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422B1 - 호이스트를 이용한 기중방법 - Google Patents

호이스트를 이용한 기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422B1
KR100846422B1 KR1020080010088A KR20080010088A KR100846422B1 KR 100846422 B1 KR100846422 B1 KR 100846422B1 KR 1020080010088 A KR1020080010088 A KR 1020080010088A KR 20080010088 A KR20080010088 A KR 20080010088A KR 100846422 B1 KR100846422 B1 KR 100846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main wire
hooks
wire drum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현
Original Assignee
(주)동아 에이치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아 에이치아이 filed Critical (주)동아 에이치아이
Priority to KR1020080010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4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6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having several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25Motor operated winches
    • B66D2700/0166Winches with multiple drums or with drums with multiple parts of different dia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3Ho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이스트를 이용한 기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후크가 달린 와이어를 권취한 주와이어드럼과, 이의 주와이어드럼을 보조하기 위한 전후단에 호크를 갖는 보조와이어드럼부를 구비하여 각각의 후크에 장착된 중량물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중량물을 이송시킬 수 있고 아울러 중량물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주와이어드럼(110)에 권취된 주와이어(116)와 좌,우측용와이어(117,118)를 풀기 위한 방향으로 주와이어드럼(110)을 구동시키도록 모터(113)를 구동하는 단계; 와
상기 모터의 구동단계와 동시에 주와이어드럼(110)의 종동기어(112)와 물림된 제1,2동력전달용기어(1414,142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제1,2보조와이어드럼부(1410,1420)의 제1,2보조와이어드럼(1416,1426)이 상기 주와이어드럼(11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권취된 제1,2보조와이어(1411,1421)의 동시적인 풀림단계; 와
상기 주와이어드럼(110)에 권취된 주와이어(116)와, 좌,우측용와이어(117,118) 및 제1,2보조와이어드럼부(1410,1420)의 제1,2보조와이어드럼(1416,1426)에 권취된 제1,2보조와이어(1411,1421)가 길게 풀어지면 각각의 일단에 연결된 후크(115)와, 좌,우측용후크(117a,118a) 및 제1,2보조후크(1412,1422)로 중량물의 무게 중심부분과, 전,후단 및 좌,우측을 각각 매단 다음 상기한 주와이어드럼(110)에 권취된 주와이어(116)와 좌,우측용와이어(117,118)를 풀기 위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주와이어드럼(110)을 구동시키도록 모터(113)를 구동하는 단계; 와
상기 모터의 구동과 동시에 주와이어드럼(110)이 상기한 주와이어드럼(110)에 권취된 주와이어(116)와 좌,우측용와이어(117,118)를 풀기 위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2동력전달용기어(1414,1424)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은 제1,2보조와이어드럼부(1410,1420)의 제1,2보조와이어드럼(1416,1426)이 회전하여 풀어져 있던 주와이어(116)와, 좌,우측용와이어(117,118) 및 제1,2보조와이어(1411,1421)가 각각 주와이어드럼(110)과 제1,2보조와이어드럼(1416,1426)에 점진적으로 감겨지게 됨으로써, 상기 후크(115)와, 좌우측용 후크(117a,118a) 및 제1,2보조후크(1412,1422)에 매달린 중량물이 상승하는 단계; 와
상기 후크(115)와, 좌우측용 후크(117a,118a) 및 제1,2보조후크(1412,1422)에 매달린 중량물이 원하는 지점까지 상승하고 나면 미도시된 컨트롤부를 조작하여 주드럼용브레이크(130)를 구동시키는 단계; 와
상기 주드럼용브레이크(130)의 구동으로 주와이어드럼(110)의 역회전을 방지한 상태에서 중량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상기 모터(113)를 구동시키게 되면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후크(115)와, 좌우측용 후크(117a,118a) 및 제1,2보조후크(1412,1422)에 매달린 중량물이 이동하는 단계를 거친 후 상기와 같이 상기 후크(115)와, 좌우측용 후크(117a,118a) 및 제1,2보조후크(1412,1422)에 매달린 중량물이 원하는 위치로 이동되고 나면, 상기 모터(113)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주드럼용브레이크(130)에 전원을 인가한 후, 상기 모터(113)를 재구동시킴으로써 상기 후크(115)와, 좌우측용 후크(117a,118a) 및 제1,2 보조후크(1412,1422)에 매달린 중량물을 원하는 위치로 보다 안전하게 운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를 이용한 기중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호이스트, 후크, 드럼, 와이어

Description

호이스트를 이용한 기중방법{LIFTING METHOD USING HOIST APPARATUS}
본 발명은 호이스트를 이용한 기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크가 달린 와이어를 권취한 주와이어드럼과, 이의 주와이어드럼을 보조하기 위한 전후단에 호크를 갖는 보조와이어드럼을 구비하여 각각의 후크에 장착된 중량물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중량물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호이스트를 이용한 기중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호이스트는 창고 또는 철도역 등에서 중량물을 들어 운반하거나 공장에서의 기계분해 또는 조립시 중량물을 들어올려 운반하기 위해 사용된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호이스트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호이스트 장치(10)는 레일(미도시)을 따라 이동하는 미도시된 본체에 모터(1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모터(11)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축(12)은 모터(11)의 회전수를 감속시키는 감속기(13)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감속기(13)내 에 설치된 최종감속기와 고정된 축(14)은 와이어드럼(15)과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감속기(13)의 일측에는 후크(17)에 매달린 중량물의 무게에 의해 상기 와이어드럼(15)이 역회전하는 것을 구속시키기 위한 드럼용브레이크(16)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드럼(15)에 감겨진 와이어(17)를 길게 푼 상태에서 후크 (18)에 중량물을 매단 다음 모터(11)를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모터(11)의 회전수가 감속기(13)에 의해 감속되어 와이어드럼(15)을 서서히 회전시키게 되므로 풀어져 있던 와이어(17)가 와이어드럼(15)에 점진적으로 감겨지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후크(18)에 매달린 중량물이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후크(18)에 매달린 중량물이 원하는 지점까지 상승하고 나면 미도시된 컨트롤부를 조작하여 드럼용브레이크(16)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므로 드럼용브레이크(16)의 패드(A)가 축(12)에 고정된 회전체(19)인 드럼용브레이크 휠의 측면을 가압하게 되므로 와이어드럼(15)의 회전을 강제적으로 중단시킴과 동시에 중량물의 이동간에 와이어드럼(15)의 역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드럼용브레이크(16)의 구동으로 와이어드럼(15)의 역회전을 방지한 상태에서 본체의 구동원인 모터(11)를 회전시키면 본체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후크(18)에 매달린 중량물이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후크(18)에 매달린 중량물이 원하는 위치로 이동되고 나면, 본체의 모터(11)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드럼용브레이크(16)에 전원을 인가하여 회전체를 가압하고 있던 패드의 가압상태를 해제한 다음 모터(110)가 구동하게 되 므로 와이어드럼(15)에 감겨져 있던 와이어(17)가 풀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후크(18)에 매달린 중량물을 원하는 위치로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일반적인 호이스트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시키고자 하는 중량물을 단일의 와이어로 매달림시켜 이동시키게 되므로 본체가 최초 이동되거나 이동중에 멈춤되어 지면, 상기 와이어에 매달린 중량물은 관성의 법칙에 의해 진행방향에 대하여 전후 흔들림이 발생하게 된다.
그로 인하여 상기 흔들리는 중량물에 의해 작업자가 다치게 되는 경우가 왕왕 발생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흔들리는 중량물이 다른 물체와 부딪쳐 중량물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후크가 달린 와이어를 권취한 주와이어드럼과, 이의 주와이어드럼을 보조하기 위한 전후단에 호크를 갖는 보조와이어드럼부를 구비하여 각각의 후크에 장착된 중량물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중량물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호이스트를 이용한 기중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크가 달린 와이어를 권취한 주와이어드럼과, 이의 주와이어드럼을 보조하기 위한 전후단에 호크를 갖는 보조와이어드럼부를 구비하여 각각의 후크에 장착된 중량물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량물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호이스트를 이용한 기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와이어드럼(110)에 권취된 주와이어(116)와 좌,우측용와이어(117,118)를 풀기 위한 방향으로 주와이어드럼(110)을 구동시키도록 모터(113)를 구동하는 단계; 와 상기 모터의 구동단계와 동시에 주와이어드럼(110)의 종동기어(112)와 물림된 제1,2동력전달용기어(1414,142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제1,2보조와이어드럼부(1410,1420)의 제1,2보조와이어드럼(1416,1426)이 상기 주와이어드럼(11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권취된 제1,2보조와이어(1411,1421)의 동시적인 풀림단계; 와 상기 주와이어드럼(110)에 권취된 주와이어(116)와, 좌,우측용와이어(117,118) 및 제1,2보조와이어드럼부(1410,1420)의 제1,2보조와이어드럼(1416,1426)에 권취된 제1,2보조와이어(1411,1421)가 길게 풀어지면 각각의 일단에 연결된 후크(115)와, 좌,우측용후크(117a,118a) 및 제1,2보조후크(1412,1422)로 중량물의 무게 중심부분과, 전,후단 및 좌,우측을 각각 매단 다음 상기한 주와이어드럼(110)에 권취된 주와이어(116)와 좌,우측용와이어(117,118)를 풀기 위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주와이어드럼(110)을 구동시키도록 모터(113)를 구동하는 단계; 와 상기 모터의 구동과 동시에 주와이어드럼(110)이 상기한 주와이어드럼(110)에 권취된 주와이어(116)와 좌,우측용와이어(117,118)를 풀기 위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2동력전달용기어(1414,1424)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은 제1,2보조와이어드럼부(1410,1420)의 제1,2보조와이어드럼(1416,1426)이 회전하여 풀어져 있던 주와이어(116)와, 좌,우측용와이어(117,118) 및 제1,2보조와이어(1411,1421)가 각각 주와이어드럼(110)과 제1,2보조와이어드럼(1416,1426)에 점진적으로 감겨지게 됨으로써, 상기 후크(115)와, 좌우측용 후크(117a,118a) 및 제1,2보조후크(1412,1422)에 매달린 중량물이 상승하는 단계; 와 상기 후크(115)와, 좌우측용 후크(117a,118a) 및 제1,2보조후크(1412,1422)에 매달린 중량물이 원하는 지점까지 상승하고 나면 미도시된 컨트롤부를 조작하여 주드럼용브레이크(130)를 구동시키는 단계; 와 상기 주드럼용브레이크(130)의 구동으로 주와이어드럼(110)의 역회전을 방지한 상태에서 중량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상기 모터(113)를 구동시키게 되면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후크(115)와, 좌우측용 후크(117a,118a) 및 제1,2보조후크(1412,1422)에 매달린 중량물이 이동하는 단계를 거친 후 상기와 같이 상기 후크(115)와, 좌우측용 후크(117a,118a) 및 제1,2보조후크(1412,1422)에 매달린 중량물이 원하는 위치로 이동되고 나면, 상기 모터(113)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주드럼용브레이크(130)에 전원을 인가한 후, 상기 모터(113)를 재구동시킴으로써 상기 후크(115)와, 좌우측용 후크(117a,118a) 및 제1,2 보조후크(1412,1422)에 매달린 중량물을 원하는 위치로 보다 안전하게 운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를 이용한 기중방법을 제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를 이용한 기중방법에 따르면, 후크가 달린 와이어를 권취한 주와이어드럼과, 이의 주와이어드럼을 보조하기 위한 전후단에 호크를 갖는 보조와이어드럼부를 구비하여 각각의 후크에 장착된 중 량물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중량물을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장치에 따르면, 후크가 달린 와이어를 권취한 주와이어드럼과, 이의 주와이어드럼을 보조하기 위한 전후단에 호크를 갖는 보조와이어드럼부를 구비하여 각각의 후크에 장착된 중량물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량물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를 이용한 기중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가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면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은 모터의 구동에 대응되게 회전되는 주와이어드럼의 전후에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보조와이어드럼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중량물 이동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음을 밝혀 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위와 같은 기본적인 개념을 갖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호이스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호이스트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이용되는 호이스트장치(100)는, 하우징(111)에 내설되어 종동기어(112)를 갖는 모터(113)의 축(11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외주면에는 중량물을 걸 수 있도록 후크(115)를 갖는 주와이어(116)가 권취되어 구비되는 주와어이드럼(110)과, 상기 주와이어드럼(110)의 일단에 하우징(111)에 고정 연결되어 상기 모터(113)의 회전수를 감속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감속부(120)와, 상기 감속부(120)의 일측에 연결되어 중량물의 무게에 의해 상기 주와이어드럼(110)이 역회전하는 것을 구속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주드럼용브레이크(130)와, 상기 하우징(111)에 고정 연결되어 상기 모터(113)의 축(114) 상에 고정 설치된 종동기어(112)와 기어물림 되어 상기 주와이어드럼(110)과 동일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됨에 따른 중량물을 걸어 이동시 상기 중량물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보조와이어드럼부(14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주와이어드럼(110)은 중량물이 좌우 유동됨을 방지가능하도록 좌,우측용 후크(117a,118a)가 연결된 좌,우측용주와이어(117,118)가 권취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보조와어어드럼부(140)는 상기 주와이어드럼(110)과 동일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전,후단 한 쌍으로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호이스트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이용되는 호이스트장치(100)의 주와이어드럼(110)은, 종동기어(112)를 갖는 모터(113)의 축(114)을 내측으로 관통시켜 상기 모터(113)의 구동에 대응되게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주와이어드럼(110)는 분할용 돌기벽(110a)에 의해 분할되어 중량물의 좌측과 우측을 각각 걸 수 있는 좌,우측용후크(117a,118a)를 각각 갖는 좌,우측용 주와이어(117,118)가 권취되어 구비된다.
즉, 상기 주와이어드럼(110)의 중앙부에는 일단에 중량물을 걸 수 있는 후크(115)를 갖는 주와이어(116)가 권취되어 있으며, 상기 주와이어(116)의 좌,우측에는 중량물을 좌,우측에서 좌,우측용후크(117a,118a)로 걸어 좌,우측으로 상기 중량물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좌,우측용와이어(117,118)가 권취되어 구비된다.
상기 감속부(120)는 상기 주와이어드럼(110)의 일단 즉, 모터(113)가 연결되는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113)의 구동시 그 회전수를 감속시켜 보다 안정되게 중량물을 승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주드럼용브레이크(130)는, 후크(115)에 걸림되는 중량물의 무게에 의해 상기 주와이어드럼(110)이 역회전하는 것을 구속시키기 위해 상기 감속부(120)의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보조와이어드럼부(140)는, 상기 종동기어(112)와 기어 물림되게 상기 주와이어드럼(110)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각각 구비되어 중량물의 전방부와 후방부 를 각각 걸 수 있도록 제1,2보조와이어(1411,1421)에 연결된 제1,2보조후크(1412,1422)를 갖는 제1보조와이어드럼부(1410)와 제2보조와이어드럼부(1420)로 구비된다.
즉, 상기 제1,2보조와이어드럼부(1410,1420)는, 상기 하우징(111)에 각각 고정 연결되는 보조하우징(1413,1423)에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상기 종동기어(112)와 기어물림되는 제1,2동력전달용기어(1414,1424)와, 상기 제1,2동력전달용기어(1414,1424)와 물림되는 제1,2보조피동기어(1415,1425)를 갖추어 상기 하우징(1413,1423)에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그 외주면에는 제1,2보조후크(1412,1422)를 갖는 제1,2보조와이어(1411,1421)가 권취되어 구비되는 제1,2보조와이어드럼(1416,1426)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호이스트를 이용한 기중방법에 의하면, 중량물을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와이어드럼(110)이 권취된 주와이어(116)와 좌,우측용와이어(117,118)를 풀기 위한 방향으로 주와이어드럼(110)을 구동시키도록 모터(113)를 구동하는 단계; 와 상기 모터의 구동단계와 동시에 주와이어드럼(110)의 종동기어(112)와 물림된 제1,2동력전달용기어(1414,142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제1,2보조와이어드럼부(1410,1420)의 제1,2보조와이어드럼(1416,1426)이 상기 주와이어드럼(11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권취된 제1,2보조와이어(1411,1421)의 동시적인 풀림단계; 와 상기 주와이어드럼(110)에 권취된 주와이어(116)와, 좌,우측용와이어(117,118) 및 제1,2보조와이어드럼부(1410,1420)의 제1,2보조와이어드럼(1416,1426)에 권취된 제1,2보조와이어(1411,1421)가 길게 풀어지면 각각의 일단에 연결된 후크(115)와, 좌,우측용후크(117a,118a) 및 제1,2보조후크(1412,1422)로 중량물의 무게 중심부분과, 전,후단 및 좌,우측을 각각 매단 다음 상기한 주와이어드럼(110)이 권취된 주와이어(116)와 좌,우측용와이어(117,118)를 풀기 위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주와이어드럼(110)을 구동시키도록 모터(113)를 구동하는 단계를 거친다. 한편 상기 모터(113)의 회전수는 감속부(120)에 의해 안정되게 감속되어 주와이어드럼(110)을 서서히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모터의 구동과 동시에 주와이어드럼(110)이 상기한 주와이어드럼(110)이 권취된 주와이어(116)와 좌,우측용와이어(117,118)를 풀기 위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2동력전달용기어(1414,1424)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은 제1,2보조와이어드럼부(1410,1420)의 제1,2보조와이어드럼(1416,1426)이 회전하여 풀어져 있던 주와이어(116)와, 좌,우측용와이어(117,118) 및 제1,2보조와이어(1411,1421)가 각각 주와이어드럼(110)과 제1,2보조와이어드럼(1416,1426)에 점진적으로 감겨지게 됨으로써, 상기 후크(115)와, 좌우측용 후크(117a,118a) 및 제1,2보조후크(1412,1422)에 매달린 중량물이 상승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또한, 상기 후크(115)와, 좌우측용 후크(117a,118a) 및 제1,2보조후크(1412,1422)에 매달린 중량물이 원하는 지점까지 상승하고 나면 미도시된 컨트롤부를 조작하여 주드럼용브레이크(130)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한편, 상기 주드럼용브레이크(130)의 작동으로 주와이어드럼(110)의 회전은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중에 역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주드럼용브레이크(130)의 구동으로 주와이어드럼(110)의 역회전을 방지한 상태에서 중량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상기 모터(113)를 구동시키게 되면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후크(115)와, 좌우측용 후크(117a,118a) 및 제1,2보조후크(1412,1422)에 매달린 중량물이 이동하는 단계를 거친 후 상기와 같이 상기 후크(115)와, 좌우측용 후크(117a,118a) 및 제1,2보조후크(1412,1422)에 매달린 중량물이 원하는 위치로 이동되고 나면, 상기 모터(113)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주드럼용브레이크(130)에 전원을 인가한 후, 상기 모터(113)를 재구동시킴으로써 상기 후크(115)와, 좌우측용 후크(117a,118a) 및 제1,2보조후크(1412,1422)에 매달린 중량물을 원하는 위치로 보다 안전하게 운반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방적인 호이스트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호이스트장치 110 ; 주와어이드
120 ; 감속부 130 ; 주드럼용브레이크
140 ; 보조와이어드럼부

Claims (4)

  1. 호이스트를 이용한 기중방법에 있어서,
    주와이어드럼(110)에 권취된 주와이어(116)와 좌,우측용와이어(117,118)를 풀기 위한 방향으로 주와이어드럼(110)을 구동시키도록 모터(113)를 구동하는 단계; 와
    상기 모터의 구동단계와 동시에 주와이어드럼(110)의 종동기어(112)와 물림된 제1,2동력전달용기어(1414,142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제1,2보조와이어드럼부(1410,1420)의 제1,2보조와이어드럼(1416,1426)이 상기 주와이어드럼(11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권취된 제1,2보조와이어(1411,1421)의 동시적인 풀림단계; 와
    상기 주와이어드럼(110)에 권취된 주와이어(116)와, 좌,우측용와이어(117,118) 및 제1,2보조와이어드럼부(1410,1420)의 제1,2보조와이어드럼(1416,1426)에 권취된 제1,2보조와이어(1411,1421)가 길게 풀어지면 각각의 일단에 연결된 후크(115)와, 좌,우측용후크(117a,118a) 및 제1,2보조후크(1412,1422)로 중량물의 무게 중심부분과, 전,후단 및 좌,우측을 각각 매단 다음 상기한 주와이어드럼(110)에 권취된 주와이어(116)와 좌,우측용와이어(117,118)를 풀기 위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주와이어드럼(110)을 구동시키도록 모터(113)를 구동하는 단계; 와
    상기 모터의 구동과 동시에 주와이어드럼(110)이 상기한 주와이어드럼(110)에 권취된 주와이어(116)와 좌,우측용와이어(117,118)를 풀기 위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2동력전달용기어(1414,1424)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은 제1,2보조와이어드럼부(1410,1420)의 제1,2보조와이어드럼(1416,1426)이 회전하여 풀어져 있던 주와이어(116)와, 좌,우측용와이어(117,118) 및 제1,2보조와이어(1411,1421)가 각각 주와이어드럼(110)과 제1,2보조와이어드럼(1416,1426)에 점진적으로 감겨지게 됨으로써, 상기 후크(115)와, 좌우측용 후크(117a,118a) 및 제1,2보조후크(1412,1422)에 매달린 중량물이 상승하는 단계; 와
    상기 후크(115)와, 좌우측용 후크(117a,118a) 및 제1,2보조후크(1412,1422)에 매달린 중량물이 원하는 지점까지 상승하고 나면 미도시된 컨트롤부를 조작하여 주드럼용브레이크(130)를 구동시키는 단계; 와
    상기 주드럼용브레이크(130)의 구동으로 주와이어드럼(110)의 역회전을 방지한 상태에서 중량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상기 모터(113)를 구동시키게 되면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후크(115)와, 좌우측용 후크(117a,118a) 및 제1,2보조후크(1412,1422)에 매달린 중량물이 이동하는 단계를 거친 후 상기와 같이 상기 후크(115)와, 좌우측용 후크(117a,118a) 및 제1,2보조후크(1412,1422)에 매달린 중량물이 원하는 위치로 이동되고 나면, 상기 모터(113)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주드럼용브레이크(130)에 전원을 인가한 후, 상기 모터(113)를 재구동시킴으로써 상기 후크(115)와, 좌우측용 후크(117a,118a) 및 제1,2 보조후크(1412,1422)에 매달린 중량물을 원하는 위치로 보다 안전하게 운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를 이용한 기중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113)의 회전수는 감속부(120)에 의해 안정되게 감속되어 주와이어드럼(110)을 서서히 회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를 이용한 기중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드럼용브레이크(130)의 작동으로 주와이어드럼(110)의 회전은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중에 역회전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를 이용한 기중방법.
  4. 삭제
KR1020080010088A 2008-01-31 2008-01-31 호이스트를 이용한 기중방법 KR100846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088A KR100846422B1 (ko) 2008-01-31 2008-01-31 호이스트를 이용한 기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088A KR100846422B1 (ko) 2008-01-31 2008-01-31 호이스트를 이용한 기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6422B1 true KR100846422B1 (ko) 2008-08-06

Family

ID=39880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088A KR100846422B1 (ko) 2008-01-31 2008-01-31 호이스트를 이용한 기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4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187B1 (ko) 2019-06-26 2019-12-02 (주)인암 다용도 핸드 호이스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990Y1 (ko) 2000-08-21 2001-09-13 주식회사 고려호이스트 더블후크형 에어 호이스트
KR200284753Y1 (ko) 2002-04-23 2002-08-13 나우테크 주식회사 전동식 와이어 호이스트
KR200341232Y1 (ko) 2003-11-25 2004-02-11 반도종공 주식회사 호이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990Y1 (ko) 2000-08-21 2001-09-13 주식회사 고려호이스트 더블후크형 에어 호이스트
KR200284753Y1 (ko) 2002-04-23 2002-08-13 나우테크 주식회사 전동식 와이어 호이스트
KR200341232Y1 (ko) 2003-11-25 2004-02-11 반도종공 주식회사 호이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187B1 (ko) 2019-06-26 2019-12-02 (주)인암 다용도 핸드 호이스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1070B1 (ko)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CN109835813B (zh) 一种便于远程操控的港口集装箱起重机
KR100846422B1 (ko) 호이스트를 이용한 기중방법
KR100833049B1 (ko) 호이스트장치
TWI311979B (ko)
KR20160025833A (ko) 천정 크레인
KR100723643B1 (ko)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JP2017095237A (ja) 荷役機械の非常ブレーキシステム
KR102115587B1 (ko) 투드럼 호이스트
JPS6038318B2 (ja) 岸壁荷役クレ−ン
CN210620101U (zh) 一种轻质墙板用吊板装置
CN107226418A (zh) 起重机吊具防摇摆机构
CN202657880U (zh) 起重机的吊钩和抓斗两用卷扬控制装置
CN2176357Y (zh) 万向钢绳吊运机
JP7337645B2 (ja) 制御システムおよびクレーン
RU2552785C1 (ru) Мобильная лебедка
KR200208147Y1 (ko) 와이어 로프 윈치
JP3470801B2 (ja) 吊具旋回振れ止め装置
JP4190621B2 (ja) ロール吊具
CN116692687B (zh) 一种桥门式起重机的起升机构
CN220502498U (zh) 一种铝合金装饰件吊装机构
JP2018043822A (ja) アンカー装置およびアンカー装置の制御方法
CN218261669U (zh) 一种建筑工程中的机电吊装设备
JP7291912B2 (ja) 制御システムおよびクレーン
CN212050236U (zh) 一种航车吊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