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4785B1 - 모듈 착탈식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모듈 착탈식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4785B1
KR100784785B1 KR1020070011361A KR20070011361A KR100784785B1 KR 100784785 B1 KR100784785 B1 KR 100784785B1 KR 1020070011361 A KR1020070011361 A KR 1020070011361A KR 20070011361 A KR20070011361 A KR 20070011361A KR 100784785 B1 KR100784785 B1 KR 100784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portable terminal
unit
hold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천
Original Assignee
(주)와이즈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즈웨어 filed Critical (주)와이즈웨어
Priority to KR1020070011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47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4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4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모듈 착탈식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전면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밀착 고정 수용하는 단말기 수납부가 배치되며 후면에는 모듈을 밀착 고정 수용하는 모듈 수납부가 배치되는 단말기 본체 및 모듈 수납부와 탈부착이 가능하며 단말기 본체에 부착시에는 단말기 본체의 접속부와 커넥터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듈부를 포함한다. 거치대 본체에는 거치대 본체의 회로를 제어하며 모듈부와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는 제어부, 외부전원을 받아서 필요한 전압으로 처리하며 모듈부에 전원신호를 공급하는 전원부 및 모듈부에 어떠한 모듈이 장착되었는지를 알려주는 인식신호를 수신하는 장비인식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모듈 탈착식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휴대용 단말기를 교체하는 경우에 새로운 휴대용 단말기에 GPS 모듈 등을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모듈, GPS

Description

모듈 착탈식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MOBILE COMMUNICATING TERMINAL HOLDER DETACHABLE A MODUL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착탈식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착탈식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회로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모듈 착탈식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휴대폰 등 휴대용 단말기를 밀착 고정하여 수용하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의 모듈이 착탈식으로 거치대에 고정 수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GPS는 인공위성을 이용한 항법지원 시스템으로 차량 항법 시스템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최근 들어 이러한 GPS 서비스를 휴대용 단말기(핸드폰, PDA, 휴대 용 컴퓨터 등)에 통합시키려는 시도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시도에 의해서 개발된 장치의 일예로서 도 1의 장치를 들 수 있다. 도 1에 제시한 장치는 핸드폰, PDA, 스마트 폰 등의 휴대용 단말기(10)와,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GPS 수신기(22)와,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20)와, GPS 수신기용 전원공급케이블(12)로 구성되어 있다. 거치대(20)는 차량 내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전방측으로 휴대용 단말기(10)를 수용한다. GPS 수신기(22)는 거치대(20)의 후면에 설치되며, 거치대(20)의 후면 상부에 설치되는 GPS 수신용 안테나(21)와 연결되어 있다. GPS 수신기(22)는 전원공급케이블(12)을 통해서 차량의 시거잭 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또한 전원공급 케이블(12)은 휴대용 단말기(10)에 연결되어 전원을 휴대용 단말기(10)의 충전을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휴대용 단말기(10)는 차량에 고정된 거치대(20)에 의해서 임시적으로 고정되며, GPS 수신기(22)와 시리얼 포트나 USB 포트 등의 커넥터(23)에 의해서 연결되어 GPS 수신기(22)로부터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휴대용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에 커넥터(23)가 삽입되는 접속부(15)를 구비하고 접속부(15)의 내측에 커넥터(23)와 연결되는 접속단자(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GPS 수신 모듈을 거치대 내부에 고정 장착하는 기존의 단말기용 거치대는 거치대를 교체할 경우에 GPS 수신 모듈을 함께 폐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최근의 휴대용 단말기는 각각의 기종에 따라서 전용 거치대 를 사용하고 있는데, PDA 또는 휴대폰은 제품 교체 시기가 짧은 상황에서는 단말기 교체시마다 거치대를 재구매하여야 하며, 기존의 거치대는 내장된 GPS 모듈과 함께 폐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GPS 수신 모듈이 거치대 내부에 장착되는 기존의 단말기용 거치대는 GPS 전파 수신시의 노이즈를 차폐를 위한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도료가 거치대 내부 전체에 도포되어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서 GPS 모듈 등이 착탈될 수 있도록 하여 거치대를 교체할 경우에도 GPS 모듈 등을 재사용할 수 있는 모듈 착탈식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GPS 전파의 안정적인 수신을 위하여 거치대 내부에 노이즈 제거 목적으로 도포하는 EMI 코팅 부분을 대폭적으로 줄여서 제조원가를 낮추면서도 안정적인 GPS 수신이 가능한 모듈 착탈식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밀착 고정 수용하는 단말기 수납부가 배치되며 후면에는 모듈을 밀착 고정 수용하는 모듈 수납부가 배치되는 단말기 본체 및 모듈 수납부와 탈부착이 가능하며 단말기 본체에 부착시에는 단말기 본체의 접속부와 커넥터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거치대 본체에는 거치대 본체의 회로를 제어하며 모듈부와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는 제어부, 외부전원을 받아서 필요한 전압으로 처리하며 모듈부에 전원신호를 공급하는 전원부 및 모듈부에 어떠한 모듈이 장착되었는지를 알려주는 인식신호를 수신하는 장비인식부를 구비한다. 장비인식부는 장착된 모듈에 따라서 각각 서로 다른 전압의 인식신호에 의하여 장착된 모듈을 인식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듈부는 GPS 모듈, 바코드 스캐너 리더기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기 모듈, 블루투스 악세사리 모듈일 수 있다. 모듈부의 측면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모듈 수납부의 내부 측면에는 가이드 홈과 대응되게 가이드 레일이 배치되어 모듈부는 거치대의 수납부로 슬라이딩되어 쉽게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듈부의 커넥터는 거치대 본체와 단자로 접속되는 연결식 또는 거치대 본체와 접촉하면서 연결되는 접촉식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착탈식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모듈부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GPS 모듈을 도시하였다.
도 2는 GPS 모듈(140)이 거치대 본체(110)에서 탈착된 도면이며, 도 3은 GPS 모듈(140)이 거치대 본체(110)에 결합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거치대 본체(110)는 전면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밀 착 고정 수용하는 단말기 수납부(120)가 배치되며, 후면에는 GPS 모듈을 밀착 고정 수용하는 모듈 수납부(130)가 배치된다. GPS 모듈(140)은 거치대 본체(110)의 모듈 수납부(13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부에는 GPS 수신 안테나(142)가 구비되어 있다. GPS 모듈(140)의 측면에는 가이드 홈(144)이 형성되어 있으며, 거치대 본체(110)의 모듈 수납부(130)의 내부 측면에는 가이드 홈(144)과 대응되게 가이드 레일(132)이 배치되어 GPS 모듈(140)은 거치대(110)의 모듈 수납부(130)로 슬라이딩되어 쉽게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거치대 본체와 모듈에는 각각 나사홈(134, 146)을 구비하여 모듈(140)이 거치대 본체의 수납부(130)에 밀착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용 나사(150)를 나사홈(134, 146)에 고정하여 모듈(140)이 거치대 본체(1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GPS 모듈과 거치대 본체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GPS 모듈(140)의 커넥터(미도시)와 거치대 본체(110)의 접속부(미도시)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는다. GPS 모듈(140)의 커넥터는 거치대 본체와 단자로 접속되는 연결식 또는 거치대 본체와 접촉하면서 연결되는 접촉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GPS 모듈(140)은 거치대 본체(110)와 분리가 가능하여, 거치대 본체의 교체시에도 GPS 모듈(140)을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GPS 모듈(140)의 내부에는 노이즈 차폐를 위하여 EMI 도료가 도포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전파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데, 이는 종래에 거치대 본체 내부 전체를 EMI 도료로 도포하는 것에 대비하여 경제적이며, GPS 모듈을 분리 설계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수신 감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GPS 모듈(140)이 분리된 상태에서도 거치대 본체(110)는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하거나 차량에서 거치하는 용도로 사용하여 편리한 사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GPS 모듈뿐만 아니라 바코드 스캐너 리더기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기 모듈, 블루투스 악세사리 모듈 등 다양한 주변기기 모듈을 필요한 기능에 사용할 수 있어 시스템 확장성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착탈식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회로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듈부(240)는 거치대 본체부(210)와 커넥터부(23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220)는 거치대에 수납될 때 거치대 본체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거치대 본체부(210)에는 거치대의 회로를 제어하며 모듈부(240)와 전기적 신호(Tx, Rx)를 주고 받는 제어부(211), 시거잭 충전기와 같은 외부전원을 받아서 필요한 전압으로 처리하며 모듈부(240)에 전원신호(Vcc, GND)을 공급하는 전원부(212), 모듈부에 어떠한 모듈이 장착되었는지를 알려주는 인식신호(Vd)를 수신하는 장비인식부(213)를 구비한다. 또한, 본체부(210)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처리부(214) 및 핸드폰 통화를 위한 핸즈프리 처리부(215)를 구비할 수 있다.
모듈부(240)에는 거치대 본체부(210)의 제어부(211), 전원부(212), 장비인식부(213)와 각각 대응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CPU((241), 전원부(242), 장비인식 부(243)를 구비하며, 각각의 모듈의 기능을 작동시키는 모듈회로(244)를 구비한다. 모듈부(240)의 장비인식부(243)에서는 각각의 모듈별로 고유한 전압값(Vd)을 설정하여 어떠한 장치가 거치대 본체부(210)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구별할 수 있다. 예컨대, GPS 모듈인 경우에는 1.0V, 바코드 리더기 모듈인 경우에는 1.5V, RFID 리더기 모듈인 경우에는 2.0V, 블루투스 악세사리 모듈인 경우에는 2.5V, 미연결인 경우에는 3.3V 등으로 설정하여 거치대 본체에 장착 연결된 모듈이 무엇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GPS 모듈 또는 스캐너 모듈 등의 모듈이 거치대 본체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제어부(211)는 장비인식부(213)를 통하여 어떠한 모듈이 장착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전원부(212)에서는 인식된 모듈에 적합한 전원을 인가하게 되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신호(Rx, Tx) 신호를 활성화시켜 모듈과 거치대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킨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듈 착탈식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휴대용 단말기를 교체하는 경우에 새로운 휴대용 단말기에 GPS 모듈 등을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GPS 모듈 등의 모듈 부분에만 EMI 도료를 사용하므로 휴대용 단말기 본체에 사용되는 EMI 도료를 대폭 감소시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성능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GPS 모듈뿐만 아니라 바코드 스캐너 리더기 모듈, RFID 리더기 모듈, 블루투스 악세사리 모듈 등 다양한 주변기기 모듈을 필요한 기능에 사용할 수 있어 시스템 확장성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전면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밀착 고정 수용하는 단말기 수납부가 배치되며, 후면에는 모듈부를 밀착 고정 수용하는 모듈 수납부가 배치되는 단말기 본체; 및
    상기 모듈 수납부와 탈부착이 가능하며, 단말기 본체에 부착시에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접속부와 커넥터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듈부를 포함하는 모듈 착탈식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본체에는
    상기 거치대 본체의 회로를 제어하며 상기 모듈부와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는 제어부;
    외부전원을 받아서 필요한 전압으로 처리하며 상기 모듈부에 전원신호를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모듈부에 어떠한 모듈이 장착되었는지를 알려주는 인식신호를 수신하는 장비인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착탈식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인식부는 장착된 모듈에 따라서 각각 서로 다른 전압의 인식신호에 의하여 장착된 모듈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착탈식 휴대용 단말기 거 치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부는 GPS 모듈, 바코드 스캐너 리더기 모듈, RFID 리더기 모듈, 블루투스 악세사리 모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착탈식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부의 측면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듈 수납부의 내부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과 대응되게 가이드 레일이 배치되어 모듈부는 거치대의 수납부로 슬라이딩되어 쉽게 결합과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착탈식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부의 커넥터는 거치대 본체와 단자로 접속되는 연결식 또는 거치대 본체와 접촉하면서 연결되는 접촉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착탈식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부의 내부는 EMI 코팅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착탈 식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20070011361A 2007-02-05 2007-02-05 모듈 착탈식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0784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361A KR100784785B1 (ko) 2007-02-05 2007-02-05 모듈 착탈식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361A KR100784785B1 (ko) 2007-02-05 2007-02-05 모듈 착탈식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4785B1 true KR100784785B1 (ko) 2007-12-14

Family

ID=39140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361A KR100784785B1 (ko) 2007-02-05 2007-02-05 모듈 착탈식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47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941B1 (ko) 2011-09-14 2012-04-20 주식회사 제이아이에스텍 바코드 rfid 스캐너와 이들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탑재형 크래들 장치
DE102010054434B4 (de) * 2009-12-14 2013-02-21 Mitac International Corp. Mobiltelefon-Halterung mit GPS- und Bluetooth-Funktionalität
KR20220048544A (ko) * 2020-10-13 2022-04-20 에이피위성 주식회사 위성폰용 안테나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4300A (ja) * 1998-10-21 2000-05-12 Morito Co Ltd 携帯電話機用ホルダー
KR100689533B1 (ko) 2005-05-18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삼각 거치대
KR100770829B1 (ko) 2006-05-08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그의 슬라이딩 가이드 모듈 및 슬라이딩 가이드 모듈의 장착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4300A (ja) * 1998-10-21 2000-05-12 Morito Co Ltd 携帯電話機用ホルダー
KR100689533B1 (ko) 2005-05-18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삼각 거치대
KR100770829B1 (ko) 2006-05-08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그의 슬라이딩 가이드 모듈 및 슬라이딩 가이드 모듈의 장착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54434B4 (de) * 2009-12-14 2013-02-21 Mitac International Corp. Mobiltelefon-Halterung mit GPS- und Bluetooth-Funktionalität
KR101136941B1 (ko) 2011-09-14 2012-04-20 주식회사 제이아이에스텍 바코드 rfid 스캐너와 이들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탑재형 크래들 장치
KR20220048544A (ko) * 2020-10-13 2022-04-20 에이피위성 주식회사 위성폰용 안테나 장치
KR102421639B1 (ko) * 2020-10-13 2022-07-18 에이피위성 주식회사 위성폰용 안테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1950B1 (en) Integrated connection assembly for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receiver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ce (PDA) device and cellular phone
CN109729195B (zh) 用于电磁干扰检测的天线和包括其的便携式电子装置
US20050090301A1 (en) Holder for an electronic device
US7953371B2 (en)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ombined with antenna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20070235519A1 (en) Multi-functional dongle for a portable terminal
EP2782321A1 (en) Mobile terminal
US9160826B2 (en)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070034183A (ko) 다기능 블루투스 헤드셋
KR20200017308A (ko) 입력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3065111B (zh) 模块化多功能手持机
US11366532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structure
CN113439432A (zh) 天线和包括天线的电子装置
KR20200101218A (ko)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3069786A (zh) 传感器模块
US20050262285A1 (en) Data communication cable for connection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
KR100784785B1 (ko) 모듈 착탈식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US11934596B2 (en)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stylus pe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409381B2 (en) Digital pen for charging battery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2061350B1 (ko)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EP2843913B1 (en) Mounting structure f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S10659580B2 (en) Connecting sled system for mobile devices
KR20200002737A (ko)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6004420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외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US11456557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ousing in which protective structure is disposed
KR102258966B1 (ko)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