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6941B1 - 바코드 rfid 스캐너와 이들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탑재형 크래들 장치 - Google Patents

바코드 rfid 스캐너와 이들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탑재형 크래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6941B1
KR101136941B1 KR1020110092706A KR20110092706A KR101136941B1 KR 101136941 B1 KR101136941 B1 KR 101136941B1 KR 1020110092706 A KR1020110092706 A KR 1020110092706A KR 20110092706 A KR20110092706 A KR 20110092706A KR 101136941 B1 KR101136941 B1 KR 101136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unit
scanner
base
smart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2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재
김윤석
이상훈
박종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아이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아이에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아이에스텍
Priority to KR1020110092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9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04Hybrid rea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06K7/103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 G06K7/103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of the portable or hand-handheld type, e.g. incorporated in ubiquitous hand-held devices such as PDA or mobile phone, or in the form of a portable dedicated RFID read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88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f hand-held sca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코드 RFID 스캐너와 이들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탑재형 크래들 장치, 특히 기존에 비해 현저히 저렴한 스캐너 장비를 구현하고 실제 작업 현장에서 업무 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도록, 유행이 지나 폐기되거나 싼 가격으로 해외로 수출되는 스마트폰을 활용하며, 이러한 스마트폰 및 이 스마트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스캐너가 장착된 크래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물품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인식부와, 물품의 RFID 태그 고유정보를 인식하는 RFID 인식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코드 인식부와 상기 RFID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데이터를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출력 또는 저장하는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스캐너 모듈부(10); 스마트폰과 스캐너 모듈이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스마트폰과 스캐너 모듈이 접속된 상태를 지지하는 크래들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바코드 RFID 스캐너와 이들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탑재형 크래들 장치 {BAR CODE RFID SCANNER AND SMARTPHONE LOADING TYPE CRADLE DEVICE FOR THE SAME}
본 발명은 바코드 RFID 스캐너와 이들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탑재형 크래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류를 정리, 보관, 판매하기 위한 유통에 있어서 기존의 컴퓨터를 대체하기 위해 유행이 지나 폐기되거나 싼 가격으로 해외로 수출되는 스마트폰을 활용하며, 물류의 해당 물품에 대해 스캔한 정보를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바코드 RFID 스캐너와 스마트폰을 탑재하는 크래들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물류를 정리, 보관, 판매하기 위한 유통에 있어서 각 물품에 대한 고유의 식별번호를 부여하게 되는데, 이러한 식별번호는 바코드 형식이나 RFID 태그의 고유정보로 표시된다.
이러한 물류 체계에서 기존에는 고가의 PDA 장비나 블루투스를 이용한 스캐너를 사용해 왔다. 이처럼 관련 장비가 비교적 고가인 이유로 실제 현장에서는 최소한의 장비 대수만 보유하는 것이 보통이므로 실 현장에서는 업무 지연 등의 불편함이 많이 있다.
또한 기존의 PDA 장비나 바코드 스캐너는 해당 물품에 대한 정보를 스캔하고, 그 결과를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메인 컴퓨터로 전송한 후, 메인 컴퓨터로부터 결과를 확인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스캐너와 컴퓨터가 항상 근거리에 있어야 하는 단점이 있고, 원거리에 있는 경우에는 정보를 읽는 작업과 확인하는 작업이 분리되어 작업의 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스캐너와 컴퓨터가 근거리에 있는 경우에도 컴퓨터가 차지하는 일정한 공간을 항상 제공해야 하는 단점도 있다.
상기의 문제점들은 유행이 지나 폐기되거나 싼 가격으로 해외로 수출되는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해결될 수 있는데, 이러한 스마트폰 및 이 스마트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스캐너가 장착된 크래들 장치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에 비해 현저히 저렴한 스캐너 장비를 구현하고 실제 작업 현장에서 업무 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도록, 유행이 지나 폐기되거나 싼 가격으로 해외로 수출되는 스마트폰을 활용하며, 이러한 스마트폰 및 이 스마트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바코드 RFID 스캐너와 이들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탑재형 크래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RFID 스캐너와 이들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탑재형 크래들 장치는, 물품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인식부와, 물품의 RFID 태그 고유정보를 인식하는 RFID 인식부를 구비하고, 바코드 인식부와 RFID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데이터를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출력 또는 저장하는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스캐너 모듈부; 스마트폰과 스캐너 모듈이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스마트폰과 스캐너 모듈이 접속된 상태를 지지하는 크래들부; 베이스부의 상면 일측부에 탑재되어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보조 배터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크래들부는 바람직하게 스마트폰이 안착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스마트폰과 스캐너 모듈부를 상호 인터페이스하는 커넥션 보드가 내장된 베이스부; 베이스부에 스마트폰이 안착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을 상면으로부터 홀딩하여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베이스부의 일단부에는 스캐너 모듈부를 커넥션 보드에 접속시키는 입출력 포트가 형성되며, 보조 배터리부의 일측부에는 베이스부에 안착된 스마트폰을 커넥션 보드와 접속시키는 입출력 단자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보조 배터리부가 안착된 위치에 대응하는 베이스부의 측벽이 상방으로 일정 높이 연장 돌출되는 지지리브가 형성되어 보조 배터리부를 베이스부에 일체로 고정시킨다.
이때, 베이스부의 양측부에는 지지리브로부터 베이스부의 테두리를 따라 브라켓이 연장 형성되며, 또한 커버부의 양측단부가 브라켓에 맞물린 상태에서 브라켓을 회동축으로 하여 커버부가 상하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커버부는 베이스부에 스마트폰이 안착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상면 테두리부분과 측면부분에 밀착되어 스마트폰을 베이스부에 고정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크래들부에는 베이스부의 하방으로 길게 돌출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그립부가 더 구비되며, 이 그립부는 플레이트 형태로 양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되며, 절곡된 양단부가 베이스부의 하방으로부터 베이스부의 양측부에 탈착 가능하게 탄성 결합되는 착탈부; 착탈부의 하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하방으로 돌출된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RFID 스캐너와 이들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탑재형 크래들 장치는,
첫째, 기존의 PDA 장비나 블루투스 스캐너보다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물류를 정리, 보관, 판매하기 위한 유통에 있어서 일정한 장소를 차지하는 컴퓨터를 스마트폰이 대체하여 그로 인한 공간확보에 유리하고, 기존 컴퓨터의 배제로 인한 비용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셋째, 기존에 스캐너 컴퓨터가 원거리에 배치된 경우 스캐너를 통한 작업과 컴퓨터를 통해 확인절차를 거치는 작업이 별도로 진행되어 발생하는 업무의 비효율성을 극복하였다는 장점이 있다.
넷째, 유행이 지나 폐기되거나 싼 가격으로 해외로 수출되는 스마트폰을 재활용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RFID 스캐너와 이들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탑재형 크래들 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커버부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커버부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RFID 스캐너와 이들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탑재형 크래들 장치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RFID 스캐너와 이들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탑재형 크래들 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커버부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커버부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RFID 스캐너와 이들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탑재형 크래들 장치를 도시한 결합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RFID 스캐너와 이들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탑재형 크래들 장치는 스캐너 모듈부(10), 크래들부(20), 보조 배터리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캐너 모듈부(10)는 물품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인식부와, 물품의 RFID 태그 고유정보를 인식하는 RFID 인식부를 구비하고, 바코드 인식부와 RFID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데이터를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출력 또는 저장하는 스마트폰에 전송한다.
스캐너 모듈부(10)와 스마트폰(P)은 각각의 입출력 단자를 통해 상호 접속되는데, 스캐너 모듈부(10)의 바코드 인식부와, RFID 인식부는 물품에 부착된 바코드나 RFID 태그와 같은 고유정보를 스캐닝(scanning)하여 스마트폰에 전송하고, 관리자는 스마트폰의 해당 프로그램을 조작하여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한다.
해당 물품에 부착된 바코드나 RFID 태그와 같은 고유정보를 스캐닝하는 경우에는 스캐너 모듈부(10)의 일측에 구비된 입력버튼을 눌러 고유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또는 스캐너 모듈부(10)를 해당 물품의 바코드나 RFID 태그에 인접하게 위치시켜 자동으로 해당 물품의 바코드나 RFID 태그의 고유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스마트폰(P)과 스캐너 모듈부(10)가 상호 접속된 상태를 지지하기 위해 크래들부(20)를 구비한다.
이 크래들부(20)는 스마트폰(P)과 스캐너 모듈(10)이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베이스부(21), 커버부(22), 그립부(23)로 구성된다.
베이스부(21)는 상면에 스마트폰이 안착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또한 바람직하게 베이스부의 상면에 안착된 스마트폰과 스캐너 모듈부를 상호 인터페이스하는 커넥션 보드가 베이스부(21)에 내장된다.
커넥션 보드는 스캐너 모듈부와 스마트폰 등 외부기기가 상호 연동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한다.
커넥션 보드는 대전류 및 신호 흐름의 입출력을 위한 입출력 포트를 구비하며, 입출력 포트(21a)는 스캐너 모듈부(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베이스부(21)의 일측부에 형성된다.
커넥션 보드를 통해 베이스부에 안착된 스마트폰과 스캐너 모듈부가 상호 접속될 수 있다.
또한 보조 배터리부(30)는 베이스부(21)의 상면 일측부에 탑재되어 스마트폰을 충전하게 된다.
보통 스마트폰은 대용량 배터리를 채용하지만, 오랜 시간 작업을 하는 경우 스마트폰의 배터리 방전을 대비하여 보조적으로 스마트폰에 전원을 인가하는 보조 배터리부(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보조 배터리부(30)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충전 포트(미도시)가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기존 핸드폰의 충전크래들과 호환이 가능하도록 24pin 포트 또는 30pin 포트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조 배터리부(30)는 베이스부(21)에 내장된 커넥션 보드에도 대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도 2]을 참조하면, 베이스부(21)의 일단부에는 스캐너 모듈부(10)를 커넥션 보드에 접속시키는 입출력 포트(21a)가 형성되며, 보조 배터리부(30)의 일측부에는 베이스부(21)에 안착된 스마트폰(P)을 커넥션 보드와 접속시키는 입출력 단자(3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스캐너 모듈부(10)가 입출력 포트(21a)에 연결되고, 스마트폰(P)이 입출력 단자(31)에 접속되면 스캐너 모듈부(10)와 스마트폰(P)이 상호 연동하여 동작하게 된다.
즉, 스캐너 모듈부(10)가 물품 고유정보를 스캐닝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에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스마트폰(P)은 스캐너 모듈부(10)와 상호 신호응답이 가능하도록 그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탑재되어야 한다.
또한 스마트폰(P)이 보조 배터리부(30)의 일측부에 형성된 입출력 단자(31)에 접속되면 스마트폰은 입출력 단자(31)를 통해 보조 배터리부(3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다.
[도 1],[도 2]을 참조하면, 보조 배터리부(30)가 안착된 위치에 대응하는 베이스부(21)의 측벽이 상방으로 일정 높이 연장 돌출되는 지지리브(21b)가 형성되어 보조 배터리부(30)를 베이스부(21)에 일체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보조 배터리부(30)는 베이스부(21)에 항상 탑재된 상태로 충전 포트를 통해 외부로부터 충전이 이루어지므로 베이스부(21)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부(21)의 양측부에는 지지리브(21b)로부터 베이스부(21)의 테두리를 따라 브라켓(21c)이 연장 형성되며, 이 브라켓(21c)에 커버부(22)의 양측단부가 맞물린 상태에서 브라켓(21c)을 회동축으로 하여 커버부(22)가 상하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브라켓(21c)과 커버부(22)를 관통하는 회동핀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커버부(22)는 베이스부(21)에 스마트폰이 안착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상면 테두리부분과 측면부분에 밀착되어 스마트폰을 베이스부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커버부(22)는 베이스부(21)에 안착된 스마트폰(P)의 상면 테두리부분과 측면부분을 밀착하는 구조이므로 커버부(22)에 의해 스마트폰(P)이 베이스부(21)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스마트폰(P)의 상면은 외부에 노출되게 된다.
이로 인해 스마트폰 사용자는 베이스부, 즉 크래들 장치에 스마트폰이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간편하게 터치 등의 조작을 통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그립부(23)는 베이스부(21)의 하방으로 길게 돌출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착탈부(23a), 손잡이부(23b)로 구성된다.
착탈부(23a)는 플레이트 형태로 양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양단부가 베이스부(21)의 하방으로부터 베이스부(21)의 양측부에 탈착 가능하게 탄성 결합되며, 손잡이부(23b)는 착탈부(23a)의 하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그립부(23)는 작업자나 관리자가 작업 환경의 요구에 따라 간편하게 베이스부(21)로부터 이탈시키거나 부착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2],[도 3],[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크래들부(20)에 스마트폰(P)과 스캐너 모듈부(10)를 장착하는 과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버부(22)의 양측단부가 베이스부(21)의 브라켓(21c)을 회동축으로 회전하면서 커버부(22)가 상방으로 일정 각도 들어 올려지면 베이스부(21)의 상면에 스마트폰(P)을 안착시킨다.
이때 스마트폰(P)의 입출력 단자(미도시)는 보조 배터리부(30)의 일측부에 형성된 입출력 단자(31)에 연결되어 베이스부(21)에 내장된 커넥션 보드와 접속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21)의 상면에 스마트폰(P)이 안착된 상태에서 베이스부(21)의 브라켓(21c)을 회동축으로 커버부(22)가 하방으로 폴딩되면서 커버부(22)가 스마트폰(P)의 상면 테두리 부분과 측벽 부분을 밀착함으로써 스마트폰(P)을 크래들부(20)에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도 3],[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21)에 안착된 스마트폰(P)이 커버부(22)의 밀착으로 크래들부(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스캐너 모듈부(10)가 베이스부(21)의 일측부에 형성된 입출력 포트(21a)에 끼워짐으로써 스캐너 모듈부(10)가 커넥션 보드와 접속하게 된다.
이로 인해, 스캐너 모듈부(10)와 스마트폰(P)은 커넥션 보드를 통해 상호 인터페이스 된다.
한편, 스마트폰(P)이 베이스부(21)에 안착되고 커버부(22)에 의해 고정되는 과정과, 스캐너 모듈부(10)가 베이스부(21)의 일측부에 형성된 입출력 포트(21a)에 끼워짐으로써 스캐너 모듈부(10)가 커넥션 보드와 접속하는 과정은 순서가 바뀌어도 관계없다.
즉, 스캐너 모듈부(10)가 베이스부(21)의 일측부에 형성된 입출력 포트(21a)에 먼저 끼워진 후에도, 베이스부(21)에 스마트폰(P)이 안착되는 과정이나 커버부(22)가 베이스부(21)에 폴딩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크래들부(20)로부터 스마트폰(P)과 스캐너 모듈부(10)를 이탈시키는 과정은 장착하는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10 : 스캐너 모듈부 20 : 크래들부
21 : 베이스부 21a : 입출력 단자
21b : 지지리브 21c : 브라켓
22 : 커버부 23 : 그립부
23a : 착탈부 23b : 손잡이부
30 : 보조 배터리부 31 : 입출력 단자
P : 스마트폰

Claims (9)

  1. 물품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인식부와, 물품의 RFID 태그 고유정보를 인식하는 RFID 인식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코드 인식부와 상기 RFID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데이터를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출력 또는 저장하는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스캐너 모듈부(10);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스캐너 모듈부를 상호 인터페이스하는 커넥션 보드가 내장된 상태로 상기 스마트폰이 안착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베이스부(21)와,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스마트폰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을 상면으로부터 홀딩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커버부(22)로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스캐너 모듈이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스캐너 모듈이 접속된 상태를 지지하는 크래들부(20);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 일측부에 탑재되며, 탑재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부의 측벽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높이 연장 돌출된 지지리브(21b)에 일체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보조 배터리부(30);
    를 포함하여 구성된 바코드 RFID 스캐너와 이들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탑재형 크래들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부에는 상기 스캐너 모듈부를 상기 커넥션 보드에 접속시키는 입출력 포트(21a)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 배터리부의 일측부에는 상기 베이스부에 안착된 스마트폰을 상기 커넥션 보드와 접속시키는 입출력 단자(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RFID 스캐너와 이들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탑재형 크래들 장치.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부에는 상기 지지리브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테두리를 따라 브라켓(21c)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의 양측단부가 상기 브라켓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을 회동축으로 하여 상기 커버부가 상하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RFID 스캐너와 이들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탑재형 크래들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22)는,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스마트폰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의 상면 테두리부분과 측면부분에 밀착되어 상기 스마트폰을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RFID 스캐너와 이들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탑재형 크래들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부(20)에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방으로 길게 돌출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그립부(2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RFID 스캐너와 이들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탑재형 크래들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23)는,
    플레이트 형태로 양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되며, 절곡된 양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하방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부에 탈착 가능하게 탄성 결합되는 착탈부(23a);
    상기 착탈부의 하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하방으로 돌출된 손잡이부(23b);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RFID 스캐너와 이들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탑재형 크래들 장치.
KR1020110092706A 2011-09-14 2011-09-14 바코드 rfid 스캐너와 이들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탑재형 크래들 장치 KR101136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706A KR101136941B1 (ko) 2011-09-14 2011-09-14 바코드 rfid 스캐너와 이들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탑재형 크래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706A KR101136941B1 (ko) 2011-09-14 2011-09-14 바코드 rfid 스캐너와 이들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탑재형 크래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6941B1 true KR101136941B1 (ko) 2012-04-20

Family

ID=46143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706A KR101136941B1 (ko) 2011-09-14 2011-09-14 바코드 rfid 스캐너와 이들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탑재형 크래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9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6262U (ko) 2013-06-05 2014-12-1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Rfid 및 바코드 겸용 단말 장치
KR101899718B1 (ko) * 2017-04-06 2018-09-17 김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코드 판독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659580B2 (en) 2018-10-18 2020-05-19 AI Solution Co., Ltd. Connecting sled system for mobile devic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587B1 (ko) 2002-11-07 200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 겸용 충전기
KR100784785B1 (ko) 2007-02-05 2007-12-14 (주)와이즈웨어 모듈 착탈식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0851364B1 (ko) 2006-12-18 2008-08-08 (주)블루버드 소프트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587B1 (ko) 2002-11-07 200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 겸용 충전기
KR100851364B1 (ko) 2006-12-18 2008-08-08 (주)블루버드 소프트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
KR100784785B1 (ko) 2007-02-05 2007-12-14 (주)와이즈웨어 모듈 착탈식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6262U (ko) 2013-06-05 2014-12-1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Rfid 및 바코드 겸용 단말 장치
KR200483762Y1 (ko) * 2013-06-05 2017-06-2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Rfid 및 바코드 겸용 단말 장치
KR101899718B1 (ko) * 2017-04-06 2018-09-17 김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코드 판독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659580B2 (en) 2018-10-18 2020-05-19 AI Solution Co., Ltd. Connecting sled system for mobile de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939614U (zh) 智能机扫描一体设备
KR101136941B1 (ko) 바코드 rfid 스캐너와 이들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탑재형 크래들 장치
CN107430675B (zh) Rfid移动工作站装置
CN105556936A (zh) 使电子通信设备具有其它功能的适配器
TWM416155U (en) Separable point of sale system
WO1996003707A1 (en) Card shaped computer peripheral device
KR20090078284A (ko) 도서 대여/반납 장치에 사용되는 보조 케이스, 도서대여/반납 장치 및 그 방법
US20020070883A1 (en) Internet terminal and keyboard for the internet terminal
CN102945065A (zh) 一种新型分体式平板电脑
JP5815428B2 (ja) ハンディターミナル及びハンディターミナル用充電器並びにハンディターミナルの充電方法
CN202094982U (zh) 一种在智能手机上配套使用的移动数据采集设备
US20080142603A1 (en) Portable Industrial Data Capturing Device
CN104183066A (zh) 一种基于平板电脑的收银机
CN205318399U (zh) 一种扫描支付设备
CN203966251U (zh) 一种适合窄宽幅打印纸使用的嵌入式pos机
CN205881059U (zh) 电子支付装置
CN101094576A (zh) 配件离合结构
CN206421406U (zh) 一种wifi采集设备
US9965664B2 (en) Mobile data collector with keyboard
CN204117290U (zh) 一种基于平板电脑的收银机
CN215219663U (zh) 一种可称重电容式触摸交互多功能一体机
JP2014011862A (ja) 携帯機器充電用台及び収納棚
CN215769749U (zh) 读卡扫码一体机
CN202394146U (zh) 平板电脑
CN204926133U (zh) 一种便携式快递跟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