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2159B1 -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2159B1
KR100852159B1 KR1020080022722A KR20080022722A KR100852159B1 KR 100852159 B1 KR100852159 B1 KR 100852159B1 KR 1020080022722 A KR1020080022722 A KR 1020080022722A KR 20080022722 A KR20080022722 A KR 20080022722A KR 100852159 B1 KR100852159 B1 KR 100852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ptfe
methacrylate
butyl
additiv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나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나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나노텍
Priority to KR1020080022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21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1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alogen containing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4/00
    • C08F259/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alogen containing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4/00 on to polymers containing fluor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 C08F2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on to polymers of esters
    • C08F265/06Polymerisation of acrylate or methacrylate esters on to polym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tetrafluoro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및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외부를 말단부가 캐핑된 알킬메타아크릴계 수지로 코팅한 첨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PTFE 라텍스 100 중량부에 아크릴계 단량체(monomer) 10 내지 20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물에 중합개시제를 첨가하여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가 중합되어 PTFE 외부를 마이크로 캡슐화하는 중합단계;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응집시켜 플럭(flock)을 형성하는 1차 응집단계; 상기 플럭을 유리전이점(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이상으로 가열하는 가열단계; 및 상기 Tg 이상으로 가열된 플럭을 냉각하여 응집시키는 2차 응집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은 알킬메타아크릴계 수지의 단점인 취약한 내열성을 보강하였고, 가소성 플라스틱과 혼합시 분산이 매우 균일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PTFE, 유화중합, 아크릴, 캐핑, 난연성

Description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The additive composition for flame retardant plastics}
본 발명은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및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외부를 말단부가 캐핑된 알킬메타아크릴계 수지로 코팅한 첨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난연성 고분자의 주요 사용분야인 전기전자 분야는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산업 분야이다.
고분자 재료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① 유리섬유, 아스베스토스, 마이카 등의 난연성 물질을 첨가하여 고분자 성형품 표면의 일부를 무기화하여 가연성 가스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방법, ② 셀룰로오스 섬유를 중심으로 개발된 방법으로 재료의 표면 일부 또는 전체를 난연화하는 방법 즉, 불연성, 난연성 물질을 표면에 도포하여 표면을 물리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연소를 억제시키는 방법, ③ 난 연제를 고분자 재료와 혼합하거나 고분자내의 화학적 구조의 골격 내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화학 그룹을 부여하는 난연성 첨가제의 첨가에 의한 방법 등이 있다.
상기 방법 중 난연제를 첨가하는 방법이 가장 용이하며, 난연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미국, 유럽, 일본 등의 선진국은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가전제품 등에 대한 안정성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난연제는 다른 첨가제에 비해 비교적 높은 시장성장을 해온 분야로 앞으로 성장 가능성도 매우 높은 분야이다. 특히 PC 시장 및 통신장치의 경기호황으로 두드러진 판매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종래 난연제는 할로겐계 난연제가 많이 사용되었으나, 환경문제로 인하여 그 사용 증가량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그 사용이 중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이를 대체할 난연제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비할로겐계 난연제 개발에 대한 노력중의 하나로 앨버말레사는 폴리카보네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PC/ABS)과 폴리스틸렌/폴리페닐렌 설파이드 (PS/PPS) 수지를 위한 비할로겐 난연제를 개발하였다. 앨버말레사의 새로운 NcenX P-30 난연제는 인(P)을 이용하여 만들어졌는데 인계 화합물 역시 알러지성 물질로 주의를 요하고 있는 상황이다. 후루카와(古河) 전기공업은, 할로겐계 난연제를 전혀 포함하지 않은 합성수지(고밀도폴리에틸렌)제의 옥내 전선 보호관의 개발에 성공하여 상업적으로 판매를 개시한바 있다.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은 높은 결정성과 낮은 분자간 인력을 가지므로, 약한 응력하에서 적응하는 섬유 특성을 가지게 되며, 열가소성 수지와 배합하는 경우 개선된 성형 가공성과 기계적 성질을 가지게 된다는 점이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PTFE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난연성을 이용한 제품이 개발된 이후 최근들어 그 이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개발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 특허 제5804654호에서는 폴리스티렌, 폴리-알파-알킬스티렌, SAN, 알파-알킬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ABS, SBR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캡슐화 된 TFE를 포함하는 파우더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 특허 10-2006-0099006호에서는 PTFE 존재하에서 스티렌계 단량체,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이들의 혼합 단량체를 물에 투입하여 분산제로 분산시켜 현탁 중합하여 PTFE를 포함하는 중합파우더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성 현탁 중합체를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1-0023095호에서는 입경이 0.05∼1.0㎛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A) 입자 수성분산액과 탄소수 5∼30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머(B) 입자 수성분산액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응고 또는 스프레이건조에 의해 분말형태로 분체화시킨 용융장력 향상제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3-0097845호에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A) 및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구성단위를 70중량% 이상 함유하는 알킬(메틸)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 (B)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용 개질제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미국 5804654호의 파우더는 입경이 작고, 유화중합과정에서 일부만 마이크로 캡슐화되는 경우가 있어 파우더 상태보다 점도가 높은 젤 형태로 변형되기 쉬워 다른 단량체 또는 공중합체와의 혼합이 어렵다는 점 및 입자를 비대화시키는 과정에서 염석공정이 추가되는 등 복잡한 공정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 특허 10-2006-0099006호의 수성 현탁 중합제는 현탁 중합의 특성상 세척과 건조 과정이 추가로 필요하며, 반응기의 단위부피당 생산량이 줄어드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1-0023095호 용융장력 향상제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3-0097845호 열가소성 수지용 개질제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제품의 특성상 고온 성형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의 입경을 증가시켜 분산성을 향상시켜 상기 조성물을 첨가시킨 플라스틱의 표면 품질을 매끄럽게 개선하고, 고온 소성 가공에도 사용가능하며, 연소시 드립성(불똥 떨어지는 현상)을 제거한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폴리테트라플로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을 함유하며 PTFE의 외부가 알킬메타아크릴계 수지로 마이크로 캡슐화된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 PTFE 라텍스 100 중량부에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monomer) 10 내지 20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단계;
2) 상기 혼합물에 중합개시제를 첨가하여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가 중합되어 PTFE 외부를 마이크로 캡슐화하는 중합단계;
3)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응집시켜 플럭(flock)을 형성하는 응집단계;
4) 상기 플럭을 유리전이점(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이상으로 가열하는 가열단계; 및
5) 상기 Tg 이상으로 가열된 플럭을 냉각하여 응집시킨 후 분쇄하는 분쇄단 계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는 말단부가 알킬아크릴레이트 또는 스티렌으로 캐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에틸 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n-부틸 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i-부틸 아크릴레이트(i-butyl acrylate), 2-에틸헥실 아클릴레이트(2-Ethylehexyl acrylate),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에틸 메타크릴레이트(ethyl methacrylate),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n-butyl methacrylate), i-부틸 메타크릴레이트(i-butyl methacrylate), 스티렌(styrene), 알파메틸메타스티렌(α methylmetastyrene),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비닐 아세테이트(vinyl acetate) 또는 아크릴산(acrylic acid)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테트라플로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을 함유하며 PTFE의 외부가 알킬메타아크릴계 수지로 마이크로 캡슐화된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 고형성분이 60wt%인 PTFE 라텍스 1000 중량부에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로 메타아크릴레이트 200 중량부, 스티렌 240 중량부 및 아크릴로니트릴 60중량부 의 혼합물과 부틸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를 혼합하는 혼합단계;
2) 상기 혼합물에 중합개시제로 벤조일퍼옥사이드가 첨가되어 상기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가 중합되어 PTFE 외부를 마이크로 캡슐화하는 중합단계;
3)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응집시켜 플럭(flock)을 형성하는 응집단계;
4) 상기 플럭을 60℃로 가열하는 가열단계; 및
5) 상기 가열된 플럭을 냉각하여 응집시킨 후 평균 입경이 1.00 내지 2.00mm가 되도록 분쇄하는 분쇄단계로 구성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의 제조방법 중 어느 한 가지의 방법으로 제조된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말단부가 캐핑된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를 사용하여 아크릴계 수지의 장점인 범용성을 극대화하고 아크릴계 수지의 단점인 취약한 내열성을 보강하였고,
1차 응집 단계 이후에 Tg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는 공정을 추가하여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의 평균 입경을 획기적으로 증가시켜 가소성 플라스틱과 혼합시 분산이 매우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난연성'이라 함은 고분자 성형품이 화염에 접하였을 때, 착화를 어렵게 하거나 연소의 진전을 막는 방법 등 여러 가지 작용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난연 효과를 나타내는 성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을 함유하며, 조성물의 평균 입경이 0.05 내지 4.00mm이고, 내열성이 향상된 수지로 마이크로 캡슐화(mico encapsulation)된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PTFE 를 함유하며 PTFE의 외부가 알킬메타아크릴계 수지로 마이크로 캡슐화된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 PTFE 라텍스 100 중량부에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monomer) 10 내지 20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단계;
2) 상기 혼합물에 중합개시제를 첨가하여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가 중합되어 PTFE 외부를 마이크로 캡슐화하는 중합단계;
3)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응집시켜 플럭(flock)을 형성하는 응집단계;
4) 상기 플럭을 유리전이점(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이상으로 가열하는 가열단계; 및
5) 상기 Tg 이상으로 가열된 플럭을 냉각하여 응집시킨 후 분쇄하는 분쇄단계로 구성된다.
1)단계에서 상기 PTFE 라텍스는 20 내지 80 wt%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에틸 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n-부틸 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i-부틸 아크릴레이트(i-butyl acrylate), 2-에틸헥실 아클릴레이트(2-Ethylehexyl acrylate),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에틸 메타크릴레이트(ethyl methacrylate),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n-butyl methacrylate), i-부틸 메타크릴레이트(i-butyl methacrylate), 스티렌(styrene), 알파메틸메타스티렌(α methylmetastyrene),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비닐 아세테이트(vinyl acetate) 또는 아크릴산(acrylic acid)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또한,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의 내열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의 말단은 높은 온도에서 언집(unzip)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비닐계 단량체로 치환(캐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비닐계 모노머 중 메타위치에 치환체가 없는 알킬아크릴레이트 또는 스티렌으로 캐핑되는 것이 보다 바람 직하다.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는 C1 내지 C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핑에 사용되는 비닐계 단량체는 미리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 중합되어 공급되거나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와 혼합하여 반응기에 공급될 수 있다.
2) 단계에서 상기 중합개시제는 수용성 개시제, 유용성 개시제의 단독계 또는 레독스계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개시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과황산염 등의 무기 개시제를 들 수 있고,
유용성 개시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벤조일퍼옥사이드, o-클로로과산화벤조일, o-메톡시과산화벤조일, 과산화라우로일, 과산화옥타노일, 메틸에틸케토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시클로헥사논퍼옥사이드,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또는 디이소프로필벤젠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의 유기 과산화물;
아조계 니트릴화합물, 아조계비환상아미진화합물, 아조계환상아미진화합물, 아조계아미드화합물, 아조계알킬화합물 또는 아조계에스테르화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한 종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개시제는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해 0.001 내지 10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001 내지 1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2)단계의 중합반응은 유화중합 반응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합온도는 0℃ 내지 280℃인 것이 바람직하며, 40 내지 1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화중합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1)단계에서는 본 발명의 난연 특성에 반하지 않는 한 적절한 공지의 유화제 및 분산제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이들의 중합에 쓰일 수 있는 유화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종래부터 알려진 각종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로는 지방산 염, 알킬황산에스테르염, 알킬벤젠설폰산염, 알킬인산에스테르염, 디알킬설포코학산염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솔비톨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아민염 등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유화제는 단독 또는 병용하여 사용 할 수 있다.
3)단계에서 마이크로 캡슐을 응집시키는 방법으로는 여과, 투석 또는 염석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염석 과정에서는 응집제를 첨가하여 플럭을 형성한다. 상기 응집제는 1가 내지 3가의 금속염 또는 황산이나 아세트산 같은 산을 사용한다. 상기 금속염은 구체적으로 CaCl2, MgSO4 또는 Al2(SO4)3 등이 주로 사용된다. 응집이 일어난 마이크로 캡슐은 원심분리하여 수득한다. 또한, 상기 1차 응집과정에 건조과정을 추가하여 플럭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4)단계에서 가열온도는 10 내지 200℃ 의 범위에서 중합된 단량체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가감할 수 있으며, 30 내지 13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5)단계에서 상기 분쇄과정은 공지의 분쇄공정을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나이프 커팅(knife cutting) 또는 밀링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쇄단계에서 최종적인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의 평균 입경은 0.05 내지 4.00 mm 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0 내지 3.00 mm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5)단계 이후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의 탈수, 건조 또는 포장과정 중 어느 한 과정이 추가되거나 상기 과정이 연속적으로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은,
PTFE 라텍스 100중량부에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 10 내지 200 중량부를 혼합하고 유화 중합하여 마이크로 캡슐을 생성한 후 여과, 투석 또는 염석하여 중합 된 마이크로 캡슐을 응집시켜 플럭을 형성하고, 상기 플럭을 유리전이온도 이상으로 가열한 뒤 냉각한 뒤 분쇄하여 제조되며 평균 입경이 0.05 내지 4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는 내열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말단부가 캡핑될 수 있다.
[실시예 1]
PTFE 라텍스(고형분 60wt%) 1.0kg이 들어있는 반응기에 부틸아크릴레이트 200g 및 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400g을 투입하여 혼합한다. 유화가 보다 잘 일어나도록 하기 위하여 유화제인 알킬벤젠설폰산염 20g을 추가로 첨가하고, 250rpm에서 1시간 동안 회전시켜 교반하여 혼합한다.
상기 반응기에 중합개시제인 벤조일퍼옥사이드 5g을 추가하고 70℃로 가열하여 중합반응을 개시한다. 이 반응에 의하여 부틸 아크릴레이트로 캐핑된 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는 에멀젼 내에서 PTFE외부를 둘러싸는 중합반응이 일어나서 마이크로 캡슐을 형성한다.
상기 마이크로 캡슐이 형성된 에멀젼액에 응집제 CaCl2를 가하여 응집시킨 뒤, 1000rpm으로 회전시켜 원심분리하여 마이크로 캡슐을 응집시켜 플럭을 형성시킨다.
상기 플럭을 Tg이상인 95℃로 30분 정도 가열한 뒤 냉각시켜 분쇄한다. 상기 분쇄과정에서 형성된 난연성 첨가 조성물의 평균 입경이 1.00 내지 2.00 mm 가 되도록 밀링하여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A-1)을 완성한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모든 과정은 동일하게 진행하되 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400g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200g 대신 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200 g, 스티렌 300g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100g을 혼합하여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A-2)을 제조한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모든 과정은 동일하게 진행하되 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400g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200g 대신 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200 g, 스티렌 240g, 아크릴로니트릴 60g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100g을 혼합하여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A-3)을 제조한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모든 과정은 동일하게 진행하되 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400g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200g 대신 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600 g만 첨가하여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A-4)을 제조한다.
[물성평가 1] 내열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4에서 만들어진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을 열질량분석기 (Thermal Gravity Analysis)를 이용하여 질소 분위기에서 분당 10℃씩 상승을 시키면 열 분해온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시차열주사분석기 (Differential scanning carolimeter)를 이용하여 유리전이온도(Tg)를 측정하였다.
A-1 A-2 A-3 A-4
열분해온도(℃) 405 410 430 320
유리전이온도(℃) 27.0 59.6 59.3 95.0
상기 표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난연성 첨가 조성물은 열분해온도가 85 내지 110℃ 상승하여 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만 사용하는 경우보다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말단부위에 캐핑하는 것이 내열성이 현저하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리전이온도의 경우,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말단부위에 캐핑하는 경우 유리전이온도가 감소하여 성형에 있어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을 제일모직에서 구입한 PC/ABS와 아래 표2에 있는 바와 같은 비율로 혼합하고 2축 압출기 (WERNER & PFIEIDERER사)를 사용하여 스크류회전속도 200 rpm으로 압출하여 펠렛상의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B-1 B-2 B-3 B-4 비교예 1 C-1
PC/ABS 100 100 100 100 100
A-1 0.5
A-2 0.5
A-3 0.5
A-4 0.5
분말 PTFE 0.25
할로겐화에폭시 올리고머 13 13 13 13 13
삼산화안티몬 6.5 6.5 6.5 6.5 6.5
[물성평가 2] 사출 표면 형상 및 드립(drip)성 평가
상기 시험예에서 제조된 플라스틱의 사출 표면 형상 및 연소시 드립성(불똥 떨어지는 현상)을 평가하고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B-1 B-2 B-3 B-4 C-1
사출시편 표면품질 매끄러움 매끄러움 매끄러움 보통 표면에 돌기있음
드립성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있음
본 발명의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을 첨가하여 제조된 플라스틱은 사출시편의 표면이 보통 또는 매끄러운 것으로 관찰되고 있는 바, 이는 본 발명의 첨가조성물의 분산성이 분말 형태의 PTFE 보다 훨씬 좋은 것을 알 수 있으며,
드립성 관찰결과 본 발명의 첨가 조성물을 첨가한 경우 드립성이 관찰되지 아니하였으므로 연소시의 난연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5)

  1. 폴리테트라플로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을 함유하며 PTFE의 외부가 알킬메타아크릴계 수지로 마이크로 캡슐화된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 PTFE 라텍스 100 중량부에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monomer) 10 내지 20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단계;
    2) 상기 혼합물에 중합개시제를 첨가하여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가 중합되어 PTFE 외부를 마이크로 캡슐화하는 중합단계;
    3)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응집시켜 플럭(flock)을 형성하는 응집단계;
    4) 상기 플럭을 유리전이점(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이상으로 가열하는 가열단계; 및
    5) 상기 Tg 이상으로 가열된 플럭을 냉각하여 응집시킨 후 분쇄하는 분쇄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에틸 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n-부틸 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i-부틸 아크릴레이트(i-butyl acrylate), 2-에틸헥실 아클릴레이트(2-Ethylehexyl acrylate),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에틸 메타크릴레이트(ethyl methacrylate),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n-butyl methacrylate), i-부틸 메타크릴레이트(i-butyl methacrylate), 스티렌(styrene), 알파메틸메타스티렌(α methylmetastyrene),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비닐 아세테이트(vinyl acetate) 또는 아크릴산(acrylic acid)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의 말단부가 알킬아크릴레이트 또는 스티렌으로 캐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에틸 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n-부틸 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i-부틸 아크릴레이트(i-butyl acrylate), 2-에틸헥실 아클릴레이트(2-Ethylehexyl acrylate),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에틸 메타크릴레이트(ethyl methacrylate),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n-butyl methacrylate), i-부틸 메타크릴레이트(i-butyl methacrylate), 스티렌(styrene), 알파메틸메타스티렌(α methylmetastyrene),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비닐 아세테이트(vinyl acetate) 또는 아크릴산(acrylic acid)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 제조방법.
  4. 폴리테트라플로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을 함유하며 PTFE의 외부가 알킬메타아크릴계 수지로 마이크로 캡슐화된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 고형성분이 60wt%인 PTFE 라텍스 1000 중량부에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로 메타아크릴레이트 200 중량부, 스티렌 240 중량부 및 아크릴로니트릴 60중량부의 혼합물과 부틸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를 혼합하는 혼합단계;
    2) 상기 혼합물에 중합개시제로 벤조일퍼옥사이드가 첨가되어 상기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가 중합되어 PTFE 외부를 마이크로 캡슐화하는 중합단계;
    3)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응집시켜 플럭(flock)을 형성하는 응집단계;
    4) 상기 플럭을 60℃로 가열하는 가열단계; 및
    5) 상기 가열된 플럭을 냉각하여 응집시킨 후 평균 입경이 1.00 내지 2.00mm가 되도록 분쇄하는 분쇄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삭제
KR1020080022722A 2008-03-12 2008-03-12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 KR100852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722A KR100852159B1 (ko) 2008-03-12 2008-03-12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722A KR100852159B1 (ko) 2008-03-12 2008-03-12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2159B1 true KR100852159B1 (ko) 2008-08-13

Family

ID=39881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722A KR100852159B1 (ko) 2008-03-12 2008-03-12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21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844B1 (ko) * 2011-07-12 2012-06-29 주식회사 한나노텍 투명성이 향상된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186962B1 (ko) 2011-11-17 2012-09-2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제, 그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2161666A1 (en) * 2011-05-25 2012-11-29 Thai Abs Company Limited Compositions including polytetrafluoroethylene an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N109280135A (zh) * 2018-08-30 2019-01-29 铨盛聚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优异相容性的抗滴落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49809A1 (en) * 2006-04-26 2007-10-31 Solvay Solexis S.p.A. Tetrafluoroethylene polymer partic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49809A1 (en) * 2006-04-26 2007-10-31 Solvay Solexis S.p.A. Tetrafluoroethylene polymer particle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1666A1 (en) * 2011-05-25 2012-11-29 Thai Abs Company Limited Compositions including polytetrafluoroethylene an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US8686066B2 (en) 2011-05-25 2014-04-01 Suthep Kwampian Compositions including polytetrafluoroethylene an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101160844B1 (ko) * 2011-07-12 2012-06-29 주식회사 한나노텍 투명성이 향상된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186962B1 (ko) 2011-11-17 2012-09-2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제, 그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9280135A (zh) * 2018-08-30 2019-01-29 铨盛聚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优异相容性的抗滴落剂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0714B1 (ko) Pvc용 코어/셸 첨가제를 함유하는 강화 혼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0497446C (zh) 一种热塑性树脂的防滴落剂及其制备和使用方法
CN101597412B (zh) 一种改性聚四氟乙烯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341211A (zh) 阻燃抗菌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及阻燃抗菌热塑性树脂组合物
GB2185029A (en) Electrically conductive solid plastics
KR100852159B1 (ko)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
KR20020032358A (ko) 충격 조절제 분말 제조방법
CN101165082B (zh) 防滴落剂及其制备方法和含有它的热塑性树脂制品
CN111171542B (zh) 一种高cti阻燃聚碳酸酯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0698600A (zh) 一种本体阻燃型聚丙烯接枝物的制备方法及应用
CN102933650A (zh) 用于聚烯烃系树脂用添加剂的分散剂、聚烯烃系树脂组合物及成型体
CN109054097A (zh) 一种三聚氰胺改性木质素包覆红磷阻燃剂及其在abs树脂中的应用
KR20020032357A (ko) 고 고무 충격 조절제 분말
KR20140033831A (ko)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CA1147081A (en) Abs-moulding compositions having high notched impact strength
KR101056931B1 (ko)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의 가공조제용 아크릴계 공중합체,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US3546160A (en) Self-extinguishing styrene/acrylonitrile-copolymers
KR101173039B1 (ko) Pvdf 또는 pvdf 공중합체 라텍스를 이용한 투명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2143032B (zh) 一种改性氢氧化铝、阻燃聚氯乙烯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540542B1 (ko)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충격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912893B1 (ko) 난연성 초산비닐고분자 에멀션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난연스티로폼
KR101186962B1 (ko) 투명 난연성 플라스틱 첨가제, 그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5462225A (zh) 防静电pc/pbt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和安全鞋头
KR101115673B1 (ko) 난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CN112812222B (zh) 一种as树脂改性剂的制备方法及所得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