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3349A -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3349A
KR20100063349A KR1020080121829A KR20080121829A KR20100063349A KR 20100063349 A KR20100063349 A KR 20100063349A KR 1020080121829 A KR1020080121829 A KR 1020080121829A KR 20080121829 A KR20080121829 A KR 20080121829A KR 20100063349 A KR20100063349 A KR 20100063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m card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contact
contact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1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0315B1 (ko
Inventor
안해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1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0315B1/ko
Priority to CN2009202698262U priority patent/CN201556744U/zh
Priority to US12/627,157 priority patent/US7950945B2/en
Publication of KR20100063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01R12/718Contact members provided on the PCB without an insulating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G06K7/0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means for pressing the connector contacts in the direction of the card contacts to assure trustworthy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card and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bstract

본 발명은 심카드 장착 장치의 높이를 제한하여 휴대용 전자 기기를 더욱 슬림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구비되고, 상기 심카드의 접점부와 연결되는 접점 패턴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고, 심카드를 인입/인출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심카드의 인입시 상기 심카드의 접점부와 상기 접점 패턴부를 밀착되게 가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를 개시하며, 이로 인해, 심카드 장착 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됨과 아울러 휴대용 전자 기기를 더욱 슬림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휴대용 전자 기기, 심카드, 장착 장치, 판 스프링

Description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SIM CARD CONTACTING DEVICE FOR PORTABLE TYP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심카드 장착 장치의 높이를 제한하여 휴대용 전자 기기를 더욱 슬림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엠피쓰리(MP3), 피디피(PDP),휴대용 단말기, 피디에이(PDA)등의 휴대용 전자 장치들이 보급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그 휴대성으로 인해 휴대용 단말기가 점차 보급화 되어감에 따라 카메라에서부터 엠피쓰리, 게임등의 다양한 기능들이 장착되어 지고 있다. 또한, 다양한 기능을 뿐만아니라 소비자들의 욕구에 맞물려 다양한 디자인의 휴대용 단말기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그 통신 방식에 따라서 유럽의 시분할 다중접속방식이 접속된 GSM방식과, 북미의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과, 코드분할 다중접속방식으로 나뉘어 진다.
이 중에서 상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방식에 이용되는 휴대용 단말기에는 심카드(SIM card;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ard)가 장착된다. 상기 GSM 방식은 다양한 네트워크 작동자간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한 국제규격으로서 유럽을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GSM 방식에 이용되는 심카드는 휴대용 단말기를 작동하는데 거의 필요한 모든 정보를 내장하고 있으며, 특히, 암호 등 가입자의 개인정보 뿐만 아니라, 전화번호, 네트워크 번호 등의 관련 정보들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내장하고 있다.
따라서, 심카드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는 GSM 방식의 모든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되어, 사용자는 심카드만 소지하고 있다면 모든 형태의 GSM 방식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통상적인 형태의 심카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소켓에 심카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10)는 소켓(11)과, 상기 소켓(11)에 형성되어 심카드(20)의 일면에 대면하는 바닥면(12)과 상기 바닥면(12)의 양측단으로부터 서로 나란하게 연장된 한쌍의 지지체(13)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체(13)는 상기 심카드(20)의 타면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바닥면(12)에는 상기 심카드(20)와 접속되도록 커넥터(14)들이 돌출되 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14)들은 각각 상기 소켓(11) 내부의 인쇄회로기판(30) 상에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심카드(20)의 일면에는 상기 인쇄회로 패턴 형태의 접속부(21)가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14)의 각 패턴이 상기 커넥터(14)들과 접촉되어 상기 심카드(20)에 저장된 정보들을 인쇄회로기판(30)을 통해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로 전달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심카드(20)가 상기 소켓(11)에 끼워지게 되면, 상기 소켓(11)의 상기 바닥면(12)에서 돌출된 상기 커넥터(14)들에 의해 상기 심카드(20)의 접속부(21)가 밀착되면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14)들은 각각 상기 소켓(11)의 바닥면(12)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므로, 상기 심카드(20)가 상기 지지체(13)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심카드(20)의 접속부(21)는 상기 바닥면(12)의 돌출된 상기 커넥터(14)들을 누르게 되고, 상기 커넥터(14)들은 그 탄성력에 의해 상기 심카드(20)의 접속부(21)와 밀착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심카드(20)를 소켓(11)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소켓(11)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심카드(20)를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커넥터(14)들과 상기 심카드(20)의 접속부(21)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소켓(11)의 커넥터(14)들과 상기 심카드(20)의 접속부(21) 사이의 마찰은 상기 접속부(21)의 인쇄회로패턴에 긁힘 등의 손상을 유발하여, 상기 심카드(20)를 장기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커넥터(14)와 상기 접속부(21) 사이에 접촉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 이 있다.
또한, 상기 심카드(20)의 접속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14)들은 상기 바닥면(12)에서 돌출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심카드(20)가 상기 소켓(11)에 삽입시 상기 심카드(20)를 접속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삽입가능한 상기 소켓(11)의 높이가 필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소켓(11)의 심카드(20) 실장 높이는 2.3mm~3.0mm 정도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14)가 상기 심카드(20)에 의해 접속시, 탄성력에 의해 눌려진다고 하여도, 상기 커넥터(14)는 상기 바닥면(12)에서 소정높이 돌출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소켓(11)의 높이만큼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의 두께는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14)를 상기 소켓의 바닥면(12)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심카드(20)의 접속부(2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의 장착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지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 기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30)의 일면에 접점 패턴부를 구비시킴과 아울러 접점 패턴부로 심카드의 접점부와 맞물리게 함과 가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하우징을 구비시키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심카드의 접점부와 접점 패턴부를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심카드를 장착하는 하우징의 크기를 심카드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크기로 형성함으로써, 휴대용 전자 기기 내에서 차지하는 심카드 장착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로 인해 휴대용 전자 기기를 슬림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아울러 심카드와 접점 패턴부를 종래의 심카드의 접점부와 맞물리도록 돌출된 커넥터를 갖는 소켓을 사용하지 않게 함과 아울러 심카드와 인쇄회로기판과의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본원 발명은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구비되고, 상기 심카드의 접점부와 연결되는 접점 패턴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고, 심카드를 인입/인출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심카드의 인입시 상기 심카드의 접점부와 상기 접점 패턴부를 밀착되게 가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를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접점 패턴부는 상기 심카드의 접점부에 접촉시 눌려져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통전되는 돔 형상으로 형성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본원 발명은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구비되어 상기 심카드의 접점부와 맞물려 접촉되는 접점 패턴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고, 심카드를 인입/인출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심카드의 인입시 상기 심카드의 접점부와 상기 접점 패턴부를 밀착되게 가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접점 패턴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동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심카드의 접점부는 상기 접점 패턴부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접점 패턴부에 밀착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에 따른 본원 발명은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구비되고, 상기 심카드의 접점부와 맞물려 접촉되는 접점 패턴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고, 심카드를 인입/인출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심카드의 인입시 상기 심카드의 접점부와 상기 접점 패턴부를 밀착되게 가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접점 패턴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동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심카드 접점부는 상기 심카드의 일면과 동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에 의해 상기 심카드의 접점부는 상기 접점 패턴부에 밀착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를 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에 따르면,
심카드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하우징을 인쇄회로기판에 장착시킴과 아울러, 심카드의 접점부와 통전 가능하게 하는 접점 패턴부를 돔형상으로 인쇄회로기판의 동일면에 형성시킴으로써, 휴대용 전자 기기에서 심카드의 장착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로 인해, 종래의 심카드 소켓이 차지하던 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휴대용 전자 기기를 슬림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점 패턴부와 접점부를 하우징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하여 밀착가능하게 함으로써, 접점 패턴부와 접점부의 접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점 패턴부를 인쇄회로기판에 동일 면을 이루도록 형성함과 아울러 심카드의 접점부를 접점 패턴부에 맞물리게 돌출시킴으로써, 휴대용 전자 기기에서 차지하는 심카드 장착 공간이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해 휴대용 전자 기기를 더욱 슬림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접점부와 접점 패턴부의 위치상으로 접점부 상을 가압하도록 가압 탄성부를 구비시킴으로써, 접점 패턴부와 접점부의 접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점 패턴부를 돔형상 또는 인쇄회로기판에 동일면을 이루도록 형성시킴으로써, 종래 소켓의 커넥터에 의해 손상되던 심카드의 접점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점부의 면과 접점 패턴부의 면이 서로 접촉하게 되므로 종래의 커넥터의 점 또는 선 접촉보다는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접점부와 접점 패턴부는 더욱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소켓을 사용하지 않고 인쇄회로기판에 접점 패턴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심카드를 인쇄회로기판 측으로 가압하는 하우징을 구비시킴으로써, 조립 공정이 단순해 짐과 아울러 재료비가 절감되어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는 심카드(110)를 장착하여 심카드(110)와 통전되도록 하는 인쇄회로기판(130)과, 접점 패턴부(131a) 및 하우징(1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접점 패턴부(131a)는 상기 심카드(110)의 접점부(111a)와 연결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130) 상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심카드(110)를 인입/인출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심카드(110)의 인입시 상기 심카드(110)의 접점부(111a)와 상기 접점 패턴부(131a)를 밀착되게 가압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에 장착되어 있다.
도 4, 도 9,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점 패턴부(131a)는 상기 심카드(110)의 접점부(111a)에 접촉시 눌려져 상기 인쇄회로기판(130)과 통전 되도록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심카드(110)를 인입/인출시키는 인출입부(121)와, 플레이트(122)와, 결합부(12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122)는 상기 인출입부(121)에서 상기 심카드(110)의 인입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에서 소정 높이 이격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123)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에 결합되도록 상기 플레이트(122)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30) 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심카드(110)의 인입/인출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심카드(110)의 양 측면에 맞물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22)에는 상기 심카드(110)의 접점부(111a) 및 상기 접점 패턴부(131a)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심카드(110)의 인입시 상기 접점부(111a) 위치를 가압하여 상기 접점 패턴부(131a)에 밀착되게 탄성력을 가하는 가압 탄성부(1220)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7, 도 9,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 탄성부(1220)는 홀(1222)과, 판 스프링(122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홀(1222)은 상기 플레이트(122)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판 스프링(1221)은 상기 심카드(110)의 접점부(111a)와 상기 접점 패턴부(131a)의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심카드(110)의 접점부(111a) 측으로 탄성력을 가 하도록 상기 홀(1222)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심카드(110)의 접점부(111a)와 상기 접점 패턴부(131a)의 위치상에 맞물리게 형성되는 것이다.
도 6,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출입부(121)는 상기 심카드(110)의 인입을 가이드 가능하도록 상기 플레이트(122) 면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23)는 한쌍의 가이드 결합돌기(1231)와, 가이드 결합돌기(123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결합돌기(1231)는 상기 심카드(110) 일단의 인입을 가이드 함과 아울러 상기 심카드(110)를 장착 가능하게 가이드 하도록 상기 인출입부(121)의 양측에서 상기 심카드(110)의 인출방향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결합돌기(1232)는 상기 플레이트(122)의 양측단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30)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심카드(110)가 상기 하우징(120)에 인입되면, 상기 심카드(110)의 양측면에 맞물리게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결합돌기(1232)는 상기 심카드(110)를 인입/인출 가능한 크기로 상기 심카드(110)의 크기와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가이드 결합돌기(1231)는 서로 대향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122)측에서 멀어질수록 서로 대향한 거리가 멀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심카드(110)의 일단을 상기 하우징(120)에 인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130) 상에는 상기 결합부(123)를 장착시키는 장착 홀(132)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23)의 일단은 상기 장착 홀(132)에 장착됨과 아울러 장착 후, 그 일단을 표면실장소자(SMD:Surface Mounted Devices)시킴으로써,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의 납땜되어 장착되어 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심카드(110)를 상기 하우징(120)에 인입시키면, 상기 심카드(110)의 일단은 상기 인출입부(121) 및 상기 가이드 결합돌기(1231)에 의해 상기 하우징(120)의 내측으로 인입되게 가이드 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심카드(110)가 상기 하우징(120)의 내측으로 안착되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심카드(110)의 접점부(111a)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에서 돌출된 돔형상의 상기 접점 패턴부(131a)에 접촉되며, 상기 가압 탄성부(1220)가 상기 접점부(111a) 위치를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접점부(111a)와 상기 접점 패턴부(131a)는 밀착하게 되고, 돔 형상의 상기 접점 패턴부(131a)가 눌려 상기 인쇄회로기판(130)과 통전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110) 장착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심카드(110)에 내장된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로 나타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심카드(110) 장착장치가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에 구비된다.
상기 심카드(110) 장착 장치는 접점 패턴부(131a)와, 하우징(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접점 패턴부(131a)는 상기 하우징(120)으로 인입된 상기 심카드(110)의 접점부(111a)와 접속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의 일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접점 패턴부(131a)는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심카드(110)가 상기 하우징(120)으로 인입/인출시 눌리거나 눌림이 해제되는 형식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심카드(110)의 두께는 0.8~0.9mm(ta₃) 정도로 형성되므로, 돔 형상의 상기 접점 패턴부(131a)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의 일면에서 일반적으로 0.2~0.3mm(ta₄) 정도의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에서 상기 플레이트(121)까지 높이는 약 1.6mm(ta₁)정도로 형성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에서 상기 판 스프링(1221)의 최저면까지의 높이는 약 1.1mm(ta₂)정도로 형성되어 진다.
또한, 상기 심카드(110)의 접점부(111a)는 상기 심카드(110)의 일면으로 2*3의 형식으로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패턴 접점부(111a)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에 상기 심카드(110)의 접점부(111a)와 맞물려 접촉되도록 2*3의 형식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120)의 상기 플레이트(122)는 양측면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에 장착되는 결합부(123)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23)는 상기 심카드(110)를 상기 플레이트(122)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안착 가능하게 소정 공간을 갖 도록 소정 높이를 갖으며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에 결합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에는 상기 결합부(123)에 맞물리도록 장착 홀(13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23)의 일단이 상기 장착 홀(132)에 끼워짐과 아울러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의 바닥면으로 돌출된 상기 결합부(123)의 일단을 표면실장소자(SMD:Surface Mounted Devices)시킴으로써,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의 납땜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123)는 가이드 결합돌기(1231)와 가이드 결합돌기(1232)로 분류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결합돌기(1231)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에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심카드(110)의 인입시 그 일단의 인입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가이드 하도록 상기 하우징(120)의 입구 측에 한쌍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한쌍의 가이드 결합돌기(1231)는 상기 플레이트(122)의 양측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게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122)측에서 멀어질수록 서로 대향한 거리가 멀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심카드(110)가 상기 하우징(120)으로 인입시 공간으로의 유입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플레이트(122)에는 홀(1222)과, 판스프링(1221)이 형성된다.
상기 홀(1222)은 상기 심카드(110)의 접촉부의 위치에 맞물리게 형성되고, 2*3으로 구성되는 상기 심카드(110)의 접점부(111a)의 위치 상으로 구비되도록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판 스프링(1221)은 상기 심카드(110)를 상기 인쇄회로기판(130)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홀(1222)에 형성된다. 상기 판 스프링(1221)은 상기 심카드(110)의 접점부(111a)의 동일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플레이트(122)에 형성되고, 상기 심카드(110)가 상기 하우징(120)에 안착되면, 상기 판 스프링(1221)은 상기 심카드(110)의 접점부(111a)를 상기 접점 패턴부(131a)로 가압한다. 따라서, 상기 판 스프링(1221)은 접점부(111a)의 위치에 각각 맞물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상기 심카드(110)의 두께는 0.8~0.9mm(ta₃)정도이므로, 본원 발명에 따른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에서 상기 플레이트(122)의 상면까지 높이는 일반적으로 1.6mm(ta₁)정도로 형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30) 측으로 돌출된 상기 판 스프링(1221)의 최저면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30)까지의 높이는 약 1.1mm(ta₂) 정도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심카드(110)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 결합부재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하우징(120)으로 인입된다.
상기 심카드(110)가 상기 하우징(120)에 모두 인입되면, 상기 심카드(110)의 접점부(111a)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30) 상의 돔 형상의 상기 접점 패턴부(131a)에 맞물린다.
상기 접점부(111a)와 상기 접점 패턴부(131a)와 동일한 위치 상으로 상기 플레이트(122)에는 상기 판 스프링(1221)이 형성되므로, 상기 접점부(111a)와 상기 접점 패턴부(131a)가 맞물리면 상기 접점부(111a) 위치의 상기 심카드(110) 상단부는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접점부(111a)는 상기 접점 패턴부(131a)와 밀착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돔 형상의 상기 접점 패턴부(131a)는 눌리게 되고,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30)과 통전하게 되고, 상기 심카드(110)에 내장된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를 통해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110) 장착 장치는 종래의 소켓에 비해 두께가 줄어들게 되므로, 휴대용 전자 기기에서 차지하던 공간의 비율이 줄어들게 되어 슬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접점 패턴부(131a)를 돔 형상으로 구비시키고, 상기 심카드(110)의 상기 접점부(111a) 측을 상기 플레이트(122)에 형성된 판 스프링(1221)을 통해 가압하게 되어, 상기 접점부(111a)와 상기 접점 패턴부(131a)의 접속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접점부(111a)의 파손을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첨부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제2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원 발명의 제2실시 예의 구성중 상기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은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함과 아울러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음에 유의한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110) 장착 장치는 인쇄회로기판(130)과, 접점 패턴부(131b), 하우징(120)을 포함하고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점 패턴부(131b)는 상기 심카 드(110)의 접점부(111b)와 맞물려 접촉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130) 상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심카드(110)를 인입/인출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심카드(110)의 인입시 상기 심카드(110)의 접점부(111b)와 상기 접점 패턴부(131b)를 밀착되게 가압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에 장착되어 있다.
도 12, 도 13,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점 패턴부(131b)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30)과 동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심카드(110)의 접점부(111b)는 상기 접점 패턴부(131b)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접점 패턴부(131b)에 밀착되게 구성된다.
본원 발명의 제2실시 예와 상기 제1실시 예와의 차이점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에 형성되는 상기 접점 패턴부(131b)와 상기 심카드(110)에 형성되는 상기 접점부(111b)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시 예에서의 상기 접점 패턴부(131a)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에 돔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이나,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 예에 의한 상기 접점 패턴부(131b)는 인쇄회로기판(130)의 일면에 동일한 일면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 예에서의 상기 접점부(111a)는 상기 심카드(110)의 하면과 동일면을 형성하는 구성이나, 도 12,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 예에서의 상기 접점부(111b)는 상기 심카드(110)의 일면에서 소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성이다.
제2실시 예에 따른 상기 심카드(110)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0.8~0.9mm(ta₃)정도로 형성되고, 상기 접점부(111b)는 상기 심카드(110)에서 0.1mm(tb₄)정도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에서 상기 플레이트(122)까지 높이는 약 1.5mm(tb₁)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판 스프링(1221)의 최저점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30)까지의 높이는 약 0.9~1.0mm(tb₂)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20)의 구성은 상기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110) 장착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 6 및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결합 부재에 의해 상기 심카드(110)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120)으로 인입되도록 가이드 된다. 또한, 상기 인출입부(121)에 의해 상기 심카드(110)는 상기 하우징(120)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가이드 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심카드(110)를 상기 하우징(12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안착되면, 상기 심카드(110)의 일면에서 돌출된 상기 접점부(111b)가 상기 인쇄회로기판(130)과 동일면을 형성하는 상기 패턴 접점부(111b)에 맞물려 접촉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 탄성부(1220)가 상기 접점 부(111b)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심카드(110)를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에 밀착가능하게 탄성력을 가하여 가압하게 된다.
상기 가압 탄성부(1220)의 상기 판스프링(1221)은 상기 접점부(111b)의 위치상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접점부(111b)가 상기 접점 패턴부(131b)에 가압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접점부(111b)와 상기 접점 패턴부(131b)는 맞물려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판 스프링(1221)에 의해 가압되므로 그 접촉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되고, 상기 심카드(11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30)과 통전되어 상기 심카드(110)에 내장된 데이터가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 6 및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제3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원 발명의 제3실시 예의 구성중 상기 제1실시 예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함과 아울러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음에 유의한다.
도 6 및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110) 장착 장치는 인쇄회로기판(130)과, 접점 패턴부(131c), 하우징(120)을 포함하고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점 패턴부(131c)는 상기 심카드(110)의 접점부(111c)와 맞물려 접촉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130) 상에 구비되 어 있다. 또한, 상기 접점 패턴부(131c)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30)과 동일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심카드(110)를 인입/인출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심카드(110)의 인입시 상기 심카드(110)의 접점부(111c)와 상기 접점 패턴부(131c)를 밀착되게 가압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심카드(110) 접점부(111c)는 상기 심카드(110)의 일면과 동일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심카드(110)에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접점부(111c)와 상기 접점 패턴부(131c)는 상기 하우징(120)에 의해 밀착되어 진다.
본원 발명의 제3실시 예와 상기 제1실시 예와의 차이점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에 형성되는 상기 접점 패턴부(131c)와 상기 심카드(110)에 형성되는 상기 접점부(111c)이며, 상기 제3실시예와 상기 제2실시 예와의 차이점은 상기 심카드(110)에 형성되는 상기 접점부(111c)이다.
도 9,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시 예에서의 상기 접점 패턴부(131a)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에 돔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이나,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 예에 의한 상기 접점 패턴부(131c)는 인쇄회로기판(130)의 일면에 동일한 일면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 예에서의 상기 접점부(111b)는 상기 심카드(110)의 일면에서 소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성이나,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 예에서의 상기 접점부(111c)는 상기 심카드(110)의 하면과 동일면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즉,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접점 패턴부(131c)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의 일면에 동일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이고, 상기 접점부(111c)는 상기 심카드(110)의 일면과 동일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제1실시 예나, 상기 제2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징(120)의 높이를 가장 낮출 수 있다.
즉, 상기 인쇄회로기판(130)과 상기 플레이트(122)까지의 두께는 1.3~1.4mm(tc₁)정도로 형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30)과 상기 판 스프링(1221)의 최저점까지의 두께는 상기 심카드(110)의 두께인 0.8~0.9mm(tc₂)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120)의 구성은 상기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110) 장착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가이드 결합 부재에 의해 상기 심카드(110)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120)으로 인입되도록 가이드 된다.
상기 심카드(110)를 상기 하우징(120)의 내측으로 인입시키면, 상기 심카드(110)의 일면과 동일면을 형성하는 상기 접점부(111c)가 상기 인쇄회로기판(130)과 동일면을 형성하는 상기 패턴 접점부(111c)에 맞물린다.
상기 접점부(111c)와 상기 접점 패턴부(131c)와 동일 위치상으로 상기 플레이트(122)에는 판 스프링(12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판 스프링(1221)은 상기 접점부(111c)의 위치상으로 상기 심카드(110)를 가압하고, 상기 접점부(111c)와 상기 접점 패턴부(131c)는 가압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의 소켓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통상적인 휴대용 단말기의 심카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소켓에 심카드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에서 인쇄회로기판의 후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의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의 후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의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A-A'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X부분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의 심카드 장착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B-B'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의 결합된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Y부분 확대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의 심카드 장착부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19는 도 18의 Z부분 확대도.

Claims (28)

  1.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구비되고, 상기 심카드의 접점부와 연결되는 접점 패턴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고, 상기 심카드를 인입/인출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심카드의 인입시 상기 심카드의 접점부와 상기 접점 패턴부를 밀착되게 가압하는 하우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패턴부는 상기 심카드의 접점부에 접촉시 눌려져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통전되는 돔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심카드를 인입/인출시키는 인출입부와,
    상기 인출입부에서 상기 심카드의 인입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인쇄회 로기판에서 소정 높이 이격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고, 상기 심카드의 양 측면에 맞물리게 형성되어 상기 심카드의 인입/인출을 가이드하는 결합부로 구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심카드의 접점부 및 상기 접점 패턴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심카드의 인입시 상기 접점부 위치를 가압하여 상기 접점 패턴부에 밀착되게 탄성력을 가하는 가압 탄성부가 형성됨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탄성부는,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홀과,
    상기 홀에 형성되고, 상기 심카드의 접점부와 상기 접점 패턴부의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심카드의 접점부 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 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입부는 상기 심카드의 인입을 가이드 가능하게 상기 플레이트 면에 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인출입부의 양측에서 상기 심카드의 인출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심카드 일단의 인입을 가이드 함과 아울러 상기 심카드를 장착 가능하게 가이드 하게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한쌍의 가이드 결합돌기와,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단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고 상기 심카드의 양측면에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가이드 결합돌기는 서로 대향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측에서 멀어질수록 서로 대향한 거리가 멀어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는 상기 결합부를 장착시키는 장착 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일단은 상기 장착 홀에 장착됨과 아울러 장착 후 상기 장착 홀에서 돌출된 상기 결합 부의 일단을 표면실장소자(SMD:Surface Mounted Devices)시킴으로써,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일단면에 납땜되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심카드를 상기 하우징에 인입시키면,
    상기 심카드의 일단은 상기 인출입부 및 상기 가이드 결합돌기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인입되게 가이드 되며,
    상기 심카드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안착되면, 상기 심카드의 접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서 돌출된 돔형상의 상기 접점 패턴부에 접촉되며,
    상기 가압 탄성부가 상기 접점부 위치를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접점부와 상기 접점 패턴부는 밀착하게 되고,
    돔 형상의 상기 접점 패턴부가 눌려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통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11.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구비되어 상기 심카드의 접점부와 맞물려 접촉되는 접점 패턴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고, 심카드를 인입/인출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심카드의 인입시 상기 심카드의 접점부와 상기 접점 패턴부를 밀착되게 가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접점 패턴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동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심카드의 접점부는 상기 접점 패턴부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접점 패턴부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심카드를 인입/인출시키는 인출입부와,
    상기 인출입부에서 상기 심카드의 인입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서 소정 높이 이격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고, 상기 심카드의 양 측면에 맞물리게 형성되어 상기 심카드의 인입/인출을 가이드하는 결합부로 구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심카드의 접점부 및 상기 접점 패턴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심카드의 인입시 상기 접점부 위치를 가압하여 상기 접점 패턴부에 밀착되게 탄성력을 가하는 가압 탄성부가 형성됨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탄성부는,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홀과,
    상기 홀에 형성되고, 상기 심카드의 접점부와 상기 접점 패턴부의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 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입부는 상기 심카드의 인입을 가이드 가능하게 상기 플레이트 면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 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인출입부의 양측에서 상기 심카드의 인출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심카드 일단의 인입을 가이드 함과 아울러 상기 심카드를 장착 가능하게 가이드 하게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한쌍의 가이드 결합돌기와,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단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고 상기 심카드의 양측면에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가이드 결합돌기는 서로 대향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측에서 멀어질수록 서로 대향한 거리가 멀어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는 상기 결합부를 장착시키는 장착 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일단은 상기 장착 홀에 장착됨과 아울러 장착 후 상기 장착 홀에서 돌출된 상기 결합 부의 일단을 표면실장소자(SMD:Surface Mounted Devices)시킴으로써,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일단면에 납땜되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심카드를 상기 하우징에 인입시키면,
    상기 심카드의 일단은 상기 인출입부 및 상기 가이드 결합돌기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인입되게 가이드 되며,
    상기 심카드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안착되면, 상기 심카드에서 소정 높이 돌출된 접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동일면을 형성하는 상기 접점 패턴부에 접촉되고,
    상기 가압 탄성부가 상기 접점부 위치를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접점부와 상기 접점 패턴부는 밀착하게 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통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 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20.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구비되고, 상기 심카드의 접점부와 맞물려 접촉되는 접점 패턴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고, 심카드를 인입/인출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심카드의 인입시 상기 심카드의 접점부와 상기 접점 패턴부를 밀착되게 가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접점 패턴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동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심카드 접점부는 상기 심카드의 일면과 동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에 의해 상기 심카드의 접점부는 상기 접점 패턴부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심카드를 인입/인출시키는 인출입부와,
    상기 인출입부에서 상기 심카드의 인입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서 소정 높이 이격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고, 상기 심카드의 양 측면에 맞물리게 형성되어 상기 심카드의 인입/인출을 가이드하는 결합부로 구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심카드의 접점부 및 상기 접점 패턴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심카드의 인입시 상기 접점부 위치를 가압하여 상기 접점 패턴부에 밀착되게 탄성력을 가하는 가압 탄성부가 형성됨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탄성부는,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홀과,
    상기 홀에 형성되고, 상기 심카드의 접점부와 상기 접점 패턴부의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 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입부는 상기 심카드의 인입을 가이드 가능하게 상기 플레이트 면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 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인출입부의 양측에서 상기 심카드의 인출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심카드 일단의 인입을 가이드 함과 아울러 상기 심카드를 장착 가능하게 가이드 하게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한쌍의 가이드 결합돌기와,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단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고 상기 심카드의 양측면에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가이드 결합돌기는 서로 대향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측에서 멀어질수록 서로 대향한 거리가 멀어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26.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는 상기 결합부를 장착시키는 장착 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일단은 상기 장착 홀에 장착됨과 아울러 장착 후 상기 장착 홀에서 돌출된 상기 결합 부의 일단을 표면실장소자(SMD:Surface Mounted Devices)시킴으로써,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일단면에 납땜되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심카드를 상기 하우징에 인입시키면,
    상기 심카드의 일단은 상기 인출입부 및 상기 가이드 결합돌기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인입되게 가이드 되며,
    상기 심카드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안착되면, 상기 심카드와 동일면을 형성하는 접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동일면을 형성하는 상기 접점 패턴부에 접촉되고,
    상기 가압 탄성부가 상기 접점부 위치를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접점부와 상기 접점 패턴부는 밀착하게 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통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 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KR1020080121829A 2008-12-03 2008-12-03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KR101520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829A KR101520315B1 (ko) 2008-12-03 2008-12-03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CN2009202698262U CN201556744U (zh) 2008-12-03 2009-11-09 便携式终端的sim卡安装装置
US12/627,157 US7950945B2 (en) 2008-12-03 2009-11-30 SIM card connecting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829A KR101520315B1 (ko) 2008-12-03 2008-12-03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349A true KR20100063349A (ko) 2010-06-11
KR101520315B1 KR101520315B1 (ko) 2015-05-14

Family

ID=42223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1829A KR101520315B1 (ko) 2008-12-03 2008-12-03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50945B2 (ko)
KR (1) KR101520315B1 (ko)
CN (1) CN20155674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20381B2 (en) * 2010-01-22 2013-12-31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assembly for securing a SIM card
KR101140425B1 (ko) * 2010-09-02 2012-06-05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마이크로 심 카드 소켓
TW201249005A (en) * 2011-05-27 2012-12-01 Hon Hai Prec Ind Co Ltd Storage card with a connector
EP2804371A4 (en) * 2012-01-12 2015-07-01 Panasonic Corp DISPLAY DEVICE
CN103579853A (zh) * 2012-08-06 2014-02-1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芯片卡固持装置及应用其的电子装置
USD707682S1 (en) * 2012-12-05 2014-06-24 Logomotion, S.R.O. Memory card
USD729808S1 (en) 2013-03-13 2015-05-19 Nagrastar Llc Smart card interface
USD759022S1 (en) 2013-03-13 2016-06-14 Nagrastar Llc Smart card interface
US9647997B2 (en) 2013-03-13 2017-05-09 Nagrastar, Llc USB interface for performing transport I/O
USD758372S1 (en) * 2013-03-13 2016-06-07 Nagrastar Llc Smart card interface
US9888283B2 (en) 2013-03-13 2018-02-06 Nagrastar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transport I/O
US10463365B2 (en) * 2013-10-17 2019-11-05 Covidien Lp Chip assembly for surgical instruments
USD780763S1 (en) 2015-03-20 2017-03-07 Nagrastar Llc Smart card interface
USD864968S1 (en) 2015-04-30 2019-10-29 Echostar Technologies L.L.C. Smart card interface
JP1647727S (ko) 2018-02-01 2019-12-09
USD930000S1 (en) 2018-10-12 2021-09-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mory card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4597A (en) * 1996-09-24 1999-04-13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for different sized cards
TW387622U (en) * 1997-11-03 2000-04-11 Hon Hai Prec Ind Co Ltd Memory card connector
US6293464B1 (en) * 1999-01-05 2001-09-25 Jared Joseph Smalley, Jr. Card reader
JP3569847B2 (ja) 2001-10-10 2004-09-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ード接続用コネクタ
JP4073026B2 (ja) * 2004-04-06 2008-04-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JP4724540B2 (ja) 2005-11-24 2011-07-1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1018082Y (zh) * 2007-01-17 2008-02-0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50945B2 (en) 2011-05-31
US20100136816A1 (en) 2010-06-03
KR101520315B1 (ko) 2015-05-14
CN201556744U (zh) 201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3349A (ko)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KR101496458B1 (ko) 심 카드의 커넥터
AU2014200114B2 (en) SIM card socket and terminal device including the same
US7445510B2 (en) Surface contact card holder
US20100069118A1 (en) Modular Structure to Expand and Enhance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 Functionality
JP2012114089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US8184443B2 (en) SIM card retention assembly
US7789691B2 (en) Chip card retaining mechanism and printed circuit board module incorporating same
US20090303689A1 (en) Chip card holding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070087600A1 (en) Surface contact card holder
KR20010050660A (ko) 전자장치용 플러그인 카드
US7357678B1 (en) SIM card connector
US8070521B2 (en) Socket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202076639U (zh) 电子卡连接器
JP2006164749A (ja) カードコネクタ
US6527189B2 (en) Card reader connector with removable extension bracket
KR101476301B1 (ko) 카드 커넥터
KR100949154B1 (ko) 휴대폰의 심 카드 접속용 단자
KR10058730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 접속장치
KR20130010289A (ko) 양방향 삽입이 가능한 심커넥터 접속단자
KR10067733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심 카드 접속장치
KR20100107232A (ko) 듀얼 심 소켓
KR100458626B1 (ko) 배터리팩 내장회로와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를 연결하는통신용 컨넥터
KR200376805Y1 (ko) Sim 커넥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79315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심카드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