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387B1 - 트레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류탑 - Google Patents

트레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류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387B1
KR101573387B1 KR1020140018138A KR20140018138A KR101573387B1 KR 101573387 B1 KR101573387 B1 KR 101573387B1 KR 1020140018138 A KR1020140018138 A KR 1020140018138A KR 20140018138 A KR20140018138 A KR 20140018138A KR 101573387 B1 KR101573387 B1 KR 101573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ated plate
plate
tray
liqui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7867A (ko
Inventor
변재식
Original Assignee
변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재식 filed Critical 변재식
Priority to KR1020140018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387B1/ko
Publication of KR20150097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7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32Other features of fractionating columns ; Constructional details of fractionating colum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3/16 - B01D3/30
    • B01D3/324Tray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26Fractionating columns in which vapour and liquid flow past each other, or in which the fluid is sprayed into the vapour, or in which a two-phase mixture is passed in one dir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판면을 관통하여 기체가 상승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다공판; 다공판의 판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다공판 상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다공판의 상면에 흐르는 액체가 일정 높이를 초과하면 다공판의 하부로 하강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파이프 유닛; 및 다공판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다공판의 판면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 다공판의 상면에 흐르는 액체와 다공판의 하부에서 상승하는 기체가 접촉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판을 포함하는 트레이 유닛을 제공하여, 종래 다단탑의 트레이보다 기체와 액체의 접촉면적이 증가하고 압력손실이 감소되어 공정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상대적으로 설치가 용이하며, 종래 충진탑보다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파이프 유닛에 의하여 액체가 하부 트레이 유닛으로 고르게 재분배되므로 액체의 분배 불균형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트레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류탑{Tray Unit and Distillation Tow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트레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류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증류탑 내부에서 기체와 액체의 접촉효율을 향상시키고 처리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증류탑 내부의 트레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류탑에 관한 것이다.
화학공정에서 비점이 다른 혼합물을 분리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증류탑은 기체와 액체의 접촉장치로 충진탑(Packed Tower)과 다단탑(Tray Tower)으로 분류할 수 있는 데 이와 같은 분류는 기체와 액체를 접촉시키기 위해 탑 내부에 설치되는 구조물의 형태에 따른다.
다단탑은 탑 내에 여러 개의 트레이(Tray, 또는 단)를 설치하여, 하단에서 상승하는 기체(Vapor, 또는 Gas)와 상단에서 하강하는 액체(Liquid)가 트레이에서 서로 접촉하여 열 및 물질전달이 진행되도록 한다.
충진탑(Packed Tower)은, 탑 내에 충진물을 가득 채워 탑 상부에서 액체가 충진물 표면을 따라 고르게 흘러내리면서 하부에서 충진물과 충진물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승하는 기체와 연속적으로 접촉하면서 열 및 물질전달이 진행되도록 한다.
다단탑은, 트레이(Tray)에서만 기체와 액체가 접촉하는 불연속적인 형태인 반면, 충진탑은 충진물이 채워진 공간 전체에서 기체와 액체가 연속적으로 접촉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
이러한 이유로, 하나의 증류탑 내에 다단탑과 충진탑을 혼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구간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기본적인 형태의 트레이인 다공판으로 구성된 종래 다단탑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축방향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반경 방향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트레이인 다공판(Sieve Tray)으로 구성된 다단탑에서 기체와 액체가 접촉하여 열 및 물질전달이 일어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단(n-1번째 단, 101a)의 액체(Ln -1)는, 위어(weir, 103a)를 넘쳐흘러 n-1번째 단과 n번째 단에 걸쳐 수직으로 설치된 다운커머(downcomer, 102)로 유입된 후, n번째 단의 다공판(101b) 위를 수평으로 흘러 n번째 단의 위어(weir, 103b)를 넘쳐흘러 하단(n+1번째 단)으로 내려간다.
액체가 다공판 위를 수평으로 흐르는 동안, 하단(n+1번째 단)에서 n번째 단의 다공판(101b)에 설치된 여러 개의 홀(Hole, 104)을 통해 상승하는 기체 (Vn+1)와 접촉하면서 열 및 물질전달이 일어난다.
도 1에서, V 또는 L의 하첨자는 기체, 또는 액체가 떠나는 단의 숫자를 의미하며, 어두운 영역은 액체가 차치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여기서, 다운커머(102)는 상단에서 흘러내리는 액체를 모아두었다가 n번째 단의 다공판(101b) 위로 흘려 보내는 댐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데, 이를 위해 설치되는 다운커머가 차지하는 영역(105)에서는 기체와 액체가 접촉을 하지 못하므로 전체 다단탑의 단면적에서 기체와 액체의 접촉면적이 감소된다.
또한, 기체 또는 액체의 유량이 증가할수록 다운커머 내에 필요한 액체수위는 높아지게 되기 때문에 처리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다운커머의 면적을 넓히거나 높이를 증가시켜야 한다.
결론적으로, 기존 다단탑의 처리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다운커머가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켜 기체와 액체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다운커머의 높이를 낮추어 트레이(Tray, 단) 수를 증가시켜야 하는데, 이와는 반대로 처리량이 증가할수록 다운커머의 높이와 면적이 오히려 증가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충진탑은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물의 형태에 따라 일정한 형태의 충진물 구조를 갖는 구조형 충진탑(Structured Packed Tower)과 불규칙 형태의 충진물 구조를 갖는 비구조형 충진탑(Random Packed Tower)로 구분할 수 있다.
도 3의 (a)는 종래의 구조형 충진탑을, (b)는 종래의 비구조형 충진탑을 나타낸 도면이다.
충진탑은, 다단탑에 비하여 압력 손실이 적고, 설치가 용이하여 종래 다단탑의 처리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교체 설치되거나 또는 지름이 상대적으로 작은 탑에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충진탑에서는 충진물을 따라 액체가 하부로 흘러내리면서 충진물에 고르게 분배되지 못하고 탑의 벽 쪽으로 흘러내려, 기체와 액체의 접촉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충진물 사이에 이물질이 축적되거나 충진물 일부가 부식에 의하여 손상될 경우, 액체의 분배 불균형 현상은 더욱 심화되어 증류탑의 처리성능이 크게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충진물 사이에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손상된 충진물 일부를 교체하기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충진탑 및 다단탑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체와 액체의 접촉효율을 향상시키고 압력손실을 감소시킴으로써 증류탑의 처리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증류탑 내부 구조물, 즉 트레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류탑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판면을 관통하여 기체가 상승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다공판; 상기 다공판의 판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다공판 상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다공판의 상면에 흐르는 액체가 일정 높이를 초과하면 상기 다공판의 하부로 하강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파이프 유닛; 및 상기 다공판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다공판의 판면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다공판의 상면에 흐르는 액체와 상기 다공판의 하부에서 상승하는 기체가 접촉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판을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 유닛은, 상기 다공판의 판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다공판 상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파이프 내부를 따라 하강하는 액체를 사방으로 분사시키는 씰; 및, 상기 파이프의 상부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부에서 분사되는 액체가 상기 파이프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플을 포함하는 트레이 유닛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상기 배플은 상단 측면을 따라 기체 배출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다공판은, 버블캡(Bubble Cap) 또는 고정밸브(Fixed Valve)가 마련되어 상승하는 기체를 통과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트레이 어셈블리가 다단으로 마련되며,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트레이 유닛이 복수로 상호 인접하게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탑을 제공한다.
상기 트레이 유닛은, 다공판이 정다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는 인접한 상부 또는 하부의 트레이 어셈블리와 상기 트레이 유닛이 일정 부분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레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류탑에 따르면, 종래 다단탑 다운커머의 역할을 다공판과 파이프 유닛이 대신하도록 함으로써 기체와 액체의 접촉효율을 향상시키고 압력손실이 감소되어 공정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다단탑의 트레이보다 상대적으로 설치가 용이하고, 종래 충진탑보다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파이프 유닛에 의하여 액체가 하부 트레이 유닛으로 고르게 재분배되므로 액체의 분배 불균형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다단탑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반경 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구조형 충진탑과 비구조형 충진탑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류탑의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반경 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트레이 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트레이 유닛에서 파이프 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류탑의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축방향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반경 방향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트레이 유닛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트레이 유닛에서 파이프 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러한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류탑(1)은, 내부에 트레이 어셈블리(300)가 다단으로 마련되어 각 단의 트레이 어셈블리(300)에서 액체와 기체가 접촉하면서 열 및 물질 전달이 일어난다.
트레이 어셈블리(300)는 복수의 트레이 유닛(200)이 상호 인접하게 연결되어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의 증류탑(1)에서는 탑 내부에 마련되는 구조물의 기본 단위 유닛이 트레이 유닛(200)으로 마련되며, 트레이 유닛(200)을 복수로 탑 내부에 배치하여 각 단을 구성하는 트레이 어셈블리(3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트레이 유닛(200)을 탑 내부에 배치함에 있어서 설계 변경이 용이하고 설치 및 시공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트레이 어셈블리(300)가 복수의 트레이 유닛(200)으로 구성됨에 따라, 각 단을 이루는 트레이 어셈블리(300)가 상하 인접한 다른 트레이 어셈블리(300)와 동일한 형태일 필요는 없다. 즉, 트레이 어셈블리(300)는 인접한 상부 또는 하부의 다른 트레이 어셈블리(300)와 각각의 단위 유닛인 트레이 유닛(200)이 일정 부분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b)는 증류탑(1)의 평면도에서 복수의 트레이 어셈블리(300)가 중첩되도록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단에서 트레이 유닛(200)이 상호 엇갈리게 배치함에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액체가 보다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트레이 유닛(200)은, 다공판(210), 파이프 유닛(220) 및 측벽판(230)을 포함한다.
다공판(210)은, 수평의 판 형태로 판면을 관통하여 기체가 상승하는 복수의 홀(211, hole)이 형성된다. 다공판(210)의 상면에는 액체가 흐르며 다공판(210)의 하부에서 상승하는 기체는 복수의 홀(211)을 통하여 다공판(210)의 상부로 이동하면서 액체와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서 다공판(210)은 복수의 홀(211)이 형성되어 기체를 상승시키나, 다공판(210)에 버블캡(Bubble Cap) 또는 고정밸브(Fixed Valve)가 마련되어 상승하는 기체를 통과시킬 수도 있다.
버블캡(Bubble Cap)은 액체유량이 기체유량보다 상대적으로 적을 경우, 홀을 통과한 기체의 힘에 의해 액체가 홀을 충분히 덮지 못하고 홀을 피해 흘러가는 제팅(jett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할 목적으로 홀 상부에 뚜껑을 씌운 형태이다.
고정밸브(Fixed Valve)는 여러 개의 작은 홀을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압력손실을 방지할 목적으로 홀 개수를 줄이고 홀 크기를 키우고(예를 들면, 4.5mm에서 25mm) 그 대신 홀 위에 열린 덮개를 씌운 형태이다.
파이프 유닛(220)은, 다공판(210)의 판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다공판(210) 상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다공판(210)의 상면에 흐르는 액체의 수위가 일정 높이를 초과하면 다공판(210)의 하부로 하강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파이프 유닛(220)은, 다공판(210)의 판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다공판(210) 상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파이프(221)와, 파이프(221)의 하단에 마련되어 파이프(221) 내부를 따라 하강하는 액체를 사방으로 분사시키는 씰(224)과, 파이프(221)의 상부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부에서 분사되는 액체가 파이프(221)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플(222)을 포함한다.
파이프(221)는, 다공판(210)의 판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며 다공판(210)의 상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된다. 따라서, 다공판(210)의 상면에 흐르는 액체는 일정 높이가 초과되면 파이프(221)를 통하여 다공판(210)의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씰(224)은, 파이프(221) 하단에 마련되어 파이프(221)를 통과하여 이동하는 액체가 그대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고 액체를 사방으로 분사시킨다. 즉, 씰(224)은 복수의 통로(224a)가 형성되도록 파이프(221) 하단을 막아 파이프(221)를 통하여 하강되는 액체가 복수의 통로(224a)로 분사되어 하부의 트레이 어셈블리(200)에 골고루 뿌려지게 한다.
배플(222, baffle)은, 파이프(221)의 상부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부 트레이 어셈블리(200)에서 분사되는 액체가 파이프(221) 내부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배플(222)은 파이프(221)의 상부 일 영역을 감싸도록 마련되며 상단에 배플 햇(222a)을 형성하여 상부에서 분사되는 액체가 파이프(221) 내부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배플(222)의 상단 측면에는 기체 배출구(222b)가 형성되어 배플(222) 내부로 유입된 기체가 액체와 분리되어 상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도 7에서, 배플 햇(222a)은 평면 형상으로 표현하였으나, 상부에서 분사되는 액체가 잘 흘러내릴 수 있도록 원뿔 형상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측벽판(230, side wall plate)은, 다공판(210)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다공판(210)의 판면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 다공판(210)의 상면에 흐르는 액체와 다공판(210)의 하부에서 상승하는 기체가 접촉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즉, 측벽판(230)은 다공판(210)의 측면에서 다공판(210)을 지지하며, 일정 높이로 마련됨으로써 다공판(210)의 상면에 액체가 일정 높이로 고일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또한, 측벽판(230)은 복수의 트레이 유닛(200)이 상호 연결될 때에 서로 연결되는 부분이 된다. 따라서, 측벽판(230)에는 다른 트레이 유닛(200)의 측벽판(230)과 상호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돌출부와 가이드부, 또는 끼워맞춤되는 돌출부와 삽입부 등의 구조가 측벽판(23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다공판(210)은 정육각형 형태로 마련되고, 측벽판(230)은 이에 대응하여 다공판(210)의 둘레가 모두 접하는 육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에 의하여, 복수의 트레이 유닛(200)이 상호 인접하여 연결될 때에 빈 공간 없이 서로 접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다공판(210)은 정육각형 형태로 마련되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다공판(210)은 정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인접한 복수의 트레이 유닛(200)이 빈 공간 없이 상호 접하면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증류탑(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리가 필요한 액체혼합물은 증류탑(1)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되며, 액체를 분별증류시키기 위한 기체(증기)가 증류탑(1)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액체와 기체가 상호 접촉하여 열 및 물질 전달이 이루어진다.
액체의 이동 과정은 내부 구조물의 기본 단위 유닛인 트레이 유닛(200)을 기초로 설명한다. 증류탑(1) 상부에서 강하된 액체는 트레이 유닛(200)의 다공판(210) 상면으로 이동되며, 다공판(210)에 형성된 복수의 홀(211)을 통하여 상승하는 기체와 접촉하면서 열 및 물질 전달이 이루어진다. 이때 액체는 다공판(210) 및 측벽판(23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일시적으로 적재되어 기체와 접촉된다.
액체의 수위가 다공판(210)의 상면에 일정 높이 이상이 되면 액체는 파이프 유닛(220)의 파이프(221)를 통하여 다공판(210)의 하부로 이동된다. 파이프(221)를 통하여 이동되는 액체는 파이프(221) 하단에 마련되는 씰(224, Seal)과 파이프(221) 사이의 복수의 통로(224a)를 통해 사방으로 분리되면서 하강한다.
파이프 유닛(220) 배플(222, Baffle)의 배플 햇(222a, Baffle Hat)은 위에서 하강하는 액체가 파이프(221) 내로 직접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부에서 하강하는 액체가 트레이 유닛(200)의 다공판(210) 상면에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 액체와 함께 배플(222) 내부로 유입된 기체는 배플(222) 상부에 마련되는 기체 배출구(222b)를 통하여 액체와 분리되어 상부로 빠져나간다.
이러한 작용을 갖는 트레이 유닛(200)은 기본 단위 유닛이 되어 복수가 상호 인접하게 연결되어 트레이 어셈블리(300)를 형성하며, 트레이 어셈블리(300)가 증류탑(1) 내부의 각 단을 형성한다.
트레이 유닛(200)은 각각 내부에 액체가 하강할 수 있는 파이프 유닛(220)과 기체가 상승하는 다공판(210)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증류탑(1) 내부 공간을 빈 공간 없이 트레이 유닛(200)에 의하여 분할할 수 있다. 따라서 기체와 액체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고 기체의 압력손실이 감소하여 공정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트레이 유닛(200)을 사용하여 트레이 어셈블리(300)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종래 다단탑의 트레이보다 상대적으로 설치가 용이하고, 종래 충진탑보다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더불어 종래 충진탑과 달리 파이프 유닛(220)에 의하여 액체가 하부 트레이 유닛(200)으로 고르게 재분배되므로 액체의 분배 불균형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증류탑(1) 및 그 트레이 유닛(200)에 의하면, 종래 다단탑과 충진탑의 단점을 보완하여 공정 처리량을 증가시키면서,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액체의 분배 불균형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증류탑(1) 내부의 구조물이 트레이 유닛(200)이 복수로 연결되어 형성됨으로써 증류탑의 구조에 상관없이 범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다단탑의 트레이 개조시나 충진탑 개조 시에 개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증류탑
200 : 트레이 유닛
210 : 다공판
211 : 홀
220 : 파이프 유닛
221 : 파이프
222 : 배플
222a : 배플 햇
222b : 기체 배출구
224 : 씰
224a : 복수의 통로
230 : 측벽판
300 : 트레이 어셈블리

Claims (8)

  1. 판면을 관통하여 기체가 상승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다공판;
    상기 다공판의 판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다공판 상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다공판의 상면에 흐르는 액체가 일정 높이를 초과하면 상기 다공판의 하부로 하강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파이프 유닛; 및
    상기 다공판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다공판의 판면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다공판의 상면에 흐르는 액체와 상기 다공판의 하부에서 상승하는 기체가 접촉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판을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 유닛은,
    상기 다공판의 판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다공판 상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파이프 내부를 따라 하강하는 액체를 사방으로 분사시키는 씰; 및, 상기 파이프의 상부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부에서 분사되는 액체가 상기 파이프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플을 포함하는 트레이 유닛.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상단 측면을 따라 기체 배출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은,
    버블캡(Bubble Cap) 또는 고정밸브(Fixed Valve)가 마련되어 상승하는 기체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유닛.
  6. 내부에 트레이 어셈블리가 다단으로 마련되며,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는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트레이 유닛이 복수로 상호 인접하게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탑.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유닛은,
    다공판이 정다각형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탑.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는 인접한 상부 또는 하부의 트레이 어셈블리와 상기 트레이 유닛이 일정 부분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탑.
KR1020140018138A 2014-02-17 2014-02-17 트레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류탑 KR101573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138A KR101573387B1 (ko) 2014-02-17 2014-02-17 트레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류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138A KR101573387B1 (ko) 2014-02-17 2014-02-17 트레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류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867A KR20150097867A (ko) 2015-08-27
KR101573387B1 true KR101573387B1 (ko) 2015-12-02

Family

ID=54059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138A KR101573387B1 (ko) 2014-02-17 2014-02-17 트레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류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3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754B1 (ko) * 2016-05-16 2017-02-23 베니트엠 주식회사 기체분배장치 및 기체 분배비율을 조절하는 방법
CN108043061B (zh) * 2017-12-25 2021-03-09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在线更换催化剂的催化精馏塔板
CN112892174B (zh) * 2021-01-26 2022-04-01 华中科技大学 一种锥型塔盘及其应用
KR102618884B1 (ko) 2023-02-17 2023-12-27 변재식 트레이 유닛 및 그것을 포함하는 증류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867A (ko) 2015-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3387B1 (ko) 트레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증류탑
CN107820443B (zh) 用于传质塔的接触阀塔盘
JP2017514687A (ja) 下降二相流を有するベッセル用のスケール収集および事前分配トレイ
EP2996785B1 (en) A liquid mixing collector and a method for its use
AU2016291147A1 (en) Contact tray with fixed valves for a mass transfer column and method of fabrication
CN104492115A (zh) 锯齿状塔板
KR101438576B1 (ko) 트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증류탑
KR101573390B1 (ko) 충진물 및 이를 포함하는 증류탑
CN111565811B (zh) 用于传质塔的接触塔盘
US2982527A (en) Gas-liquid contact apparatus
KR102268769B1 (ko) 낮은 액체 유동을 집중시키기 위한 배플 벽을 갖는 접촉 트레이 및 이를 수반하는 방법
CN112533682A (zh) 用于传质塔的包括固定阀和可动阀的多程接触托盘和涉及该多程接触托盘的方法
KR102272730B1 (ko) 특히 근해 분류 칼럼에 사용되는 유체 접촉 트레이
US10357740B2 (en) Liquid redistributor
JP6063269B2 (ja) 充填塔用再分散器、充填塔及び塩化ビニリデンモノマーの蒸留方法
US20190009186A1 (en) Bubble caps for distillation plates in a fractionating column
JP6923996B2 (ja) トレイ塔
KR101638520B1 (ko) 다중 다운코머 트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트레이 컬럼
KR100452407B1 (ko) 증류탑 트레이
US2479108A (en) Fractional distillation
KR101859514B1 (ko) 분산판
SK8083Y1 (sk) Rektifikačná etáž s usmerneným tokom fáz a rektifikačná koló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