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941A -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 - Google Patents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941A
KR20160001941A KR1020140080454A KR20140080454A KR20160001941A KR 20160001941 A KR20160001941 A KR 20160001941A KR 1020140080454 A KR1020140080454 A KR 1020140080454A KR 20140080454 A KR20140080454 A KR 20140080454A KR 20160001941 A KR20160001941 A KR 20160001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ngaging
slide member
jaw
r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훈
Original Assignee
김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훈 filed Critical 김경훈
Priority to KR1020140080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941A/ko
Publication of KR20160001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9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8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forward-backward translation mov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06K7/103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 G06K7/103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of the portable or hand-handheld type, e.g. incorporated in ubiquitous hand-held devices such as PDA or mobile phone, or in the form of a portable dedicated RFID read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88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f hand-held scan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는 미리 인쇄된 코드(code)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기, 단말기가 착탈 가능하게 거치되는 단말기 거치부, 상기 단말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상기 단말기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재, 상기 단말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상기 단말기의 입출력단과 상기 판독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부 및 상기 판독기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상기 판독기는 상기 고정부재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단말기 거치부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를 지지하며,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판독기가 상기 코드로부터 판독한 상기 정보는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된다.

Description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portable reader for detaching mobile terminal}
본 명세서는 대체로 휴대용 리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더기는 바코드, QR코드 등과 같이 미리 인쇄된 코드(code)로부터 정보를 스캔하여 정보를 판독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리더기는 공장이나 대형 물류창고 등에서의 공정관리, 재고관리, 창고관리 등에 활용되고 있으며, 신분증에 부착되어 출입관리, 도서대출 등에 응용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리더기의 사용 분야가 화물운송과 같은 유통분야, 공장자동화 분야, 물류분야, 병원에서의 환자관리, 우체국의 우편배달 등 산업 전반에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동통신의 발달과 정보의 실시간 처리에 대한 요구가 커짐에 따라 CDMA 등의 무선모듈을 장착한 PDA 등에 바코드 또는 RFID 판독 모듈을 함께 탑재한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정보의 실시간 처리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유리하나, PDA의 사용법, 무게, 휴대성, 가격 등의 원인으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에 정보의 실시간 처리 및 휴대성이 확보되는 휴대용 리더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정보의 실시간 처리 및 휴대성이 확보되는 휴대용 리더기의 예가 공개실용 KR 20-2009-0010277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 가능한 사인패드 결합형 바코드 또는 RFID 리더기'에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인용발명의 경우 정보를 판독하는 리더기와 정보를 처리하여 전송하는 단말기가 분리된 구성이라 사용에 있어서 문제점이 있다. 이 점에서 인용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는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와는 차이가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가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는 미리 인쇄된 코드(code)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기, 단말기가 착탈 가능하게 거치되는 단말기 거치부, 상기 단말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상기 단말기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재, 상기 단말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상기 단말기의 입출력단과 상기 판독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부 및 상기 판독기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상기 판독기는 상기 고정부재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단말기 거치부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를 지지하며,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판독기가 상기 코드로부터 판독한 상기 정보는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된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의 개념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의 거치부와 고정부재의 분리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의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의 단말기 거치부와 고정부재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의 고정부재 삽입 깊이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어지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에 배치" 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이라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이라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단말기”라는 용어는 휴대폰, 태블릿 피씨, 노트북 등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정보의 입력, 처리 등이 가능한 전자기기를 총 망라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110, 120, 130,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의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의 개념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의 거치부와 고정부재의 분리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의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의 단말기 거치부와 고정부재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의 고정부재 삽입 깊이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100)는 판독기(110), 단말기 거치부(120), 고정부재(130), 접속부(140) 및 스위칭부(150)를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휴대용 리더기(100)는 선택적으로(optionally) 파지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160)는 단말기 거치부(120)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휴대용 리더기(100)의 사용자는 파지부(160)를 움켜쥐는 등의 파지가 가능하여 사용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판독기(110)는 미리 인쇄된 코드(code)로부터 정보를 판독한다. 판독기(110)는 예로서 바코드 판독기(bar-code reader)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미리 정해 둔 사물을 영문자나 숫자 또는 특수기호로 표시해 인식할 수 있게 한 것을 코드(code)라 한다. 그러나 코드를 일일이 기억하여 컴퓨터에 입력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어려운 일이다. 특히, 생활용품처럼 종류가 많은 품목을 모두 별개의 코드로 다루기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 코드 대신 서로 굵기가 다른 막대선(bar)을 조합시켜 코드로 만든 것이 바코드이다. 광학적으로 이를 판독하여 컴퓨터에 입력시키는 장치를 바코드 판독기라 한다. 바코드 판독기는 바코드가 인쇄된 입력매체에 빛을 쬐어 반사되는 빛의 강약에 따라 전자신호를 발생시킨다. 이것으로 논리회로를 작동하여 컴퓨터의 내부 코드로 변환시키는 광학원리를 이용한다. 슈퍼마켓 등 여러 매장에서 고객이 상품을 구입할 때 바코드 판독기로 상품에 인쇄된 바코드를 읽어 바로 판매 자료로 만드는 광경은 흔히 볼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한 예시 이외에 미리 인쇄된 코드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한 판독기(110)의 종류에는 그 제한이 없다. 일례로, 판독기(110)는 도 4에 도시된 판독기 삽입부(134)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판독기(110)는 연결통로(150a)를 통하여 스위칭부(150)와 유선 연결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판독기(110)는 무선통신방식을 통하여 스위칭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단말기 거치부(120)에는 단말기(미도시)가 착탈 가능하게 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130)는 단말기 거치부(120)에 거치되는 상기 단말기를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접속부(140)는 단말기 거치부(120)에 거치되는 상기 단말기의 입출력단과 판독기(1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스위칭부(150)는 판독기(110)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판독기(110)는 고정부재(130)에 배치되며, 고정부재(130)는 단말기 거치부(120)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를 지지하며, 스위칭부(150)의 동작에 의해 판독기(110)가 상기 코드로부터 판독한 상기 정보는 접속부(140)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될 수 있다. 스위칭부(150)는 일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160)에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칭부(150)가 배치되는 파지부(160)를 통하여 사용자는 쉽게 리더기를 동작시킬 수 있으며, 접속부(140)를 통하여 판독기(110)가 판독한 상기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단말기 거치부(120)는 도 2에서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재(130)는 단말기 거치부(120)에 형성되는 결합부(160)를 따라 삽입되는 슬라이드부재(132a, 132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30)는 지지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34)는 고정부재(130)와 단말기 거치부(120) 간의 결합을 가이드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34)는 고정부재(130)에 횡방향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에 고정부재(130)와 단말기 거치부(120) 간의 안정적인 결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34)의 내부에는 판독기(11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134)는 판독기(110)와 스위칭부(150) 사이의 전기신호의 전달 통로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일례로, 지지부(134)의 표면에는 판독기(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배선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 거치부(120) 중 지지부(134)와 대향하여 접하는 면에는 상기 한 쌍의 배선에 대응되는 한 쌍의 접속단자가 배치될 수 있다. 이들 한 쌍의 접속단자는 스위칭부(150)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지부(134)는 판독기(110)와 스위칭부(15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슬라이드부재(132a, 132b)는 결합부(160)를 따라 삽입되는 슬라이드부재(132a, 132b)의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스토퍼(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휴대용 리더기(100)는 단말기 거치부(120)에 거치되는 상기 단말기의 사이즈가 변화되더라도 상기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슬라이드부재(132a) 및 슬라이드부재(132b)는 서로 동일하거나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슬라이드부재(132a) 및 슬라이드부재(132b) 각각의 동작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의 편의상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슬라이드부재(132a) 및 슬라이드부재(132b)에 대하여 슬라이드부재(132a)를 위주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휴대용 리더기(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휴대용 리더기(100)의 동작은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여 설명하고자 하는 취지가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은 결합부(160)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결합부(160)는 슬라이드부재(132a)의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레일(162) 및 가이드레일(162)에 인접하여 가이드레일(162)의 진행방향으로 가이드레일(162)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형성되는 걸림턱(164a)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부재(132a)는 가이드레일(162)을 따라 삽입되고, 스토퍼(170)는 걸림턱(164a)에 대향하여 슬라이드부재(132a)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스토퍼(170)는 슬라이드부재(132a)에 걸림턱(164a)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서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170)는 걸림턱(164a)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걸림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172)는 제1걸림부(172a) 및 제2걸림부(172b)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164a)과 제1걸립부(172a)의 결합을 통하여 가이드레일(162)을 따라 삽입되는 슬라이드부재(132a)는 결합부(160)의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어 결합부(160)를 따라 삽입되는 슬라이드부재(132a)의 상기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휴대용 리더기(100)는 단말기 거치부(120)에 거치되는 상기 단말기의 사이즈가 변화되더라도 상기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60)는 단말기 거치부(120)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단말기 거치부(120)에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부재(132a)는 결합부(160)를 따라 삽입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60)의 걸림턱(164a)은 복수의 단위 걸림턱(164a1, ..., 164aN)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걸림턱(164a1, ... 또는 164aN)은 단말기 거치부(120)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할 수 있다. 도면에는 단위 걸림턱(164a1, ... 또는 164aN)의 예로서 단말기 거치부(120)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직각삼각형 형상의 걸림턱이 표현되어 있다.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단위 걸림턱(164a1, ... 또는 164aN)은 단말기 거치부(120)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사분원(四分圓)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단위 걸림턱(164a1, ... 또는 164aN) 각각은 서로 연속되거나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어 걸림턱(164a)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부(172a)는 단위 걸림턱(164a1, ... 또는 164aN)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져 슬라이드부재(132a)가 단말기 거치부(160)의 상기 타측에서 상기 일측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걸림턱(164a)과 걸림부(172a)가 서로 맞물려 이동이 저지되어 슬라이드부재(132a)의 상기 삽입 깊이가 유지될 수 있다. 도면에는 걸림부(172a)로서 단위 걸림턱((164a1, ... 또는 164aN)의 형상에 대칭되는 외곽 형상을 가지는 걸림부(172a)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이 경우, 걸림부(172a)의 내부 형상은 그 모양의 제한이 없다. 또한, 도면에는 단위 걸림턱(164a1, ... 또는 164aN)으로서 서로 형상이 동일한 단위 걸림턱(164a1, ... 또는 164aN)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걸림부(172a)와 결합되고 슬라이드부재(132a)가 단말기 거치부(160)의 상기 타측에서 상기 일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는 한 단위 걸림턱(164a1, ... 또는 164aN) 각각의 형상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60)는 걸림턱(164a)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추가적인 걸림턱(164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걸림턱(164b)은 복수의 추가적인 단위 걸림턱들을 포함하며, 상기 추가적인 단위 걸림턱의 형상은 단위 걸림턱(164a1, ... 또는 164aN)의 형상과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단위 걸림턱(164a1, ... 또는 164aN)은 예로서 단말기 거치부(120)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단위 걸림턱(164a1, ... 또는 164aN) 각각과 대향하여 마주보는 상기 추가적인 단위 걸림턱 각각의 형상은 단위 걸림턱(164a1, ... 또는 164aN) 각각의 형상과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추가적인 단위 걸림턱 각각은 서로 연속되거나 상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부(172)는 단위 걸림턱(164a1, ... 또는 164aN)의 형상에 대응하는 상기 형상을 가지는 제1걸림부(172a), 상기 추가적인 단위 걸림턱의 상기 형상에 대응하는 제2걸림부(172b) 및 제1걸림부(172a)와 제2걸림부(172b)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는 탄성을 가질 수 있어, 걸림부(172)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걸림부(172)를 초기의 형상으로 복원시킬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슬라이드부재(132a)가 단말기 거치부(120)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으로 이동할 경우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나, 슬라이드부재(132a)가 단말기 거치부(120)의 상기 타측에서 상기 일측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걸림턱(164a, 164b)과 걸림부(172)가 서로 맞물려 이동이 저지되어 슬라이드부재(132a)의 상기 삽입 깊이가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슬라이드부재(132a)는 외력에 의하여 단말기 거치부(120)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를 포함하는 걸림부(172)는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고, 걸림턱(164a) 및 추가적인 걸림턱(164b)은 단말기 거치부(120)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형상을 가지므로 슬라이드부재(132a)는 걸림턱(164a)과 추가적인 걸림턱(164b)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소정의 간격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후, 슬라이드부재(132a)에 단말기 거치부(120)의 상기 타측에서 상기 일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이 가해지면 걸림턱(164a) 및 추가적인 걸림턱(164b)의 상기 형상에 의하여 슬라이드부재(132a)의 이동이 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가 탄성을 가지면 슬라이드부재(132a)의 이동 저지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결합부(160)는 추가적인 가이드레일(16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턱(164a, 164b)은 가이드레일(162)과 추가적인 가이드레일(16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170)는 걸림부(172)와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걸림부(172)를 이동시켜 걸림턱(164a, 164b)과 걸림부(172)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는 누름부(174) 및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누름부(174)의 위치를 복원하여 걸림부(172)와 걸림턱(164a, 164b)이 재결합하도록 하는 탄성부(17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부(172)는 상기 외력에 의하여 걸림턱(164a, 164b)과 결합이 해제되면 추가적인 가이드레일(16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172)는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176)에 의하여 걸림턱(164a, 164b)과 재결합할 수 있어 결합부(160)를 따라 삽입되는 슬라이드부재(132a)의 상기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슬라이드부재(132a)의 일측에는 스토퍼(170)가 배치되는 안착홈(132a1)이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70)는 걸림부(172)와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걸림부(172)를 이동시켜 걸림턱(164a, 164b)과 걸림부(172)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는 누름부(174) 및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누름부(174)의 위치를 복원하여 걸림부(172)와 걸림턱(164a, 164b)이 재결합하도록 하는 탄성부(176)를 포함할 수 있다. 누름부(174)는 일단이 걸림부(172)와 연결되며, 안착홈(132a1)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174a) 및 이동부(174a)의 타단과 연결되는 버튼(174b)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176)의 일단은 버튼(174b)과 연결되고, 타단은 안착홈(132a1)과 연결되어 상기 외력이 버튼(174b)에 가해지면, 버튼(174b)에 가해지는 상기 외력에 의하여 이동부(174a)는 이동하며, 탄성부(176)는 압축되며, 이동부(174a)의 이동을 통하여 걸림부(172)가 이동하여 걸림턱(164a, 164b)과 걸림부(172)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압축된 탄성부(176)의 복원력에 의하여 이동부(174a)는 걸림턱(164a, 164b)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턱(164a, 164b)과 걸림부(172)가 재결합되어 결합부(160)를 따라 삽입되는 슬라이드부재(132a)의 상기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면을 다시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100)는 슬라이딩 방식을 통한 단말기 거치부(120)와 고정부재(130)의 결합을 통하여 단말기의 크기에 관계없이 단말기의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단말기 거치부(120)와 고정부재(130)는 단말기 거치부(120)에 형성되는 결합부(160)와 결합부(160)를 따라 삽입되는 고정부재(130)의 슬라이드부재((132a, 132b)의 결합을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들 결합은 결합부(160)의 걸림턱(164a, 164b)과 걸림부(172)를 포함하는 스토퍼(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걸림턱(164a, 164b)과 걸림부(172)의 결합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휴대용 리더기(100)의 사용자가 고정부재(130)의 슬라이드부재((132a, 132b)를 손으로 벌린 후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드부재((132a, 132b)를 이동시킨 후 걸림턱(164a, 164b)과 걸림부(172)를 결합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걸림턱(164a, 164b)과 걸림부(172)의 결합은 도 5에서 예로서 도시한 다음의 과정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도 5의 (b)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휴대용 리더기(100)의 상기 사용자는 누름부(174)에 외력을 인가하여 걸림턱(164a, 164b)과 걸림부(172)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의 (c)와 같이, 슬라이드부재(132a, 132b) 및 걸림부(172)를 각각 가이드레일(162) 및 추가적인 가이드레일(166)을 따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도 5의 (d)와 같이, 누름부(174)에 가해지는 상기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부(176)의 복원력에 의하여 걸림턱(164a, 164b)과 걸림부(172)는 재결합 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다양한 사이즈를 가지는 단말기의 손쉬운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Claims (8)

  1.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리더기는
    미리 인쇄된 코드(code)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기;
    단말기가 착탈 가능하게 거치되는 단말기 거치부;
    상기 단말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상기 단말기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재;
    상기 단말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상기 단말기의 입출력단과 상기 판독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부; 및
    상기 판독기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되,
    상기 판독기는 상기 고정부재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단말기 거치부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를 지지하며,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판독기가 상기 코드로부터 판독한 상기 정보는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되는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거치부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어 파지가 가능한 파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파지부에는 상기 스위칭부가 배치되는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거치부는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단말기 거치부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따라 삽입되는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결합부를 따라 삽입되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에 인접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의 진행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레일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삽입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걸림턱에 대향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배치되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걸림턱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상기 걸림턱과 상기 걸림부의 결합을 통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삽입되는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결합부의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어 상기 결합부를 따라 삽입되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상기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단말기 거치부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상기 단말기 거치부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결합부를 따라 삽입되며,
    상기 결합부의 상기 걸림턱은 복수의 단위 걸림턱들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 걸림턱은 상기 단말기 거치부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며,
    상기 단위 걸림턱 각각은 서로 연속되거나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걸림부는 상기 단위 걸림턱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져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상기 단말기 거치부의 상기 타측에서 상기 일측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걸림턱과 상기 걸림부가 서로 맞물려 이동이 저지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상기 삽입 깊이가 유지되는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걸림턱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추가적인 걸림턱을 더 포함하되,
    상기 추가적인 걸림턱은 복수의 추가적인 단위 걸림턱들을 포함하며, 상기 추가적인 단위 걸림턱의 형상은 상기 단위 걸림턱의 형상과 대칭적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추가적인 단위 걸림턱 각각은 서로 연속되거나 상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단위 걸림턱의 형상에 대응하는 상기 형상을 가지는 제1걸림부, 상기 추가적인 단위 걸림턱의 상기 형상에 대응하는 제2걸림부 및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상기 단말기 거치부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으로 이동할 경우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나,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상기 단말기 거치부의 상기 타측에서 상기 일측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걸림턱과 상기 걸림부가 서로 맞물려 이동이 저지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상기 삽입 깊이가 유지되는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추가적인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되,
    상기 걸림턱은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추가적인 가이드레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걸림부와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걸림부를 이동시켜 상기 걸림턱과 상기 걸림부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는 누름부; 및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누름부의 위치를 복원하여 상기 걸림부와 상기 걸림턱이 재결합하도록 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부는 상기 외력에 의하여 상기 걸림턱과 결합이 해제되면 상기 추가적인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에 의하여 상기 걸림턱과 재결합할 수 있어 상기 결합부를 따라 삽입되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상기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스토퍼가 배치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부는
    일단이 상기 걸림부와 연결되며, 상기 안착홈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타단과 연결되는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의 일단은 상기 버튼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안착홈과 연결되어 상기 외력이 상기 버튼에 가해지면, 상기 버튼에 가해지는 상기 외력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는 이동하며, 상기 탄성부는 압축되며,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통하여 상기 걸림부가 이동하여 상기 걸림턱과 상기 걸림부의 결합이 해제되며,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압축된 상기 탄성부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는 상기 걸림턱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림턱과 상기 걸림부가 재결합되어 상기 결합부를 따라 삽입되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상기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
KR1020140080454A 2014-06-30 2014-06-30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 KR201600019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454A KR20160001941A (ko) 2014-06-30 2014-06-30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454A KR20160001941A (ko) 2014-06-30 2014-06-30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941A true KR20160001941A (ko) 2016-01-07

Family

ID=55168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454A KR20160001941A (ko) 2014-06-30 2014-06-30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9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793A2 (ko) 2016-01-07 2017-07-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프탈로니트릴 수지
KR20200132582A (ko) * 2019-05-17 2020-11-25 구은경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793A2 (ko) 2016-01-07 2017-07-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프탈로니트릴 수지
KR20200132582A (ko) * 2019-05-17 2020-11-25 구은경 무선인식리더기용 어댑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2582B2 (en) Identifying inventory items in a storage facility
CN206193814U (zh) 使用具有嵌入式相机的可穿戴设备的条形码扫描系统
CN109804124B (zh) 具有集成锁的模块化自适应传感器系统
US9412124B2 (en) Multi-item scanning systems and methods of items for purchase in a retail environment
US8120495B2 (en) RFID system
US20130038985A1 (en) Multi-functional cable apparatus for a barcode reader
WO2007011934A3 (en) Solenoid antenna
WO2006014803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an item with an rfid tag
ATE533119T1 (de) Rfid-etikettkommunikationssystem und rfid- etikettkommunikationsvorrichtung
KR20160001941A (ko) 단말기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리더기
CN104091256A (zh) 定点快递取件点的信息识别与通信系统及信息识别与通信方法
JP6257859B1 (ja) 接続アレイの並行ラベル付け用物品及び方法
Iqbal et al. NFC based inventory control system for secure and efficient communication
US20190129469A1 (en) Holder for multiple mobile electronic devices
Garg Improving business logistics using barcode scanners
CN104680105B (zh) 具有嵌入rfid的无线电设备
GB2598072B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associated with RFID tag reader assemblies for use in barcode readers
WO2017012584A1 (en) Method and system of light pulse communication
JP2009129269A (ja) 情報読取装置及び情報読取方法
CN204087224U (zh) 一种条码扫描器
CN202976191U (zh) 物流管理及防伪防盗系统
CN207875695U (zh) 一种智能物联网书车
DK1425700T3 (da) Kortlæser og fremgangsmåde til læsning af kort
TWM450011U (zh) 電子紙標籤裝置顯示與辨識系統
KR101594919B1 (ko) Rfid 태그 인코딩 방법, 시스템 및 테이블탑 형태의 rfid 태그 인코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