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496B1 - 이동통신 단말기용 복합 리더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용 복합 리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496B1
KR101052496B1 KR1020090106810A KR20090106810A KR101052496B1 KR 101052496 B1 KR101052496 B1 KR 101052496B1 KR 1020090106810 A KR1020090106810 A KR 1020090106810A KR 20090106810 A KR20090106810 A KR 20090106810A KR 101052496 B1 KR101052496 B1 KR 101052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e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arcode
r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0002A (ko
Inventor
김정한
김명호
심우람
강호일
황준선
Original Assignee
대성엘앤에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엘앤에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엘앤에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6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496B1/ko
Publication of KR20110050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 G06K7/08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using inductive or magnetic sensors
    • G06K7/08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using inductive or magnetic sensors inductive
    • G06K7/08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using inductive or magnetic sensors inductive sensing magnetic material by relative movement detecting flux changes without altering its magnetised 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by connection of exchangeable hous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코드, RF태그 인식 및 신용카드 조회기능을 가진 리더기에 신용카드 인식기능이 부여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복합 리더기에 관한 것이다.
이 리더기는 태그를 판독하여 상기 태그로부터 판독된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태그 판독 모듈과, 또는 카드를 판독하여 상기 카드로부터 판독된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카드 판독 모듈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태그 판독 모듈 또는 상기 카드 판독 모듈과 결합되며, 사용자로부터 사인을 입력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터치패드를 구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리더기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는 신용카드의 판독이 가능한 리딩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바코드,RF 태그 인식기능 및 신용카드 조회기능의 리더기가 신용카드 인식용 리딩홈을 형성하여 간편하게 신용카드를 읽어들일 수 있는 복합 기능의 이동 통신 단말기용 바코드,RFID,신용카드리딩기능을 갖는 복합 리더기를 제공한다.
바코드, 리더기.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용 복합 리더기{Signature Barcode, RFID and Credit card inquiry terminal Combination Reader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바코드, RF태그 인식 및 신용카드 조회기능을 가진 리더기에 신용카드 인식기능이 부여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리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하면서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 그리고 개인휴대단말기로 불리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대표적이다.
따라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바일 단말기' 용어는 이들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이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복잡해지고 다양화되는 사회 속에서 각각의 개인은 각자 나름대로의 정보를 보관하거나 유지하여야 하는 필요성이 생기게 되었고, 이러한 개인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제품들이 현재 시장에 출시되고 있는데,그것들 중의 하나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이다. PDA는 포켓용 컴퓨터로도 불리는데, 개인용이나 업무용으로 계산이나 정보저장 및 검색기능을 갖춘 손바닥 크기의 소형장치를 총칭하는 용어로서, 종종 스케줄 캘린더와 주소록 정보 등을 유지하는데 많이 쓰인다.특히, 현재 물류산업을 중심으로 산업용 개인휴대단말기(PDA)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시장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산업용 PDA는 일반 PDA에 없는 바코드스캐너, 카드 결제기 등 다양한 사무용 기능을 갖춘 PDA로서, 산업용 PDA를 사용하면 배송이나 자료관리 그리고 관련업무 등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보험사에 있어서는 고객정보관리, 고객검색, 일정관리, 상담일지관리, 기념일 검색, 자금계산서 처리 등의 각종 보험관련 업무를 보험설계사가 산업용 PDA를 이용해 현장에서 직접 처리할 수 있으며, 다음으로 병원에 있어서는 환자의 진료기록과 병력, 처방은 물론 X-레이 등 영상 이미지와 그래픽 자료도 시간과 장소 제한 없이 의료진이 휴대한 산업용 PDA로 입력하거나 검색할 수 있고, 또한 경찰의 업무에 있어서는 교통, 방범경찰의 외근 단속 업무를 산업용 PDA를 통해 실시하여 현재 단속 뒤 2-3일이 지나야 납부할 수 있는 교통법규 위반 범칙금을 즉시 금융기관에 납부할 수 있게 하여 교통, 방범경찰의 외근 단속업무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란 소형 반도체 칩을 이용해 사물의 정보를 처리하는 기술의 총칭이다. 각종 물품에 소형 칩을 부착해 사물의 정보와 주변 환경정보를 무선주파수로 전송, 처리하는 비접촉식 인식시스템이다.
판독, 해독기능이 있는 판독기와 고유 정보를 내장한 RF 태그(RF ID tag), 운용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으로 구성된 전파식별 시스템은 사물에 부착된 얇은 평면 형태의 태그를 식별함으로써 정보를 처리한다. RF 태그는 반도체로 제작된 트랜스폰더 칩과 안테나로 구성되며, 수동식과 능동식이 있다. 수동식이 내부 전원없 이 판독기의 전파신호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데 비해 능동식에는 스스로 작동하기 위해 RF 태그전지가 내장되어 있다. 실리콘 반도체 칩을 사용하는 칩 태그와 LC소자, 플라스틱 또는 폴리머(polymer:중합체)소자로만 구성된 무칩 태그로 구분하기도 한다. 전파식별 기술은 바코드처럼 직접 접촉하거나 가시대역 안에서 스캐닝할 필요가 없다. 이 같은 장점 때문에 바코드를 대체할 기술로 평가받으며, 활용범위도 확대되고 있다. 저주파 전파식별 시스템(30 kHz~500 kHz)은 1.8m이하의 짧은 거리에서 사용되며, 고주파 시스템(850 MHz~950 MHz 또는 2.4 GHz~2.5 GHz)은 27m 이상의 먼 거리에서 전송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RFID 기술로 인해 공정 관리, 자산 관리, 물류 관리, 재고 관리, 출입 보완, 위치 추적, 문화재 관리 등의 각종 관리 시스템이 보다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근자에 들어서는 RFID 기술을 적용한 RFID 리더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미 다양한 제품이 출시 중에 있다. 출시중인 RFID 리더기는 산업용 PDA에 그 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RFID 리더기로부터 일정한 테이블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고정용 RFID 리더기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며 그 적용 범위도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알려진 바코드 리더기 또는 RFID 리더기는 보통 단독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바코드 리더기 또는 RFID 리더기는 바코드나 RFID를 읽고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며, 유선으로 데이터 처리 결과를 전송한다.
리더기는 일반적으로 바코드를 스캔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하는 바코드스캔 수단,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인 바코드정보 신호로 변환하는 디코더 수단, 디 코더 수단에서 출력된 바코드정보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수단,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CPU, CPU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조작하여 단말기를 기능시키는 키조작 수단으로 구성된다.
위의 구성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에는 바코드스캔 수단을 동작시키는 바코드스캔 명령부가 포함되고, 키조작 수단에는 바코드스캔 수단을 동작시키는 버튼이 포함된다. 바코드를 스캔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하는 바코드스캐너,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인 바코드정보 신호로 변환하는 디코더, 디코더에서 출력된 바코드정보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CPU, CPU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조작하여 단말기를 기능시키는 키조작부로 이루어진다.
바코드스캐너는 인쇄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아날로그 신호로써 출력하는 역할을 하는데, 대부분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구성되어 발광소자에서 발하는 광을 바코드에 비추어 바코드에서 반사되는 광량을 수광소자로 감지하여 바코드의 패턴을 파악한다. 광원으로는 LED나 반도체 레이저 등이 사용되고, 수광소자로는 포토TR이나 CCD 등이 사용된다. 바코드스캐너는 현재 많은 종류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라이트펜(light pen) 스캐너, 건(gun) 스캐너, 슬롯 스캐너, 카운터톱(countertop) 스캐너 등이 있는데, 휴대형/고정형, 접촉형/비접촉형 등으로 분류된다.
디코더는 바코드스캐너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의 바코드정보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바코드는 흰색 바탕에 검은 색 줄무늬가 서로 다른 폭으로 배열되어 줄무늬의 폭에 따른 정보를 담고 있는 것이고, 바코드스캐너는 이 바코드를 읽어서 줄무늬의 폭에 대한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디코더는 바코드스캐너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정형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이후 단계에서 CPU에 의한 디지털처리가 가능케 한다. 흑과 백의 반사율 차이에 따라 바코드정보 신호를 읽어서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고 이를 파형정형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술은 당업계에서 잘 알려진기술이다.
송신부는 단말기에서 마이크를 통해 들어온 음성주파 신호(AF)에 캐리어(반송파)를 실어 고주파 신호(RF)로 변환하고 안테나를 통해 공중으로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송신부에는 이와 같은 변환회로와 출력전력을 높히기 위한 증폭회로와 캐리어를 발생하는 발진회로 등이 포함된다.
CPU는 단말기 내의 모든 디지털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현재 단말기에 사용되고 있는 CPU는 MSM(기저대역 모뎀 ASIC) 내에 내장이 된다. MSM에는 변조기, 복조기, 보코더(VOCODER) 등이 내장된다.
메모리는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플래시메모리, 프로그램 진행시 필요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SRAM, 단말기 고유번호(ESN)와 비활성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ROM으로 구성된다. 단말기 하드웨어의 자체 동작과 사용자 조작에 의한 기능동작은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CPU 콘트롤은 마이크로프로그램 제어방식(microprogrammed control)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말기 하드웨어 구성을 바꾸지 않고도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변경 하면 단말기의 기능을 변경할 수 있다. 이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기술이다.
키조작부는 메모리(19)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사용자가 지시를 내리기 위한 CPU의 입력장치이다. 대부분의 단말기에서는 기본적으로 필요한 숫자키와 함께 몇 개의 기능키를 추가하여 편의 기능을 마련해 놓고 있다. 이미 구성되어 있는 키조작부도,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변경함으로써 그 기능상 용도를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기존의 키버튼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변경함으로써 바코드스캔 기능, 바코드정보 송출기능 등의 바코드관련 명령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단말기와 바코드리더가 분리되어 있는 형식이다.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바코드를 스캔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하는 바코드스캐너,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인 바코드정보 신호로 변환하는 디코더, 바코드정보 신호를 출력하는 제1코넥터로 구성되는 바코드 리더.상기 제1코넥터와 연결되어 바코드정보 신호를 입력받는 제2코넥터, 제2코넥터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CPU, CPU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조작하여 단말기를 기능시키는 키조작부로 구성된다.
이동통신의 발달과 실시간 처리에 대한 요구가 커짐에 따라 CDMA 등의 무선모듈을 장착한 PDA 등에 바코드 또는 RFID 판독 모듈을 함께 탑재한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시스템은 실시간 처리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유리하나, PDA의 사용법, 무게, 휴대성, 가격 등의 원인으로 그 사용이 제한되었다.이에 따라 바코드 처 리 프로그램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바코드 리더기를 부착한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그 구체적인 예가 한국실용신안등록출원 20-2000-0010086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선행기술에서는 바코드 리더기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넥터에 직접 접속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넥터가 쉽게 손상될 우려가 있으며,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을 잡은 상태에서 바코드 스캐너의 방향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바코드 리더기를 부착한 다른 예가 한국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4-0009531에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에서는 자석을 이용하여 바코드 리더기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면에 부착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모바일폰의 커넥터가 손상될 염려가 적고, 바코드 스캐너의 방향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자석의 자기장이 바코드 판독 장치나 이동통신 단말기에 영향을 미치므로 비록 자장 차폐의 역할을 하는 철판을 부착하더라도 여전히 오동작의 위험이 있다. 또한 자석을 이용한 부착 정도가 견고하지 못해 사용하는 도중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바코드 리더기의 방향이 틀어지거나 바코드 리더기가 이동통신 단말기로 부터 분리되기 쉬우므로 사용이 쉽지 않다.
또한, 모바일폰과 바코드리더기를 벨크로화스너로 부착하는 기술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즉, 상기 모바일폰에 부착되는 벨크로 테이프와, 상기 모바일폰에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와 대응되는 형태의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되며, 바코드를 판독하여 판독 신호를 상기 모바일폰에 제공하는 바코드 판독 모듈과, 상기 모바일폰과 상기 바코드 판독 모듈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이었다.
한편,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의 급속한 보급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사람들은 단말기를 1-2개씩 항상 소지하고 있는데,이러한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상거래시 대금을 결제하는 방법은 인터넷상에서 이루어지는 소액 결제에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며 그 요금 청구 방식도 대부분 단말기 사용 요금에 합산하여 청구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국민이 소지하고 있는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신용카드를 사용한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요청되고 있다.즉, 제품을 배달할 때 결제 수단으로 이용되는 터치패드와 같은 서명 인식기능이 있는 점을 이용하여 신용카드 결제가 가능한 리더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바코드 스캐너와, RF태그 리더기능과, 카드 리더기능에 더하여 이들 중 신용카드기능이 동시에 선택적으로 혹은 결합하여 가능하게 하므로서 리딩후 터치패드에서 사인하도록 하므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즉시 결제가 이루어지는 제품을 만든다면, 기존의 고가 장비인 일반 PDA 또는 산업용 PDA를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바코드 및 RF태그 인식기능을 가진 리더기에 신용카드 인식기능이 부여된 리더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바코드 및 RF 태그 인식기능의 리더기에 신용카드 인식용 리딩홈을 형성한 리더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바코드 및 RF 태그 인식기능의 리더기에 신용카드 인식용 리딩홈이 보호되는 보호수단을 강구한 리더기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바코드 및 RF 태그 인식기능의 리더기에 신용카드 인식용 리딩홈을 형성함에 있어 리딩홈을 연장하는 덮개를 더 구비한 리더기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커버 및 덮개들이 힌지를 통하여 회동 가능한 개폐방식으로 이루어지거나 리딩홈을 커버하는 삽입식 보호수단으로 이루지는 리더기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리딩홈이 리더기의 폭보다 연장된 리딩홈을 형성한 리더기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용 리더기는,
태그를 판독하여 상기 태그로부터 판독된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태그 판독 모듈과, 또는 카드를 판독하여 상기 카드로부터 판독된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카드 판독 모듈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태그 판독 모듈 또는 상기 카드 판독 모듈과 결합되며, 사용자로부터 사인을 입력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터치패드를 구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리더기로서 신용카드의 판독이 가능한 리딩홈을 형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리더기로서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용 리더기의 상기 리더 기는 상기 리딩홈을 커버시키는 덮개를 더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리더기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용 리더기의 상기 리더기는 상기 리딩홈을 커버함과 아울러 리딩홈이 연장되는 덮개를 더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바코드, RF태그 인식기능 및 신용카드 조회기능을 가진 복합 리더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바코드,RF 태그 인식기능 및 신용카드 조회기능의 리더기가 신용카드 인식용 리딩홈을 형성하여 간편하게 신용카드를 읽어들일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복합 기능의 리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바코드,RF 태그 인식기능과 함께 구현된 신용카드 인식기능의 복합 리도기로서 리딩홈이 보호되는 보호수단을 강구하여 리딩부분이 보호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바코드, RF 태그 인식기능, 신용카드 인식기능의 복합 리더기에서 리딩홈을 연장한 덮개를 더 구비하여 신용카드 리딩이 원활하게 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커버 및 덮개들이 힌지를 통하여 회동 가능한 개폐방식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간편하게 하며, 리딩홈을 삽입식으로 보호하는 독립적인 수단을 강구하여 복합 리더기의 접촉부분을 보호하게 한 효과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들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2는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용 바코드 리더기의 제1실시예가 적용된 결합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따르는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용 바코드 리더기는 크게 태그를 판독하여 상기 태그로부터 판독된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태그 판독 모듈과, 또는 카드를 판독하여 상기 카드로부터 판독된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카드 판독 모듈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태그 판독 모듈 또는 상기 카드 판독 모듈과 결합되며, 사용자로부터 사인을 입력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터치패드(12)를 구비한 리더기 본체(1)와, 이동통신 단말기(2)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 상기 리더기 본체(1)간 통신을 위한 통신 수단(3)과, 상기 리더기(1)를 이동통신 단말기(2)에 결합하기 위한 케이싱(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리더기 본체(1)는 리딩홈(11)을 형성하여서 된다.
(이미 이러한 태그 판독 모듈,카드 판독 모듈 및 터치패드등이 결합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되는 기술들은 실용신안등록 제20-0387156호, 특허 제10-0569191호,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9-0010277호, 특허등록 10-0874354호등에서 공지된 기술들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함)
첨부 도면중 도 2는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용 바코드 리더기의 제2실시예가 적용된 결합 사시도이고,도 3은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용 바코드 리더기의 제 2실시예의 사시도이고,도 4는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용 바코드 리더기의 제2실시예가 적용된 카드리더기 전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a,5b,5c는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용 바코드 리더기의 제2실시예가 적용된 카드리더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용 바코드 리더기는 크게 태그를 판독하여 상기 태그로부터 판독된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태그 판독 모듈과, 또는 카드를 판독하여 상기 카드로부터 판독된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카드 판독 모듈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태그 판독 모듈 또는 상기 카드 판독 모듈과 결합되며, 사용자로부터 사인을 입력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터치패드(12)를 구비한 리더기 본체(1)와, 이동통신 단말기(2)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 상기 리더기 본체(1)간 통신을 위한 통신 수단(3)과, 상기 리더기(1)를 이동통신 단말기(2)에 결합하기 위한 케이싱(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리더기 본체(1)는 리딩홈(11)을 형성하여서 된다.
상기 리더기 본체(1)는 그 상부에 제1리딩홈(11a)을 형성함과 아울러 제2리딩홈(11b)을 형성하여 카드 리딩이 가능하게 하며, 이 제2리딩홈(11b)은 리더기 본체(1)에서 힌지로 회동 개폐하는 덮개(10)로서 커버되게 하여서 된다.
이 덮개(10)는 리더기 본체(1)상단부를 보다 깊게 커버하도록 돌출부(10a)를 형성하고, 하부는 리더기 삽입홈(14)에 넣어지는 짧은 돌출부(10b)로 이루어져서 된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조립 및 리딩과정은 다음과 같다.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4)는 이동통신 단말기(2)의 배면쪽에 결합되며, 이렇게 결합이 끝나면, 리더기 본체(1)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4)에 결합되며,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4)는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2)와 결합하게 된다. 이어서 접속수단(3)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402)와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알려진 대로 리더기 본체(1)는 입력 수단, 디코더, 커넥터로 이루어지며, 이동통신 단말기(2)에는 CPU, 메모리, 키조작부, 커넥터, 송신부를 형성하여 접속수단(3)을 통하여 접속된다. 구체적인 것은 앞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신용카드 리딩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리딩홈(11)(11a)(11b)으로 카드를 읽히어 입력이 이루어지면 입력된 신호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CPU에 의한 디지털 처리가 이루어지고, 리더기 본체(1)와 이동통신 단말기(2)의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수단(3)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2)로 제공되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CPU에서 메모리에 탑재된 입력신호 처리 프로그램을 통하여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읽어지고 판독된 신호를 처리한 뒤 송신부를 거쳐 전송된다.
첨부 도면중 도 6은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용 바코드 리더기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용 바코드 리더기의 제3실시예가 적용된 카드리더기 전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a,8b는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용 바코드 리더기의 제3실시예가 적용된 카드리더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상기 본 발명 리더기 본체(1)는 하나의 리딩홈(11)만으로 이루어지거나, 카 드 접촉식 접촉면을 형성하여서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딩홈(11)을 형성하여 실시하였으나, 접촉면(도시생략)을 통하여 카드 접촉식으로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용 바코드 리더기의 제4실시예가 적용된 결합사시도이다.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신용카드 접촉식의 접촉면을 갖거나 리딩홈을 형성한 리더기 본체(1)의 상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a,1b는 종래 알려진 이동통신 단말기용 바코드 리더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용 바코드 리더기의 제1실시예가 적용된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용 바코드 리더기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용 바코드 리더기의 제2실시예가 적용된 카드리더기 전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a,5b,5c는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용 바코드 리더기의 제2실시예가 적용된 카드리더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도 6은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용 바코드 리더기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용 바코드 리더기의 제3실시예가 적용된 카드리더기 전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a,8b는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용 바코드 리더기의 제3실시예가 적용된 카드리더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도 9는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용 바코드 리더기의 제4실시예가 적용된 결합사시도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태그를 판독하여 상기 태그로부터 판독된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태그 판독 모듈과, 또는 카드를 판독하여 상기 카드로부터 판독된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카드 판독 모듈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태그 판독 모듈 또는 상기 카드 판독 모듈과 결합되며, 사용자로부터 사인을 입력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터치패드를 구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리더기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는 신용카드의 판독이 가능한 리딩홈을 형성하고, 이 리딩홈을 커버함과 아울러 리딩홈이 연장되는 덮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복합 리더기.
  5. 제4항에 있어서,상기 덮개는 힌지로서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리더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상부는 리더기 상단부를 커버하는 돌출부(10a)를 형성하고, 하부는 리더기 삽입홈에 넣어지는 짧은 돌출부(10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리더기.
KR1020090106810A 2009-11-06 2009-11-06 이동통신 단말기용 복합 리더기 KR101052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810A KR101052496B1 (ko) 2009-11-06 2009-11-06 이동통신 단말기용 복합 리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810A KR101052496B1 (ko) 2009-11-06 2009-11-06 이동통신 단말기용 복합 리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002A KR20110050002A (ko) 2011-05-13
KR101052496B1 true KR101052496B1 (ko) 2011-07-29

Family

ID=44360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810A KR101052496B1 (ko) 2009-11-06 2009-11-06 이동통신 단말기용 복합 리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4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061B1 (ko) * 2012-06-27 2018-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10317B1 (ko) 2013-11-29 2015-04-14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카드 리더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1413A (ko) * 2001-08-02 2003-02-11 (주)이프 컴 이동 포스 단말기를 이용한 포스 시스템
JP2003099853A (ja) * 2001-09-26 2003-04-04 Fujitsu Frontech Ltd 携帯端末装置、それと連携させて用いる入力装置、及び決済方法
KR100625507B1 (ko) * 2005-08-09 2006-09-18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스마트카드 리더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1413A (ko) * 2001-08-02 2003-02-11 (주)이프 컴 이동 포스 단말기를 이용한 포스 시스템
JP2003099853A (ja) * 2001-09-26 2003-04-04 Fujitsu Frontech Ltd 携帯端末装置、それと連携させて用いる入力装置、及び決済方法
KR100625507B1 (ko) * 2005-08-09 2006-09-18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스마트카드 리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002A (ko) 201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00885B1 (en) Sim card reader/writer
EP2445114B1 (en) Mobile terminal having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EP2100262B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for detaching mobile terminal
KR100679630B1 (ko) 하이브리드 태그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인터페이싱 방법
CN201408458Y (zh) Rfid无线手持pos终端
JP2006134291A (ja) 機能拡張用sdメモリカード
CN101447034B (zh) 带显示装置的智能识别交换卡
KR100968071B1 (ko) 인증 정보 카드와 근거리 무선 통신 칩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로 교통카드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CN200990090Y (zh) 一种具有非接触ic卡或电子标签及其读写器用途的手机装置
CN102542440A (zh) 保存交易信息的方法以及移动装置
JP2007531099A (ja) マイクロモジュールと非接触式近接通信手段を備える再現装置とからなる組立品
US20090321524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ng a Mobile Computing Device with a Face Module Expansion Port
KR10105249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복합 리더기
CN101101633A (zh) 一种电子标签扫描方法及系统
WO2008100045A1 (en) Contactless information processor
KR100549337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태그 판독시스템
KR100730508B1 (ko) 유에스비와 알에프아이디 칩을 이용한 교통카드 및 그결제방법
CN202583940U (zh) 手持式数据控制器及背夹
US7567780B2 (en) Data exchange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RF data transmission
WO2011063878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retrieval of lost items
CN202025342U (zh) 一种便携式农副产品交易终端
KR100738801B1 (ko) Rfid 리더기가 구비된 휴대폰을 이용한 메모 작성,확인 방법 및 그 기능이 구현된 휴대폰
KR100639964B1 (ko) 비접촉 usb 리더기 및 비접촉 usb 카드장치
KR101088048B1 (ko) 정보인식모듈을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KR20090030060A (ko) 유비쿼터스 지불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