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8233B1 - Ofdm 수신 장치 및 ofdm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Ofdm 수신 장치 및 ofdm 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8233B1
KR100848233B1 KR20060114618A KR20060114618A KR100848233B1 KR 100848233 B1 KR100848233 B1 KR 100848233B1 KR 20060114618 A KR20060114618 A KR 20060114618A KR 20060114618 A KR20060114618 A KR 20060114618A KR 100848233 B1 KR100848233 B1 KR 100848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interleave
demapping
control information
bits
digit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114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3085A (ko
Inventor
나오또 아다찌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3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3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8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8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7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using interleaving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63Joint error correction and other techniques
    • H03M13/6325Error control coding in combination with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65Purpose and implementation aspects
    • H03M13/6502Reduction of hardware complexity or efficient processing
    • H03M13/6505Memory efficient implemen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1Use of interle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49Demodulators
    • H04L27/26524Fast Fourier transform [FFT] or 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 de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de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OFDM 수신 장치에서, 복조 데이터의 디인터리브 처리를 위해 필요로 되는 메모리의 용량을 삭감한다. 디맵핑 처리(21)는, 디지털 신호를 복조해서 얻어지는 복조 데이터의 디맵핑을 행한다. 주파수 디인터리브 처리(22)는, 디맵핑 처리(21)가 실시된 데이터에 대하여 주파수 디인터리브를 실시한다. 시간 디인터리브 처리(23)는, 상기 주파수 디인터리브가 실시된 데이터에 대하여, 해당 디지털 신호와 중첩되어 있는 제어 정보로서 소정 시간 지연시킨 해당 제어 정보에 나타나 있는 인터리브 길이에 기초한 시간 디인터리브를 실시한다.
Figure R1020060114618
디인터리브 처리, 디맵핑 처리, 주파수 디인터리브 처리, 시간 디인터리브 처리

Description

OFDM 수신 장치 및 OFDM 수신 방법{OFDM RECEIVING DEVICE AND OFDM RECEIV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오류 정정부에서 행해지는 오류 정정 처리의 처리 내용의 상세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는 전송 파라미터와 디인터리브 처리를 위해 필요한 메모리 사이즈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그 1).
도 3B는 전송 파라미터와 디인터리브 처리를 위해 필요한 메모리 사이즈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그 2).
도 4는 제2 실시예에서의 결정 처리의 처리 내용을 플로우차트로 나타낸 도면.
도 5A는 일본에서의 지상파 디지털 방송파의 대역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그 1).
도 5B는 일본에서의 지상파 디지털 방송파의 대역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그 2).
도 6은 ISDB-T에 준거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표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의 오류 정정부에서 행해지는 오류 정정 처리의 처리 내용의 상세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부호의 설명>
11, 101: 안테나
12, 102: 튜너
13, 103: A/D 변환기
14, 104: 직교 복조기
15, 105: FFT회로
16, 106: 등화 처리부
17, 107: 오류 정정부
18, 108: TMCC 오류 정정부
19: 1심볼 지연부
20-1, 20-2: 결정 처리
21, 113: 디맵핑 처리
22, 111: 주파수 디인터리브 처리
22a, 23a, 24a, 26a,11la, 112a, 114a, 116a: 메모리
23, 112: 시간 디인터리브 처리
24, 114: 비트 인터리브 처리
25, 115: 비터비 복호 처리
26, 116: 바이트 디인터리브 처리
27, 117: 리드 솔로몬 복호 처리
[특허문헌 1]특개 2003-188848호 공보
[특허문헌 2]특개 2003-78839호 공보
[특허문헌 3]특개 2002-77095호 공보
[특허문헌 4]특개 2003-101505호 공보
[특허문헌 5]특개 2004-282625호 공보
본 발명은, 디지털 신호의 수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을 신호 전송 방식으로서 채용하고 있는 디지털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 장치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으로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FDM: 0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1tiplexing)이라고 불리는 전송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OFDM 방식은, 주파수 축 상에서 직교하고 있는 복수 캐리어에 데이터를 할당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IFFT(역FFT)에 의해 변조가 행해지고, FFT에 의해 복조가 행해진다.
OFDM 방식은, 주파수 이용 효율이 높기 때문에, 지상파 디지털 방송에의 적용이 널리 검토되고 있으며, 일본의 지상파 디지털 방송 규격인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Terrestrial)에서 채용되고 있다.
일본에 있어서의 지상파 디지털 방송(ISDB-T)에서는, UHF대(13ch∼62ch)를 이용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과, VHF대(7ch, 8ch)를 이용한 디지털 라디오 방송이 행해지고 있다.
이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채널 6MHz의 전송 대역이 13세그먼트로 분할되어 있다. 그 중 12세그먼트는, 고정 수신을 목적으로 한 실내 텔레비전 수상기가 주 타깃인 하이비젼 방송을 위해서 이용되고 있고, 또한, 나머지 1세그먼트는 휴대 단말기 등의 이동체가 주 타깃인 방송(소위 '원세그 방송')을 위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채널에 따라서는, 고정 단말기용으로만 13세그먼트 전부를 이용한 방송도 행해지고 있다.
한편, 디지털 라디오 방송에서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채널 6MHz의 대역이 8세그먼트로 분할되어 있고, 그 중 1세그먼트 또는 3세그먼트를 사용해서 방송이 행해진다.
이러한 상황에 따라, 이동 수신을 목적으로 한 지상파 디지털 방송용 수신 단말기로서, 1세그먼트 수신만 가능한 1세그먼트 수신기와, 1세그먼트 수신 외에 3세그먼트 수신도 가능한 1세그먼트/3세그먼트 양대응 수신기 (이하, '1/3세그먼트 수신기'라고 칭하기로 함)의 2종류가 고려되고 있다.
여기에서 도 6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ISDB-T에 준거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표준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에서, OFDM 방식의 디지털 신호로 변조되어 있는 고주파 신호가 안테 나(101)에서 수신된다. 수신된 고주파 신호는 튜너(102)에 입력된다. 튜너(102)는 수신할 채널을 선택하고, 선택된 채널의 고주파 신호를 중간 주파수(IF: Intermediate Frequency)로 변환하여, A/D(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03)에 출력한다. A/D 변환기(103)는, 아날로그 신호인 중간 주파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A/D 변환기(103)의 출력은 직교 복조기(104)에 입력되어 복소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된다. 복소 베이스밴드 신호는, FFT 회로(105)에 의한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에 의해, 시간 영역 신호로부터 주파수 영역 신호로 변환되고, 각 캐리어 데이터가 얻어진다.
그 후, 데이터 캐리어는 등화 처리부(106)에 입력되고, 파일럿 신호의 보간 처리와 그를 이용한 데이터 캐리어의 등화 처리가 행해지고, 복조 데이터로서 출력된다. 등화 처리부(106)로부터 출력된 복조 데이터는 오류 정정부(107)에 입력되어 오류 정정 처리가 행해진 후에, TS(Transport Stream)라는 형식으로 출력된다.
또한, FFT회로(105)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캐리어의 일부는 TMCC(전송 다중 제어 신호: Transmission and Multiplexing Configuration Contro1) 오류 정정부(108)에 입력되어 TMCC 정보에 대한 오류 정정이 행해진다. OFDM 방식의 디지털 신호에 특히 필요로 되는 TMCC 정보는, 각 캐리어에서 사용되고 있는 변조 방식이나 시간 인터리브에 있어서의 인터리브 길이 등과 같은 전송 파라미터가 나타나 있는 제어 정보이다. 오류 정정이 실시된 TMCC 정보는 오류 정정부(107) 등, 도 6의 수신기의 각 부에서 이용된다.
다음으로 도 7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도 6의 오류 정정부(107)에서 행해지는 오류 정정 처리의 처리 내용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류 정정부(107)에서는 디맵핑 처리(113), 비터비(Viterbi) 복호 처리(115), 및 리드 솔로몬(Reed Solomon) 복호 처리(117) 외에 각종 디인터리브 처리가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등화 처리부(106)로부터 출력된 복조 데이터에 대하여, 우선, 주파수 축방향의 디인터리브인 주파수 디인터리브 처리(111)와 시간 축방향의 디인터리브인 시간 디인터리브 처리(112)가 실시되고, 그 후에 디맵핑 처리(113)가 행해진다. 그리고, 디맵핑 처리(113)가 실시된 데이터에 대하여, 비트 단위의 디인터리브인 비트 디인터리브 처리(114)가 실시되고, 그 후에 비터비 복호 처리(115)가 행해진다. 또한, 비터비 복호 처리(115)가 실시된 데이터는, 바이트 단위로 시리얼-페러랠 변환된 후, 바이트 단위의 디인터리브인 바이트 인터리브 처리(116)가 실시되고, 그 후에 리드 솔로몬 복호 처리(115)가 행해진다.
이 밖에, 본 발명에 관해,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OFDM 수신 장치에서, 생성된 디맵핑 데이터를 비트 압축하여 생성된 압축 데이터에 대하여 시간 디인터리브를 실시하고, 그 후에 시간 디인터리브된 압축 데이터를 비트 신장하도록 하여, 메모리의 기억 용량을 삭감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는, OFDM 방식으로 변조된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 음성 방송 신호의 수신시에, 우선, 주파수 변환부의 출력 신호의 대역을 영상 방송 수신용의 IF 필터의 통과 대역의 경계 주파수로서 TMCC 정보의 취득을 행하고, 취득된 TMCC 정보에서 나타나 있는 방송 방식에 따른 1세그멘트 분 또는 3세그먼트 분의 대역폭에 대한 푸리에 변환이 행해지도록, 주파수 변환부 및 음성용 필터를 제어함으로써, 텔레비전 방송과 음성 방송의 쌍방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특허문헌 3에는, OFDM 복조 장치에서, 우선, 수신 신호를 직교 복조한 결과로서 얻어지는 I, Q데이터를 저장 수단에 저장해 두게 하고, 해당 저장 수단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판독해서 FFT 회로에 공급하는 한편, 해당 저장 수단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판독해서 동기 복조 회로에 공급하도록 하여, FFT 회로의 입력 버퍼와 동기 복조 회로의 지연부를 통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특허문헌 4에는, OFDM 방식으로 변조된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서, FFT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신호의 변조 방식에 따른 컨스털레이션 상의 기준점과 해당 기준점으로부터 어긋난 양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프리디맵핑 데이터를, FFT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생성하고, 해당 어긋난 양을 수신 신호의 신뢰성 정보에 기초하여 보정한 프리디맵핑 데이터에 대하여 시간 디인터리브를 실시하게 함으로써, 시간 디인터리브의 처리에 필요한 메모리 용량을 삭감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5에는, OFDM 수신장치에서, 주파수 디인터리브를 행하기 전에 디맵핑과 비트 압축을 행함으로써, 주파수 디인터리브에 필요한 메모리 용량을 줄이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ISDB-T의 수신기에 있어서의 오류 정정부(107)에서는, 각종 디인터리브 처리가 행해진다. 도 7에도 메모리(111a, 112a, 114a,및 116a)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디인터리브 처리에서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보존하기 위한 기억 영역이 필요하다. 따라서, ISDB-T 수신기의 구성 전체에 있어서 디인터리브 처리를 위해 준비하는 메모리가 차지하는 비율은 상당히 큰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1/3세그먼트 수신기에서는, 디인터리브 처리를 위한 메모리는, 1세그먼트 수신기의 3배의 용량이 필요하다. 즉, 1/3세그먼트 수신기에서는, 일부에서 행해지는 3세그먼트 방송의 수신에 대응하기 위해, 대용량의 메모리를 구비해야 하는 것이 현상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0FDM 수신 장치에서, 복조 데이터의 디인터리브 처리를 위해 필요로 되는 메모리의 용량을 삭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 중 하나인 OFDM 수신 장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FDM)에 의해 전송되고 있는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는 OFDM 수신 장치로서, 해당 디지털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 수단과, 해당 복조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복조 데이터의 디맵핑을 행하는 디맵핑 수단과, 해당 디맵핑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주파수 디인터리브를 실시하는 주파수 디인터리브 수단과, 해당 디지털 신호에 중첩되어 있는 제어 정보를 소정 시간 지연시키는 지연 수단과, 해당 주파수 디인터리브가 실시된 데이터에 대하여, 해당 지연 수단에 의해 지연시킨 해당 제어 정보에 나타나 있는 인터리브 길이에 기초한 시간 디인터리브를 실시하는 시간 디인터리브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 특징에 의해 전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이 구성과 같이, 디맵핑 수단을 각종 디인터리브 처리의 전단에 배치함으로써, 디맵핑 수단의 후단에서 행해지는 디인터리브 처리에서 필요로 되는 메모리의 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지연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디맵핑 수단의 후단에 주파수 디인터리브 수단을 배치함으로써 발생되는 데이터 지연의 영향이 회피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OFDM 수신 장치에서, 해당 디맵핑에서는, 해당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비트수에서의 연판정이 행해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연판정의 비트수가 제어 정보에 따라서 절환될 수 있으므로, 디인터리브 처리를 위해 필요로 되는 메모리의 용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해당 비트수는, 해당 인터리브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이 때, 해당 비트수는, 해당 제어 정보에 의해 나타나 있는, 서브 캐리어의 변조 방식에 기초하여 결정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혹은, 이 때, 해당 비트수는, 해당 시간 디인터리브 수단에 미리 갖추어지는 메모리 용량 중 해당 시간 디인터리브를 위해 사용되는 양을 제외한 남은 여유량에 따라서 결정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시간 디인터리브를 위해 준비되어 있는 메모리 용량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 수신 성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 중 하나인 OFDM 수신 방법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FDM)에 의해 전송되고 있는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해당 디지털 신호를 복조하고, 해당 복조에 의해 얻어지는 복조 데이터의 디맵핑을 행하고, 해당 디맵핑이 이루어진 데이터에 대하여 주파수 디인터리브를 실시하고, 해당 디지털 신호에 중첩되어 있는 제어 정보를 소정 시간 지연시키고, 해당 주파수 디인터리브가 실시된 데이터에 대하여, 지연시킨 해당 제어 정보에 나타나 있는 인터리브 길이에 기초한 시간 디인터리브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 특징에 의해 전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이와 같이, 디맵핑을 각종 디인터리브 처리 전에 행하도록 함으로써, 디맵핑이 나중에 행해지는 디인터리브 처리에서 필요로 되는 메모리 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정보를 지연시킴으로써, 디맵핑 후에 주파수 디인터리브를 행하도록 함으로써 발생하는 데이터 지연의 영향이 회피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OFDM 수신 방법에 있어서, 해당 디맵핑에서는, 해당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비트수에서의 연판정이 행해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연판정의 비트수가 제어 정보에 따라서 절환될 수 있으므로, 디인터리브 처리를 위해 필요로 되는 메모리 용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해당 비트수는, 해당 인터리브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되도록 구 성해도 된다.
또한, 이 때, 해당 비트수는, 해당 제어 정보에 의해 나타나 있는, 서브 캐리어의 변조 방식에 기초하여 결정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혹은, 이 때, 해당 비트수는, 해당 시간 디인터리브를 위해 미리 준비되는 메모리 용량 중 해당 시간 디인터리브를 위해 사용되는 양을 제외한 나머지 여유량에 따라서 결정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시간 디인터리브를 위해 준비된 메모리 용량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 수신 성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수신기는, ISDB-T에 준거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것이다.
도 1의 구성은, TMCC 오류 정정부(18)로부터 출력되는 TMCC 정보를 지연시키는 1심볼 지연부(19)가 설치된 점에서, 도 6에 나타낸 종래 구성과 상이하다.
도 1에서, OFDM 방식의 디지털 신호로 변조되어 있는 고주파 신호가 안테나(11)에서 수신된다. 수신된 고주파 신호는 튜너(12)에 입력된다. 튜너(12)는 수신할 채널을 선택하고, 선택된 채널의 고주파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고, A/D 변환기(13)에 출력한다. A/D 변환기(13)는, 아날로그 신호인 중간 주파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A/D 변환기(13)의 출력은 직교 복조기(14)에 입력되어서 복소 베이스밴드 신 호로 변환된다. 복소 베이스밴드 신호는, FFT 회로(15)에 의한 고속 푸리에 변환에 의해, 시간 영역 신호로부터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되어, 각 캐리어 데이터가 얻어진다.
그 후, 캐리어 데이터는 등화 처리부(16)에 입력되고, 파일럿 신호의 보간 처리와 그것을 이용한 데이터 캐리어의 등화 처리가 행해지고, 복조 데이터로서 출력된다. 등화 처리부(16)로부터 출력된 복조 데이터는 오류 정정부(17)에 입력되어서 오류 정정 처리가 행해진 후에, TS 형식으로 출력된다.
또한, FFT 회로(15)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캐리어의 일부는 TMCC 오류 정정부(18)에 입력되어서 TMCC 정보에 대한 오류 정정이 행해진다.
1심볼 지연부(19)는, TMCC 오류 정정부(18)로부터 출력되는 TMCC 정보를, 1심볼 분(데이터 캐리어의 변화가 발생하는 최소의 시간 간격분)만큼 지연시킨다.
다음으로 도 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오류 정정부(17)에서 행해지는 오류 정정 처리의 처리 내용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처리 내용은, 디맵핑 처리(21)가 주파수 디인터리브 처리(22) 및 시간 디인터리브 처리(23) 전에 행해지는 점, 디맵핑 처리(21)에 있어서 행해지는 연판정의 비트수를 결정하는 결정 처리(20-1 및 20-2)가 행해지는 점, 결정 처리(20-1)에서 행해지는 결정의 결과가 디맵핑 처리(21)에서 사용되는 점, 결정 처리(20-2)에서 행해지는 결정의 결과가 시간 디인터리브 처리(23)에서 사용되는 점, 1심볼 지연부(19)로부터 출력되는 지연된 TMCC 정보가, 시간 디인터리브 처리(23), 비트 디인터리브 처리(24), 비터비 복호 처리(25), 바이트 디인터리브 처리(26), 및 리드 솔로몬 복호 처리(27)에서 사용되는 점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낸 종래 구성에서의 오류 정정부(107)에서 행해지는 오류 정정 처리의 처리 내용(도 7)과 상이하다.
ISDB-T에서, 고정 수신을 목적으로 한 12세그먼트 방송에서는, 캐리어 변조 방식으로서 64QAM(직교 진폭 변조:Quadrature Anlplitude Modulation)이 이용된다. 이 경우에는, 복조 데이터로서 얻어지는 1심볼당 24비트(I축 방향 및 Q축 방향에서 각각 12비트)의 데이터 정밀도로 후단의 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적어도 24비트의 용량을 가지는 메모리가 디인터리브 처리를 위해 필요로 된다.
이에 대하여, 1세그먼트 방송 및 3세그먼트 방송에서는, 캐리어 변조 방식으로서 64QAM이 사용되지 않고, QPSK(4위상 편이 변조: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DQPSK(차동QPSK: Differential QPSK), 혹은 16QAM이 사용된다. 이 경우, 복조 데이터는 12비트(I축 방향 및 Q축 방향에서 각각 6비트)의 정밀도가 있으면 충분하다.
따라서, 도 2에 있어서의 디맵핑 처리(21)가 등화 처리부(106)로부터 출력되는 복조 데이터를 수취할 때의 데이터의 정밀도를 12비트로 하고, 또한, 결정 처리(20-1 및 20-2)는, 디맵핑 처리(21)에 의한 디맵핑시에 행해지는 연판정(비터비 복호 처리(25)에서의 이득 향상을 위해, 변조 신호의 컨스털레이션에 있어서의 수신 신호와 기준점과의 거리에 따른 정보를 부가하는 판정)에 있어서의 부가 비트수를, 지금부터 설명하는 제1 실시예에서는, TMCC 정보의 내용과는 무관계로 항상 3비트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1세그먼트 방송 및 3세그먼트 방송에 있어서 사용되는 캐리어 변조 방식 중 1심볼당의 정보량이 최대인 16QAM이 사용되었다고 해도, 후단의 각종 디인터리브 처리에서 필요로 되는 메모리의 용량은, 4비트(16QAM에 있어서의 1심볼당 정보량)×3비트 (연판정의 비트수)=12비트로 되게 되고, 처리에 필요한 메모리 용량이 삭감된다.
주파수 디인터리브 처리(22)는, 디맵핑 처리(21)가 실시된 후의 데이터에 대하여, 메모리(22a)를 이용해서 주파수 축방향의 디인터리브를 행한다. 또한, 시간 디인터리브 처리(23)는, 주파수 디인터리브 처리(22)가 실시된 후의 데이터에 대하여, 메모리(23a)를 이용해서 시간 축방향의 디인터리브를 행한다. 또한, 비트 디인터리브 처리(24)는, 시간 디인터리브 처리(23)가 실시된 후의 데이터에 대하여, 메모리(24a)를 이용하고, 비트 단위의 디인터리브를 행한다.
그 후, 비트 인터리브 처리(24)가 실시된 후의 데이터에 대하여, 비터비 복호 처리(25)가 행해진다. 또한, 비터비 복호 처리(25)가 실시된 데이터는, 바이트 단위로 시리얼-페러랠 변환된다. 이 후, 변환 후의 데이터에 대하여, 바이트 인터리브 처리(26)가 메모리(26a)를 이용해서 바이트 단위의 디인터리브를 행한다. 그 후는, 바이트 디인터리브 처리(26)가 실시된 후의 데이터에 대하여, 리드 솔로몬 복호 처리(27)가 행해지고, 오류 정정부(17)에서의 처리가 완료된다.
단, 주파수 디인터리브 처리(22)는, 주파수 축 상의 처리이기 때문에, 디맵핑처리(21) 후에 주파수 디인터리브 처리(22)를 행하면, 1심볼분의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 지연의 영향을 회피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파수 디인터리브 처리(22)보다도 후단의 처리에서는, TMCC 정보가 절환될 때의 절환 타이밍을 합치시키기 위해서, TMCC 오류 정정부(18)로부터 출력되는 TMCC정보를, 1심볼 지연부(19)에서 소정 시간(1심볼 분)지연시킨 뒤 이용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3A 및 도 3B에 대해서 설명한다. ISDB-T에 있어서 규격화되어 있는 각 전송 파라미터와, 각 전송 파라미터로 방송을 수신할 때에 디인터리브 처리를 위해 필요로 되는 메모리 사이즈와의 관계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도 3A는, 1세그먼트 방송에 있어서의 관계를, 사용 가능한 전송 모드별로 나타낸 것이며, 도 3B는, 3세그먼트 방송에 있어서의 관계를, 사용 가능한 전송 모드 별로 나타낸 것이다.
ISDB-T에서, 1세그먼트 방송에서는 1계층 만의 전송이 가능하고, 3세그먼트 방송에서는 1세그멘트(A계층) + 2세그먼트(B계층)로의 2계층에 의한 다중 전송이 가능하다. 도 3A 및 도 3B에 있어서의 "A계층" 및 "B계층"은, 계층 전송에 있어서의 각 계층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A 및 도 3B에 있어서, "IL"은 시간 인터리브 파라미터이며, 시간 인터리브 처리에 있어서의 인터리브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도 3A 및 도 3B에서, "비트수"는, 전술한 연판정의 비트수를 나타내고 있다. 이 연판정은 최저 3비트로 행하면 충분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이 연판정의 비트수를 항상 3비트로 하고 있지만, 지금부터 설명하는 제2 실시예에서는, 디인터리브 처리에 있어서의 사용 메모리량이 적은 전송 파라미터의 경우에는, 남은 메모리 용량을 유효하게 활용해서 성능 향상을 꾀하기 위해, 연판정의 비트수를 최 대 6비트까지 증가시키고 있다.
또한, "사이즈"는, 디인터리브 처리를 위해 필요로 되는 메모리 사이즈를 나타내고 있고, 그 사이즈가 최소로 되는 1세그먼트 방송, 전송 모드 "MODE 3", QPSK사용, 시간 인터리브 파라미터I=1로 하고, 연판정의 비트수를 6비트로 했을 때의 메모리 사이즈를 "1"로 했을 경우를 기준값으로 했을 때의 상대값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제2 실시예에서는, 도 3B에 도시한 3세그먼트 방송에서, "사이즈"가 16을 초과했을 경우, 즉, 서브 캐리어 중 B계층의 캐리어 변조 방식으로서 16QAM이 사용되고 있고, 또한, 시간 인터리브 파라미터가, 그 전송 모드에 있어서의 최장값을 나타내는 값("MODE2"라면 I=4, "MODE3"라면 I=8)으로 되어 있는 경우의 전송 파라미터에 대해서는, "비트수"를, 3비트보다도 적은 2비트로 하고 있다. 또한, 동 도면에 있어서 "비트수"가 "2"로 되어 있는 전송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사이즈" 값은, 연판정을 3비트로 행하는 경우의 값이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디인터리브 처리를 위해 필요로 되는 메모리 사이즈를 2/3로 삭감할 수 있다. 즉, 도 3B에서, 예를 들면 "사이즈"가 "24"로 되어 있는 전송 파라미터에 대해서는, 연판정을 2비트로 행하게 함으로써, "사이즈"는 16으로 된다. 이 결과, 이 전송 모드에 있어서의 성능은 불충분하게 되지만, 1/3세그먼트 수신기를 적은 메모리 용량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성능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는 전송 모드는 방송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고 생각되므로, 실용상 문제로 되는 일은 드물다.
여기에서 도 4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서의 결정 처리(20-1 및 20-2)에서 행해지는, 연판정의 비트수를 결정하는 처리의 처리 내용을 플로우차트로 나타낸 것이다.
우선, S31에서, 수신 중인 신호가 1세그먼트 방송인지 3세그먼트 방송인지가, TMCC 정보에 기초하여(결정 처리(20-2)에서는, 1심볼 지연부(19)에서 지연시킨 TMCC 정보에 기초하여) 판정된다. 이 때, 수신 중인 신호가 1세그먼트 방송이라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S32에서, 연판정의 비트수를 6비트로 결정하고, 그 결정의 결과를 디맵핑 처리(21)와 시간 디인터리브 처리(23)에 통지하는 처리가 행해지고, 그 후에는 이 결정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31에서, 수신 중인 신호가 3세그먼트 방송이라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S33에서, B계층의 캐리어 변조 방식으로서 16QAM이 사용되고 있고, 또한, 시간 인터리브 파라미터가, 그 전송 모드에 있어서의 최장값을 나타내는 값("MODE2"라면 I=4, "MODE3"이라면 I=8)으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TMCC 정보에 기초하여(결정 처리(20-2)에서는, 1심볼 지연부(19)에서 지연시킨 TMCC 정보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여기에서, 이 판정 결과가 "예"이면, S34에서, 연판정의 비트수를 2비트로 결정하고, 그 결정의 결과를 디맵핑 처리(21)와 시간 디인터리브 처리(23)에 통지하는 처리가 행해지고, 그 후에는 이 결정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이 판정 결과가 "아니오"라면, S35에서, 연판정의 비트수를, 시간 디인터리브 처리(23)에 미리 갖추어지는 메모리(23a)의 용량 중 시간 디인터리브를 위해 사용되는 양을 제외한 남은 여유량에 따라서, 3∼6비트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고, 그 결 정의 결과를 디맵핑 처리(21)와 시간 디인터리브 처리(23)에 통지하는 처리가 행해지고, 그 후에는 이 결정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이 제2 실시예에 따르면, TMCC 정보로 나타나 있는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서 연판정의 비트수를 절환함으로써, 디인터리브 처리를 위해 필요로 되는 메모리의 용량을 적게 할 수 있으므로, 1/3세그먼트 수신기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개량·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상과 같이 함으로써, OFDM 수신 장치에서, 복조 데이터의 디인터리브 처리를 위해 필요로 되는 메모리 용량이 삭감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10)

  1.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에 의해 전송되고 있는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는 OFDM 수신 장치로서,
    상기 디지털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 수단과,
    상기 복조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복조 데이터의 디맵핑을 행하는 디맵핑 수단과,
    상기 디맵핑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주파수 디인터리브를 실시하는 주파수 디인터리브 수단과,
    상기 디지털 신호와 중첩되어 있는 제어 정보만을 소정 시간 지연시키는 지연 수단과,
    상기 주파수 디인터리브가 실시된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지연 수단에 의해 지연시킨 상기 제어 정보에 나타나 있는 인터리브 길이에 기초한 시간 디인터리브를 실시하는 시간 디인터리브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FDM 수신 장치.
  2.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에 의해 전송되고 있는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는 OFDM 수신 장치로서,
    상기 디지털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 수단과,
    상기 복조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복조 데이터의 디맵핑을 행하는 디맵핑 수단과,
    상기 디맵핑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주파수 디인터리브를 실시하는 주파수 디인터리브 수단과,
    상기 디지털 신호와 중첩되어 있는 제어 정보를 소정 시간 지연시키는 지연 수단과,
    상기 주파수 디인터리브가 실시된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지연 수단에 의해 지연시킨 상기 제어 정보에 나타나 있는 인터리브 길이에 기초한 시간 디인터리브를 실시하는 시간 디인터리브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디맵핑에서는,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비트수에서의 연판정(軟判定)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FDM 수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수는, 상기 인터리브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FDM 수신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수는, 상기 제어 정보에 의해 나타나 있는, 서브 캐리어의 변조 방식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FDM 수신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수는, 상기 시간 디인터리브 수단에 미리 갖추어지는 메모리 용량 중 상기 시간 디인터리브를 위해 사용되는 양을 제외한 남은 여유량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FDM 수신 장치.
  6.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방식(OFDM)에 의해 전송되고 있는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지털 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복조에 의해 얻어지는 복조 데이터의 디맵핑을 행하고,
    상기 디맵핑이 된 데이터에 대하여 주파수 디인터리브를 실시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와 중첩되어 있는 제어 정보만을 소정 시간 지연시키고,
    상기 주파수 디인터리브가 실시된 데이터에 대하여, 지연시킨 상기 제어 정보에 나타나 있는 인터리브 길이에 기초한 시간 디인터리브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FDM 수신 방법.
  7.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방식(OFDM)에 의해 전송되고 있는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지털 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복조에 의해 얻어지는 복조 데이터의 디맵핑을 행하고,
    상기 디맵핑이 된 데이터에 대하여 주파수 디인터리브를 실시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와 중첩되어 있는 제어 정보를 소정 시간 지연시키고,
    상기 주파수 디인터리브가 실시된 데이터에 대하여, 지연시킨 상기 제어 정보에 나타나 있는 인터리브 길이에 기초한 시간 디인터리브를 실시하고,
    상기 디맵핑에서는,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비트수에서의 연판정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FDM 수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수는, 상기 인터리브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FDM 수신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수는, 상기 제어 정보에 의해 나타나 있는, 서브 캐리어의 변조 방식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FDM 수신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수는, 상기 시간 디인터리브를 위해 미리 준비되는 메모리 용량 중 해당 시간 디인터리브를 위하여 사용되는 양을 제외한 남은 여유량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FDM 수신 방법.
KR20060114618A 2006-05-24 2006-11-20 Ofdm 수신 장치 및 ofdm 수신 방법 KR1008482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44420 2006-05-24
JP2006144420A JP4773882B2 (ja) 2006-05-24 2006-05-24 Ofdm受信装置及びofdm受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085A KR20070113085A (ko) 2007-11-28
KR100848233B1 true KR100848233B1 (ko) 2008-07-24

Family

ID=38823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114618A KR100848233B1 (ko) 2006-05-24 2006-11-20 Ofdm 수신 장치 및 ofdm 수신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12136B2 (ko)
JP (1) JP4773882B2 (ko)
KR (1) KR1008482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20462B2 (en) * 2007-10-01 2011-04-05 Infineon Technologies Ag Amplitude attenuation estimation and recovery systems for OFDM signal used in communication systems
EP2242265B1 (en) * 2008-01-31 2013-04-24 Mediatek Inc. A wireless communication receiver, a wireless communication receiving method and a television receiver
US8498262B2 (en) * 2008-02-13 2013-07-30 Nokia Corporation Digital broadcast receiver capacity signalling metadata
US8873671B2 (en) 2008-03-26 2014-10-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LLR buffer redu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odem
JP5083026B2 (ja) * 2008-05-15 2012-11-28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機、および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
JP5299130B2 (ja) * 2009-07-03 2013-09-25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受信データ処理回路及び受信データ処理切り替え方法
JP5630646B2 (ja) * 2010-10-19 2014-11-26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及びその送信方法、並びに、受信装置
TWI479839B (zh) * 2013-01-18 2015-04-01 Mstar Semiconductor Inc 調校多媒體資料流中軟資料的方法、軟資料解映射器、與多媒體資料流運算系統
US9935646B2 (en) 2015-07-17 2018-04-03 Schweitzer Engineering Laborator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 failure in an analog to digital converter
US9698809B1 (en) * 2016-07-19 2017-07-04 Scweitzer Engineering Laborator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nalog to digital converter failure identification
US9985646B1 (en) 2017-10-18 2018-05-29 Schweitzer Engineering Laboratories, Inc. Analog-to-digital converter verification using quantization noise properties
US10033400B1 (en) 2017-10-18 2018-07-24 Schweitzer Engineering Laboratories, Inc. Analog-to-digital converter verification using quantization noise properti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694A (ko) * 1998-04-08 1999-11-05 구자홍 센서리스 비엘디씨(bldc)모터가 설치된 압축기의 운전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7228B2 (ja) * 2000-04-13 2009-09-30 ソニー株式会社 Ofdm受信装置及び方法
JP3976474B2 (ja) * 2000-05-12 2007-09-19 三洋電機株式会社 Ofdm復調装置
JP2002077095A (ja) 2000-08-31 2002-03-15 Fujitsu Ltd Ofdm復調装置
JP2003078839A (ja) 2001-09-05 2003-03-14 Sanyo Electric Co Ltd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3942392B2 (ja) 2001-09-21 2007-07-11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信号受信装置
JP3607238B2 (ja) * 2001-10-22 2005-01-05 株式会社東芝 Ofdm信号受信システム
JP3883432B2 (ja) 2001-12-18 2007-02-21 富士通株式会社 Ofdm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装置
JP2004214735A (ja) * 2002-12-26 2004-07-29 Sony Corp データ配列変更装置とその方法、ならびに、受信装置および送信装置
JP3987446B2 (ja) 2003-03-18 2007-10-10 富士通株式会社 Ofdm受信装置
TW200607272A (en) 2004-05-11 2006-0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FDM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JP4522197B2 (ja) 2004-08-31 2010-08-11 三洋電機株式会社 受信方法および装置
KR100602255B1 (ko) 2004-11-09 2006-07-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브이비-티와 디에이비 겸용 직교분할대역 수신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694A (ko) * 1998-04-08 1999-11-05 구자홍 센서리스 비엘디씨(bldc)모터가 설치된 압축기의 운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73882B2 (ja) 2011-09-14
US20070288832A1 (en) 2007-12-13
JP2007318330A (ja) 2007-12-06
US7912136B2 (en) 2011-03-22
KR20070113085A (ko) 200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8233B1 (ko) Ofdm 수신 장치 및 ofdm 수신 방법
JP4944942B2 (ja) Ofdm信号の送信方法及び送信装置
JP4337228B2 (ja) Ofdm受信装置及び方法
EP1143678B1 (en) Synchronisation in a multicarrier broadcast receiver
EP1744513B1 (en) Doppler frequency calculating apparatus and method
US9456234B2 (en) Broadcasting signal transmission device, broadcasting signal receptio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using same
KR20100044910A (ko) 신호 송수신 장치 및 신호 송수신 방법
AU3516401A (en) OFDM transmission device and OFDM transmission method
US20140301506A1 (en) Data processing method
US20200389348A1 (en) Apparatus For Demodulating Dual-Mapped QAM Signals With Labeling Diversity To Benefit Bit-Reliability Averaging
KR101514099B1 (ko) 신호 발견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5127813B2 (ja) 放送信号伝送システム、送信装置、受信装置、および放送信号伝送方法
CN101904142B (zh) 供多载波接收机使用的自适应频率插值器
JPH11284597A (ja) Ofdm伝送方式
WO2008147053A1 (en)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ofdm)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for transmismitting and receiving an ofdm symbol having symbols interleaved variably, and methods thereof
JP3650334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4727474B2 (ja) 遅延装置、遅延装置の制御方法、遅延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遅延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011384B2 (ja) ダイバーシティ受信機
JP3917633B1 (ja) デジタル復調装置、その制御方法、デジタル復調装置用プログラム、デジタル復調装置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及びデジタル受信装置
EP1986427A2 (en) Channel list forming method, receiving apparatus, picture display apparatus, sound output apparatus, and reception setting method
JP2003101902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3078839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3101972A (ja) Tmcc復号回路
Bedicks et al. Overview of ISDB-T One-Segment Reception
JP2002026860A (ja) 復調装置及び復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