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581B1 -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 - Google Patents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581B1
KR102203581B1 KR1020190058331A KR20190058331A KR102203581B1 KR 102203581 B1 KR102203581 B1 KR 102203581B1 KR 1020190058331 A KR1020190058331 A KR 1020190058331A KR 20190058331 A KR20190058331 A KR 20190058331A KR 102203581 B1 KR102203581 B1 KR 102203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adapter
fastening frame
wireless recognition
recognition r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2582A (ko
Inventor
구은경
Original Assignee
구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은경 filed Critical 구은경
Priority to KR1020190058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581B1/ko
Priority to JP2019233544A priority patent/JP6916862B2/ja
Publication of KR20200132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88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f hand-held scann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인식리더기에 사용자 단말기를 장착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에 있어서, 하부에 무선인식리더기가 체결되는 체결 프레임; 및 상기 체결프레임의 상측에서 체결되고, 상부에 사용자 단말기가 장착되되,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와 연결되어 가압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ADAPTER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본 발명은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제품에 붙이는 태그(Tag)에 생산, 유통, 보관, 소비의 전 과정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자체 안테나를 갖추고 있으며, 리더기(Reader)로 하여금 태그(Tag)의 정보를 읽고, 인공위성이나 이동통신망과 연계하여 정보시스템과 통합하여 사용되는 활동 또는 칩을 말한다.
이동통신의 발달과 실시간 처리에 대한 요구가 커짐에 따라, RFID 태그 판독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RFID리더기를 장착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리더기를 장착하기 위해, 자석을 이용하여 리더기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면에 장착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자석의 자기장이 판독 장치나 이동통신 단말기에 영향을 미치므로 비록 자장 차폐의 역할을 하는 철판을 부착하더라도 여전히 오작동의 위험이 있다. 또한, 자석을 이용한 부착 정도가 견고하지 못해 사용하는 도중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리더기의 방향이 틀어지거나, 리더기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분리되기 쉬우므로 사용이 쉽지 않다.
또한,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의 급속한 보급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사람들은 단말기를 1-2개씩 항상 소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거래시 대금을 결제하는 방법은 인터넷상에서 이루어지는 소액결제에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며, 그 요금 청구 방식도 대부분 단말기 사용 요금에 합산하여 청구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국민이 소지하고 있는 개인의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RFID 태그를 판독할 수 있는 리더기 시스템의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즉,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를 장착하여 이용할 수 있는 리더기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0-0355357호 (2004.06.28.)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RFID 리더기에 사용자 단말기를 용이하게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휴대가 가능한 RFID 리더기 모듈을 제공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인식리더기에 사용자 단말기를 장착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에 있어서, 하부에 무선인식리더기가 체결되는 체결 프레임; 및 상기 체결프레임의 상측에서 체결되고, 상부에 사용자 단말기가 장착되되,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와 연결되어 가압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체결 프레임은, 상기 탄성부의 하측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블록; 및 상기 가압부의 하측에서 상기 가압부와 소정 간격 거리를 가지도록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탄성부의 하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이 상기 체결 프레임의 연결된 상태에서, 일면이 상기 고정블록의 타면과 접촉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고정블록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가 상승하여, 상기 돌기부가 상기 고정블록과 이격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양 단이 연결되지 않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1 슬릿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는 양 단이 연결되지 않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2 슬릿의 내측에 형성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프레임의 상면에는, 양 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정렬부; 상기 정렬부의 상부와 연결되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후면 및 상기 정렬부의 내측면과 연결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의 하면에는, 상기 정렬부의 내측벽을 따라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되며, 상기 스토퍼와 맞닿아 슬라이딩이 중단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와 상기 고정블록 사이에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스토퍼와 접촉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고정블록과 접촉되어, 상기 체결 프레임과 상기 브라켓이 고정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RFID 리더기에 사용자 단말기를 용이하게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휴대가 가능한 RFID 리더기 모듈을 제공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에 따른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가 리더기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리더기의 설치부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프레임의 하면을 나타낸 도면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에 작동부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1)는 브라켓(10) 및 체결 프레임(20)을 포함한다.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1)는 무선인식리더기(1000)에 사용자 단말기를 장착할 수 있다. 이때,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1)는 무선인식리더기(1000)에 용이하게 체결 및 탈착이 가능하다.
브라켓(10)과 체결 프레임(20)이 체결된 상태에서, 브라켓(10)에 사용자 단말기가 장착되고, 체결 프레임(20)이 무선인식리더기(1000)에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10)은 상부에 사용자 단말기가 장착되고, 하부에 체결 프레임(20)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체결 프레임(20)은 하부에 무선인식리더기(1000)가 체결될 수 있다.
브라켓(10)과 체결 프레임(20)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브라켓(10)은 탄성부(11), 가압부(12), 제1 슬릿(110), 제2 슬릿(120), 돌기부(13), 걸림부(14) 및 지지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10)은 상면에 사용자 단말기가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브라켓(10)은 일 면에서 양 측이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 단말기의 하면과 측면을 감쌀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10)은 평면부(101), 측면부(102) 및 단차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평면부(101)는 사용자 단말기의 하면을 감싸는 부분이고, 측면부(102)는 평면부(101)의 양측에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 단말기의 측면을 감싸는 부분이다.
단차부(103)는 평면부(101) 내측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103)는 평면부(101)에서 단차지게 하방으로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평면부(101)에 사용자 단말기가 위치되었을 때, 단차부(103)는 사용자 단말기의 하면과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탄성부(11)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11)는 브라켓(10)의 단차부(103)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11)는 양 단이 연결되지 않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1 슬릿(1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슬릿(110)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슬릿(110) 내측에 탄성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릿(110)에 의해 탄성부(11)의 복수의 모서리가 브라켓(10)과 이격됨으로써, 탄성부(11)가 소정 간격 내에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가압부(12)는 브라켓(10)의 단차부(103)에서 탄성부(11)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12)가 가압됨에 따라 탄성부(11)가 소정 간격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부(12)는 양 단이 연결되지 않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2 슬릿(12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슬릿(120)은 곡선 형태일 수 있으며, 'U'자 형태 또는 일부가 개방된 원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슬릿(120) 내측에 가압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압부(12)는 단차부(103)에서 형성되되, 단차부(103)보다 상측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가압부(12)는 단차부(103)의 상면과 브라켓(10)의 상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제2 슬릿(120)에 의해 가압부(12)의 둘레 중 일부가 브라켓(10)과 이격됨으로써, 가압부(12)가 가압되는 외부의 힘에 따라 소정 간격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가압부(12)가 하측으로 눌려지는 힘을 받는 경우, 가압부(12)가 하강하면서, 가압부(12)와 연결된 탄성부(11)가 소정 간격 상승하게 된다.
돌기부(13)는 탄성부(11)의 하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기부(13)는 탄성부(11)의 타측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13)는 후술할 체결 프레임(20)의 고정블록(21)과 접촉될 수 있다.
걸림부(14)는 브라켓(10)의 평면부(101) 하면에서 단차부(103)의 양 측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걸림부(14)는 단차부(103)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단차부(103)의 양 측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걸림부(14)가 서로 이격되어 단차부(103) 양 측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걸림부(14)는 후술할 체결 프레임(20)의 정렬부(23) 및 스토퍼(25)와 접촉될 수 있다.
지지부(15)는 체결 프레임(20)의 정렬부(23)와 접촉되어, 브라켓(10)이 체결 프레임(20)에서 슬라이딩될 때, 슬라이딩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지지부(15)는 전방에 형성된 걸림부(14)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5)는 브라켓(10)의 양 측에서 걸림부(14)보다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프레임(2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체결 프레임(20)은 고정블록(21), 함몰부(22), 정렬부(23), 돌출부(24), 스토퍼(25) 및 가이드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블록(21)은 체결 프레임(2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블록(21)은 브라켓(10)과 체결 프레임(20)이 체결된 상태일 때, 탄성부(11)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블록(21)의 타면(즉, 후면)은 돌기부(13)의 일면(즉, 전면)과 접촉될 수 있다.
고정블록(21)의 전면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후면은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10)과 체결 프레임(20)이 체결될 때, 브라켓(10)이 체결 프레임(20)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때, 브라켓(10)의 돌기부(13)는 고정블록(21)의 전면 경사를 따라 가이드되어 탄성부(11)가 소정 높이 상승한 후, 브라켓(10)이 후방으로 보다 더 슬라이딩되면 돌기부(13)가 고정블록(21)의 후면에 위치되어, 돌기부(13)의 일면과 고정블록(21)의 후면이 접촉될 수 있다.
수직하게 형성된 고정블록(21)의 후면과 돌기부(13)의 전면이 서로 접촉됨으로써, 브라켓(10)이 체결 프레임(20)에서 전방으로 이동될 수 없다. 따라서, 브라켓(10)과 체결 프레임(20)이 체결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함몰부(22)는 체결 프레임(20) 내에서 일 영역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22)는 고정블록(21)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함몰부(22)는 브라켓(10)과 체결 프레임(20)이 체결된 상태일 때, 가압부(12)의 하측에서 가압부(12)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22)는 가압된 상기 가압부(12)가 하강할 수 있는 공간일 수 있다.
브라켓(10)과 체결 프레임(20)을 탈착할 경우, 가압부(12)를 하방으로 가압될 수 있다. 가압부(12)가 가압되면 탄성부(11)가 소정 높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가압부(12)는 함몰부(22) 측으로 하강하게 되고, 탄성부(11)는 단턱부 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탄성부(11)가 상측으로 변형됨에 따라, 탄성부(11) 하부에서 돌출된 돌기부(13)도 함께 상승된다. 돌기부(13)가 상승됨에 따라, 돌기부(13)와 고정블록(21)은 서로 비접촉상태가 될 수 있다.
정렬부(23)는 체결 프레임(20)의 상면 양 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렬부(23)는 함몰부(22)의 양 측 각각에서 체결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즉, 전후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정렬부(23)는 체결 프레임(20) 상측에서 슬라이딩 체결되는 브라켓(1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10)의 걸림부(14)가 정렬부(23)의 내측벽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여, 브라켓(1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돌출부(24)는 정렬부(23)의 상부와 연결되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두 개의 돌출부(24)는 서로 이격되어 정렬부(23)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24)는 체결 프레임(20)과 수평 방향으로 정렬부(23)의 상부와 연결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25)는 돌출부(24)의 후면 및 정렬부(23)의 내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스토퍼(25)는 체결 프레임(20)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25)는 돌출부(24)의 후단에 연결될 수 있다.
돌출부(24)와 스토퍼(25)는 'ㄱ'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브라켓(10)이 체결 프레임(20) 상에서 슬라이딩되어 체결될 때, 브라켓(10)은 전방측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브라켓(10)의 걸림부(14)가 체결 프레임(20)의 정렬부(23) 내측벽을 따라 전방에서 후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한 후, 걸림부(14)의 후측 단부가 스토퍼(25)에 의해 슬라이딩이 중단될 수 있다. 이때, 브라켓(10)의 지지부(15)는 정렬부(23)의 전방 단부와 접촉되어, 일 직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26)는 함몰부(22)의 양 측 각각에 배치되되, 정렬부(23)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정렬부(23)보다 내측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26)는 체결 프레임(20)에 체결되는 브라켓(1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즉, 정렬부(23)와 가이드부(26) 사이에서 걸림부(14)가 이동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따른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1)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1)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프레임은 체결 프레임(2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10) 하면에서 전 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된 걸림부(14)가 체결 프레임(20) 상에서 전 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된 돌출부(24)와 교차되도록, 브라켓(10)이 체결 프레임(2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걸림부(14)는 정렬부(23)와 가이드부(26) 사이 간격 내에 위치된 상태이다.
다시 말해, 브라켓(10)에 배치된 두 개의 걸림부(14) 중 전방의 걸림부(14)는 체결 프레임(20)에 배치된 두 개의 돌출부(24) 중 전방의 돌출부(24) 전방에 위치되고, 다른 하나의 걸림부(14)는 후방의 돌출부(24)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브라켓(10)이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부(14)가 돌출부(24) 하측으로 삽입되도록 이동되어, 걸림부(14)가 스토퍼(25)와 충돌하면서 슬라이딩이 중단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5)는 정렬부(23)의 전방 단부와 맞닿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인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브라켓(10)의 돌기부(13)는 고정블록(21)의 전면 경사를 따라 가이드되어 탄성부(11)가 소정 높이 상승한 후, 브라켓(10)이 후방으로 보다 더 슬라이딩되면 돌기부(13)가 고정블록(21)의 후면에 위치되어, 돌기부(13)의 일면과 고정블록(21)의 후면이 접촉될 수 있다.
수직하게 형성된 고정블록(21)의 후면과 돌기부(13)의 전면이 서로 접촉됨으로써, 브라켓(10)이 체결 프레임(20)에서 전방으로 이동될 수 없다. 따라서, 브라켓(10)과 체결 프레임(20)이 체결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브라켓(10)과 체결 프레임(20)을 탈착할 경우에는, 가압부(12)를 하방으로 가압될 수 있다. 가압부(12)가 가압되면 탄성부(11)가 소정 높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가압부(12)는 함몰부(22) 측으로 하강하게 되고, 탄성부(11)는 단턱부 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탄성부(11)가 상측으로 변형됨에 따라, 탄성부(11) 하부에서 돌출된 돌기부(13)도 함께 상승된다. 돌기부(13)가 상승됨에 따라, 돌기부(13)와 고정블록(21)은 서로 비접촉상태가 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브라켓(1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체결 프레임(20)과 탈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1)가 리더기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리더기의 설치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프레임(20)의 하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리더기는 인식부, 손잡이부 및 설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인식부는 다른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인식리더기(1000)는 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로 전송되는 정보 판독이 용이하도록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1)가 설치되는 설치부는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설치부에는 양각부 및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양각부는 체결 프레임(20)이 배치되는 영역내에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양각부는 주변에 홈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양각부는 원형 형태로 형성되어, 4개의 꼭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은 체결 프레임(20)이 배치되는 영역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부에 체결 프레임(20)이 체결되어, 체결 프레임(20)이 무선인식리더기(1000)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 프레임(20)의 하면에는 음각부(27) 및 체결부(28)가 형성될 수 있다.
음각부(27)는 설치부에 형성된 양각부에 대응되는 형상 및 위치에 형성되며, 양각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28)는 삽입홈에 삽입가능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28)는 삽입홈의 형상, 위치 및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 프레임(20)의 음각부(27)에 설치부의 양각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체결 프레임(20) 체결부(28)가 설치부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무선인식리더기(1000)의 설치부에 체결 프레임(20)이 고정됨으로써, 무선인식리더기(1000)에 무신인식리더기용 어댑터가 고정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1)에 작동부(30)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작동부(30)는 브라켓(10)에 사용자 단말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가압부(12)가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할 수 있다.
작동부(30)는 연결바(31), 편심회전부(32), 샤프트(33) 및 파지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바(31)는 가압부(12)의 하부에 연결되어, 편심회전부(32)에 연결될 수 있다.
편심회전부(32)는 연결바(31)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샤프트(33)는 편심회전부(32)에 연결되되, 샤프트(33)의 중점이 편심회전부(32)의 중점과 벗어나도록 샤프트(33)가 편심회전부(32)에 연결될 수 있다.
샤프트(33)가 회전될 때, 편심회전부(32)가 회전될 수 있다.
파지부(34)는 샤프트(33)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파지부(34)는 브라켓(10)과 체결 프레임(20)의 전방 단부보다 돌출될 수 있다.
브라켓(10)에 사용자 단말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파지부(34)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샤프트(33)가 회전되면서 편심회전부(32)다 일 방향으로 소정 거리 회전된다. 편심회전부(32)가 회전됨에 따라 연결부가 당겨지면서 가압부(12)가 하방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동부(30)가 가압부(12)를 하강으로 가압시킴으로써, 돌기부(13)가 고정블록(21)과 비접촉되어, 브라켓(10)과 체결 프레임(20)이 탈착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브라켓(10)은 사용자 단말기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탄성부(11), 가압부(12), 걸림부(14) 및 지지부(15)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브라켓(10)의 평면부(101), 측면부(102)의 형태는 사용자 단말기의 형상에 따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 10: 브라켓
101: 평면부 102: 측면부
103: 단차부 11: 탄성부
12: 가압부 13: 돌기부
14: 걸림부 15: 지지부
110: 제1 슬릿 120: 제2 슬릿
20: 체결 프레임 21: 고정블록
22: 함몰부 23: 정렬부
24: 돌출부 25: 스토퍼
26: 가이드부 27: 음각부
28: 체결부 30: 작동부
31: 연결바 32: 편심회전부
33: 샤프트 34: 파지부
1000: 리더기 1100: 인식부
1200: 손잡이부 1300: 설치부
1301: 양각부 1302: 삽입홈

Claims (7)

  1. 무선인식리더기에 사용자 단말기를 장착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에 있어서,
    하부에 상기 무선인식리더기가 체결되는 체결 프레임; 및
    상기 체결 프레임의 상측에서 체결되고 상부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장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단차부에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된 탄성부;
    상기 단차부에서 상기 탄성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하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탄성부를 상승시키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가압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프레임은,
    상기 탄성부의 하측에 대응되어 위치되고,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블록; 및
    상기 가압부의 하측에 대응되어 위치되고, 상기 가압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탄성부의 하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이 상기 체결 프레임의 연결된 상태에서 일면이 상기 고정블록의 타면과 접촉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고정블록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가 상기 함몰부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탄성부가 상승됨에 따라 상기 돌기부가 상기 고정블록과 이격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양 단이 연결되지 않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1 슬릿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는 양 단이 연결되지 않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2 슬릿의 내측에 형성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프레임은,
    상면 양 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정렬부;
    상기 정렬부의 상부와 연결되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후면 및 상기 정렬부의 내측면과 연결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단차부의 하면 양측에서 소정 이격되어 돌출되도록 형성된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과 상기 체결프레임이 체결될 때,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정렬부의 내측벽을 따라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되고, 상기 스토퍼에 접촉되어 슬라이딩이 중단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와 상기 고정블록 사이에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스토퍼와 접촉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고정블록과 접촉되어, 상기 체결 프레임과 상기 브라켓이 고정되는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
KR1020190058331A 2019-05-17 2019-05-17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 KR102203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331A KR102203581B1 (ko) 2019-05-17 2019-05-17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
JP2019233544A JP6916862B2 (ja) 2019-05-17 2019-12-24 無線認識リーダー用アダプ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331A KR102203581B1 (ko) 2019-05-17 2019-05-17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582A KR20200132582A (ko) 2020-11-25
KR102203581B1 true KR102203581B1 (ko) 2021-01-18

Family

ID=73453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331A KR102203581B1 (ko) 2019-05-17 2019-05-17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916862B2 (ko)
KR (1) KR10220358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333B1 (ko) * 2012-11-28 2013-12-16 현대다이모스(주) 슬라이딩시트 로킹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9844U (ja) * 1982-12-24 1984-07-05 富士通株式会社 自動車電話機の装着構造
JP3845879B2 (ja) * 1995-07-12 2006-11-15 富士通株式会社 携帯電話機の搭載装置
JP2004005028A (ja) * 2002-05-30 2004-01-08 Denso Wave Inc 光学情報読取装置
KR200355357Y1 (ko) 2004-04-07 2004-07-06 (주)모빌아이 이동통신단말기 부착형 바코드리더기
KR100851364B1 (ko) * 2006-12-18 2008-08-08 (주)블루버드 소프트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
JP2014023141A (ja) * 2012-07-23 2014-02-03 Satoru Katsumata 携帯情報端末機携行保持具
JP2013207803A (ja) * 2013-05-28 2013-10-07 Panasonic Corp 車載用携帯電話充電装置と、それを用いた自動車
KR20160001941A (ko) * 2014-06-30 2016-01-07 김경훈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
KR101691596B1 (ko) * 2015-04-21 2016-12-30 (주) 유니정보 스마트폰 장착 가능한 핸디형 바코드리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333B1 (ko) * 2012-11-28 2013-12-16 현대다이모스(주) 슬라이딩시트 로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582A (ko) 2020-11-25
JP6916862B2 (ja) 2021-08-11
JP2020191065A (ja) 202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331156A1 (en) Back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40353447A1 (en) Supporting Device
JP2000357210A (ja) 接触装置
CN100539310C (zh) 特别用在sim卡或usim卡上的芯片卡接触装置
US20050233763A1 (en) Dual connection device for memory medium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with the same
US8184443B2 (en) SIM card retention assembly
AU2014200114B2 (en) SIM card socket and terminal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00063349A (ko)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KR20170070345A (ko) 전자기기용 카드 트레이
US20130252470A1 (en) Card holder
KR102203581B1 (ko)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
US20030069040A1 (en) Apparatus for inserting a SIM card into a portable data processing / communication device
CN207069047U (zh) 天线弹片、具有所述天线弹片的壳体及通信终端
CN107359461B (zh) 带退卡机构的卡盖、卡连接器及通讯设备
KR100771425B1 (ko) 심카드 장착구조
KR101824018B1 (ko) 카드용 커넥터
CN102055063B (zh) 具有近距离无线通信天线的手持装置及其组装方法
KR102149286B1 (ko) 웨어러블 보조 장치
CN106965438A (zh) 点胶保压装置
CN110518381A (zh) 托架
KR101542458B1 (ko) 단말기의 휴대용 배터리
CN212624060U (zh) 背夹式无线条码扫描器
CN217279730U (zh) 扫码装置
KR101466964B1 (ko) 모바일 스탬프 장치
CN211653666U (zh) 非接触式读卡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