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390B1 - 충진물 및 이를 포함하는 증류탑 - Google Patents

충진물 및 이를 포함하는 증류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390B1
KR101573390B1 KR1020140018139A KR20140018139A KR101573390B1 KR 101573390 B1 KR101573390 B1 KR 101573390B1 KR 1020140018139 A KR1020140018139 A KR 1020140018139A KR 20140018139 A KR20140018139 A KR 20140018139A KR 101573390 B1 KR101573390 B1 KR 101573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ated plate
plate
liquid
gas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7868A (ko
Inventor
변재식
Original Assignee
변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재식 filed Critical 변재식
Priority to KR1020140018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390B1/ko
Publication of KR20150097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7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16Fractionating columns in which vapour bubbles through liquid
    • B01D3/18Fractionating columns in which vapour bubbles through liquid with horizontal bubble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32Other features of fractionating columns ; Constructional details of fractionating colum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3/16 - B01D3/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30Loose or shaped packing elements, e.g. Raschig rings or Berl saddles, for pouring into the apparatus for mass or heat transf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 형상으로 마련되며 판면을 관통하여 기체가 상승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다공판; 다공판의 판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다공판 상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다공판의 상면에 흐르는 액체가 일정 높이를 초과하면 다공판의 하부로 하강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파이프 유닛; 다공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공판의 판면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 다공판의 상면에 흐르는 액체와 다공판의 하부에서 상승하는 기체가 접촉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둘레벽판; 및 구형 형상으로 둘레벽판의 외부를 감싸도록 마련되며 둘레면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다공구를 포함하는 충진물을 제공하여, 기체와 액체의 접촉효율을 향상시키고 압력손실이 감소되어 공정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증류탑 내부 구조물의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액체의 분배 불균형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충진물 및 이를 포함하는 증류탑{Packing and Distillation Tow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충진물 및 이를 포함하는 증류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증류탑 내부에서 기체와 액체의 접촉효율을 향상시키고 처리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증류탑 내부의 충진물 및 이를 포함하는 증류탑에 관한 것이다.
화학공정에서 비점이 다른 혼합물을 분리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증류탑은 기체와 액체의 접촉장치로 충진탑(Packed Tower)과 다단탑(Tray Tower)으로 분류할 수 있는 데 이와 같은 분류는 기체와 액체를 접촉시키기 위해 탑 내부에 설치되는 구조물의 형태에 따른다.
다단탑은 탑 내에 여러 개의 트레이(Tray, 또는 단)를 설치하여, 하단에서 상승하는 기체(Vapor, 또는 Gas)와 상단에서 하강하는 액체(Liquid)가 트레이에서 서로 접촉하여 열 및 물질전달이 진행되도록 한다.
충진탑(Packed Tower)은, 탑 내에 충진물을 가득 채워 탑 상부에서 액체가 충진물 표면을 따라 고르게 흘러내리면서 하부에서 충진물과 충진물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승하는 기체와 연속적으로 접촉하면서 열 및 물질전달이 진행되도록 한다.
다단탑은, 트레이(Tray)에서만 기체와 액체가 접촉하는 불연속적인 형태인 반면, 충진탑은 충진물이 채워진 공간 전체에서 기체와 액체가 연속적으로 접촉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
이러한 이유로, 하나의 증류탑 내에 다단탑과 충진탑을 혼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구간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기본적인 형태의 트레이인 다공판으로 구성된 종래 다단탑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축방향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반경 방향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트레이인 다공판(Sieve Tray)으로 구성된 다단탑에서 기체와 액체가 접촉하여 열 및 물질전달이 일어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단(n-1번째 단, 101a)의 액체(Ln -1)는, 위어(weir, 103a)를 넘쳐흘러 n-1번째 단과 n번째 단에 걸쳐 수직으로 설치된 다운커머(downcomer, 102)로 유입된 후, n번째 단의 다공판(101b) 위를 수평으로 흘러 n번째 단의 위어(weir, 103b)를 넘쳐흘러 하단(n+1번째 단)으로 내려간다.
액체가 다공판 위를 수평으로 흐르는 동안, 하단(n+1번째 단)에서 n번째 단의 다공판(101b)에 설치된 여러 개의 홀(Hole, 104)을 통해 상승하는 기체 (Vn+1)와 접촉하면서 열 및 물질전달이 일어난다.
도 1에서, V 또는 L의 하첨자는 기체, 또는 액체가 떠나는 단의 숫자를 의미하며, 어두운 영역은 액체가 차치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여기서, 다운커머(102)는 상단에서 흘러내리는 액체를 모아두었다가 n번째 단의 다공판(101b) 위로 흘려 보내는 댐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데, 이를 위해 설치되는 다운커머가 차지하는 영역(105)에서는 기체와 액체가 접촉을 하지 못하므로 전체 다단탑의 단면적에서 기체와 액체의 접촉면적이 감소된다.
또한, 기체 또는 액체의 유량이 증가할수록 다운커머 내에 필요한 액체수위는 높아지게 되기 때문에 처리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다운커머의 면적을 넓히거나 높이를 증가시켜야 한다.
결론적으로, 기존 다단탑의 처리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다운커머가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켜 기체와 액체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다운커머의 높이를 낮추어 트레이(Tray, 단) 수를 증가시켜야 하는데, 이와는 반대로 처리량이 증가할수록 다운커머의 높이와 면적이 오히려 증가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충진탑은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물의 형태에 따라 일정한 형태의 충진물 구조를 갖는 구조형 충진탑(Structured Packed Tower)과 불규칙 형태의 충진물 구조를 갖는 비구조형 충진탑(Random Packed Tower)로 구분할 수 있다.
도 3의 (a)는 종래의 구조형 충진탑을, (b)는 종래의 비구조형 충진탑을 나타낸 도면이다.
충진탑은, 다단탑에 비하여 압력 손실이 적고, 설치가 용이하여 종래 다단탑의 처리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교체 설치되거나 또는 지름이 상대적으로 작은 탑에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충진탑에서는 충진물을 따라 액체가 하부로 흘러내리면서 충진물에 고르게 분배되지 못하고 탑의 벽 쪽으로 흘러내려, 기체와 액체의 접촉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충진물 사이에 이물질이 축적되거나 충진물 일부가 부식에 의하여 손상될 경우, 액체의 분배 불균형 현상은 더욱 심화되어 증류탑의 처리성능이 크게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충진물 사이에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손상된 충진물 일부를 교체하기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충진탑 및 다단탑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체와 액체의 접촉효율을 향상시키고 압력손실을 감소시킴으로써 증류탑의 처리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증류탑 내부 구조물, 즉 충진물 및 이를 포함하는 증류탑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증류탑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물에 있어서, 판 형상으로 마련되며 판면을 관통하여 기체가 상승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다공판; 상기 다공판의 판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다공판 상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다공판의 상면에 흐르는 액체가 일정 높이를 초과하면 상기 다공판의 하부로 하강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파이프 유닛; 상기 다공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다공판의 판면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다공판의 상면에 흐르는 액체와 상기 다공판의 하부에서 상승하는 기체가 접촉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둘레벽판; 및 구형 형상으로 상기 둘레벽판의 외부를 감싸도록 마련되며 둘레면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다공구를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 유닛은 상기 다공판의 판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다공판 상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파이프 내부를 따라 하강하는 액체를 사방으로 분사시키는 씰; 및, 상기 파이프의 상부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부에서 하강하는 액체가 상기 파이프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플을 포함하고, 상기 배플은 상단 측면을 따라 기체 배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씰은 상기 배플과 동일 형태로 상호 대칭되도록 마련되는 충진물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둘레벽판은, 상기 다공구와 중심이 같은 구의 구띠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다공판이 지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다공구의 내측면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다공판은, 버블캡(Bubble Cap) 또는 고정밸브(Fixed Valve)가 마련되어 상승하는 기체를 통과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상기 충진물이 충진되는 증류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충진물 및 이를 포함하는 증류탑에 따르면, 기체와 액체의 접촉효율을 향상시키고 압력손실이 감소되어 공정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증류탑 내부 구조물의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액체의 분배 불균형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다단탑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반경 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구조형 충진탑과 비구조형 충진탑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류탑의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충진물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충진물에서 파이프 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다공구를 제외한 충진물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류탑의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축방향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충진물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충진물에서 파이프 유닛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다공구를 제외한 충진물의 정면도이다.
이러한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류탑(1)은, 내부에 복수의 충진물(200)이 충진되어 액체와 기체가 충진물(200)을 통하여 상호 접촉하면서 열 및 물질 전달이 일어난다.
본 실시예에서 증류탑(1)은 비구조형 충진탑(Random Packed Tower)의 형태를 가지고 충진물(200)이 내부에 불규칙하게 배열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충진물(200)은, 다공판(210), 파이프 유닛(220), 둘레벽판(230) 및 다공구(240)를 포함한다.
다공판(210)은, 판 형상으로 마련되며 판면을 관통하여 기체가 상승하는 복수의 홀(211, hole)이 형성된다. 다공판(210)의 상면에는 액체가 흐르며 다공판(210)의 하부에서 상승하는 기체는 복수의 홀(211)을 통하여 다공판(210)의 상부로 이동하면서 액체와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서 다공판(210)은 복수의 홀(211)이 형성되어 기체를 상승시키나, 다공판(210)에 버블캡(Bubble Cap) 또는 고정밸브(Fixed Valve)가 마련되어 상승하는 기체를 통과시킬 수도 있다.
버블캡(Bubble Cap)은 액체유량이 기체유량보다 상대적으로 적을 경우, 홀을 통과한 기체의 힘에 의해 액체가 홀을 충분히 덮지 못하고 홀을 피해 흘러가는 제팅(jett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할 목적으로 홀 상부에 뚜껑을 씌운 형태이다.
고정밸브(Fixed Valve)는 여러 개의 작은 홀을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압력손실을 방지할 목적으로 홀 개수를 줄이고 홀 크기를 키우고(예를 들면, 4.5mm에서 25mm) 그 대신 홀 위에 열린 덮개를 씌운 형태이다.
파이프 유닛(220)은, 다공판(210)의 판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다공판(210) 상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다공판(210)의 상면에 흐르는 액체의 수위가 일정 높이를 초과하면 다공판(210)의 하부로 하강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파이프 유닛(220)은, 다공판(210)의 판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다공판(210) 상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파이프(221)와, 파이프(221)의 하단에 마련되어 파이프(221) 내부를 따라 하강하는 액체를 사방으로 분사시키는 씰(224)과, 파이프(221)의 상부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부에서 분사되는 액체가 파이프(221)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플(222)을 포함한다.
파이프(221)는, 다공판(210)의 판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며 다공판(210)의 상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된다. 따라서, 다공판(210)의 상면에 흐르는 액체는 일정 높이가 초과되면 파이프(221)를 통하여 다공판(210)의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배플(222, baffle)은, 파이프(221)의 상부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부 트레이 어셈블리(200)에서 분사되는 액체가 파이프(221) 내부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배플(222)은 파이프(221)의 상부 일 영역을 감싸도록 마련되며 상단에 배플 햇(222a)을 형성하여 상부에서 분사되는 액체가 파이프(221) 내부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배플(222)의 상단 측면에는 기체 배출구(222b)가 형성되어 배플(222) 내부로 유입된 기체가 액체와 분리되어 상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씰(224)은, 파이프(221) 하단에 마련되어 파이프(221)를 통과하여 이동하는 액체가 그대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고 액체를 사방으로 분사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씰(224)은 배플(222)과 동일 형태로 상호 대칭되도록 마련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씰(224)과 배플(222)은 동일 형태로 마련되고, 파이프(221)는 다공판(210)의 상하방으로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호 대칭의 형상을 이룬다. 이에 의해서, 충진물(200)이 불규칙하게 증류탑(1) 내부에 충진될 때에 다공판(210)의 상하면이 뒤바뀌는 경우에도 씰(224)과 배플(222)이 서로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다공판(210)을 기준으로 하방에 놓이는 씰(224)은 배플(222)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므로 파이프(221)를 통하여 하강하는 액체가 하방에 형성된 기체 배출구(222b)를 통하여 사방으로 분사된다.
둘레벽판(230, round wall plate)은, 다공판(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공판(210)의 판면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 다공판(210)의 상면에 흐르는 액체와 다공판(210)의 하부에서 상승하는 기체가 접촉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즉, 둘레벽판(230)은 다공판(210)의 측면에서 다공판(210)을 지지하며, 일정 높이로 마련됨으로써 다공판(210)의 상면에 액체가 일정 높이로 고일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둘레벽판(230) 또한 파이프 유닛(220)과 마찬가지로 다공판(210)의 상하면이 뒤바뀌는 경우에도 동일한 형상이 되도록 다공판(210)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형상으로 마련된다.
둘레벽판(230)은 다공구(240)와 중심이 같은 구의 구띠(zone of sphere) 형상으로 마련되어 다공판(210)이 지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다공구(240)의 내측면에 접촉 지지된다. 이에 의해서, 충진물(200)이 증류탑(1) 내부에 불규칙하게 충진될 때에 다공구(240) 내부의 구조물(다공판(210), 파이프 유닛(220) 및 둘레벽판(230))이 다공구(240) 내부에서 유동하면서 둘레벽판(230)이 다공구(240)의 내측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이동하여 다공판(210)이 지면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다공구(240, multi-hole ball)는 구형 형상으로 둘레벽판(230)의 외부를 감싸도록 마련되며 둘레면에 복수의 관통공(241)이 형성된다. 복수의 관통공(241)을 통하여 상부에서 하강하는 액체와 하부에서 상승하는 기체가 다공구(240) 내부로 유출입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증류탑(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리가 필요한 액체혼합물은 증류탑(1)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되며, 액체를 분별증류시키기 위한 기체(증기)가 증류탑(1)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액체와 기체가 상호 접촉하여 열 및 물질 전달이 이루어진다.
액체의 이동 과정은 내부 구조물의 기본 단위 유닛인 충진물(200)을 기초로 설명한다. 증류탑(1)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물(200)은 둘레벽판(230)이 다공구(240)의 내부에서 유동하면서 다공구(240)의 내측면에 접촉 지지되어 다공판(210)이 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다공판(210)이 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증류탑(1) 상부에서 강하된 액체는 다공구(240)의 관통공(241)을 통하여 다공판(210) 상면으로 이동되며, 다공판(210)에 형성된 복수의 홀(211)을 통하여 상승하는 기체와 접촉하면서 열 및 물질 전달이 이루어진다. 이때 액체는 다공판(210) 및 둘레벽판(23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일시적으로 적재되어 기체와 접촉된다.
액체의 수위가 다공판(210)의 상면에 일정 높이 이상이 되면 액체는 파이프 유닛(220)의 파이프(221)를 통하여 다공판(210)의 하부로 이동된다. 파이프(221)를 통하여 이동되는 액체는 파이프(221) 하단에 마련되는 씰(224)을 통해 사방으로 분리되면서 하강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둘레벽판(230)의 돌출 높이는 파이프(221)의 돌출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다공판(210) 상면의 액체가 일정 높이가 되었을 경우 먼저 파이프(221)를 통하여 하강된다.
배플(222, Baffle)의 배플 햇(222a, Baffle Hat)은 위에서 하강하는 액체가 파이프(221) 내로 직접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부에서 하강하는 액체가 충진물(200)의 다공판(210) 상면에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 액체와 함께 배플(222) 내부로 유입된 기체는 배플(222) 상부에 마련되는 기체 배출구(222b)를 통하여 액체와 분리되어 상부로 빠져나간다.
씰(224)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배플(222)과 동일 형태로 상호 대칭되도록 마련되므로 충진물(200)이 증류탑(1) 내에 불규칙하게 충진될 때에 다공판(210)의 상하면이 뒤바뀌는 경우에도 서로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을 갖는 충진물(200)은 복수가 증류탑(1) 내에 충진되어 충진물(200)의 표면에서 액체와 기체가 접촉하는 면적을 제공함과 동시에 충진물(200) 내부에서 일종의 트레이(tray, 단)를 제공하여 기체와 액체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키고 공정 처리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충진물(200)은 불규칙하게 증류탑(1) 내부에 충진되더라도 충진물(200) 내부의 다공판(210)이 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설계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며 단위 유닛으로 마련됨으로써 유지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충진물(200) 내부의 파이프 유닛(220)에 의하여 액체가 하부로 고르게 재분배되므로 액체의 분배 불균형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증류탑(1) 및 그 충진물(200)에 의하면, 종래 다단탑과 충진탑의 단점을 보완하여 공정 처리량을 증가시키면서,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액체의 분배 불균형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증류탑
200 : 충진물
210 : 다공판
211 : 홀
220 : 파이프 유닛
221 : 파이프
222 : 배플
222a : 배플 햇
222b : 기체 배출구
224 : 씰
230 : 둘레벽판
240 : 다공구
241 : 관통공

Claims (8)

  1. 증류탑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물에 있어서,
    판 형상으로 마련되며 판면을 관통하여 기체가 상승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다공판;
    상기 다공판의 판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다공판 상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다공판의 상면에 흐르는 액체가 일정 높이를 초과하면 상기 다공판의 하부로 하강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파이프 유닛;
    상기 다공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다공판의 판면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다공판의 상면에 흐르는 액체와 상기 다공판의 하부에서 상승하는 기체가 접촉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둘레벽판; 및
    구형 형상으로 상기 둘레벽판의 외부를 감싸도록 마련되며 둘레면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다공구를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 유닛은 상기 다공판의 판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다공판 상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파이프 내부를 따라 하강하는 액체를 사방으로 분사시키는 씰; 및, 상기 파이프의 상부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부에서 하강하는 액체가 상기 파이프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플;을 포함하고,
    상기 배플은 상단 측면을 따라 기체 배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씰은 상기 배플과 동일 형태로 상호 대칭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벽판은,
    상기 다공구와 중심이 같은 구의 구띠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다공판이 지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다공구의 내측면에 접촉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은,
    버블캡(Bubble Cap) 또는 고정밸브(Fixed Valve)가 마련되어 상승하는 기체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물.
  8. 내부에 제1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충진물이 충진되는 증류탑.
KR1020140018139A 2014-02-17 2014-02-17 충진물 및 이를 포함하는 증류탑 KR101573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139A KR101573390B1 (ko) 2014-02-17 2014-02-17 충진물 및 이를 포함하는 증류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139A KR101573390B1 (ko) 2014-02-17 2014-02-17 충진물 및 이를 포함하는 증류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868A KR20150097868A (ko) 2015-08-27
KR101573390B1 true KR101573390B1 (ko) 2015-12-02

Family

ID=54059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139A KR101573390B1 (ko) 2014-02-17 2014-02-17 충진물 및 이를 포함하는 증류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3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9980A (zh) * 2019-09-12 2019-12-13 天津市天屹化工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高效组合填料装置
CN114100177A (zh) * 2021-11-11 2022-03-01 钱卿瑜 一种板式填料精馏塔
KR102618884B1 (ko) * 2023-02-17 2023-12-27 변재식 트레이 유닛 및 그것을 포함하는 증류탑
CN118079850B (zh) * 2024-04-26 2024-09-13 淄博鑫实化工设备有限公司 一种填料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868A (ko) 2015-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3390B1 (ko) 충진물 및 이를 포함하는 증류탑
KR100315956B1 (ko) 충전칼럼용액체분배기
CN107820443B (zh) 用于传质塔的接触阀塔盘
KR101573387B1 (ko) 트레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류탑
EP2996785B1 (en) A liquid mixing collector and a method for its use
KR101438576B1 (ko) 트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증류탑
US4333894A (en) Mass-transfer column
TWI817973B (zh) 用於質量傳遞柱的接觸托盤
US20170007943A1 (en) Contact tray for a mass transfer column and method involving same
KR102272730B1 (ko) 특히 근해 분류 칼럼에 사용되는 유체 접촉 트레이
TW202039044A (zh) 用於質量傳遞柱的二階段液體分布裝置
US2982527A (en) Gas-liquid contact apparatus
US10357740B2 (en) Liquid redistributor
CN217745781U (zh) 一种小塔板间距的筛板塔
US2310829A (en) Process of and apparatus for degasifying liquids and washing gases
TWI472368B (zh) 於分離塔中的屏蔽
CN202342924U (zh) 一种新型气液分布器
US20190009186A1 (en) Bubble caps for distillation plates in a fractionating column
US20120134886A1 (en) Turbulent Flow Column
US2862696A (en) Apparatus for contacting liquids and gases
KR101859514B1 (ko) 분산판
JP6923996B2 (ja) トレイ塔
US2959404A (en) Vapor-liquid contacting apparatus
US2551016A (en) Bubble cap and downspout unit
CN103418154A (zh) 一种浮阀塔的塔板气液传质改进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