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2046B1 - 크롬도금 두께 균일화를 위한 차량 부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크롬도금 두께 균일화를 위한 차량 부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2046B1
KR100852046B1 KR1020060098392A KR20060098392A KR100852046B1 KR 100852046 B1 KR100852046 B1 KR 100852046B1 KR 1020060098392 A KR1020060098392 A KR 1020060098392A KR 20060098392 A KR20060098392 A KR 20060098392A KR 100852046 B1 KR100852046 B1 KR 100852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chromium plating
chromium
thickness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8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2486A (ko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8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2046B1/ko
Publication of KR20080032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2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10Electrodes, e.g. composition, counter electro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롬도금 두께 균일화를 위한 차량 부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릴 등과 같은 차량용 부품에 음극 보조물을 일체로 형성하여 크롬 도금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크롬 도금층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기존에 도금 두께 편차에 따른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크롬도금 두께 균일화를 위한 차량 부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크롬도금 제품의 설계(모델링)을 실시하는 공정과; 모델링된 데이타를 기반으로 도금 두께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필요시 음극보조물을 적용함과 함께 도금 두께 편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재모델링을 실시하는 단계와; 모델링된 최적 데이타를 통한 금형가공 공정과; 금형에서 도금용 ABS수지로 사출을 실시하는 공정과; 사출된 제품에 대하여 크롬 도금을 실시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롬도금 두께 균일화를 위한 차량 부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크롬 도금, 차량 부품, 음극 보조물, 도금층 두께 균일화

Description

크롬도금 두께 균일화를 위한 차량 부품의 제조 방법{Method for uniform Cr plating thicknes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부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롬 도금층의 두께를 균일하게 하기 위한 음극 보조물을 차량 부품에 일체로 형성한 것을 보여주는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 보조물을 차량 부품에 일체로 형성한 상태에서 크롬 도금층의 두께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는 데이타 이미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 보조물이 일체로 형성된 차량 부품과, 음극 보조물이 없는 기존 부품간의 크롬 도금층 두께 편차를 해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
도 5는 기존의 차량 부품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공정도,
도 6은 차량 부품에 대한 도금 공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7은 크롬 도금층의 두께 편차로 인한 부식 현상이 발생된 것을 보여주는 부품 사진.
본 발명은 크롬도금 두께 균일화를 위한 차량 부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릴 등과 같은 차량용 부품에 음극 보조물을 일체로 형성하여 크롬 도금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크롬 도금층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기존에 도금 두께 편차에 따른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크롬도금 두께 균일화를 위한 차량 부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외관을 장식하는 외장재로는 차체 전면쪽에 장착되는 라디에이터 그릴과, 앞뒤 도어에 걸쳐 부착되는 사이드 몰딩재, 범퍼의 모서리 부분에 장착되는 몰딩재 등이 있다.
이러한 외관 부품의 표면은 외관미를 고려하여 크롬 도금이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차량 외장 부품에 대한 제조 공정은 첨부한 도 5의 공정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롬도금 제품의 설계(모델링)을 실시하는 공정과; 모델링된 데이타를 통한 금형가공 공정과; 금형에서 도금용 ABS수지로 사출을 실시하는 공정과; 사출된 제품에 대하여 크롬 도금을 실시하는 공정과; 불량 발생시 전공정에 걸쳐 수정 및 검증 작업을 수행하는 공정 등을 포함하여 진행된다.
상기 도금 공정은 첨부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롬도금이 이루어질 ABS 수지재의 부품 표면에 존재하는 부타디엔 성분을 용해시킴과 함께 엥 커(anchor)효과를 얻고자 에칭을 실시하는 공정과; 화확니켈도금을 위한 촉매인 파라듐을 흡착시키는 공정과; 전기도금이 가능할 정도의 도전성을 가지는 화학니켈피막을 입히는 공정과; 구리, 니켈, 크롬 전기도금을 행하여 광택이 있는 외관을 얻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라디에이터 그릴, 몰딩재 등의 외관 부품은 그 에지부 등이 만곡된 형상 또는 뽀족한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금 두께가 다른 곳보다 집중적으로 두껍게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렇게 크롬 도금층의 두께 편차가 발생하게 되면, 첨부한 도 7의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금층의 부식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크롬도금이 이루어지는 차량 부품에 있어서, 도금층의 두께가 집중적으로 커지는 부분에 음극 보조물을 일체로 형성하여 크롬 도금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크롬 도금층이 균일한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기존에 도금 두께 편차에 따른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크롬도금 두께 균일화를 위한 차량 부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크롬도금 제품의 설계(모델링)을 실시하는 공정과; 모델링된 데이타를 기반으로 도금 두께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도금 두께 편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재모델링을 실시하는 단계와; 모델링된 최적 데이타를 통한 금형가공 공정과; 금형에서 도금용 ABS수지로 사출을 실시하는 공정과; 사출된 제품에 대하여 크롬 도금을 실시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롬도금 두께 균일화를 위한 차량 부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로서, 상기 금형가공 및 사출 공정시, 해당 부품에 음극 보조물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음극 보조물은 해당 부품의 이면에 최소한의 두께로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크롬 도금시, 상기 음극 보조물의 표면에도 크롬 도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크롬 도금후, 해당 부품의 출하전에 상기 음극 보조물의 제거 공정이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부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롬 도금층의 두께를 균일하게 하기 위한 음극 보조물을 차량 부품에 일체로 형성한 것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은 라디에이터 그릴 등과 같은 외장재 부품에 있어서, 도금층의 두께가 증대되는 부분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파악하여, 그 부분에 음극 보조물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해당 부품의 전체 표면에 걸쳐 균일한 두께의 도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점에 있다.
먼저, 라디에이터 그릴 등과 같은 크롬도금 제품의 설계(모델링)을 실시한다.
이어서, 모델링된 데이타를 기반으로 도금 두께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도금 두께 편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재모델링을 실시한다.
즉, 라디에이터 그릴 등과 같은 외장재 부품에 크롬 도금을 실시하게 되는 바, 도금층의 두께가 집중적으로 증대되는 부분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파악하여, 그 부분에 동일 재질의 음극 보조물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재모델링을 실시한다.
예를들어, 본 발명에 따른 음극 보조물이 일체로 형성된 차량 부품과, 음극 보조물이 없는 기존 부품간의 크롬 도금층 두께 편차를 해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금층의 두께가 집중적으로 증대되는 부분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파악하여, 그 부분에 동일 재질의 음극 보조물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모델링된 최적 데이타를 통한 금형가공 공정을 실시하는 바, 예를들어 라이에이터 및 음극 보조물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는 금형을 가공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금형에서 도금용 ABS수지로 사출을 실시하여, 음극 보조물이 일체로 성형된 외관 부품을 제작하게 되며, 이 음극 보조물은 해당 부품의 이면에 최소한의 두께로 일체가 되도록 한다.
즉, 음극 보조물을 해당 부품의 이면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은 음극 보조물이 후공정에서 제거됨에 따른 흔적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에 있고, 음극 보조물을 최소한의 두께로 일체화시키는 것은 음극 보조물의 제거시 흔적이 거의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이어서, 사출된 제품에 대하여 크롬 도금을 실시하여, 해당 부품의 전체 표면 및 음극 보조물의 표면까지 크롬 도금이 이루어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크롬 도금후, 상기 음극 보조물을 제거하여 최종 제품으로 출하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험예로서 크롬도금 두께 균일화를 위하여 음극 보조물을 일체로 형성하여 제작된 라디에이터 그릴과, 음극 보조물이 없는 기존 부품간의 도금층 두께를 측정하였는 바, 그 결과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라디에이터 그릴의 이면에서 음극 보조물이 일체로 형성된 각 모서리 부분(도 3에서 1,3,5,6으로 지시됨), 그리고 중앙 부분(도 3에서 2로 지시됨), 다수의 V자형 그릴중 하나(도 3에서 7,8로 지시됨)에 대한 크롬 도금층 두께를 측정하였고, 마찬가지로 음극 보조물이 없는 기존 라디에이터 그릴의 동일 위치에 대한 크롬 도금층 두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의 그래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롬 도금두께 스펙(SPEC : 0.2~0.5㎛)을 기준으로, 기존의 크롬 도금층 두께는 3,5,6번 위치에서 도금 두께 측정치가 과도하게 스펙을를 벗어남을 알 수 있고,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크롬 도금층 두께는 모든 위치에서 안정되게 스펙내에 포함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롬도금 두께 균일화를 위한 차량 부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도금층의 두께가 집중적으로 커지는 부분에 음극 보조물을 일체로 형성하여 크롬 도금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크롬 도금층이 균일한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기존에 도금 두께 편차에 따른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삭제
  2. 크롬도금 제품의 설계(모델링)을 실시하는 공정과, 모델링된 데이타를 기반으로 도금 두께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도금 두께 편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재모델링을 실시하는 단계와, 모델링된 최적 데이타를 통한 금형가공 공정과, 금형에서 도금용 ABS수지로 사출을 실시하는 공정과, 사출된 제품에 대하여 크롬 도금을 실시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크롬도금 두께 균일화를 위한 차량 부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형가공 및 사출 공정시, 해당 부품의 도금층 두께 집중 증가 부위에 음극 보조물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롬도금 두께 균일화를 위한 차량 부품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음극 보조물은 해당 부품의 이면에 최소한의 두께로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롬도금 두께 균일화를 위한 차량 부품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크롬 도금시, 상기 음극 보조물의 표면에도 크롬 도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롬도금 두께 균일화를 위한 차량 부품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크롬 도금후, 해당 부품의 출하전에 상기 음극 보조물의 제거 공정이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롬도금 두께 균일화를 위한 차량 부품의 제조 방법.
KR1020060098392A 2006-10-10 2006-10-10 크롬도금 두께 균일화를 위한 차량 부품의 제조 방법 KR100852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392A KR100852046B1 (ko) 2006-10-10 2006-10-10 크롬도금 두께 균일화를 위한 차량 부품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392A KR100852046B1 (ko) 2006-10-10 2006-10-10 크롬도금 두께 균일화를 위한 차량 부품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2486A KR20080032486A (ko) 2008-04-15
KR100852046B1 true KR100852046B1 (ko) 2008-08-13

Family

ID=39533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8392A KR100852046B1 (ko) 2006-10-10 2006-10-10 크롬도금 두께 균일화를 위한 차량 부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20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87428B (zh) * 2021-03-05 2023-04-14 株式会社荏原制作所 调整镀覆模块的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0434A (ja) 1997-12-15 1999-06-29 Teijin Chem Ltd メッキ製品
JP2002241988A (ja) 2001-02-16 2002-08-28 Taiyo Manufacturing Co Ltd メッキ成形品の製造方法
KR20050063446A (ko) * 2003-12-22 2005-06-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균일한 도금층 형성방법
KR20050106177A (ko) * 2004-05-04 2005-11-09 학교법인 영남학원 자동차 연료보조탱크 및 용접부위의 균일한 도금방법
KR20060035347A (ko) * 2004-10-22 2006-04-26 박수복 에이비에스 성형품 도금시스템 및 그 도금시스템의 도금액조절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0434A (ja) 1997-12-15 1999-06-29 Teijin Chem Ltd メッキ製品
JP2002241988A (ja) 2001-02-16 2002-08-28 Taiyo Manufacturing Co Ltd メッキ成形品の製造方法
KR20050063446A (ko) * 2003-12-22 2005-06-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균일한 도금층 형성방법
KR20050106177A (ko) * 2004-05-04 2005-11-09 학교법인 영남학원 자동차 연료보조탱크 및 용접부위의 균일한 도금방법
KR20060035347A (ko) * 2004-10-22 2006-04-26 박수복 에이비에스 성형품 도금시스템 및 그 도금시스템의 도금액조절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2486A (ko) 2008-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37032A (ko) 증착 마스크, 증착 마스크의 제조 방법 및 금속판
US20090265915A1 (en) Insert-molded cov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08031555A5 (ko)
US20170368727A1 (en) Maskless method of producing a component having a two-dimensional appearance
US20190327847A1 (en) Housing,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ousing
Akhouri et al. A review report on the plating process of fused deposition modelling (FDM) built parts
KR100852046B1 (ko) 크롬도금 두께 균일화를 위한 차량 부품의 제조 방법
Wang et al. Recurrent neural network-based stencil cleaning cycle predictive modeling
DE102010031814A1 (de) Formwerkzeug,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ormteils
JP2007160637A (ja) 樹脂成形品
JP2016065269A (ja) 金属調皮膜の製造方法及び金属調皮膜
KR20200069919A (ko) 마스킹 패턴,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기호 버튼 제조 방법
US20170283971A1 (en) Selectively Electoplating Plastic Substrates Having a Decorative Film
JPH1012995A (ja) 立体構造を有する回路部品の製造方法
TWI376185B (en) Housing fo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737530B2 (en) Two-shot molding for selectively metalizing parts
JP7133131B2 (ja) 成形型の製造方法、成形型、乗物用内装材の製造方法
CN105241742A (zh) 塑料锁螺丝力度测试方法及测试仪
JP5970217B2 (ja) 電着レジストを用いたメタルマスクの製造方法
US10549464B2 (en) Synthetic resin molding and molding method therefor
KR101453492B1 (ko) 회로패턴 구현방법
JP2014213499A (ja) 合成樹脂成形品の表面にメッキ皮膜を得る合成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7039772A (ja) 銅フリー樹脂めっきの成膜方法
KR20060023241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부품 제조 방법
US20230271378A1 (en) Break-wire conductor methods and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