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1214B1 -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 - Google Patents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1214B1
KR100851214B1 KR1020020038569A KR20020038569A KR100851214B1 KR 100851214 B1 KR100851214 B1 KR 100851214B1 KR 1020020038569 A KR1020020038569 A KR 1020020038569A KR 20020038569 A KR20020038569 A KR 20020038569A KR 100851214 B1 KR100851214 B1 KR 100851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le
wheeler
molten steel
opening tool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8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3772A (ko
Inventor
우경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38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1214B1/ko
Publication of KR20040003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3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1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1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제철공장의 연속주조공정시 래들의 용강이 노즐을 통하여 연속주조기상의 턴디쉬에 장입되는 때에, 래들하부에 카세트작동시 용강통로가 일치되는 면압플레이트의 보호를 위하여 래들하부의 출강부부분에 낙하 투입되는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가 제공된다.
상기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1)는, 스틸웨이트가 내장된 내화체의 외곽으로 내부에 휠러가 내장된 지관체가 감싸져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를 사용함으로서, 휠러의 사용량을 줄이어 종래 용강의 래들 개공시 다량의 휠러가 용강에 함께 투입되면서 발생되는 용강의 품질저하를 방지하는 한편, 내화물이 래들 개공후 턴디쉬의 용강상에 부유되어 재사용함으로서, 래들 개공구의 재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휠러(filler), 래들, 래들 개공구,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 턴디쉬, 면압플레이트

Description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A OPENING DEVICE FOR LADDLE WITH FILLER FUNCTION}
도 1은 일반적인 연속주조작업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래들의 휠러를 도시한 상세도
도 3은 종래의 래들 휠러 투입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래들 개공구의 투입상태를 도시한 부분절개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인 래들 개공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인 래들 개공구의 래들 투입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0....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 310,,,, 휠러
320.... 지관체 330.... 스틸웨이트
340.... 내화체
본 발명은 제철공장의 연속주조공정시 래들의 용강이 노즐을 통하여 연속주조기상의 턴디쉬에 장입되는 때에, 래들하부에 카세트작동시 용강통로가 일치되는 면압플레이트의 보호를 위하여 래들하부의 출강부부분에 낙하되는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스틸웨이트가 내장된 내화물의 외곽으로 내부에 휠러 가 내장된 지관이 감싸져 구성된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를 사용함으로서, 휠러 의 사용량을 줄이어 종래 용강의 래들 개공시 다량의 휠러 가 용강에 함께 투입되면서 발생되는 용강의 품질저하를 방지하는 한편, 내화물이 래들 개공후 턴디쉬의 용강상에 부유되어 재사용함으로서, 래들 개공구의 재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에서 고로작업 및 제련공정을 거쳐 생산된 용강은 래들(100)로 연속주조공장의 턴디쉬(110)로 이동하여 연속주조기(120)의 몰드(122)에 용강을 투입하여 슬라브등의 주편(S)을 생산하는데, 상기 래들(100)을 통하여 배출되는 용강(m)은 래들 하부의 카세트(130) 작동시 래들 출강구(102)와 일치되는 용강배출통로(P1)를 이루는 면압플레이트(140)의 작동으로 용강(m)은 턴디쉬(110)의 쉬라우드노들(112)을 통하여 턴디쉬(110)에 장입된다.
그런데,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래들(100)의 출강구(102)는 래들 철피(100a)의 내측에 설치된 영구연와(100b)와 바닥연와(100c) 및 받침연와(100d)를 통하여 개구되어 그 내측으로 톱노즐(104)이 설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톱노즐 (104)의 하부에는 도 1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카세트(130)로 작동하는 하부 면압 플레이트(140b)의 이동시 함께 용강통로(P2)를 이루는 상부 면압플레이트(140a)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래들(100)내에 초기 용강투입시 그 출강구(102)측을 통하여 용강이 배출되면 용강에 의하여 면압플레이트(14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면압플레이트 보호용 휠러(200)를 래들(100)의 출강구(102)측에 투입시키는데, 이와 같은 휠러(200)의 래들 투입기(21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다.
즉,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강대차(150)에 실려진 래들(100)의 출강구(102)측에 휠러 저장용기(212)와 투입관(216)이 연결된 디바이스(214)를 갖춘 휠러 투입기(210)를 통하여 용강의 래들 장입전에 휠러(200)를 투입시키는 것이다.
이때,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휠러(200)는 상부 면압플레이트 (140a)와 엇걸려 초기에 배치된 하부 면압플레이트(140b)에 의하여 하측으로의 배출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부표면은 경화휠러(200a)로 된 휠러(200)가 래들 출강구 (102)측과 면압플레이트측(140)의 용강통로(P1)(P2)에 채워지게 되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 면압플레이트(140b)가 카세트(130)의 이동으로 이동하여 면압플레이트측 용강통로(P2)가 연결되면, 래들(100)에 장입된 용강의 압력에 의하여 휠러(200)가 낙하하면서 용강의 턴디쉬(110) 장입이 수행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면압플레이트(140b)의 이동으로 용강통로(P2)가 형성되면, 하부 면압플레이트(140b)측에 연결된 콜렉트노즐 (142)이 도 1의 턴디쉬 쉬라우드노즐(112)와 연결되어 용강이 턴디쉬에 장입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휠러(200)에 있어서는, 단순히 휠러(200)가 상부의 경화휠러(200a)를 갖춘 상태에서 래들(100)의 출강구(102)측 용강통로(P1)(P2)를 막도록 투입되기 때문에, 휠러의 사용량이 출강구측 용강통로를 막을 수 있을 정도가 필요하고, 결국 다량의 휠러(200)가 면압플레이트의 조정작동으로 용강의 내압에 의하여 낙하하면서 용강과 함께 턴디수(110)내에 장입됨으로서, 용강의 성분품질이 변하게 되고, 이는 용강으로 제조된 주폄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용강과 함께 턴디쉬에 장입되는 휠러의 투입량을 최소화하도록 하면 용강의 성분변화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스틸웨이트가 내장된 내화체의 외곽으로 내부에 휠러가 내장된 지관체가 감싸져 구성된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를 사용함으로서, 휠러의 사용량을 줄이어 종래 용강의 래들 개공시 다량의 휠러가 용강에 함께 투입되면서 발생되는 용강의 품질저하를 방지하는 한편, 내화물이 래들 개공후 턴디쉬의 용강상에 부유되어 재사용함으로서, 래들 개공구의 재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턴디쉬에 용강 장입시 래들의 출강구를 개공시키면서 면압플레이트의 용손을 방지토록 하는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에 있어서, 내부에 휠러가 내장되는 휠러 내장 지관체; 및,
상기 지관체의 내부에 삽입 안착되고 내부에는 스틸웨이트가 밀봉 내장된 내화체;로 구성된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래들 개공구의 투입상태를 도시한 부분절개 상세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래들 개공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구조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래들 개공구의 래들 투입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이하에서는 종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부호로 나타낸다.
먼저,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턴디쉬(110)에 용강 장입시 래들(100)의 출강구 (102)를 개공시키면서 면압플레이트(140)의 용손을 방지토록 하는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300)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즉,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300)는 크게 지관체(320) 및 내화체(340)로 나누어 질 수 있는데, 이들 구성요소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관체(320)는 종이로 제작되어 그 내부에는 용강의 턴디쉬 장입시 래들 출강구(102)측 용강통로(P1)(P2)을 막고 있다가 용강에 의하여 녹으면서 용강을 용강통로를 통하여 낙하하도록 하는 휠러(310)가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다량의 휠러(200)를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의 개공구(300)에서는 지관체(320)의 내부에 휠러(310)가 내장되기 때문에, 그 사용량이 상당히 감소되고, 이는 결국 용강(m)의 턴디쉬(110) 장입시 용강과 함께 장입되는 휠러(310)의 양을 줄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휠러 겸용 개공구(300)에 의하여 휠러에 의한 용강의 성분변화에 따른 주편(S)의 품질저하는 방지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지관체(320)는 다음에 설명하는 내화체(340)가 내측에 안착되도록 바닥(320b)부가 일체로 형성된 컵 형상의 원통체로 형성되고, 결국 본 발명의 지관체(320) 내부에는 내화체 안착공간(320a)이 마련된다.
다음, 상시 지관체(320)의 안착공간(320a)에 안착되는 내화체(34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틸웨이트(330)가 내부에 밀봉상태로 내장되는 내화물로 구성되는데, 예를 들어 세라믹과 같은 내열성이 우수한 내화물로서 원통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텔웨이트(330)는 용강의 턴디쉬 장입시 하부 면압플레이트 (140b)의 이동으로 상,하부 면압플레이트(140a)(140b)의 용강통로(P2)가 형성되는 순간, 용강의 내압에 의하여 하부 면압플레이트(140b)의 콜렉트노즐(142)과 턴디쉬 (110)의 쉬라우드노즐(112)을 통하여 자중에 의하여 신속하게 이탈되어 턴디쉬내측으로 낙하되어 용강의 턴디쉬장입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틸웨이트(330)가 내부에 밀봉상태로 내장되는 내화체(340)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지관체(320)의 안착공간(320a)내에 삽입되도록 상기 내화체 (340)는 원통체로 형성되고, 그 외경은 상기 지관체 안착공간의 내경과 일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음의 도 5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상기 지관체(320)의 외경은 상기 래들 출강구(102)의 용강통로(P1) 내경과 동일하게 또는 그보다 약간크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다음의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300)를 래들(100)을 수평하게 조정한 상태에서 래들 하부에서 삽입 안착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환 바와 같이, 상기 스틸웨이트(330)가 내장되는 상기 원통 내화체(340)는 내열성이 우수한 세라믹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내화체(340)가 용강통로(P1)(P2)들을 통하여 용강과 함께 턴디쉬(110)에 장입되면, 용강상에 부유되면서 이를 꺼내어 다시 재활용하기 때문이다.
다음, 도 5에서는 본 발명인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300)의 사용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도 5에서는 상부 면압플레이트(140a)와 하부 면압플레이트 (140b)가 엇갈린 상태에서 래들 출강구(102)측의 용강통로(P1)에 안착된 개공구 (300)를 도시하고 있다.
그런데, 도 5에서는 용강이 래들(100)에 투입되는 때에 개공구(300)의 휠러(310)를 내장한 지관체(320)가 연소되어 휠러(310)가 노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결국 내화체(340)의 외곽으로 휠러(310)가 노출된 상태에서 하부 면압플레이트(140b)가 이동하여 하측의 용강통로(P2)가 형성되면 래들내의 용강내압에 의하여 휠러(310)와 내화체(340)가 하강하여 래들의 용강 출강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고,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재수거되는 내화체(340)에 의하여 휠러(310)의 사용량이 종래에 비하여 감속됨을 알 수 있고, 이는 휠러(310)에 의한 용강의 성분변화를 방지시키는 것이다.
즉, 내화체(340)의 외곽으로 지관체(320)에 휠러(310)를 내장시키는 이유는, 내화체(340)만으로 용강통로(P1)(P2)를 막을 경우 휠러사용이 없어 용강의 휠러에 의한 성분변화를 확실하게 방지시킬 수는 있으나, 용강통로(P1)(P2)가 사용에 따라 그 내경부가 미세하게 마모되고, 결국 딱딱한 내화체(320)로는 용강통로를 긴밀하게 막을 수 없어, 본 발명의 개공구(300)에서는 최소한의 휠러(310)를 사용하되, 적은 양을 사용하므로 초기 지관체(320)내에 내장시키어 형태를 유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 도 6에서는 본 발명인 래들 개공구(300)의 턴디쉬 장입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관체(320)내에 내장된 휠러(310)는 그 내측의 내화체(340)를 감싸는 형태이지만, 종이두께만큼은 서로 분리되어 있어, 개공구(300)를 먼저 래들 출강구(102)측에 안착시킨후, 용강(m)이 래들(100)에 장입되면, 지관체(320)의 종이부분이 고열로 연소하여 휠러(310)가 용강의 출강을 내화체(340)와 함께 차단하다가, 하부 면압플레이트(140b)의 이동으로 하부 용강통로 (P2)가 일치되면 용강의 내압으로 휠러(310)는 내화체(340)에서 이탈되면서 용강에 포함되고, 용융되지 않는 내화체(340)만이 용강상에 부유되어 수거되게 된다.
다음, 도 7에서는 본 발명인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300)의 래들 장착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래들(100)을 이동시키는 주권 및 보권 크레인(C1)(C2)를 조작하여 래들(100)을 수평상태로 한후에, 작업자는 본 발명의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 (300)를 면압플레이트(140)의 상측으로 래들 출강구(102)측에 삽입 안착시키는 것이다.
결국,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휠러(200)의 틀이없어 투입기 (210)를 사용하여야 래들 출강구(102)측에 투입하였지만, 본 발명의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300)는 지관체(320)의 내부에 휠러(310)가 내장되고, 그 내측에 내화체 (340)가 삽입 안착되기 때문에, 래들 개공구(300)의 형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투입기를 사용하지 않고, 래들 출강구(102)측에 용이하게 안착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인 휠러 겸용 래들개공구(300)는 휠러의 사용량을 줄이어 용강의 성분변화에 따른 주편의 품질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투입시의 사용없이 간편하게 래들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에 의하면, 휠러 의 사용량을 줄이어 종래 용강의 래들 개공시 다량의 휠러 가 용강에 함께 투입되면서 발생되는 용강의 품질저하를 방지하는 한편, 내화물이 래들 개공후 턴디쉬의 용강상에 부유되어 재사용함으로서, 래들 개공구의 재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종래 휠러에 비하여 지관체로서 휠러의 원통형태가 갖추어짐으로서, 래들의 출강구측에 간단하게 래들의 위치를 조정하여 삽입 장착시키기 때문에, 기존의 휠러 투입기와 같은 설비사용이 필요없어 보다 실용적인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3)

  1. 턴디쉬(110)에 용강 장입시 래들(100)의 출강구(102)를 개공시키면서 면압플레이트(140)의 용손을 방지토록 하는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300)에 있어서,
    내부에 휠러(310)가 내장되는 휠러 내장 지관체(320); 및,
    상기 지관체(320)의 내부에 삽입 안착되고 내부에는 스틸웨이트(330)가 밀봉 내장된 내화체(3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체(320)는 내측에 내화체(340)가 삽입 안착되기 위한 안착공간(320a)을 형성하는 바닥부(320b)가 일체로 형성된 일측 개구형 원통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체(340)에 밀봉 삽입되는 스틸웨이트(330)는 원통체로 형성되고, 상기 내화체(340)는 내열성이 우수한 세라믹재질로 상기 스틸웨이츠(330)를 일체로 감싸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
KR1020020038569A 2002-07-04 2002-07-04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 KR100851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569A KR100851214B1 (ko) 2002-07-04 2002-07-04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569A KR100851214B1 (ko) 2002-07-04 2002-07-04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772A KR20040003772A (ko) 2004-01-13
KR100851214B1 true KR100851214B1 (ko) 2008-08-07

Family

ID=37314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8569A KR100851214B1 (ko) 2002-07-04 2002-07-04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12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118A (ko) 2014-12-16 2016-06-24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 개공구 이물질 제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래들 개공구 이물질 제거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4111A (ja) * 1989-10-19 1991-06-07 Nippon Steel Corp 一定深さで処理される溶融金属処理用充填ワイヤー
JPH07149557A (ja) * 1993-11-29 1995-06-13 Kawasaki Refract Co Ltd 充填材及びメタルケース付耐火れんが
KR20010064163A (ko) * 1999-12-24 2001-07-09 이구택 레이들의 휠러 개공장치
KR20010064196A (ko) * 1999-12-24 2001-07-09 이구택 레이들의 휠러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4111A (ja) * 1989-10-19 1991-06-07 Nippon Steel Corp 一定深さで処理される溶融金属処理用充填ワイヤー
JPH07149557A (ja) * 1993-11-29 1995-06-13 Kawasaki Refract Co Ltd 充填材及びメタルケース付耐火れんが
KR20010064163A (ko) * 1999-12-24 2001-07-09 이구택 레이들의 휠러 개공장치
KR20010064196A (ko) * 1999-12-24 2001-07-09 이구택 레이들의 휠러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118A (ko) 2014-12-16 2016-06-24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 개공구 이물질 제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래들 개공구 이물질 제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772A (ko) 2004-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86126A (en) Metal pouring apparatus and method
US3905419A (en) Device for rise casting into a mold
WO1988006191A1 (en) Devices and apparatus for injecting gas into high temperature liquids, e.g. molten metals
KR100851214B1 (ko) 휠러 겸용 래들 개공구
AU677478B2 (en) Loading device for feeding liquid metal into an electric furnace
KR100847778B1 (ko) 래들용 버블링 플러그
CN111235335B (zh) 一种在线修补撇渣器的方法
CN110860683B (zh) 一种铸铁机高纯铁水无渣控制浇铸设备及工艺
KR20010038631A (ko) 대형 지금 발생 방지용 슬래그 포트
JPS63174764A (ja) 連続鋳造における鋳込み開始時の溶鋼酸化防止方法
JPS62500844A (ja) 溶融金属用レ−ドルの改良
KR101175444B1 (ko) 래들의 바닥 구조체
JP2021084112A (ja) 溶融金属排出装置の摺動盤又は固定盤
KR20130046718A (ko) 턴디쉬용 스토퍼
JPH01278957A (ja) 出鋼口閉塞防止用プラグと取鍋出鋼口の開口方法
JP3613816B2 (ja) 高炉炉壁のステーブによる補修方法
JPS61117210A (ja) 浸漬管の耐火ライニング補修方法
KR100920219B1 (ko) 용융 몰드 플럭스용 호퍼
US4004792A (en) Metallurgical furnace having fluid injection means for a melt in the furnace
JP2002047512A (ja) 溶鋼鍋における内装式ポーラスプラグの構造
JPH01217188A (ja) 炉底排出型溶解炉及びその排出口の閉塞方法
JP2694493B2 (ja) タンディッシュ
KR950010210Y1 (ko) 보조 구멍을 갖춘 턴디쉬(Tundish)의 웰 블럭(Well Block)
JPH0548071Y2 (ko)
JPS591055A (ja) 連鋳タンデイツシユへの溶鋼無酸化注入開始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