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947B1 -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 - Google Patents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947B1
KR101748947B1 KR1020150119608A KR20150119608A KR101748947B1 KR 101748947 B1 KR101748947 B1 KR 101748947B1 KR 1020150119608 A KR1020150119608 A KR 1020150119608A KR 20150119608 A KR20150119608 A KR 20150119608A KR 101748947 B1 KR101748947 B1 KR 101748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floating
storage
storage structure
seawater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4640A (ko
KR101748947B9 (ko
Inventor
백승우
박창범
최재형
고광오
정광회
이상휴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9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947B1/ko
Publication of KR20170024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947B1/ko
Publication of KR101748947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947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40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diminishing wave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8/0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 Y02T70/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에 유체를 저장 및 보관하기 위한 부유식 저장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부에 저장공간을 구비한 저장부 및 해수와 접하는 영역에 위치되고, 해수가 유통되어 파랑에너지가 소산되는 공간을 구비한 해수 유통부를 포함하되, 상기 해수 유통부는, 상기 해수가 유입시 상기 파랑에너지가 소산되는 슬릿을 포함하여, 파랑의 영향에 의한 요동을 감소시키고, 방파제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Description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Floating storage structure on the sea}
본 발명은 해상에 유체를 저장 및 보관하기 위한 부유식 저장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파랑의 영향에 의한 요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소파장치를 일체화로 제작한 부유식 저장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해상 또는 해저에 설치되는 구조물을 통칭하여 해양구조물이라 하며, 해저지반과의 연결 방법에 따라 고정식, 착저식 및 부유식으로 분류한다
저수심 해역일 경우 고정식 해양시설물이 유리하나, 고수심 해역에서는 부유식 구조물이 잔교식이나 매립식 같은 고정식 구조물과 비교하여 경제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부유식 구조물은 부유체를 해상에 띄운 후 돌핀, 계류선 등의 계류장치로 위치를 고정시키는 방식으로서, 현재 부유식 교량, 유류저장기지, LNG터미널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다만, 부유식 구조물은 고정식 구조물과 달리, 파랑, 조류, 바람 등과 같은 해양외력에 대한 안정성 확보가 중요한 문제가 된다. 즉, 부유식 구조물은 특성상 파랑과 같은 해양외력에 의한 요동이 발생하고, 부유식 액체저장기지의 경우 구조물의 요동으로 인해 내부에 저장된 액체가 진동하며, 액체에 의해서 구조물 내부 벽체에 매우 큰 압력을 발생시켜 부유식 구조물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부유식 구조물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서 일반적으로 구조물 인근에 방파제를 설치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68909호의 경우도 해양외력에 의한 안정성 확보를 위해 부유식 구조물외에도 방파제를 추가로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부유식 구조물의 해양외력에 대한 안정성의 확보를 위해 방파제를 설치 하는 경우, 부유식 구조물 형성에 비용이 증가하고, 주변 환경에 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방파제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서도 해양외력에 대해 안정성이 확보되는 부유식 저장 구조물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6890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방파제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안정성이 확보되는 부유식 저장 구조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해수 유통에 따라 파랑에너지가 소멸되는 슬릿과 해수 유통부를 포함하는 부유식 저장 구조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충분한 내구성을 가져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부유식 저장 구조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부유식 해상저장 구조물은 내부에 부유공간이 형성되어 부력을 유지하는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이고, 내부에 저장공간을 구비한 저장부 및 해수와 접하는 영역에 위치되고, 해수가 유통되어 파랑에너지가 소산되는 공간을 구비한 해수 유통부를 포함하되, 상기 해수 유통부는, 상기 해수가 유입시 상기 파랑에너지가 소산되는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은 다수개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길이방향의 단면이 'T'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수 유통부는 상기 'T'형상의 양측 하부에 한쌍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수 유통부의 양 단부는 개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수 유통부의 상부는, 해수면과 같은 위치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수 유통부의 일측 면적중 상기 슬릿의 면적 비율은 0.25 내지 0.35 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수 유통부의 길이방향 단면은 사각형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은 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은 직사각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방파제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안정성이 확보되는 부유식 저장 구조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해수 유통에 따라 파랑에너지가 소멸되는 슬릿과 해수 유통부를 포함하는 부유식 저장 구조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충분한 내구성을 가져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부유식 저장 구조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 및 도 1b는 저장부가 비어있는 경우, 파랑에 의한 동요 응답 확인을 위한 결과 그래프 및 표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저장부가 채워진 경우, 파랑에 의한 동요 응답 확인을 위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3a는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부유식 저장 구조물의 개념 구성도이다.
도 3b는 발명의 다른 일례와 관련된 부유식 저장 구조물의 개념 구성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슬릿의 실시예이다.
육상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해상공간의 활용 요구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해상공간의 활용방법으로, 해양 구조물을 생성하여 액체등을 저장하거나, 여가 활동의 공간 등으로 활용하고 있다. 고수심 해역에서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이 고정식 해양 구조물에 비해서 설치 운영비가 저렴하지만, 파랑, 조류, 바람과 같은 해양외력에 대한 안정성이 중요하다.
종래의 경우 해양외력에 의한 안정성 확보를 위해서 추가로 방파제를 설치하는 방법을 택하였지만, 부유식 구조물 형성에 비용이 증가하고, 주변 환경에 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방파제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서도 해양 외력에 대해 안정성이 확보되는 부유식 저장 구조물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방파제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안정성이 확보되는 부유식 저장 구조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 실시례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파랑에 의한 동요 응답 실험>
방파제를 설치하지 않는 부유식 저장 구조물 제작하기 위해서, 파랑에 의한 동요 응답을 확인해야 한다.
본 실험은 파랑에 대해 부유식 저장 구조물의 동요 응답 정도를 통해 방파제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서도 해양외력에 대해 안정성이 확보여부를 확인한다.
1. 실험체
본 실험은 실구조물 대비 상사율 1:60의 축소모형을 이용하여 진행된다.
축소모형은, i)직육면체 형태(길이 3m, 넓이 1.3m, 높이 0.27m)의 일반폰툰형과 ii)양측하단에 해수의 유입 및 유출 통로 역할을 하는 슬릿이 포함된 해수유입형 두가지로 구현되며, 이때 축소모형 내부의 저장공간이 동일하도록 설계한다.
2.실험조건
실제 해역 조건을 파고 2m, 주기 7초로 가정하였는바, 본 실험에서 설정한 상사율에 따라 실험파는 파고 33mm, 주기 0.9초로 설정하였다. 40m x 40m의 규모의 수조에서 실험하였으며, 각 시험체 케이스별 8분동안 3회씩 실험하였다.
시험체 상단 중앙부에 경사계를 설치하여 Roll과 Pitch를 측정하였으며, 변위계를 통해 파랑하중을 받는 부유체의 수직, 수평 변위를 측정하였다.
3.실험결과
1)저장부가 비어있는 상황
도 1a 및 도 1b는 저장부가 비어있는 경우, 파랑에 의한 동요 응답 확인을 위한 결과 그래프 및 표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파랑종류별 상하동요에 대한 응답을 알 수 있다.
규칙파에 대해서 해수 유입형이 상하동요가 60%이상 감소하였고, 22.5°의 경사를 갖는 경사파에 대해서는 60% 감소하였으며, 불규칙파에 대해서는 상하동요가 50% 감소하였다.
도 1b를 참조하면, 파랑종류별 횡동요에 대한 응답을 알 수 있다.
규칙파에 대해서 해수 유입형이 횡동요가 40%이상 감소하였고, 22.5°의 경사를 갖는 경사파에 대해서는 횡동요가 10% 감소하였으며, 불규칙파에 대해서는 횡동요가 35% 감소하였다.
일반폰툰형 횡동요의 응답결과는 -2.5° 내지 2.5°의 최대 동요가 있어 Roll값이 5.0°가 되고, 해수유입형 횡동요의 응답결과는 -1.5° 내지 1.5°의 최대 동요가 있어 Roll값이 3.0°가 된다. 즉 해수유입형이 Roll값이 40%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반폰툰형은 수직변위인 Heave값이 20mm이고, 해수유입형은 8mm를 기록하였다. 즉 해수유입형이 60%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저장부가 비어있는 상황에 대해 파랑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인하면, 해수유입형이 종래의 일반폰툰형에 비해서 큰 안정성을 갖는 것 확인할 수 있다.
2)저장부가 채워진 상황
도 2a 및 도 2b는 저장부가 채워진 경우, 파랑에 의한 동요 응답 확인을 위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파랑종류별 상하동요에 대한 응답을 알 수 있다.
규칙파에 대해서 해수 유입형이 상하동요가 20% 감소하였고, 22.5°의 경사를 갖는 경사파에 대해서는 50% 감소하였으며, 불규칙파에 대해서는 상하동요가 30% 감소하였다.
도 2b를 참조하면, 파랑종류별 횡동요에 대한 응답을 알 수 있다.
규칙파에 대해서 해수 유입형이 횡동요가 50%이상 감소하였고, 22.5°의 경사를 갖는 경사파에 대해서는 횡동요가 30% 감소하였으며, 불규칙파에 대해서는 횡동요가 30% 감소하였다.
일반폰툰형 횡동요의 응답결과는 -2° 내지 2°의 최대 동요가 있어 Roll값이 4.0°가 되고, 해수유입형 횡동요의 응답결과는 -1° 내지 1°의 최대 동요가 있어 Roll값이 2.0°가 된다. 즉 해수유입형이 Roll값이 50%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저장부가 채워진 상황에 대해 파랑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인하면, 해수유입형이 종래의 일반폰툰형에 비해서 큰 안정성을 갖는 것 확인할 수 있다.
즉, 해수유입형 부유식 저장 구조물이 방파제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서도 해양외력에 대해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부유식 저장 구조물 구성>
본 발명인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100)은, 요동을 저감할 수 있게 함으로서, 파고가 높지 않은 해역에서 정온 유지를 위한 추가적인 방파제 시설을 설치하지 않거나, 최소화하여 공사비를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도 3a는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부유식 저장 구조물의 개념 구성도이고, 도 3b는 발명의 다른 일례와 관련된 부유식 저장 구조물의 개념 구성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요동을 저감하기 위한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100)은, 저장부(110), 해수 유통부(120), 슬릿(121), 계류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100)은 콘크리트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100)은 상부가 평면으로 이루어져 레저나 휴양시설, 적치장등으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저장부(110)는 내부에 저장공간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저장공간에는 기름, 액화 가스와 같은 액체를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액체의 밀도가 바닷물보다 밀도가 작으므로 해상 저장 구조물(100)이 해상에 떠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저장부(110)는 내부 저장공간을 분리하는 격벽(1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격벽은 저장부(110) 내부에 저장된 액체 등을 나누어 담을 수 있고,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10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저장부(110)는 길이방향의 단면이 'T'형 임이 바람직하다. 즉,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100)의 상부와 하부 일부가 저장부(11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10)의 'T'형 길이방향의 단면에서 하부 양측은 해수 유통부(120) 한쌍이 위치되고, 사이에 저장부(110)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해상 저장 구조물(100)의 무게중심이 낮아져 구조상 안정화가 되어 해수의 파랑에 의한 요동이 줄어드는 효과가 존재한다. 그리고, 해양외력에 의한 요동이 발생되어도 저장된 물체가 하부로 몰리게 되어 요동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단면이 'T' 형상임을 통해서 저장부(110)의 내부에 저장된 물체(일례로서 기름이나 액화 가스와 같은 액체)가 해수의 파랑에너지에 의해 진동하여 저장부(110)의 내부 벽체에 큰 압력을 발생시킬 확률이 매우 낮아지게 된다. 즉, 해상 저장 구조물(100)의 하부 중 일부에 먼저 물체가 저장되고, 무게중심이 낮은 상태가 되며, 해수 유통부(120)를 통해 유입된 해수는 파랑에너지가 최대한 소산된 상태로 저장부(110)의 하부에 파랑에너지가 인가되기 때문에 요동이 줄어들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길이방향의 단면이 'T'형상인 저장부(110)는, 저장부(110) 하부의 너비(L2)가 상기 저장부(110) 상부의 너비(L1) 대비, 1/3 내지 1/2 임이 바람직하다. 이때, 하부의 너비(L2)가 상부의 너비(L1) 대비 1/3 이하인 경우, 물체의 저장에 따라 무게중심이 쉽게 상승되는 문제가 있고, 하부의 너비(L2)가 상부의 너비(L1) 대비 1/2이상인 경우, 해수 유통부(120)에서 유입된 해수가 파랑에너지가 충분히 소산되지 않아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100)이 요동에 안정화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길이방향의 단면이 'T'형상인 저장부(110)의 양측 하부에 위치된 해수 유통부(120)의 높이(H2)는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100)의 높이(H1) 대비, 1/3 내지 1/2 임이 바람직하다. 해수 유통부(120)의 높이(H2)가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100)의 높이(H1) 대비 1/3이하인 경우,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100)이 해수 유통부(120)의 높이보다 더 해수에 잠기게 되고, 파랑에너지가 충분히 소산되지 않은 상태로 전달되어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100)의 요동에 대한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해수 유통부(120)의 높이(H2)가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100)의 높이(H1) 대비 1/2이상인 경우,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100)이 해수 유통부(120)의 높이보다 더 해수에 잠기게 되고,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100)의 무게중심이 해수면보다 높아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100)의 요동에 대한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해수 유통부(120)는 해수가 유통되어 파랑에너지가 소산되도록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해수 유통부(120)는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100)의 양측 하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해수 유통부(120)가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100)의 양측 하부에 위치됨에 따라 해수에 대응하여 파랑에너지를 충분히 소산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해수 유통부(120)는 길이방향 단면이 사각형임이 바람직하다. 사각형임을 통해서, 저장부(110)의 저장공간이 일정하게 확보될 수 있고, 저장부(110)에 파랑에너지의 전달이 적어질 수 있으며, 파랑에너지가 소산될 충분한 공간이 마련되기 용이하다.
또한, 해수 유통부(120)는 상단이 해수면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즉 해수 유통부(120)의 높이만큼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100)이 해수에 잠기도록 설계되는 것이다.
해수 유통부(120)의 높이보다 해수면이 높은 경우, 즉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100)이 해수 유통부(120)의 높이보다 더 해수에 잠긴 경우는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100)에 파랑에너지가 충분히 소산되지 않은 상태로 전달되므로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100)의 요동에 대한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해수 유통부(120)의 높이보다 해수면이 낮은 경우, 즉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100)이 해수 유통부(120)의 높이보다 덜 해수에 잠긴 경우는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100)의 무게중심이 해수면보다 높아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100)의 요동에 대한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해수 유통부(120)의 상단이 해수면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100)이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해수 유통부(120)는 해수가 유입되는 위치에 해수가 유입시 파랑에너지가 소산되기 위한 슬릿(121)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슬릿(121)은 해수 유통부(120)를 통해 유입 및 유출되는 해수의 통로역할을 하며, 해수가 유입시 슬릿과 슬릿 사이의 기둥에 부딪히면서 파도가 소파로 파쇄되고 파랑에너지가 소산되는 것이다.
슬릿(121)은 유공율이 25% 내지 35%임이 바람직하다. 이때 유공율은 해수유통부(120)의 면적 대비 슬릿(121)의 개방면적을 의미한다. 유공율이 25% 미만인 경우, 슬릿 사이의 기둥면적이 증가하여 해수가 해수 유통부(120)에 유입 및 유출시 슬릿 사이의 기둥에 부딪히면서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100)에 파랑에너지를 크게 전달하는 문제가 생기고, 유공율이 35% 초과하는 경우, 슬릿 면적이 넓어져 해수가 해수 유통부(120)에 유입 및 유출시 슬릿으로 인한 파에너지가 소산되지 않고 그대로 구조물 내벽에 전달되어, 파랑에너지를 크게 전달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슬릿(121)은 해수 유통부의 일측면에 복수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도 5a 내지 도 5e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100)이 설치되는 지역의 해양의 파랑등 조건에 따라 조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해수 유통부(120)는 유입된 해수가 유출될 수 있도록 양 단부가 개방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유입된 해수가 슬릿(121)을 통해 유출되지 않아서 유입되는 해수의 흐름 방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계류부(130)는 파랑으로 인한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100) 하부에 위치되어 해저지반과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100)을 연결할 수 있다. 계류부(130)를 통해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100)이 파도에 떠내려 가지 않고 지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방파제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해수 유통에 따라 파에너지가 소멸되는 슬릿을 포함하여 유동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되는 부유식 저장 구조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충분한 내구성을 가져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부유식 저장 구조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100 :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
110 : 저장부,
111 : 격벽,
120 : 해수 유통부,
121 : 슬릿,
130 : 계류부.

Claims (11)

  1. 내부에 부유공간이 형성되어 부력을 유지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에 있어서,
    내부에 저장공간을 구비한 저장부; 및
    해수와 접하는 영역에 위치되고, 해수가 유통되어 파랑에너지가 소산되는 공간을 구비한 해수 유통부;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부는 길이방향의 단면이 'T'형상이며,
    상기 저장부의 하부 너비는 상기 저장부의 상부 너비 대비 1/3 내지 1/2이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해수 유통부는,
    상기 저장부의 'T'형상의 양측 하부에 한쌍이 구비되고
    상기 해수 유통부의 상부는, 해수면과 같은 위치가 되도록 구성되며,
    해수가 유입시 상기 파랑에너지가 소산되도록, 상기 해수 유통부의 측면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다각형 형상의 슬릿을 다수개 포함하되,
    상기 해수 유통부의 양 단부는 개방되고, 상기 해수 유통부의 길이방향 단면은 사각형이며, 상기 해수 유통부의 높이는 상기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의 높이 대비 1/3 내지 1/2이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릿은 직사각형이고, 상기 해수 유통부의 일측 면적 중, 상기 슬릿의 면적 비율은 0.25 내지 0.3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
  11. 삭제
KR1020150119608A 2015-08-25 2015-08-25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 KR101748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608A KR101748947B1 (ko) 2015-08-25 2015-08-25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608A KR101748947B1 (ko) 2015-08-25 2015-08-25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640A KR20170024640A (ko) 2017-03-08
KR101748947B1 true KR101748947B1 (ko) 2017-07-04
KR101748947B9 KR101748947B9 (ko) 2022-06-16

Family

ID=58404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608A KR101748947B1 (ko) 2015-08-25 2015-08-25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9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983B1 (ko) * 2020-12-31 2021-07-12 주식회사 해민중공업 부유식 방파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396B1 (ko) 2007-12-24 2009-10-07 한국해양연구원 최적상태의 진동수주 방파제가 형성된 해양 부유식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640A (ko) 2017-03-08
KR101748947B9 (ko)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5985B1 (ko)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의 평형 조정장치
EP2594474B1 (en) Device for reducing sloshing impact of cargo hold for liquid cargo and method for reducing same
RU2532447C2 (ru) Плавучая морская добывающая платформа
US4829928A (en) Ocean platform
KR102191770B1 (ko)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
CN104943827A (zh) 一种海上漂浮平台
JP2018020622A (ja) 浮体構造物の動揺低減装置および浮体構造物
CN102917967A (zh) 液体稳定设备
KR101748947B1 (ko) 부유식 해상 저장 구조물
US5363788A (en) Floating oil rig with controllable heave
KR101973516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운동 저감 장치
KR100542331B1 (ko) 수중 수평판을 구비한 부방파제
KR101627926B1 (ko) 요동저감형 부유식구조물
AU2004324515A1 (en) Oscillation suppression and control system for a floating platform
AU20192717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tructure suspended in water
US509822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amping low frequency perturbations of marine structures
KR100979256B1 (ko) 부유식 구조물의 횡 지지력 보강 계류방법
KR101400003B1 (ko) 해양구조물의 동요 저감 장치
KR100921438B1 (ko) 부유식 저장시설
JP6831263B2 (ja) 函体の水中への据付方法及びこの函体の揺動防止用タンク
JP4229235B2 (ja) 浮屋根の浮力増強構造
KR102646244B1 (ko) 동적 안정화 폰툰
KR101099728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그 흘수 조절 방법
KR102067255B1 (ko) 해상 공사용 부력식 앵커 블럭
JP4895651B2 (ja) 浮屋根および該浮屋根を用いるスロッシング減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