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1364B1 -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1364B1
KR100851364B1 KR1020060129092A KR20060129092A KR100851364B1 KR 100851364 B1 KR100851364 B1 KR 100851364B1 KR 1020060129092 A KR1020060129092 A KR 1020060129092A KR 20060129092 A KR20060129092 A KR 20060129092A KR 100851364 B1 KR100851364 B1 KR 100851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mobile terminal
rocker
upper plate
rf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6329A (ko
Inventor
안현우
Original Assignee
(주)블루버드 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버드 소프트 filed Critical (주)블루버드 소프트
Priority to KR1020060129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1364B1/ko
Priority to US12/519,636 priority patent/US20090312053A1/en
Priority to EP07860638.1A priority patent/EP2100262B1/en
Priority to PCT/KR2007/006600 priority patent/WO2008075868A1/en
Publication of KR20080056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1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1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9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the scanning arrangement having a modular 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1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using at least one antenna particularly designed for interrogat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 G06K7/1032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using at least one antenna particularly designed for interrogat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the antenna being of the very-near field type, e.g. capacitiv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06K7/103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 G06K7/103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of the portable or hand-handheld type, e.g. incorporated in ubiquitous hand-held devices such as PDA or mobile phone, or in the form of a portable dedicated RFID reader

Abstract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는, 판독 대상의 RFID 태그(tag)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RFID 태그 내의 정보를 판독하는 RFID 모듈과, RFID 모듈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온/오프(On/Off)시키는 스위칭유닛을 구비한 리더기본체; 리더기본체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RFID 모듈과 상호작용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형성된 단자부와 접속가능한 접속단자부가 내면 일측에 마련되어 있는 포켓부; 상부 플레이트 및 포켓부에 마련되어 포켓부에 장착되는 모바일 단말기를 선택적으로 로킹 및 로킹해제시키는 로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어려움 없이 간단한 방법으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를 포켓부에 용이하게 로킹 및 로킹해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for detaching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2는 도 1의 이미지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내장부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개략적인 내부 투영 측면도이다.
도 5는 탄성돌기부가 분리된 포켓부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보조 PCB(Printed Circuit Board)가 분리된 도 5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리더기본체의 상부 플레이트에 대한 전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로커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스토커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8의 결합상태에 따른 로커 및 스토거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각각 개스킷에 대한 전면 및 배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7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6에 도시된 보조 PCB에서 포그핀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산업용 PDA 10 : 리더기본체
20 : 상부 플레이트 30 : 전면 플레이트
35 : 파지부 38 : 스위칭유닛
40 : RFID 판독부 42 : RFID 모듈
50 : 연결부 60 : 포켓부
63 : 접속단자부 70 : 로킹부
72 : 로킹슬롯 74 : 로커
79 : 탄성부재 80 : 스토퍼
90 : 탄성돌기부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어려움 없이 간단한 방법으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를 포켓부에 용이하게 로킹 및 로킹해제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하면서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 그리 고 개인휴대단말기로 불리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대표적이다. 따라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바일 단말기' 용어는 이들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이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복잡해지고 다양화되는 사회 속에서 각각의 개인은 각자 나름대로의 정보를 보관하거나 유지하여야 하는 필요성이 생기게 되었고, 이러한 개인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제품들이 현재 시장에 출시되고 있는데, 그것들 중의 하나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이다.
PDA는 포켓용 컴퓨터로도 불리는데, 개인용이나 업무용으로 계산이나 정보저장 및 검색기능을 갖춘 손바닥 크기의 소형장치를 총칭하는 용어로서, 종종 스케줄 캘린더와 주소록 정보 등을 유지하는데 많이 쓰인다.
특히, 현재 물류산업을 중심으로 산업용 개인휴대단말기(PDA)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시장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산업용 PDA는 일반 PDA에 없는 바코드스캐너, 카드 결제기 등 다양한 사무용 기능을 갖춘 PDA로서, 산업용 PDA를 사용하면 배송이나 자료관리 그리고 관련업무 등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보험사에 있어서는 고객정보관리, 고객검색, 일정관리, 상담일지관리, 기념일 검색, 자금계산서 처리 등의 각종 보험관련 업무를 보험설계사가 산업용 PDA를 이용해 현장에서 직접 처리할 수 있으며, 다음으로 병원에 있어서는 환자의 진료기록과 병력, 처방은 물론 X-레이 등 영상 이미지와 그래픽 자료도 시간과 장소 제한 없이 의료진이 휴대한 산업용 PDA로 입력하거나 검색할 수 있고, 또한 경찰의 업무에 있어서는 교통, 방범경찰의 외근 단속 업무를 산업용 PDA를 통해 실시하여 현재 단속 뒤 2-3일이 지나야 납부할 수 있는 교통법규 위반 범칙금을 즉시 금융기관에 납부할 수 있게 하여 교통, 방범경찰의 외근 단속업무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란 소형 반도체 칩을 이용해 사물의 정보를 처리하는 기술의 총칭이다. 각종 물품에 소형 칩을 부착해 사물의 정보와 주변 환경정보를 무선주파수로 전송, 처리하는 비접촉식 인식시스템이다.
판독, 해독기능이 있는 판독기와 고유 정보를 내장한 RF 태그(RF ID tag), 운용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으로 구성된 전파식별 시스템은 사물에 부착된 얇은 평면 형태의 태그를 식별함으로써 정보를 처리한다.
RF 태그는 반도체로 제작된 트랜스폰더 칩과 안테나로 구성되며, 수동식과 능동식이 있다. 수동식이 내부 전원 없이 판독기의 전파신호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데 비해 능동식에는 스스로 작동하기 위해 RF 태그 전지가 내장되어 있다. 실리콘 반도체 칩을 사용하는 칩 태그와 LC소자, 플라스틱 또는 폴리머(polymer:중합체) 소자로만 구성된 무칩 태그로 구분하기도 한다.
전파식별 기술은 바코드처럼 직접 접촉하거나 가시대역 안에서 스캐닝할 필요가 없다. 이 같은 장점 때문에 바코드를 대체할 기술로 평가받으며, 활용범위도 확대되고 있다. 저주파 전파식별 시스템(30 kHz~500 kHz)은 1.8m 이하의 짧은 거리에서 사용되며, 고주파 시스템(850 MHz~950 MHz 또는 2.4 GHz~2.5 GHz)은 27m 이상의 먼 거리에서 전송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RFID 기술로 인해 공정 관리, 자산 관리, 물류 관리, 재고 관리, 출입 보완, 위치 추적, 문화재 관리 등의 각종 관리 시스템이 보다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근자에 들어서는 RFID 기술을 적용한 RFID 리더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미 다양한 제품이 출시 중에 있다. 출시중인 RFID 리더기는 산업용 PDA에 그 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RFID 리더기로부터 일정한 테이블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고정용 RFID 리더기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며 그 적용 범위도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RFID 리더기의 기능을 PDA에 내장시키는 경우 실질적으로 PDA의 크기가 거대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단순한 PDA 기능만을 사용하려는 사용자에게는 다소 불편할 수 있다. 반대로, 고정용 RFID 리더기의 경우에는 휴대할 수가 없기 때문에 일부 국한된 장소 외에는 사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산업 전반에 걸쳐 PDA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PDA가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별도의 RFID 리더기가 개발된다면 필요시에 RFID 리더기를 통한 다양한 관리 시스템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다만, 이러한 RFID 리더기에 있어서는 PDA를 RFID 리더기의 포켓부에 쉽게 장착하고(로킹하고) 또한 쉽게 분리되어야(로킹해제되어야) 사용상 편리할 것이다. 물론, 포켓부에 장착된 PDA가 포켓부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어서도 아니될 것이다. 따라서 RFID 리더기에 대한 연구 개발 시에는 포켓부에 PDA를 용이하게 장착하고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의 개발이 함께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어려움 없이 간단한 방법으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를 포켓부에 용이하게 로킹 및 로킹해제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판독 대상의 RFID 태그(tag)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RFID 태그 내의 정보를 판독하는 RFID 모듈과, 상기 RFID 모듈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온/오프(On/Off)시키는 스위칭유닛을 구비한 리더기본체; 상기 리더기본체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RFID 모듈과 상호작용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형성된 단자부와 접속가능한 접속단자부가 내면 일측에 마련되어 있는 포켓부;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포켓부에 마련되어 상기 포켓부에 장착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선택적으로 로킹 및 로킹해제시키는 로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로킹부는, 상기 포켓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로킹슬롯; 및 적어도 일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일단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밑면으로 노출되고 타단은 상기 로킹슬롯을 통과하여 상기 포켓부의 내부공간으로 노출되는 로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킹슬롯은 상기 포켓부의 바닥면에서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로커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포켓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판면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밑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로커를 동작시키는 가압버튼부; 상기 몸체부의 상면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한 쌍의 로킹슬롯을 통해 노출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밑면에 형성된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한 쌍의 걸림후크부;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가압버튼부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로커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회전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커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로커결합부 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가압버튼부의 양측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로커결합부 내에 형성된 축수용부 내에 수용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로커의 몸체부와 상기 로커결합부 사이에는, 상기 가압버튼부의 가압 해제 시에 상기 로커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압버튼부를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판면 방향으로 가압할 때 상기 한 쌍의 걸림후크부가 상기 한 쌍의 로킹슬롯 내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버튼부는 아크(arc)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압버튼부의 노출 판면에는 미끄럼방지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걸림후크부의 단부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포켓부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커에 인접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 어 상기 로커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판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로커의 몸체부 밑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로커의 동작을 구속하는 스토퍼몸체; 및 상기 스토퍼몸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밑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스토퍼몸체를 동작시키는 스토퍼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몸체에는 상기 로커의 몸체부에 형성된 단턱부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돌기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켓부의 내벽면에 결합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에 탄성적으로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탄성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돌기부는, 상기 포켓부의 내벽면에 결합되는 돌기지지판; 일측변을 제외한 나머지 외곽부분이 상기 돌기지지판으로부터 절취되도록 상기 돌기지지판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지지판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포켓부에 장착되는 방향에 가로로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한 판스프링형 절취부; 및 상기 판스프링형 절취부에서 상기 포켓부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탄성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돌기부는 대면하는 상기 포켓부의 내벽면 양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에 대한 이미지이고, 도 2는 도 1의 이미지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내장부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개략적인 내부 투영 측면도이며, 도 5는 탄성돌기부가 분리된 포켓부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보조 PCB(Printed Circuit Board)가 분리된 도 5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리더기본체의 상부 플레이트에 대한 전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로커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스토커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11은 도 8의 결합상태에 따른 로커 및 스토거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각각 개스킷에 대한 전면 및 배면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7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6에 도시된 보조 PCB에서 포그핀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되 주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는, 크게 전반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리더기본체(10)와, 리더기본체(10)의 전면을 형성하며 RFID 모듈(42, 도 4 참조)이 마련되어 있는 RFID 판독부(40)와, 리더기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며 모바일 단말기 장착되는 포켓부(60, 도 5 및 도 6 참조)와, RFID 판독부(40)의 후방에 마련되고 일측에 RFID 모듈(42)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온/오프(On/Off)시키는 스위칭유닛(38) 이 결합되어 있는 파지부(35)와, 스위칭유닛(38)의 동작에 기초하여 RFID 모듈(42)에서 판독된 RFID 태그 내의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출력하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RFID 리더기는, 별도의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RFID 리더기가 사용되기 위해서는 모바일 단말기가 필요한데,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로는, 휴대폰, 그리고 산업용 개인휴대단말기 및 일반 개인휴대단말기를 포함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등의 모바일 단말기에 플립형이든 폴더형이든 그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주로 플립형으로 제작되는 산업용 PDA(1, 도 3 및 도 11 참조)에 적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리더기본체(10)는, 포켓부(6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 영역에서 파지부(35)의 상단이 결합되는 상부 플레이트(20, 도 7 및 도 13 참조)와, RFID 판독부(4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30)를 포함한다.
도 7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20)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평면 형상을 가지는데 반해 전면 플레이트(3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절곡된 곡면 형상을 갖는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할 때, RFID 판독부(40)는 리더기본체(10)의 전면을 형성한다. 그 내부에는 판독 대상의 RFID 태그(tag, 도 4 참조)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RFID 태그 내의 정보를 판독하는 RFID 모듈(42, 도 4 참조)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RFID 모듈(42)에는 메인 PCB(43, Printed Circuit Board)이 결합되어 있다.
메인 PCB(43)는 포켓부(60) 내에 마련된 보조 PCB(44, Printed Circuit Board, 도 6 참조) 및 연결 PCB(45, Printed Circuit Board, 도 6 참조)와 각각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미도시)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RFID 모듈(42)과 PDA(1)를 연결하는 신호 라인을 형성한다.
메인 PCB(43)와 함께 RFID 모듈(42)이 전면 플레이트(30)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전면 플레이트(30)의 배면에는, 전면 플레이트(30)와 함께 메인 PCB(43) 및 RFID 모듈(42)을 수용 가능하게 지지하는 모듈지지용 커버(41)가 결합된다. 이 때, 모듈지지용 커버(41)의 유지보수를 위해 모듈지지용 커버(41)는 전면 플레이트(30)의 배면에서 착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면 플레이트(30)의 배면에 모듈지지용 커버(41)를 착탈시키는 구성으로서는 후크 조합 및 볼트 조합에 의해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모듈지지용 커버(41)와 전면 플레이트(30)가 결합된 후, 모듈지지용 커버(41)와 전면 플레이트(30) 사이의 공간으로 이물질이나 물 등이 유입되어서는 아니되므로 모듈지지용 커버(41)와 전면 플레이트(30) 사이에는 별도의 고무 패킹 등이 더 마련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모듈지지용 커버(41) 하부, 다시 말해 리더기본체(10)의 하부 영역에는 그 일단이 전면 플레이트(30)와 모듈지지용 커버(41) 사이에 결합되고, 타단은 포켓부(60)의 하부에 결합되어 리더기본체(10)의 하부를 형성하는 연결부(50)가 더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부(50)는 RFID 판독부(40)와 포켓부(60)를 연결하여 RFID 판독부(40)와 포켓부(60)를 지지하는 역할도 겸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연결부(50)는 아크(arc) 형상을 갖는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굳이 연결부(50)가 아크 형상을 가질 필요는 없다.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연결부(50)는 구성상 제외될 수도 있다.
연결부(50)에는 연결고리(51)가 더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더기본체(10)의 상부 플레이트(20)의 전면에도 연결고리(52, 도 2, 도 7 및 도 8 참조)가 더 마련되어 있다. 이들 연결고리(51,52)는 본 RFID 리더기를 일정한 곳에 매달아 두거나 혹은 목걸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목에 걸 때에 목걸이가 고정되는 부분으로 활용된다. 물론, 연결고리(51,52) 역시 구성상 제외될 수도 있고, 또한 전술한 부분 외의 다른 곳에 마련될 수도 있다.
포켓부(60)는 PDA(1)가 결합되는 장소이다. 따라서 포켓부(60)에는 PDA(1)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PDA(1)를 견고하게 로킹시키거나 로킹해제시키는 각종 구성이 갖춰져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하다.
포켓부(60)는 리더기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포켓부(60)는 리더기본체(10)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플레이트(2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부 플레이트(20)에는 복수의 체결공(21)이 형성되어 있고, 포켓부(60)에는 체결공(21)을 통과한 볼트(B, 도 13 참조)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보스(61)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상부 플레이트(20)의 체결공(21)들과 포켓부(60)의 체결보스(61)들을 상호 연통시킨 상태에서 체결공(21)들을 통해 볼트(B)를 삽입한 후 체결보스(61)에 체결함으로써 포켓부(60)는 상부 플레이트(20)의 상 면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물론, 포켓부(60)가 상부 플레이트(20)에 고정되기 전에 이들 간에 유격이 발생해서는 아니되므로 포켓부(60)와 상부 플레이트(20) 사이에는 개스킷(55, 도 12a 및 도 12b 참조)이 더 개재된다.
개스킷(55)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스킷(55)은 상부 플레이트(20) 및 포켓부(60) 사이에 개재되어 상부 플레이트(20) 및 포켓부(60) 사이의 공간을 기밀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개스킷(55)은 상부 플레이트(20) 및 포켓부(60) 사이 공간에 대한 방수 기능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 개스킷(55)은 상부 플레이트(20) 및 포켓부(60)의 외곽을 포함하여, 상부 플레이트(20) 및 포켓부(60)가 상호 맞닿아 결합되는 영역 전반에 걸쳐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이를 세분하여 설명하면 개스킷(55)은, 상부 플레이트(20) 및 포켓부(60)의 외곽에 배치되는 외곽부분(55a)과, 후술할 로커결합부(28)의 외곽에 배치되는 단위외곽부분(55b)과, 전술한 체결공(21) 및 체결보스(61) 영역에 배치되는 다수의 결합부분(55c)과, 상부 플레이트(20) 및 포켓부(60)가 맞닿는 기타의 영역에 배치되는 더미부분(55d)을 포함한다.
이러한 개스킷(55)의 일면, 다시 말해 포켓부(60)의 저면에 닿는 부분은 평평하게 형성된 반면, 상부 플레이트(20)에 닿는 부분에는 상부 플레이트(20)의 각부에 형성된 그루브(22, 도 7 및 도 8)에 삽입되면서 끼워지는 돌기리브(55e)가 더 형성되어 있다. 그루브(22)는 상부 플레이트(20)의 외곽 부분을 비롯하여 각 부 모두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기리브(55e) 역시 개스킷(55)을 이루는 외곽부분(55a), 단위외곽부분(55b), 다수의 결합부분(55c) 및 더미부분(55d) 모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개스킷(55)을 이루는 외곽부분(55a), 단위외곽부분(55b), 다수의 결합부분(55c), 더미부분(55d) 및 돌기리브(55e)는 단일 재료에 의해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의 단일 재료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재질이 될 수 있다.
한편, PDA(1)가 결합되기 위해, 포켓부(60)는 일측면과 상면이 개구된 개략적인 박스 형태를 취한다. 따라서 PDA(1)는 포켓부(60)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면서 장착될 수 있게 된다. PDA(1)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포켓부(60)의 후벽에는 PDA(1)에 형성된 단자부(미도시, 데이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부(63, 도 6 및 도 14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도 14를 먼저 참조하여 접속단자부(63)에 대해 살펴보면, 접속단자부(63)는 PDA(1)에 형성된 단자부와 일대일 대응하도록 보조 PCB(44) 상에 결합되는 다수의 포그핀(64)과, 보조 PCB(44) 상에서 다수의 포그핀(64)을 일체로 지지하는 핀지지블록(65)을 구비한다.
포그핀(64) 각각은, 일단은 보조 PCB(44)에 결합되고 타단은 노출공(64a)이 형성되는 중공 형상의 핀수용부(64b)와, 핀수용부(64b)의 노출공(64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핀수용부(64b)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핀(64c)과, 핀(64c)의 하단면과 보조 PCB(44) 사이의 핀수용부(64b) 내에 마련되어 핀(64c)이 노출되는 방향으로 핀(64c)을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64d)를 구비한다. 탄성부재(64d)와 접촉하는 핀(64c)의 하단 영역은 핀(64c)이 핀수용부(64b)의 노출공(64a)으로부터 이 탈되는 것이 저지되도록 핀(64c)의 상단 영역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이러한 핀(64c)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핀수용부(64b)의 내경은 핀(64c)의 하단부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며 핀수용부(64b)의 노출공(64a)의 내경은 핀(64c)의 상단부의 외경과 거의 일치한다. 이에 의해, 각각의 핀(64c)은 탄성부재(64d)의 탄성력에 의해 노출공(64a) 방향으로 밀리되 이탈되지는 않는다. 이로 인해 핀(64c)들과 PDA(1)에 형성된 단자부들이 서로 강하게 접속되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현상이 저지될 수 있게 된다.
접속단자부(63)가 결합되어 있는 보조 PCB(44)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용 단자부(44a)와,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부(44b)가 더 결합되어 있다. 이 때, 전원공급용 단자부(44a)와 USB 단자부(44b) 각각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20)에 마련된 제1 및 제2 단자노출공(23a,23b)을 통해 노출되어 있다. 다만, 평상 시 전원공급용 단자부(44a)와 USB 단자부(44b)가 제1 및 제2 단자노출공(23a,23b)을 통해 노출되어 있다면, 이물에 의해 오염되기 쉽다.
이를 저지하기 위해, 제1 및 제2 단자노출공(23a,23b)이 형성된 상부 플레이트(20)의 밑면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형성된 힌지부(25a)를 축심으로 회동하면서 제1 및 제2 단자노출공(23a,23b)이 형성된 상부 플레이트(20)의 일측면을 개폐하는 단자개폐커버(25)가 더 마련되어 있다. 도 13의 경우, 단자개폐커버(25)가 상부 플레이트(20)의 밑면에서 닫힌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힌지부(25a)를 축심으로 단자개폐커버(25)를 회동시키면, 단자개폐커버(25)가 개방되 면서 상부 플레이트(20)에 형성된 제1 및 제2 단자노출공(23a,23b)을 통해 전원공급용 단자부(44a)와 USB 단자부(44b)가 노출된다.
이 때, 단자개폐커버(25)가 쉽게 회동해서는 아니되므로, 단자개폐커버(25)가 위치한 상부 플레이트(20)의 밑면에는 단자개폐커버(25)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노브(26)가 더 마련되어 있다. 구속노브(26)는 해당 위치에서 볼트와 같이 정역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일측면에 형성된 돌출단부(26a)를 통해 단자개폐커버(25)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게 된다.
다시 도 4를 참조할 때, 본 실시예의 RFID 리더기에는 RFID 리더기를 용이하게 들고 다니면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파지부(35)가 마련된다.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파지부(35)는 RFID 판독부(40)의 후방에서 리더기본체(10)와 결합되어 리더기본체(10)를 지지하며, 일측에 RFID 모듈(42)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온/오프(On/Off)시키는 스위칭유닛(38)이 결합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파지부(35)의 내부에는 RFID 모듈(42)로 전원을 인가하는 교체형 배터리(36)가 더 구비되어 있다. 교체형 배터리(36)의 교환을 위해, 파지부(35) 역시 앞서 기술한 RFID 판독부(40)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후방커버(미도시)에 의해 분리되는 구조를 갖는다.
스위칭유닛(38)은, 사용자가 파지부(35)를 파지할 경우, 전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스위칭유닛(38)은,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35)의 일측면으로부터 노출되게 마련되고, 일측의 피봇축(38a)을 축심으로 회동하는 가압하는 가압버튼부(38b)와, 가압버튼부(38b)의 회동 동작에 기초하여 RFID 모듈(42)을 동작시키는 모듈동작부(38c)와, 가압버튼부(38b)에 결합되어 가압버튼부(38b)의 동 작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38d)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파지부(35)를 전체적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어느 한 손가락으로 가압버튼부(38b)를 가압하면 피봇축(38a)을 기초로 가압버튼부(38b)가 회동하면서 모듈동작부(38c)를 동작시켜 RFID 모듈(42)이 동작되며, 가압했던 가압버튼부(38b)를 놓으면 복귀스프링(38d)에 의해 가압버튼부(38b)는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리더기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포켓부(60)는 PDA(1)가 결합되는 장소이다. 따라서 포켓부(60)에는 PDA(1)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PDA(1)를 견고하게 로킹시키거나 로킹해제시키는 각종 구성이 갖춰져 있다. 이에 대해 도 3,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PDA(1)가 포켓부(60) 내에서 견고하게 결합되거나 혹은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부 플레이트(20) 및 포켓부(60)에는 포켓부(60)에 장착되는 PDA(1)를 선택적으로 로킹 및 로킹해제시키는 로킹부(70, 도 7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로킹부(70)는, 포켓부(60)의 바닥면에 형성된 복수의 로킹슬롯(72, 도 6 참조)과, 적어도 일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부 플레이트(20)에 결합되며, 일단은 상부 플레이트(20)의 밑면으로 노출되고 타단은 로킹슬롯(72)을 통과하여 포켓부(60)의 내부공간으로 노출되는 로커(74, 도 8, 도 9 및 도 11 참조)를 포함한다.
로킹슬롯(72)은 포켓부(60)의 바닥면에 관통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로킹슬롯(72)은 포켓부(60)의 바닥면에서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마련되어 있다.
로커(74)는 상부 플레이트(20)의 상면에 형성된 로커결합부(28) 내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로커(74)는, 상부 플레이트(20) 및 포켓부(6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몸체부(75)와, 몸체부(75)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단부가 상부 플레이트(20)의 판면에 형성된 통공(20a)을 통해 상부 플레이트(20)의 밑면으로 노출되어 로커(74)를 동작시키는 가압버튼부(76)와, 몸체부(75)의 상면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단부가 한 쌍의 로킹슬롯(72)을 통해 노출되어 PDA(1)의 밑면에 형성된 걸림턱(1a, 도 3 및 도 11 참조)에 선택적으로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한 쌍의 걸림후크부(77)와, 가압버튼부(76)에 형성되어 로커(74)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회전축부(78)를 구비한다.
몸체부(75)는 가압버튼부(76)와 한 쌍의 걸림후크부(77)를 일체로 지지하는 부분으로써 대략 부분적으로 각진 반달 형상을 이룬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압버튼부(76)는 실질적으로 로커(74)를 구동시키는 부분이다. 즉, 사용자는 가압버튼부(76)를 가압함으로써 PDA(1)를 포켓부(6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버튼부(76)는, 가압버튼부(76)를 상부 플레이트(20)의 판면 방향으로 가압할 때 한 쌍의 걸림후크부(77)가 한 쌍의 로킹슬롯(72) 내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아크(arc)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가압버튼부(76)의 노출 판면에는 미끄럼방지턱(76a)이 더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걸림후크부(77)는 몸체부(75)의 양 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걸림후크부(77)는 상부 플레이 트(20)의 판면에 형성된 통공(20a)을 통과하여 포켓부(60) 내로 돌출되면서 PDA(1)의 밑면에 형성된 걸림턱(1a, 도 3 및 도 11 참조)에 선택적으로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한 쌍의 걸림후크부(77)의 단부에는 PDA(1)가 포켓부(60)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77a)이 더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사면(77a)으로 인해 PDA(1)는 포켓부(60)에 쉽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회전축부(78)는 가압버튼부(76)의 양측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축부(78)는 로커결합부(28) 내에 형성된 축수용부(28a) 내에 수용 지지된 후, 별도의 볼트(미도시) 등에 의해 고정되어 로커(74)의 회전축심을 형성한다.
로커(74)의 몸체부(75)와 로커결합부(28) 사이에는, 가압버튼부(76)의 가압 해제 시에 로커(74)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79)가 더 구비되어 있다. 탄성부재(79)는 그 양단이 로커결합부(28)의 바닥면에 형성된 홈부(28b)와 로커(74)의 몸체부(75)의 밑면에 형성된 홈부(75a)에 각각 부분적으로 수용되게 장착된다.
이에, PDA(1)가 포켓부(60) 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A 방향으로 가압버튼부(76)를 가압하면, 가압된 힘에 의해 로커(74)는 회전축부(78)를 축으로 하여 일방향으로 회동한다(실선에서 이점쇄선 방향). 로커(74)의 회동에 의해 한 쌍의 걸림후크부(77)는 PDA(1)의 밑면에 형성된 걸림턱(1a)으로부터 걸림해제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가압버튼부(76)를 놓으면, 탄성부재(79)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로커(74)는 원상태로 복귀된다(이점쇄선에서 실선 방향).
이와 같이, 사용자가 가압버튼을 누르는 단순한 방법만으로 한 쌍의 걸림후크부(77)는 PDA(1)의 밑면에 형성된 걸림턱(1a)으로부터 걸림해제될 수 있다. 하지만, 본 RFID 리더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실수로 혹은 임의로 가압버튼이 눌려서는 아니된다. 만약에 임의로 가압버튼이 눌려진다면, 포켓부(60)로부터 PDA(1)가 분리될 우려가 높기 때문이다. 이를 저지하기 위해 스토퍼(80)가 더 구비된다.
도 8,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80)는, 로커(74)에 인접한 상부 플레이트(20)에 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로커(74)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토퍼(80)는, 상부 플레이트(20)의 판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로커(74)의 몸체부(75) 밑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로커(74)의 동작을 구속하는 스토퍼몸체(81)와, 스토퍼몸체(8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부 플레이트(20)의 밑면에 형성된 관통공(20b)을 통해 노출되어 스토퍼몸체(81)를 동작시키는 스토퍼로드(82)를 포함한다.
이 때, 스토퍼몸체(81)에는 로커(74)의 몸체부(75)에 형성된 단턱부(75b)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돌기부(81a)가 더 형성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돌기부(81a)가 단턱부(75b)에 배치됨으로써 로커(74)의 동작이 구속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80)가 B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81a)가 단턱부(75b)에 배치되면 로커(74)의 동작이 구속되고, 스토퍼(80)가 이점쇄선으로 동작되어 돌기부(81a)가 단턱부(75b)에서 이탈되면 로 커(74)는 동작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로킹부(70)의 구성만으로도 포켓부(60) 내에 PDA(1)를 로킹 및 로킹해제시키기에 충분하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포켓부(60)에 장착된 PDA(1)의 결합력이 다소 약할 수도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탄성돌기부(90, 도 5 참조)가 더 구비된다. 탄성돌기부(90)는, 포켓부(60)의 내벽면에 결합되어 PDA(1)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1b, 도 3 참조)에 탄성적으로 걸림 및 걸림해제된다. 결국, 탄성돌기부(90)는 로킹부(70)와 더불어 포켓부(60) 내에 PDA(1)를 지지하는 수단인 셈이다.
탄성돌기부(90)는, 포켓부(60)의 내벽면에 결합되는 돌기지지판(91)과, 일측변을 제외한 나머지 외곽부분이 돌기지지판(91)으로부터 절취되도록 돌기지지판(91)에 형성되고, 돌기지지판(91)에서 PDA(1)가 포켓부(60)에 장착되는 방향에 가로로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한 판스프링형 절취부(92)와, 판스프링형 절취부(92)에서 포켓부(60)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PDA(1)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1b)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탄성돌기(93)를 구비한다.
이러한 탄성돌기부(90)는 대면하는 포켓부(60)의 내벽면 양측에 각각 형성된 돌기부장착홈(60a) 내에 각각 하나씩 끼워진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탄성돌기부(90)가 포켓부(60)의 내벽면에 일체형으로 제작되어도 좋다.
이에, PDA(1)를 포켓부(60) 내에 장착하면, PDA(1)에 형성된 걸림턱(1a)이 로커(74)의 걸림후크부(77)에 걸리게 되고, 이와 동시에, PDA(1)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1b)에 탄성돌기(93)가 끼워지게 된다. 즉, PDA(1)가 포켓부(60) 내에 삽입될 때는 돌기지지판(91)에 대해 판스프링형 절취부(92)가 후방으로 밀리게 되는데, 홈부(1b)가 탄성돌기(93) 영역에 다다르면 돌기지지판(91)에 대해 판스프링형 절취부(92)가 다시 원상태로 튀어 나오게 됨으로써 탄성돌기(93)는 홈부(1b)에 결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RFID 리더기의 작용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PDA(1)를 포켓부(60) 내에 장착하기 위해 포켓부(60) 내에 PDA(1)를 부분적으로 수용시키면서 밀어 넣는다. 그러면, 회전축부(78)를 축심으로 하여 로커(74)가 일방향으로 밀린 후에 최종적으로 한 쌍의 걸림후크부(77)가 PDA(1)의 밑면에 형성된 걸림턱(1a)에 걸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돌기지지판(91)에 대해 후방으로 밀린 판스프링형 절취부(92)가 다시 전방으로 튀어 나오면서 탄성돌기(93)는 PDA(1)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1b)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파지부(35)를 파지한 후, 판독 대상의 RFID 태그(tag, 도 4 참조)에 인접하게 RFID 판독부(40)를 배치한다. 그리고는 어느 한 손가락으로 스위칭유닛(38)의 가압버튼부(38b)를 가압한다. 그러면 피봇축(38a)을 기초로 가압버튼부(38b)가 회동하면서 모듈동작부(38c)를 동작시켜 RFID 모듈(42)이 동작되어 판독 대상의 RFID 태그(tag) 내의 정보를 판독한다. 판독된 결과는 메인 PCB(43)를 통해 보조 PCB(44)로 전송된 후, 접속단자부(63)를 통해 PDA(1)의 화면으로 출력되면서 저장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다양한 관리 시스템을 수행 하면 된다. 따라서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다양한 관리 시스템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사용이 완료되면, PDA(1)를 분리하기 위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방향으로 가압버튼부(76)를 가압한다.
그러면, 가압된 힘에 의해 로커(74)는 회전축부(78)를 축으로 하여 일방향으로 회동한다(실선에서 이점쇄선 방향). 로커(74)의 회동에 의해 한 쌍의 걸림후크부(77)는 PDA(1)의 밑면에 형성된 걸림턱(1a)으로부터 걸림해제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포켓부(60)로부터 PDA(1)를 뽑으면 된다. 이후, 가압했던 가압버튼부(76)를 놓으면, 탄성부재(79)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로커(74)는 원상태로 복귀된다(이점쇄선에서 실선 방향).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어려움 없이 간단한 방법으로 PDA(1, 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를 포켓부(60)에 용이하게 로킹 및 로킹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어려움 없이 간단한 방법으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를 포켓부에 용이하게 로킹 및 로킹해제할 수 있다.

Claims (14)

  1. 판독 대상의 RFID 태그(tag)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RFID 태그 내의 정보를 판독하는 RFID 모듈과, 상기 RFID 모듈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온/오프(On/Off)시키는 스위칭유닛을 구비한 리더기본체;
    상기 리더기본체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RFID 모듈과 상호작용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형성된 단자부와 접속가능한 접속단자부가 내면 일측에 마련되어 있는 포켓부;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포켓부에 마련되어 상기 포켓부에 장착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선택적으로 로킹 및 로킹해제시키는 로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부는,
    상기 포켓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로킹슬롯; 및
    적어도 일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일단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밑면으로 노출되고 타단은 상기 로킹슬롯을 통과하여 상기 포켓부의 내부공간으로 노출되는 로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슬롯은 상기 포켓부의 바닥면에서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포켓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판면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밑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로커를 동작시키는 가압버튼부;
    상기 몸체부의 상면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한 쌍의 로킹슬롯을 통해 노출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밑면에 형성된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한 쌍의 걸림후크부;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가압버튼부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로커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회전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로커결합부 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가압버튼부의 양측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로커결합부 내에 형성된 축수용부 내에 수용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로커의 몸체부와 상기 로커결합부 사이에는, 상기 가압버튼부의 가압 해제 시에 상기 로커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가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버튼부를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판면 방향으로 가압할 때 상기 한 쌍의 걸림후크부가 상기 한 쌍의 로킹슬롯 내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버튼부는 아크(arc)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버튼부의 노출 판면에는 미끄럼방지턱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걸림후크부의 단부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포켓부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 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에 인접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로커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판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로커의 몸체부 밑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로커의 동작을 구속하는 스토퍼몸체; 및
    상기 스토퍼몸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밑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스토퍼몸체를 동작시키는 스토퍼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몸체에는 상기 로커의 몸체부에 형성된 단턱부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돌기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의 내벽면에 결합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에 탄성적으로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탄성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돌기부는,
    상기 포켓부의 내벽면에 결합되는 돌기지지판;
    일측변을 제외한 나머지 외곽부분이 상기 돌기지지판으로부터 절취되도록 상기 돌기지지판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지지판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포켓부에 장착되는 방향에 가로로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한 판스프링형 절취부; 및
    상기 판스프링형 절취부에서 상기 포켓부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탄성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돌기부는 대면하는 상기 포켓부의 내벽면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
KR1020060129092A 2006-12-18 2006-12-18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 KR100851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092A KR100851364B1 (ko) 2006-12-18 2006-12-18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
US12/519,636 US20090312053A1 (en) 2006-12-18 2007-12-17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for detaching mobile terminal
EP07860638.1A EP2100262B1 (en) 2006-12-18 2007-12-17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for detaching mobile terminal
PCT/KR2007/006600 WO2008075868A1 (en) 2006-12-18 2007-12-17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for detaching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092A KR100851364B1 (ko) 2006-12-18 2006-12-18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329A KR20080056329A (ko) 2008-06-23
KR100851364B1 true KR100851364B1 (ko) 2008-08-08

Family

ID=39802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092A KR100851364B1 (ko) 2006-12-18 2006-12-18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13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941B1 (ko) 2011-09-14 2012-04-20 주식회사 제이아이에스텍 바코드 rfid 스캐너와 이들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탑재형 크래들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639B1 (ko) * 2013-10-07 2014-08-20 주식회사 우심시스템 보안 결제 장치
ES2773600T3 (es) 2014-01-21 2020-07-13 Hanmi It Co Ltd Lector RFID móvil
KR102203581B1 (ko) * 2019-05-17 2021-01-18 구은경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638A (ko) * 1998-08-14 2001-08-22 캐롤린 에이. 베이츠 무선 주파수 식별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US6708887B1 (en) * 2001-08-18 2004-03-23 Gsl Solutions, Inc. Detachable hand-held computer handle
US6916128B1 (en) 2001-12-07 2005-07-12 Zih Corp. Printer attachable to various models and types of portable devices and terminals for operation therewith
US6999797B2 (en) * 2002-06-11 2006-02-14 Symbol Technologies, Inc. Handle grip for a mobile terminal
KR100683247B1 (ko) * 2005-12-27 2007-02-15 주식회사 세니온 Rfid 리더기 모듈을 포함하는 거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638A (ko) * 1998-08-14 2001-08-22 캐롤린 에이. 베이츠 무선 주파수 식별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US6708887B1 (en) * 2001-08-18 2004-03-23 Gsl Solutions, Inc. Detachable hand-held computer handle
US6916128B1 (en) 2001-12-07 2005-07-12 Zih Corp. Printer attachable to various models and types of portable devices and terminals for operation therewith
US6999797B2 (en) * 2002-06-11 2006-02-14 Symbol Technologies, Inc. Handle grip for a mobile terminal
KR100683247B1 (ko) * 2005-12-27 2007-02-15 주식회사 세니온 Rfid 리더기 모듈을 포함하는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941B1 (ko) 2011-09-14 2012-04-20 주식회사 제이아이에스텍 바코드 rfid 스캐너와 이들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탑재형 크래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329A (ko) 2008-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00262B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for detaching mobile terminal
KR101164098B1 (ko) 모바일 단말기
KR100851363B1 (ko)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
EP2445114B1 (en) Mobile terminal having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US7672691B2 (en) SIM/UIM card arrangement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851364B1 (ko)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
KR101025794B1 (ko) 모바일 단말기
US8245944B2 (en) Assembly consisting of a micro-module and a reproducing device which is equipped with contact-free near-communication means
JP2007006029A (ja) Rfid内蔵電子機器
US20080089182A1 (en) Timepiece
WO2009096770A1 (en) Document evidence and article retrival and identification system
US20040198241A1 (en) Handle grip for a mobile terminal
US6709127B2 (en) Handheld personal aid
CN111656414A (zh) 识别装置的聚合器
US20080072336A1 (en) Electronic device
JP5417465B2 (ja) 情報処理装置
US7567780B2 (en) Data exchange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RF data transmission
KR10105249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복합 리더기
KR101542458B1 (ko) 단말기의 휴대용 배터리
JP4653420B2 (ja) 物品の収容状態検知装置
KR101088048B1 (ko) 정보인식모듈을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JP2006209893A (ja) メディア管理システム及びメディア格納ケース
JP2023121549A (ja) 鍵管理装置及び鍵管理システム
CA2645819C (en) Data exchange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rf data transmission
JP2023073126A (ja) リサイクル品回収装置及びリサイクル品回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