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7135B1 - 퓨즈박스용 버스바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퓨즈박스용 버스바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7135B1
KR100847135B1 KR1020070027790A KR20070027790A KR100847135B1 KR 100847135 B1 KR100847135 B1 KR 100847135B1 KR 1020070027790 A KR1020070027790 A KR 1020070027790A KR 20070027790 A KR20070027790 A KR 20070027790A KR 100847135 B1 KR100847135 B1 KR 100847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fuse
bus
mounting portion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관
노강석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7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71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8Short-circuiting members for bridging contacts in a counterpart
    • H01R31/085Short circuiting bus-stri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46Enhanced legend space by smaller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퓨즈박스용 버스바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일측에 퓨즈장착부(31)가 상하로 관통하는 하우징(30)의 내부에 상기 퓨즈장착부(31)와 연통되는 버스바안착공간(33)이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안착공간(33)에는 버스바(40)가 구비되는데, 상기 버스바(40)의 하단이 상기 버스바안착공간(33)의 내측면에서 돌출된 걸림턱(38)에 지지된다. 상기 버스바(40)의 하단에는 상기 걸림턱(38)에 확고하게 걸어질 수 있도록 걸림편(4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바안착부가 절개슬릿에 의해 탄성변형되므로 버스바안착공간을 줄일 수 있고, 버스바안착공간에서 버스바의 하단이 지지되므로 상대적으로 하우징과 버스바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재료비가 절감되고 퓨즈박스가 경박단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퓨즈박스, 하우징, 버스바

Description

퓨즈박스용 버스바 장착구조{Bus-bar mounting structure for fuse box}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퓨즈박스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퓨즈박스용 버스바 장착구조를 보인 부분단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퓨즈박스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인 하우징을 보인 부분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하우징 31: 퓨즈장착부
33: 버스바안착공간 34: 버스바장착부
35: 절개슬릿 36: 기저부
37: 자유단부 38: 걸림턱
39: 경사면 40: 버스바
41: 단자부 42: 걸림편
본 발명은 퓨즈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장부품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퓨즈 등이 설치되는 퓨즈박스에 관한 것이다.
퓨즈박스는 여러 전장부품과 관련된 퓨즈를 집합시켜 놓은 것으로, 예를 들면 자동차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각종 전장부품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퓨즈박스의 요부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퓨즈박스용 버스바 장착구조가 부분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퓨즈박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하우징(10)은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는 퓨즈(미도시)가 장착되는 부분인 퓨즈장착부(12)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는 버스바장착부(14)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장착부(14)의 내측면에는 랜스(16)가 상향경사지게 연장형성된다. 상기 랜스(16)는 후술할 버스바(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랜스(16)의 선단에는 걸이턱(18)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버스바(20)가 설치된다. 상기 버스바(20)의 상부에는 상기 퓨즈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20)에는 상기 단자부(21)와 직교하게 연장되는 장착편(22)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편(22)에는 장착홈(23)이 상기 장착편(22)의 측단에서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도 2와 같이, 상기 장착홈(23)에 상기 랜스(16)의 걸이턱(18)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버스바(2)의 장착상태가 유지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버스바(20)의 장착을 위해 하우징(10)의 일측에 버스바장착부(14)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버스바(20)에도 장착편(22)이 연장형성됨으로 인해 하우징(10)과 버스바(20)의 부피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하우징(10)은 사출성형물로서, 내측면에 소형의 랜스(16)를 정확하게 성형하기가 쉽지 않고, 하우징(10) 성형 중에 상기 랜스(16)가 파손될 우려도 있다. 그리고 랜스(16)가 탄성력을 가지기 위해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면에서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하우징과 버스바의 부피를 줄이는 버스바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스바 장착을 위한 구성을 간소화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측에 퓨즈장착부가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퓨즈장착부와 연통되는 버스바안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버스바안착공간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버스바장착부와; 상기 버스바안착공간에 안착되고, 상기 버스바장착부에 의해 하단이 지지되는 버스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버스바장착부는 기저부를 중심으로 자유단부가 탄성변형되며, 상기 버스바장착부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버스바안착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버스바 장착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걸림턱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턱의 선단에는 상기 버스바안착공간의 내부로의 상기 버스바의 삽입을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스바장착부는 양측에 상하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절개슬릿에 의해 탄성변형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스바는 상기 퓨즈장착부에 장착되는 퓨즈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를 상단에 구비하고, 하단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도록 소정 각도로 절곡되는 걸림편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스바장착부의 기저부는 상기 버스바의 단자부 선단에 대응되는 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버스바장착부의 자유단부는 상기 버스바의 단자부 반대쪽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퓨즈박스용 버스바 장착구조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하우징과 버스바의 부피를 줄이므로 재료비가 절감되고 퓨즈박스가 경박단소화된다. 또한, 버스바 장착을 위한 구성이 간소화되므로 제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퓨즈박스용 버스바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퓨즈박스의 요부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인 하우징이 부분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부분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우징(30)은 퓨즈박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것이다. 하우징(30)은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만든다. 상기 하우징(30)의 상하를 관통하여서는 퓨즈장착부(31)가 형성된다. 상기 퓨즈장착부(31)에는 도시되지 않은 퓨즈가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는 버스바안착공간(33)이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안착공간(33)에는 후술할 버스바(40)가 안착된다. 상기 버스바안착공간(33)의 상부는 상기 퓨즈장착부(31)와 연통된다.
상기 버스바안착공간(33)의 내측면에 해당되는 상기 하우징(30)의 하단에는 버스바장착부(34)가 구비된다. 상기 버스바장착부(34)는 상기 버스바안착공간(33)을 넓히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본 실시에에서 상기 버스바장착부(34)의 탄성변형은 절개슬릿(35)에 의해 가능하다. 상기 버스바장착부(34)의 양측에 해당되는 상기 하우징(30)의 하단에는 절개슬릿(35)이 소정길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절개슬릿(35)에 의하여 상기 버스바장착부(34)의 상단은 기저부(36)가 되고, 상기 버스바장착부(34)의 하단은 자유단부(37)가 된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장착부(34)에는 상기 버스바안착공간(33)으로 돌출되는 걸림턱(38)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38)은 후술할 버스바(40)의 하단을 지지한다.상기 걸림턱(38)의 선단에는 버스바(40)의 삽입을 안내하는 경사면(39)이 형성된다. 즉, 상기 경사면(39)은 상기 버스바(40)가 상기 버스바안착공간(33)으로 삽입될 때 상기 걸림턱(38)의 선단을 부드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버스바(40)는 상기 퓨즈장착부(31)에 삽입되는 퓨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버스바(40)는 금속재질의 판형상이다. 상기 버스바(40)의 상단에는 각각의 퓨즈들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부(41)가 형성된다. 상기 단자부(41)는 상기 퓨즈장착부(31)와 버스바안착공간(33)의 연통부위를 통해서 상기 퓨즈장착부(31)에 노출됨으로써 상기 퓨즈들과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40)의 하단은 상기 걸림턱(38)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스바(40)의 하단에 걸림편(4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편(42)은 상기 버스바(40)의 하단이 소정폭만큼 절개되고 상기 걸림턱(38)을 향하여 소정각도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편(42)은 상기 버스바(40)가 걸림턱(38)에 의해 확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퓨즈박스용 버스바 장착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버스바(40)를 상기 버스바안착공간(33)에 안착시킨다. 즉, 상기 버스바(40)의 단자부(41)로부터 상기 버스바안착공간(33)에 삽입시킨다. 상기 버스바(40)의 삽입과정에서 상기 버스바(40)의 걸림편(42)이 버스바장착부(34)의 걸림턱(38)을 타고 넘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편(42)이 상기 걸림턱(38)에 가하는 힘에 의하여 상기 버스바장착부(34)의 자유단(37)이 그 기저부(36)를 기준으로 상기 버스바안착공간(33)의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버스바장착부(34)가 탄성변형된다. 상기 버스바장착부(34)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걸림편(42)이 상기 걸림턱(38)을 완전히 타고 넘어 상기 걸림편(42)의 하단이 상기 걸림턱(38)에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 기 버스바(40)의 하단 즉, 상기 걸림편(42)이 상기 걸림턱(38)에 지지되어 상기 버스바(40)가 상기 버스바안착공간(33)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상기 버스바(40)가 상기 버스바안착공간(33)에 장착되면, 상기 버스바(40)의 단자부(41)가 상기 퓨즈장착부(31)로 노출되어 상기 퓨즈장착부(31)에 삽입되는 퓨즈(미도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버스바(40)에 걸림편(42)을 형성하여 버스바(40)가 걸림턱(38)에 용이하게 걸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나, 반드시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해야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버스바(40)에 걸림편(42)을 형성하지 않고, 걸림턱(38)을 더욱 돌출시켜 상기 버스바(40)의 하단이 걸림턱(38)에 걸어질 수 있도록만 되어도 무방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퓨즈박스의 퓨즈장착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내부인 버스바안착공간에서 버스바의 하단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즉, 버스바의 하단이 버스바안착공간의 내부로 돌출되는 걸림턱에 걸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버스바장착부가 절개슬릿에 의해 탄성변형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걸림턱의 돌출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에 서 상기 버스바안착공간을 이 차지하는 부분을 줄일 수 있게 되어 하우징의 부피를 줄여 전체적으로 퓨즈박스가 경박단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같은 하우징와 버스바의 측면 결합구성을 제거할 수 있다. 즉, 버스바를 장착하기 위하여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으며, 버스바에서도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착편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재료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버스바를 장착하기 위한 구성으로 버스바안착부에 버스바의 하단을 지지하는 걸림턱을 돌출되게 형성하면 되므로 상대적으로 구성이 간소화되어 제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일측에 퓨즈장착부가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퓨즈장착부와 연통되는 버스바안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버스바안착공간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버스바장착부와;
    상기 버스바안착공간에 안착되고, 상기 버스바장착부에 의해 하단이 지지되는 버스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박스용 버스바 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장착부는 기저부를 중심으로 자유단부가 탄성변형되며, 상기 버스바장착부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버스바안착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버스바장착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걸림턱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박스용 버스바 장착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선단에는 상기 버스바안착공간의 내부로의 상기 버스바의 삽입을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박스용 버스바 장착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장착부는 양측에 상하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절개슬릿에 의해 탄성변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박스용 버스바 장착구조.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퓨즈장착부에 장착되는 퓨즈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를 상단에 구비하고, 하단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도록 소정 각도로 절곡되는 걸림편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박스용 버스바 장착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장착부의 기저부는 상기 버스바의 단자부 선단에 대응되는 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버스바장착부의 자유단부는 상기 버스바의 단자부 반대쪽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박스용 버스바 장착구조.
KR1020070027790A 2007-03-21 2007-03-21 퓨즈박스용 버스바 장착구조 KR100847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790A KR100847135B1 (ko) 2007-03-21 2007-03-21 퓨즈박스용 버스바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790A KR100847135B1 (ko) 2007-03-21 2007-03-21 퓨즈박스용 버스바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7135B1 true KR100847135B1 (ko) 2008-07-18

Family

ID=39824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790A KR100847135B1 (ko) 2007-03-21 2007-03-21 퓨즈박스용 버스바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71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2536A (ja) 1996-09-12 1998-04-10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スバー及び該バスバーを用いた分岐接続構造
JPH1094142A (ja) 1996-09-12 1998-04-10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2536A (ja) 1996-09-12 1998-04-10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スバー及び該バスバーを用いた分岐接続構造
JPH1094142A (ja) 1996-09-12 1998-04-10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3849B2 (ja) 電気接続箱
JP5420994B2 (ja) 電気接続箱
KR200436537Y1 (ko) 박스의 브라켓결합구조
KR100847135B1 (ko) 퓨즈박스용 버스바 장착구조
KR20090111705A (ko) 차량용 박스
JP2017036753A (ja) 支持部材
JP2007080686A (ja) 端子台
KR20120039990A (ko) 차량용 박스의 부품블록 결합장치
KR100998972B1 (ko) 릴레이 지지구 장착 호환성을 구비한 릴레이 소켓
KR20220088042A (ko) 리어홀더 및 커넥터
KR100783163B1 (ko) 정션박스
KR100804279B1 (ko) 박스의 커버장착구조
KR20090006791U (ko) 벌브홀더
KR100933542B1 (ko) 조립형 퓨즈박스
KR20080022424A (ko) 파워커넥터 및 그 퓨즈교환방법
CN112262510A (zh) 电连接箱
KR100955051B1 (ko) 벌브홀더
KR100907539B1 (ko) 퓨즈박스 용 버스바 고정구조
KR100944013B1 (ko) 박스
KR100955057B1 (ko) 차량용 박스
KR100719326B1 (ko) 터미널하우징
KR100874971B1 (ko)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럭 결합구조
KR100922156B1 (ko) 차량용박스
KR20090001733U (ko) 멀티브라켓장치
KR20150019654A (ko) 이중 결합구조를 가진 전장부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