조물 (2), 돌출 구조물 (2) 의 하방 또는 상방 중 하나에 배치된 둘레 벽 (3a, 3b, 3c, 3d, 3e, 3f, 3g), 그리고 돌출 구조물과 둘레 벽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연통 개구 (5b, 5c, 5d, 5e, 5f, 5g)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 {MOTION SUPPRESSION DEVICE FOR MARINE STRUCTURE}
본 발명은 해양석유 굴착기지, 부유형 레저시설이나 호텔 등과 같이, 스파(SPAR)형 해양구조물, 모노칼럼형이나 다른 부유형 해양구조물을 위한 동요저감장치와 관한 것이다.
부유형 해양구조물의 불안정한 동요를 저감하는 종래기술의 장치가 도 22 에 나타난 것과 같이 제안되어 있다.
도 2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부유형 해양구조물은 원판 형상의 하부 선체(lower hull) (12) 및 하부 선체 (12)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칼럼 (11) 을 포함한다. 내부 물 저장부 (13) 가, 외부 물이 하부 선체 (12) 에 제공된 도수구 (14) 를 통해서 유통되도록 칼럼 (11) 안에 형성되어 있다. 핀 (18, fin) 이 하방으로 경사지게 확장되도록 하부 선체 (12) 의 외주 둘레에 제공된다. 핀 (18) 은 핀 (18) 과 하부 선체 (12) 의 외주 사이에 간격이 유지되는 지지대 (19) 를 거쳐서 하부 선체 (12) 에 고정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핀 (18) 의 효과에 의해, 동요저감이 실행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 1994-56074 호
하지만, 종래기술 장치의 다방면 검증 실험결과, 동요 저감효과가 작게 얻어지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상기 언급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양구조물의 효과적인 동요저감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언급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수단은, 원통형의 부유 해양구조물, 해수면 아래의 위치에서 부유 해양구조물의 측벽에 고정되며, 해양구조물 측벽의 하단 상방의 위치에서 부유 해양구조물의 측벽에 설치되어 있는 돌출 구조물, 돌출 구조물 하단의 하방 또는 상방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둘레 벽, 그리고 돌출 구조물과 둘레 벽 사이에 형성된 연통 개구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의 동요저감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2 수단은, 원통형의 부유 해양구조물, 해수면 아래의 위치에서 부유 해양구조물의 측벽에 고정되며, 해양구조물 측벽의 하단 상방의 위치에서 부유 해양구조물의 측벽과 돌출 구조물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돌출 구조물, 돌출 구조물 하단의 하방 또는 상방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둘레 벽, 그리고 돌출 구조물과 둘레 벽 사이에 형성된 연통 개구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의 동요저감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3 수단은, 원통형의 부유 해양구조물, 해수면 아래의 위치에서 부유 해양구조물의 측벽에 고정되며, 해양구조물 측벽의 하단 상방의 위치에서 부유 해양구조물의 측벽에 설치되어 있는 돌출 구조물, 돌출 구조물 하방 및 상방에 배치된 둘레 벽, 돌출 구조물의 외주 및 둘레 벽을 감싸도록 배치된 연통부 벽, 그리고 돌출 구조물과 둘레 벽 사이에 형성된 연통 개구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4 수단은, 앞서 언급된 제 1 내지 3 태양의 해양구조물의 동요저감장치에 있어서, 돌출 구조물, 둘레 벽 및 횡방향 이동 방지판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서 수직으로 제공되는 6 개 이상의 횡방향 이동 방지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수단은, 제 4 수단에서 언급된 해양구조물의 동요저감장치에 있어서, 돌출 구조물, 둘레 벽, 부유 해양구조물과 횡방향 이동 방지판으로 형성된 해수 저장부를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의 청구항에서 언급된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제 1 내지 4 수단을 각각 적용하여, 하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청구항 1 또는 2 의 발명이 제 1 또는 2 수단을 적용함에 따라, 해수 저장부는 부유 해양구조물, 돌출 구조물 및 둘레 벽으로 형성된다. 그 때문에, 부유 해양구조물이 불안정하게 움직일 때, 해수 저장부에 저장된 해수는 부유 해양구조물의 동요를 저감하는 물질로 쓰인다. 또한, 연통 개구 또는 슬릿 형태의 연통부를 통해 해수 저장부에 저장된 해수를 방출함으로써, 부유 해양구조물의 동요는 크게 저감될 수 있다.
(2) 청구항 3 의 발명이 제 3 수단을 적용함에 따라, 해수 저장부는 부유 해양구조물, 돌출 구조물 및 둘레 벽으로 형성된다. 그 때문에, 부유 해양구조물이 불안정하게 움직일 때, 해수 저장부에 저장된 해수는 부유 해양구조물의 동요를 저감하는 물질로 쓰인다. 또한, 연통부를 통해 해수가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부유 해양구조물의 동요는 크게 저감될 수 있다.
(3) 청구항 4 또는 5 의 발명이 제 4 또는 5 수단을 적용함에 따라, 해수 저장부에 저장된 해수는 횡방향 이동 방지판에 의해 횡 방향으로(수평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그 때문에, 부유 해양구조물의 동요는 더 효과적으로 저감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실시예 1 의 저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5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7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6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8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7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8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9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0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1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2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3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4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5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6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7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9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8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9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21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0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22 는 종래 기술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실시예 1 의 저면도이다. 도 3 내지 21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내지 20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을 각각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실시예 1]
먼저, 실시예 1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은 도 1 및 2 를 참조 하여 설명된다.
도 1 및 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부유형 해양구조물은 원통형상의 부유 해양구조물 (1) 과 해수면 아래의 위치에서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에 고정되며,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의 하단 상방의 위치에서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에 고정된 링 형상의 돌출 구조물 (2) 을 포함한다.
돌출 구조물 (2) 은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전체 외주에 고정 배치되어 있다. 돌출 구조물 (2) 의 외주 하방에, 링 형상의 둘레 벽 (3a) 이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외주 전체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돌출 구조물 (2) 의 외주를 지나서 밖으로 돌출되지는 않는다.
돌출 구조물 (2) 과 둘레 벽 (3a) 사이에 슬릿 형상의 연통 개구 (5a) 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 구조물 (2), 둘레 벽 (3a) 및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 하부로 둘러싸인 공간에, 다수의 횡방향 이동 방지판 (4a) 이 수직으로 제공된다. 도 2 에서, 6 개의 횡방향 이동 방지판 (4a) 은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횡방향 이동 방지판 (4a) 은 둘레 벽 (3a) 의 하단에 연결된 외면과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 하단부에 연결된 내면을 가지는 개방단 (6a) 을 포함한다.
따라서, 해수가 저장되는 해수 저장부 (A) 는 돌출 구조물 (2) 의 저면, 둘레 벽 (3a),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외주 및 횡방향 이동 방지판 (4a), (4a) 에 의해 형성된다.
부유 해양구조물 (1) 이 불안정하게 움직일 때, 횡방향 이동 방지판 (4a) 은 해수 저장부 (A) 내의 해수가 횡방향으로(수평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공된 횡방향 이동 방지판 (4a) 의 개수가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크기에 따라 다를지라도, 도 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적어도 6 개의 방지판이 제공되어야 한다.
상기 언급된 구성에서, 부유 해양구조물 (1) 이 불안정하게 움직일 때, 많은 양의 해수가 각 해수 저장부 (A) 에 저장되고, 해수 저장부 (A) 에 저장된 해수는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동요를 저감하는 물질로 작용한다.
또한, 슬릿 형상의 연통 개구 (5a) 로부터, 해수 저장부 (A) 내의 해수가 외측으로 분출됨에 의해서도 동요를 억제한다.
게다가, 해수 저장부 (A) 내의 해수는 슬릿 형상의 연통 개구 (5a) 를 통해서 외부로 방출되기 때문에,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동요는 저감될 수 있다. 연통 개구 (5a) 의 크기는, 부유 해양구조물 (1) 이 공진으로 움직일 때, 해수 저장부 (A) 의 해수가 와류를 발생시키면서 방출할 정도의 크기가 바람직하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은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실시예 1 (도 1 및 2)의 둘레 벽 (3a) 은 돌출 구조물 (2) 하방에 배치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 2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에서는 둘레 벽 (3b) 이 돌출 구조물 (2) 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3 에서, 도 1 및 2 에 나타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 부품과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며, 도 1 및 2 에 나타난 것과 다른 점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의 둘레 벽 (3b) 은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외주 전체를 둘러싸지만, 돌출 구조물 (2) 의 외주를 지나서 밖으로 돌출되지는 않도록 돌출 구조물 (2) 의 외주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돌출 구조물 (2) 과 둘레 벽 (3b) 사이에 슬릿 형상의 연통 개구 (5b) 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 구조물 (2), 둘레 벽 (3b) 및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 상부로 둘러싸인 공간에, 횡방향 이동 방지판 (4b) 이 수직으로 제공되며, 이 횡방향 이동 방지판 (4b) 는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그 수는 도 2 의 경우와 같이 6 개 이상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해수 저장부 (B) 가 형성된다. 각 횡방향 이동 방지판 (4b) 은 둘레 벽 (3b) 의 상단에 연결된 외면과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 상부에 연결된 내면을 가지는 개방단 (6b) 을 포함한다.
상기 언급된 구성에 의해, 실시예 1 과 같은 기능 및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3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은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실시예 1 (도 1 및 2) 의 둘레 벽 (3a) 은 돌출 구조물 (2) 하방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 3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에서는 둘레 벽 (3c) 이 돌출 구조물 (2) 아래에서 하방으로 경사져 확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4 에서, 도 1 및 2 에 나타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 부품과 구성요소 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며, 도 1 및 2 와 다른 점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외주 전체를 둘러싸도록 돌출 구조물 (2) 의 외주 하방으로 절두 원추형상(truncated cone shape)의 둘레 벽 (3c) 이 배치되어 있다. 돌출 구조물 (2) 과 둘레 벽 (3c) 사이에 슬릿 형상의 연통 개구 (5c) 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 구조물 (2), 둘레 벽 (3c) 및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 하부로 둘러싸인 공간에, 횡방향 이동 방지판 (4c) 이 수직으로 제공되며, 이 횡방향 이동 방지판 (4c) 은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주위에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그 수량은 도 2 의 경우와 같이 6 개 이상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해수 저장부 (A) 가 형성된다. 각 횡방향 이동 방지판 (4c) 은 둘레 벽 (3c) 의 하단에 연결된 외면과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 하부에 연결된 내면을 가지는 개방단 (6c) 을 포함한다.
상기 언급된 구성에 의해, 각 해수 저장부 (A) 에 실시예 1 의 경우보다 더 많은 양의 해수가 저장될 수 있고,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동요 저감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4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은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실시예 1 (도 1 및 2) 의 둘레 벽 (3a) 은 돌출 구조물 (2) 하방으로 배치되 어 있지만, 본 실시예 4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에서는 둘레 벽 (3d) 이 돌출 구조물 (2) 의 외주의 외부 공간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도 5 에서, 도 1 및 2 에 나타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 부품과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며, 도 1 및 2 와 다른 점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외주를 감싸도록 돌출 구조물 (2) 의 외주의 외부 공간 아래에 링 형상의 둘레 벽 (3d) 이 배치되어 있다. 돌출 구조물 (2) 과 둘레 벽 (3d) 사이에 슬릿 형상의 연통 개구 (5d) 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 구조물 (2), 둘레 벽 (3d) 및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 하부로 둘러싸인 공간에, 횡방향 이동 방지판 (4d) 이 수직으로 제공되며, 이 횡방향 이동 방지판 (4d) 은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주위에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그 수량은 도 2 의 경우와 같이 6 개 이상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해수 저장부 (A) 가 형성된다. 각 횡방향 이동 방지판 (4d) 은 둘레 벽 (3d) 의 하단에 연결된 외면과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의 하단에 연결된 내면을 가지는 개방단 (6d) 을 포함한다.
상기 언급된 구성에 의해, 각 해수 저장부 (A) 에는 실시예 1 의 경우보다 더 많은 양의 해수가 저장될 수 있고,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동요 저감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5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은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실시예 4 (도 5) 의 둘레 벽 (3d) 은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 5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에서는 둘레 벽 (3e) 이 하방으로 경사져 확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6 에서, 도 5 에 나타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 부품과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며, 도 5 와 다른 점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된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전체 외주를 감싸도록 돌출 구조물 (2) 의 외주의 외부 공간 아래에 절두 원추형상의 둘레 벽 (3e) 이 배치되어 있다. 돌출 구조물 (2) 과 둘레 벽 (3e) 사이에 슬릿 형상의 연통 개구 (5e) 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 구조물 (2), 둘레 벽 (3e) 및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 하부로 둘러싸인 공간에, 횡방향 이동 방지판 (4e) 이 수직으로 제공되며, 이 횡방향 이동 방지판 (4e) 은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주위에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그 수량은 도 2 의 경우와 같이 6개 이상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해수 저장부 (A) 가 형성된다. 각 횡방향 이동 방지판 (4e) 은 둘레 벽 (3e) 의 하단에 연결된 외면과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의 하단에 연결된 내면을 가지는 개방단 (6e) 을 포함한다.
상기 언급된 구성에 의해, 각 해수 저장부 (A) 에는 실시예 4 의 경우보다 더 많은 양의 해수가 저장될 수 있고,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동요 저감효과가 더 욱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 6]
실시예 6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실시예 1 (도 1 및 2) 의 둘레 벽 (3a) 등은 돌출 구조물 (2) 하방에 배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실시예 2 (도 3) 의 둘레 벽 (3b) 등은 돌출 구조물 (2) 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 6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에서는 돌출 구조물 (2) 하방에 둘레 벽 (3a) 등 및 돌출 구조물 (2) 상방에 둘레 벽 (3b) 등이 모두 배치되어 있다. 즉, 실시예 1 과 실시예 2 가 결합되어 있다.
도 7 에서, 도 1, 2 및 3 에 나타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 부품과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상기 언급된 구성에 의해, 각 해수 저장부 (A 및 B) 에는 많은 양의 해수가 저장될 수 있고,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동요 저감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 7]
실시예 7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은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 7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에서는, 실시예 2 와 실시예 3 이 결합되어 있다. 즉,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 구조물 (2) 상방에 둘레 벽 (3b) 등이 배치되고 또한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 구조물 (2) 하방에 둘레 벽 (3c) 등이 배치되어 있다.
도 8 에서, 도 3 및 4 에 나타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 부품과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상기 언급된 구성에 의해, 각 해수 저장부 (A 및 B) 에 많은 양의 해수가 저장될 수 있고,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동요 저감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 8]
실시예 8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은 도 9 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실시예 7 (도 8) 의 돌출 구조물 (2) 상방의 둘레 벽 (3b) 은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 8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에서는 역 절두 원추형상의 둘레 벽 (3f) 이 돌출 구조물 (2) 상방에 상방으로 경사져 확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9 에서, 도 8 에 나타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 부품과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즉, 도 8 의 경우에서와 같이, 절두 원추형의 둘레 벽 (3c) 등은 돌출 구조물 (2)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한편,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외주 전체를 감싸도록 역 절두 원추형상의 둘레 벽 (3f) 이 돌출 구조물 (2) 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돌출 구조물 (2) 과 둘레 벽 (3f) 사이에 슬릿 형상의 연통 개구 (5f) 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 구조물 (2), 둘레 벽 (3f) 및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 상부로 둘러싸인 공간에, 횡방향 이동 방지판 (4f) 이 수직으로 제공되며, 횡방향 이동 방 지판 (4f) 은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주위에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그 수량은 도 2 의 경우와 같이 6 개 이상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해수 저장부 (B) 가 형성된다. 각 횡방향 이동 방지판 (4f) 은 둘레 벽 (3f) 의 상단에 연결된 외면과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의 상단에 연결된 내면을 가지는 개방단 (6f) 을 포함한다.
상기 언급된 구성에 의해, 각 해수 저장부 (A 및 B) 에는 많은 양의 해수가 저장될 수 있고,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동요 저감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 9]
실시예 9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은 도 10 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 9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에서는, 실시예 2 (도 3) 와 실시예4 (도 5) 가 결합되어 있다. 즉,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 구조물 (2) 상방에 둘레 벽 (3b) 등이 배치되고,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 구조물 (2) 하방에 둘레 벽 (3d) 등이 배치되어 있다.
도 10 에서, 도 3 및 도 5 에 나타난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가진 부품과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상기 언급된 구성에 의해, 각 해수 저장부 (A 및 B) 에는 많은 양의 해수가 저장될 수 있고,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동요 저감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 10]
실시예 10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은 도 11 을 참조하여 설명 된다.
본 실시예 10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에서는, 실시예 2 (도 3) 와 실시예 5 (도 6) 가 결합되어 있다. 즉,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 구조물 (2) 상부에 둘레 벽 (3b) 등이 배치되고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 구조물 (2) 하방에 둘레 벽 (3e) 등이 배치되어 있다.
도 11 에서, 도 3 및 6 에 나타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 부품과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상기 언급된 구성에 의해, 각 해수 저장부 (A 및 B) 에는 많은 양의 해수가 저장될 수 있고,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동요 저감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 11]
실시예 11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은 도 12 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 11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에서는, 실시예 8 (도 9) 의 돌출 구조물 (2) 하방의 구성이 실시예 5 (도 6) 의 돌출 구조물 (2) 하방의 구성으로 대체되었다. 즉, 도 9 의 경우와 같이, 돌출 구조물 (2) 상방에 둘레 벽 (3f) 등이 배치되고 도 6 의 경우와 같이 돌출 구조물 (2) 하방에 둘레 벽 (3e) 등이 배치되어 있다.
도 12 에서, 도 6 및 9 에 나타난 것과 동일한 구성의 부품과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상기 언급된 구성에 의해, 각 해수 저장부 (A 및 B) 에는 많은 양의 해수가 저장될 수 있고,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동요 저감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 12]
실시예 12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은 도 13 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실시예 9 (도 10) 의 둘레 벽 (3b) 은 돌출 구조물 (2) 의 외주 상방에 배치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 12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에서는 둘레 벽 (3g) 이 돌출 구조물 (2) 의 외주의 외부 공간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13 에서, 도 10 에 나타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부품과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즉, 도 10 의 경우와 같이, 둘레 벽 (3d) 등은 돌출 구조물 (2) 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한편,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전체 외주을 감싸도록 둘레 벽 (3d) 과 같은 크기의 링 형상의 둘레 벽 (3g) 이 돌출 구조물 (2) 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돌출 구조물 (2) 과 둘레 벽 (3g) 사이에 슬릿 형상의 연통 개구 (5g) 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 구조물 (2), 둘레 벽 (3g) 및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상부 측벽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횡방향 이동 방지판 (4g) 이 수직으로 제공되며, 이 횡방향 이동 방지판 (4g) 은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주위에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그 수량은 도 2 의 경우와 같이 6 개 이상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해수 저장부 (B) 가 형성된다. 각 횡방향 이동 방지판 (4g) 은 둘레 벽 (3g) 의 상단에 연결된 외면과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 상단에 연결된 내면을 가지는 개방단 (6g) 을 포함한다.
상기 언급된 구성에 의해, 각 해수 저장부 (A 및 B) 에 많은 양의 해수가 저장될 수 있고,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동요 저감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 13]
실시예 13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은 도 14 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 13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에서는, 실시예 12 (도 13) 의 돌출 구조물 (2) 하방에 둘레 벽 (3d) 등이 실시예 5 (도 6) 의 돌출 구조물 (2) 하방의 둘레 벽 (3e) 으로 대체되었다.
도 14 에서, 도 13 및 6 에 나타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부품과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상기 언급된 구성에 의해, 각 해수 저장부 (A 및 B) 에는 많은 양의 해수가 저장될 수 있고,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동요 저감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 14]
실시예 14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은 도 15 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실시예 13 (도 14) 의 돌출 구조물 (2) 의 외주 외부 공간 상방의 둘레 벽 (3g) 은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 14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에서는 역 절두 원추형상의 둘레 벽 (3h) 이 상방으로 경사져 확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5 에서, 도 14 에 나타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부품과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즉, 도 14 의 경우와 같이, 절두 원추형상의 주위벽 (3e) 이 돌출 구조물 (2) 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한편,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외주 전체를 감싸도록 역 절두 원추형상의 둘레 벽 (3h) 이 돌출 구조물 (2) 의 외주 외부 공간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돌출 구조물 (2) 과 둘레 벽 (3h) 사이에 슬릿 형상의 연통 개구 (5h) 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 구조물 (2), 둘레 벽 (3h) 및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 상부로 둘러싸인 공간에서, 횡방향 이동 방지판 (4h) 이 수직으로 제공되며, 이 횡방향 이동 방지판 (4h) 은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주위에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그 수량은 도 2 의 경우와 같이 6 개 이상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해수 저장부 (B) 가 형성된다. 각 횡방향 이동 방지판 (4h) 은 둘레 벽 (3h) 의 하단에 연결된 외면과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 하단에 연결된 내면을 가지는 개방단 (6h) 을 포함한다.
상기 언급된 구성에 의해, 각 해수 저장부 (A 및 B) 에는 많은 양의 해수가 저장될 수 있고,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동요 저감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 15]
실시예 15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은 도 16 을 참조하여 설명 된다.
실시예 1 내지 14 의 돌출 구조물 (2) 은 부유 해양구조물 (1) 에 직접 설치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 15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에서는 링 형상의 돌출 구조물 (2a) 이 해수면 아래의 위치에서 부유 해양 구조물 (1) 의 측벽에 고정되며, 부유 해양구조물 (1) 측벽의 하단 상방의 위치에서 돌출 구조물 (2a) 과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연통부 (7) 는 돌출 구조물 (2a) 과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돌출 구조물 (2a) 의 하면 및/또는 상면에서, 도 1, 3, 4, 7, 8, 9 에 나타난 둘레 벽 (3a, 3b, 3c) 은 직접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횡방향 이동 방지판 (4a, 4b, 4c, 4f) 도 그와 같이 배치되어 있어서 해수 저장부 (A 및/또는 B)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5 에 의해,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동요 저감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 16]
실시예 16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은 도 17 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실시예 12 (도 13) 의 둘레 벽 (3d 및 3g) 은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 16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에서는 연통부 벽 (9) 이 돌출 구조물 (2) 의 외주 외부 공간을 감싸도록 제공되어서, 연통부 벽 (9) 을 통해 둘 레 벽 (3d 및 3g) 이 서로 연결된다.
도 17 에서, 도 13 에 나타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부품과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즉, 돌출 구조물 (2) 의 하방으로, 링 형상의 둘레 벽 (3d) 과 횡방향 이동 방지판 (4d) 이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외주 전체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고, 그 때문에 해수 저장부 (A) 가 형성된다. 또한, 돌출 구조물 (2) 의 상방으로, 둘레 벽 (3d) 과 같은 크기의 링 형상의 둘레 벽 (3g) 및 횡방향 이동 방지판 (4g) 이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외주 전체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고, 그 때문에 해수 저장부 (B) 가 형성된다.
둘레 벽 (3d 및 3g) 에 각각 연결된 연통부 벽 (9) 은 돌출 구조물 (2) 의 외주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해수 저장부 (A 및 B) 를 각각 연결하는 링 형상의 연통부 (7a) 는 연통부 벽 (9) 의 내면과 돌출 구조물 (2) 의 외주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 언급된 구성에 의해서, 부유 해양구조물 (1) 이 움직일 때, 해수 저장부 (A 및 B) 에 저장되는 해수는 연통부 (7a) 를 통해서 해수 저장부 (A 및 B) 로 각각 흐른다. 그 결과, 이때의 유체 저항에 의해,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동요 저감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 17]
실시예 17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은 도 18 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실시예 14 (도 15) 의 주위벽 (3e 및 3h) 은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 17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에서는 연통부 벽 (9) 이 돌출 구조물 (2) 의 외주의 외부 공간을 감싸도록 제공되어서, 연통부 벽 (9) 을 통해 둘레 벽 (3e 및 3h) 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18 에서, 도 15 에 나타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부품과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즉, 돌출 구조물 (2) 의 하방으로, 링 형상의 둘레 벽 (3e) 및 횡방향 이동 방지판 (4e) 이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외주 전체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고, 그 때문에 해수 저장부 (A)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 구조물 (2) 의 상방으로, 주위벽 (3e) 과 같은 크기의 링 형상의 둘레 벽 (3h) 및 횡방향 이동 방지판 (4h) 이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외주 전체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고, 그 때문에 해수 저장부 (B) 가 형성되어 있다.
둘레 벽 (3e 및 3g) 에 각각 연결된 연통부 벽 (9) 는 돌출 구조물 (2) 의 외주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해수 저장부 (A 및 B) 를 각각 연결하는 링 형상의 연통부 (7a) 는 연통부 벽 (9) 의 내면과 돌출 구조물 (2) 의 외주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 언급된 구성에 의해서, 부유 해양구조물 (1) 이 움직일 때, 해수 저장부 (A 및 B) 에 저장되는 해수는 연통부 (7a) 를 통해서 해수 저장부 (A 및 B) 로 각각 흐른다. 그 결과, 이때의 유체 저항에 의해,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동요 저감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 18]
실시예 18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은 도 19 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실시예 16 (도 17) 의 돌출 구조물 (2) 은 평면의 외주를 가지지만, 본 실시예 18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에서는 돌출 구조물 (2b) 이 바깥으로 돌출된 외주의 중심부를 가진다.
도 19 에서, 도 17 에 나타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부품과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즉, 돌출 구조물 (2b) 의 하방으로, 링 형상의 둘레 벽 (3d) 및 횡방향 이동 방지판 (4d) 이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외주 전체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고, 그 때문에 해수 저장부 (A)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 구조물 (2b) 의 상방으로, 주위벽 (3d) 과 같은 크기의 링 형상의 둘레 벽 (3g) 및 횡방향 이동 방지판 (4g) 이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외주 전체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고, 그 때문에 해수 저장부 (B) 가 형성되어 있다.
둘레 벽 (3d 및 3g) 에 각각 연결된 연통부 벽 (9) 은 돌출 구조물 (2b) 의 외주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해수 저장부 (A 및 B) 를 연결하는 연통부 (7b) 는 각각 연통부 벽 (9) 의 내면과 돌출 구조물 (2b) 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외주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오리피스부 (10) 는 연통부 벽 (9) 의 내부면과 돌출 구조물 (2b) 외주의 돌출된 단부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에 언급된 구성에 의해서, 부유 해양구조물 (1) 이 움직일 때, 해수 저 장부 (A 및 B) 에 저장되는 해수는 연통부 (7b) 를 통해서 해수 저장부 (A 및 B) 로 각각 흐른다. 해수가 오리피스부 (10) 를 통해서 흐를 때, 해수의 유속은 증가하고, 감쇠 효과는 커지게 된다. 그 결과,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동요 저감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오리피스부 (10) 는 도 18 에 나타난 실시예 17 의 구성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언급된 오리피스부 (10) 가 바깥쪽으로 돌출된 외주의 수직방향 중심부를 가지는 돌출 구조물 (2b) 을 적용하지만, 오리피스부의 구성은 그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돌출 구조물 (2b) 의 외주의 상단이나 하단이 바깥쪽으로 돌출되거나 연통부 벽 (9) 이 돌출 구조물 (2b) 을 향해 안쪽으로 돌출되어도 된다.
[실시예 19]
실시예 19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은 도 20 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실시예 15 (도 16) 의 돌출 구조물 (2a) 은 편평하게 형성된 내면을 가지지만, 본 실시예 19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에서는 돌출 구조물 (2c) 이 부유 해양구조물 (1) 을 향해 안쪽으로 돌출된 내면의 중심부를 가진다.
도 20 에서, 도 16 에 나타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 부품과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즉, 실시예 15 의 경우와 같이, 링 형상의 돌출 구조물 (2c) 은 해수면 아래의 위치에서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에 고정되며,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 하부 상방의 위치에 돌출 구조물 (2c) 과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연통부 (7c) 는 돌출 구조물 (2c) 과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 구조물 (2c) 은 안쪽으로 돌출된 내면의 수직방향 중심부를 갖는다. 따라서, 오리피스부 (10) 는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과 돌출 구조물 (2c) 내면의 돌출 단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돌출 구조물 (2c) 의 상부면 및/또는 하부면에는, 도 1, 3, 4, 7, 8, 9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위벽 (3a, 3b, 3c, 3f) 이 직접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횡방향 이동 방지판 (4a, 4b, 4c, 4f) 이 배치되어 있어 해수 저장부 (A 및/또는 B)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9 에 의해,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동요 저감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 20]
실시예 20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의 구성은 도 21 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실시예 15 (도 16) 의 돌출 구조물 (2a) 은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에 대해 편평하게 형성된 내면을 가지지만, 본 실시예 20 의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에서는 돌출 구조물 (2d) 이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내면을 가진다.
도 21 에서, 도 16 에 나타난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부품과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주어진다.
즉, 실시예 15 의 경우와 같이, 링 형상의 돌출 구조물 (2d) 은 해수면 아래의 위치에서 부유 해양구조물의 측벽에 고정되며,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 하단 상방의 위치에서 돌출 구조물 (2d) 과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연통부 (7d) 는 돌출 구조물 (2d) 과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 구조물 (2d) 은 안쪽으로 돌출된 경사진 내면의 상단부를 가진다. 따라서, 오리피스부 (10) 는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과 돌출 구조물 (2d) 내면의 돌출 단부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 구조물 (2d) 의 상부면 및/또는 하부면에는 도 1, 3, 4, 7, 8, 9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둘레 벽 (3a, 3b, 3c, 3f) 이 직접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횡방향 이동 방지판 (4a, 4b, 4c, 4f) 이 배치되어 있어 해수 저장부 (A 및/또는 B)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 20 에 의해,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동요 저감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 내지 21 은 모두 부유 해양구조물 (1) 구성의 해수면 하방의 부분만 나타내고 있고, 해수면이나 해수면 상방의 구성은 그것과 독립적으로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21 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다수의 부유 해양구조물 (1) 이 제공되고, 해수면 상방에 위치하도록 그 위에 공통대(common station) 가 설치되며, 이는 레저시설이나 호텔서 적절히 이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이 실시예 1 내지 20 에 기초해서 설명이 되었더라도, 본 발명 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연히 하기에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구체적인 구성에 다양한 변경예를 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부유 해양구조물(1), 돌출 구조물 (2, 2a) 하방의 둘레 벽 (3a, 3b, 3c, 3d, 3e, 3f, 3g, 3h) 그리고 연통부 벽 (9) 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각형, 팔각형, 사각형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다른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돌출 구조물 (2, 2a, 2b, 2c, 2d) 은 도 1 내지 21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각형 또는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수직단면 형상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원판 등을 포함하는 얇은판 형상의 구조도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급된 실시예에서, 돌출 구조물 (2, 2a) 아래의 둘레 벽 (3a, 3b, 3c, 3d, 3e) 은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하단을 넘어서 하방으로 돌출하지 않게 배치되어 있을지라도, 그것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하단을 지나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형상도 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도, 횡방향 이동 방지판 (4a, 4c, 4d, 4e) 의 개방단 (6a, 6c, 6d, 6e) 은 둘레 벽 (3a, 3c, 3d, 3e) 의 하단에 연결되는 외면과 부유 해양구조물 (1) 의 측벽 하단에 연결되는 내면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Claims (7)

  1. 부유 해양 구조물의 측벽의 해수면 아래에서, 각각의 부유 해양 구조물의 측벽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에 부착된 돌출 구조물과, 상기 돌출 구조물 하방 또는 상방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된 둘레 벽을 포함하는 부유 해양 구조물의 동요저감장치에 있어서,
    상기 돌출 구조물과 상기 둘레 벽 사이에 형성된 연통 개구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의 동요저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구조물은, 상기 부유 해양 구조물의 측벽과 간격을 두어 배치되며, 상기 부유 해양 구조물과 상기 돌출 구조물의 사이에 연통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의 동요저감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구조물의 외주를 감쌈과 동시에 상기 하방, 상방 또는 하방과 상방의 둘레벽에 연속하여 배치된 연통부 벽을 구비한 상기 연통 개구는, 상기 돌출 구조물과 상기 연통부 벽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의 동요저감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구조물, 상기 둘레 벽 및 상기 부유 해양구조물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복수의 횡방향 이동 방지판이 수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구조물, 상기 둘레 벽 및 상기 부유 해양구조물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복수의 횡방향 이동 방지판이 수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구조물, 둘레 벽, 부유 해양구조물 및 횡방향 이동 방지판에 의해 해수 저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구조물, 둘레 벽, 부유 해양구조물 및 횡방향 이동 방지판에 의해 해수 저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
KR1020067016028A 2004-02-24 2005-02-18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 KR100852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6028A KR100852375B1 (ko) 2004-02-24 2005-02-18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47519 2004-02-24
KR1020067016028A KR100852375B1 (ko) 2004-02-24 2005-02-18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848A KR20070018848A (ko) 2007-02-14
KR100852375B1 true KR100852375B1 (ko) 2008-08-14

Family

ID=41645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6028A KR100852375B1 (ko) 2004-02-24 2005-02-18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23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677B1 (ko) * 2012-10-24 2014-06-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중에 설치되는 수동형 상하동요 및 회전동요 감쇠장치가 구비된 부유식 풍력 발전기 및 부유식 풍력 발전기용 수동형 상하동요 및 회전동요 감쇠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5989A (ko) * 1973-12-25 1975-07-30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5989A (ko) * 1973-12-25 1975-07-3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677B1 (ko) * 2012-10-24 2014-06-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중에 설치되는 수동형 상하동요 및 회전동요 감쇠장치가 구비된 부유식 풍력 발전기 및 부유식 풍력 발전기용 수동형 상하동요 및 회전동요 감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848A (ko) 200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8548B2 (ja) 海洋構造物の動揺低減装置
US5074086A (en) Damping device in a structure and damping construction and damping method using those devices
JP5691202B2 (ja) スロッシング抑制装置
KR100852375B1 (ko) 해양구조물용 동요저감장치
JP2005330011A (ja) 浮屋根式貯蔵タンクのスロッシング抑制機構
US3379338A (en) Splash-retarding vessels
JP2007176595A (ja) 液体貯留容器
JPH09142582A (ja) 液面揺動防止装置
FI117904B (fi) Aaltoja vaimentava suuri kelluva rakenne
JP2009015269A (ja) 自然エネルギーで動く昇降体
KR101573390B1 (ko) 충진물 및 이를 포함하는 증류탑
JP3217982U (ja) 制振ダンパー
RU2102106C1 (ru) Массообменная колонна с плавающей насадкой
KR101748947B1 (ko)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
JP6831263B2 (ja) 函体の水中への据付方法及びこの函体の揺動防止用タンク
JP2006090040A (ja) 排水トラップ及び排水トラップ用フロート
JPH04201697A (ja) 液体ロケット推進薬タンク内スロッシング減衰装置
JP4130852B2 (ja) 空気液化分離装置の充填塔に用いられる液体捕集分配装置
JP6347556B2 (ja) 建造物の制振装置
JPH06345184A (ja) 液体動揺抑制装置付タンク
JPH10244989A (ja) 低動揺型浮体構造物
JP2011241960A (ja) 制振装置及び制振性に優れた立設部材
JPH04260827A (ja) 液体貯蔵タンク
JPS6340064A (ja) 建築物の振動抑制装置
KR200487050Y1 (ko) 슬로싱이 방지되는 소방용 저수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