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278B1 - 표시 패널을 갖는 표시 장치 및 그 분해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패널을 갖는 표시 장치 및 그 분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278B1
KR100846278B1 KR20070038475A KR20070038475A KR100846278B1 KR 100846278 B1 KR100846278 B1 KR 100846278B1 KR 20070038475 A KR20070038475 A KR 20070038475A KR 20070038475 A KR20070038475 A KR 20070038475A KR 100846278 B1 KR100846278 B1 KR 100846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member
chassis
display panel
panel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38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4269A (ko
Inventor
노부요시 곤도
다까시 사사끼
Original Assignee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4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52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8Dielectric or insulating 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1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gas discharg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02Vessels; Containers; Shields associated therewith; Vacuum locks
    • H01J5/08Vessels; Containers; Shields associated therewith; Vacuum locks provided with coatings on the walls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50Repairing or regenerating used or defective discharge tubes or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0Glass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글래스제 표시 패널과 섀시를 점착 부재로 접착해서 이루어지는 평면 표시 장치에서, 점착 부재로 점착된 패널과 섀시를, 염가로 또한 용이하게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패널의 점착 부재 측의 면에 박막 기술 또는 후막 기술 등에 의해 도체층을 성막하고, 패널-점착 부재 간, 또는 섀시-점착 부재 간에 존재하는 점착제 계면을 직접 가열함으로써, 특수하고 고가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패널과 섀시를 분리한다.
섀시, 점착 부재, 표시 패널, 가열열, 분리, 계면, 점착력

Description

표시 패널을 갖는 표시 장치 및 그 분해 방법{DISPLAY DEVICE HAVING DISPLAY PANEL AND DISASSEMBL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PDP의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PDP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일반적인 PDP의 모듈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일반적인 PDP의 모듈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시하는 사시도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점착 부재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PDP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PDP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면판
2 : 배면판
3 : 패널
4 : X 구동 회로
5 : Y 구동 회로
6 : 어드레스 구동 회로
7 : 섀시
8 : 점착 부재
9 : 도전체층
10 : 전원 회로
11 : X 전극
12 : Y 전극
15 : 어드레스 전극
17 : 격벽
18∼20 : 형광체
21 : 제어 회로
22 : 플렉시블 배선
40 : 도체층 부착 패널
41 : 전류 입구
42 : 전류 출구
43 : 패턴 변곡점
44 : 절연층
45 : 발열 시트
81 : 베이스재
82 : 점착제
83 : 기재
84 : 강한 점착면
85 : 약한 점착면
86 : 점착력이 강한 점착 부재
[특허 문헌1] 일본 특개 2002-123187호 공보
[특허 문헌2] 일본 특개 2004-6172호 공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주로 글래스로 구성되는 평면 패널과, 이 패널을 접착·유지하는 섀시 등으로 구성되는 평면 표시 장치에서, 양자의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장치의 구조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의 평면형 표시 장치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들의 표시부(패널)는 주로 글래스로 구성되어 있고, 강도 확보와 방열 등을 목적으로, 글래스 이외의 예를 들면 금속 등으로 만들어진 섀시에 부착되어 있다. 한편, 최근의 환경 보호의 관점으로부터, 폐기·해체 시에는 재질마다의 분별 회수가 필요해지고 있다. 본 발명의 대상으로 되는 평면 표시 장치, 특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와 같이 1변이 1m을 초과하는 대형의 표시 장치의 분별 회수에서는, 패널과 섀시의 분리 방법이 큰 과제로 된다.
이 과제를 해결하는 기술의 하나로서, 특허 문헌1에는, 점착 부재 내에 발열체를 넣어서 발열시켜, 점착층의 온도를 높여서 점착력을 저감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2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표시 영역의 봉착 부재에 발열하는 열선을 설치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점착 부재 내에 발열체를 넣은 특수 구조의 부재가 필요해서, 부재 비용이 고가로 된다. 또한, 필요한 것은 점착 부재와 패널 또는 섀시 계면에 존재하는 점착제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인데도, 가열원인 발열체가 열전도성이 나쁜 점착 부재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쌍방의 점착제 계면을 동시에 가열한다라고 하는 효율이 나쁜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비표시 영역의 봉착 부재에 발열하는 열선을 설치하는 구조로는, 충분한 발열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문제 해결의 수단은, 패널의 점착 부재 측의 면에 도전체층을 성막하고, 이 도전체층을 발열시킴으로써, 패널과 점착 부재의 계면에 있는 점착제의 점착력을 약하게 해서 패널과 점착 부재를 포함하는 섀시를 분리하는 것이다.
도전체층은, 진공 증착이나 스퍼터링 등의 박막 기술이나, 도체 페이스트나 저항 페이스트 등을 인쇄·소성하는 후막 기술 등에 의해 성막된다. 이 막은 글래스와의 밀착력이 강하여, 마치 글래스와 일체인 듯한 강도를 갖기 때문에 그 피막 을 의도하지 않고, 종래의 패널 단체만의 경우와 하등 다를 바 없이 취급할 수 있다. 게다가, 후막 기술로 만들어진 막의 경우에는, 표면이 거칠기 때문에 점착 부재와의 접착성이 좋아서, 패널과 점착층을 직접 접착시킨 경우 이상의 강고한 점착력을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이들 막은 두께가 얇기 때문에 도체 재료이어도 적당한 패터닝과 막 두께를 선택함으로써, 임의의 저항값을 갖게 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서 최적의 저항값 즉 가열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 1로부터 도 4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를 일례로 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PDP의 패널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글래스로 구성되는 전면판(1)에는 반복 방전을 행하는 X 전극(11), Y 전극(12)이 병행하여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 전극군은 유전체층(13)으로 피복되어 있고, 또한 그 표면은 MgO 등의 보호층(14)으로 피복되어 있다. 전면판과 마찬가지로 글래스로 구성되는 배면판(2)에는 X 전극(11), Y 전극(12)과 거의 수직 방향으로 어드레스 전극(15)이 배치되어 있고, 또한 유전체층(16)으로 피복되어 있다. 어드레스 전극(15)의 양측에는 격벽(17)이 배치되어, 열방향의 셀을 구분하고 있다. 또한 어드레스 전극(15) 상의 유전체층(16) 및 격벽(17)의 측면에는 자외선에 의해 여기되어서 적(R), 녹(G), 청(B)의 가시광을 발생하는 형광체(18, 19, 20)가 도포되어 있다. 이 전면판(1)과 배면판(2)을 보호층(14)과 격벽(17)이 접하도록 접합하고, Ne, Xe 등의 방전 가스를 봉입하여, 패널(3)을 구성한다.
도 3은 일반적인 PDP의 모듈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PDP의 패널(3)의 배면판(2)의 배면에 형성된 섀시(7)에는 X 전극(11)에 전압을 인가하는 X 구동 회로(4), Y 전극(12)에 전압을 인가하는 Y 구동 회로(5), 어드레스 전극(15)에 전압을 인가하는 어드레스 구동 회로(6), 구동 회로의 전원 회로(10),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21)로 구성된다.
도 4은 일반적인 PDP의 모듈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패널(3)은 그 배면판(2)의 측에서 점착 부재(8)에 의해, 섀시(7)에 접착되어 있다. 점착 부재에는, 탄성이 있는 예를 들면 아크릴 폼의 기재에 접착제 등의 점착제를 도포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도 4에 본 발명을 적용한 PDP의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와 마찬가지의 부재에 대해서는 번호나 존재는 생략했다. 패널(3)은 점착 부재(8)에 의해 섀시(7)에 접착되는데, 패널(3)-점착 부재(8)의 계면(30)에는 도전체층 또는 절연층과 발열 시트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섀시(7)-점착 부재(8) 사이(31)에는 절연층과 발열 시트가 형성되어 있다. 본 도면은 본 발명의 원리를 나타내는 것으로,참조 부호 30, 31의 쌍방에 도전체층 또는 발열체와 같은 부재의 존재를 제시하고 있지만, 이것은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한 것으로, 실시 시에는 참조 부호 30, 31의 어느 한 쪽에만 전술한 부재가 존재하면 된다.
실제로 패널과 섀시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참조 부호 30, 31 중 어느 하나를 발열시켜서 점착 부재(8)과의 계면의 온도를, 점착력이 저하하는 섭씨 180도까지 상승시킨다. 이 상태에서 패널과 섀시에 잡아떼는 힘을 가하면, 양자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참조 부호 30의 측에 도전체층을 형성한 것에 상당한다. (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체층(9)이 패널(3)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외부로부터 부여하는 발열용 전류의 공급 단자의 표시는 생략하지만,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도전체층(9)의 바로 앞방향으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흐르도록 공급한다.
도전체층(9)을, 점착 부재의 점착력을 저하할 수 있는 약 180도의 온도까지 발열시키기 위해서, 도전체층(9)의 재질은, 외부로부터 부여하는 전류에 의해 발열하기 쉬운 니크롬·카본 등의 저항율이 큰 도체가 바람직하지만, 금·은·구리·알루미늄 등의 저항율이 낮은 도체이어도 된다.
도전체층(9)의 형성은, 융점이 높은 니크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진공 증착이나 스퍼터링에 의한 박막 프로세스에 의해 수십∼수백㎛의 두께로 성막하는 것이 최적이다. 또한, 저항율이 낮은 금·은·구리·알루미늄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막 두께를 수∼수십㎛로 얇게 해서 저항을 높이기 쉬운 진공 증착이나 스퍼터링에 의한 박막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항율이 높은 카본을 사용하면, 수백㎛의 두께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작업성이 좋은 카본 페이스트를 사용한 후막 프로세스의 사용이 최적이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저항율이 낮은 금·은·구리 등이어도, 도포 패턴을 궁리함으로써, 도체 페이스트를 사용한 후막 프로세스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설명한 진공 증착이나 스퍼터링에 의한 박막 프로세스나 후막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된 도전체층과 패널 부재인 글래스와의 밀착력은, 점착 부재의 그것과 비교해서 매우 강하기 때문에, 실용상은 글래스와 도전체층은 일체 형성된 것으로 생각해도 지장이 없고, 본 실시예에서 형성된 도전체층 첨부 패널(40)은, 종래의 패널과 마찬가지의 취급 방법을 사용해서 PDP 모듈을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에 쓸데없는 수고를 들이지 않는다는 특징도 갖는다. 도 5의 (b)는 그 완성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모듈에 있어서 패널과 섀시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도시하지 않은 전류 공급 단자로부터 전류를 공급해서 도체층을 발열시켜, 점착 부재와의 계면 온도를 점착 부재의 점착력이 저하하는 약 180도까지 상승시킨 후, 패널과 섀시를 잡아떼서 행한다.
또한, 본 예와 같이 도 1의 참조 부호 30의 측에 도전체층을 형성한 경우에는, 패널의 열전도도가 낮기 때문에, 열전도가 좋은 금속제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은 섀시 측의 참조 부호 31의 위치에 형성한 경우보다도, 효율적인 가열이 가능하다.
[실시예 2]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술한 예를 더 발전시킨 것이다. (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부여하는 전류를 줄여도 (그 만큼 인가하는 전압은 증가하지만) 도전체층(9)이 발열할 수 있도록, 패터닝해서 전류 경로 길이를 길게 한 도전체층 첨부 패널(40)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본 예에서는, 전류는 단자(41)로부터 참조 부호 42를 향해서 흐른다. 이 경우에는, 패터닝하지 않고 아래로부터 위로 전류를 흘리는 경우에 비해서 도체폭이 1/13, 도체 연장이 약 7배로 되므로, 저항값이 약 90배(=13배*약 7), 즉 전류값을 약 1/90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패턴의 변곡점(43)은 전류 집중이 발생하기 쉬운 형상이기 때문에, 발열을 균일화시키기 위해서 (b)과 같이 둥글게 된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모듈에 있어서 패널과 섀시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단자(41)로부터 참조 부호 42를 향해서 전류를 공급해서 도전체층을 발열시켜, 점착 부재와의 계면 온도를 점착 부재의 점착력이 저하하는 약 180도에까지 상승시킨 후, 패널과 섀시를 잡아떼서 행한다.
[실시예 3]
도 7은, 섀시 측에 절연층과 발열 시트를 형성한다고 하는 본 발명의 다른 수단의 실시예이다. 본 수단은, 타사 구입 등에 의해, 패널 측에 발열을 위한 도전체층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등에 사용하는 것으로, 도 1의 참조 부호 31측의 위치에 절연층과 발열 시트를 형성한 경우에 상당한다. 점착 부재(8)에 접하고, 섀시(7)와의 사이에 절연층(44)을 갖는 발열 시트(45)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점착력의 저하가 필요한 계면만을 직접 가열·온도 상승시키므로, 점착력이 효율적으로 저하하여, 용이하게 패널과 섀시를 분리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점착 부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에서, 점착 부재(8)는 베이스재(81)과 그 양면에 형성된 점착제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재(81)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 폼이 이용되고, 점착제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에스테르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아크릴산 에스테르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점착제가 사용된다. 베이스재(81)의 사용에 의해, 박막 형상의 점착 부재(8)에 일정한 강도를 부가할 수가 있어,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해 가열 시의 점착력의 저하가 가능하다.
[실시예 5]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PDP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5에서는, 표리에서 점착력이 서로 다른 점착 부재를 이용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9에서, 패널(3)과 점착 부재(8)와 도전체층(9)과 섀시(7)로 구성되는 PDP의 점착 부재(8)는, 기재(83)와 강한 점착면(84)과 약한 점착면(85)으로 구성되어 있다. 패널(3)과 점착 부재(8)는 강한 점착면(84)에서 강고하게 접착되어 있지만, 섀시(7)에 형성된 도전체층(9)에 약한 점착면(85)이 면하도록 배치되므로, 도전체층(9)의 발열에 의해, 도전체층(9)에 면한 약한 점착면(85)의 점착력이 저하해서 패널(3)과 섀시(7)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6]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PDP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6에서는,패널의 장소에 있어서 도전체층(9)의 발열 밀도를 변화시키는 점에 특징이 있다. 패널(3)과 섀시(7)를 점착할 때, 그 주변부는 박리되기 쉽기 때문에, 주변부의 점착 부재의 점착력을 중심부보다 강하게 하는 경우가 있다. 강한 점착력을 갖는 점착 부재는 보다 강하게 가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주변부에 배치된 강한 점착력을 갖는 점착 부재를 보다 강하게 가열하기 위해서, 주변부에서의 도전체층(9)의 발열 밀도나 온도가 높게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패널(3)의 중앙부에는, 통상의 점착 부재(8)가 배치되고, 주변부인 패널(3)의 좌우에는 점착력이 강한 점착 부재(86, 86)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점착력이 강한 점착 부재(86, 86)의 배치에 대응하여, 섀시(7)에 배치되는 도전체층(9)의 밀도가 좌우의 주변부에서는 밀하고, 중앙부에서는 성기게 되도록 배치된다.
패널(3)의 중앙부의 통상의 점착 부재(8)에는 통상의 밀도의 도전체층(9)이 대응하고, 패널(3)의 좌우의 점착력이 강한 점착 부재(86, 86)에는, 밀도가 높은 도전체층(9)이 대응하는 것에 의해, 패널의 전체면에 걸쳐, 균등하게 점착 부재의 점착력의 저하를 도모할 수 있어, 대형의 PDP 패널의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각 실시예에서는,PDP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PDP에 한하지 않고, 액정 표시 패널, EL 표시 패널 등의 다른 대형의 표시 패널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주로 글래스로 구성된 표시 패널 및 금속으로 구성된 섀시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표시 패널 및, 섀시의 재료는 글래스, 금속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재료의 평면 패널 및 섀시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각 실시예에서는, 표시 패널의 서로 다른 구조, 점착 부재의 서로 다른 구성 및 배치, 도전체층의 서로 다른 구조 및 배치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들 개개의 실시예의 구조, 구성, 및 배치 등을 서로 조합하여, 대형 표시 패널의 분리에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단을 구비한 평면 표시 장치에서, 폐기 등에서 글래스와 섀시의 분리를 위해 열의 발생이 필요하게 된 경우에는, 상기 도전체층에 전류를 인가·발열시킴으로써, 점착 부재의 패널측을 직접 가열·온도 상승시키므로, 계면 즉 점착제의 점착력이 효율적으로 저하하여, 용이하게 패널과 섀시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섀시 측에 발열 시트를 형성한다고 하는 본 발명의 다른 수단에 따르면, 타사 구입 등으로, 패널 측에 발열을 위한 도전체층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도, 점착력의 저하가 필요한 계면만을 직접 가열·온도 상승시키므로, 점착력이 효율적으로 저하하여, 용이하게 패널과 섀시를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가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점착력의 저하가 필요한 면만을 직접 가열·온도 상승시키므로 점착력이 효율적으로 저하하여, 용이하게 패널과 섀시를 분리할 수 있다.

Claims (10)

  1.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측에 배치된 섀시와,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섀시를 점착 유지하는 점착 부재를 갖는 평면 표시 장치로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점착 부재측의 면에 도전체층을 성막하거나, 혹은, 상기 점착 부재에 접해서 상기 패널과 상기 섀시의 사이에 절연층과 발열 시트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층을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스퍼터 혹은 진공 증착에 의해 성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와 상기 점착 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절연층과 상기 발열 시트를 그 순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층 또는 상기 발열 시트는, 도체 또는 저항체를 박막 프로세스, 후막 프로세스, 또는, 페이스트의 도포·건조 프로세스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층 또는 상기 발열 시트는, 직사각 형상 혹은 지그재그 형상의 형태로 패터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재는, 베이스재와 그 양면에 형성된 점착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재는, 기재와 그 양면에 형성된 강한 점착면 및 약한 점착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약한 점착면에 면하여 상기 도전체층 또는 상기 발열 시트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중앙부에 점착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주변부에 점착력이 강한 점착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도전체층 또는 상기 발열 시트가, 상기 중앙부의 점착 부재에 면하여 성기게 배치되고, 상기 점착력이 강한 점착 부재에 면하여 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표시 장치.
  9.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측에 배치된 섀시와,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섀시를 점착 유지하는 점착 부재를 갖는 평면 표시 장치의 분해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점착 부재측의 면에 성막한 도전체층에 통전해서 상기 도전체층을 발열시키고, 이 열에 의해 상기 점착 부재와 피점착 부재의 계면의 점착력을 저하시켜서, 상기 섀시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을 분리하는 평면 표시 장치의 분해 방법.
  10.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측에 배치된 섀시와,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섀시를 점착 유지하는 점착 부재를 갖는 평면 표시 장치의 분해 방법으로서,
    상기 점착 부재에 접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섀시 사이에 형성된 절연층을 갖는 발열 시트를 발열시키고, 이 열에 의해 상기 점착 부재와 피점착 부재의 계면의 점착력을 저하시켜서 상기 섀시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을 분리하는 평면 표시 장치의 분해 방법.
KR20070038475A 2006-04-20 2007-04-19 표시 패널을 갖는 표시 장치 및 그 분해 방법 KR1008462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16289A JP2007286527A (ja) 2006-04-20 2006-04-20 表示パネルを有する表示装置およびその解体方法
JPJP-P-2006-00116289 2006-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269A KR20070104269A (ko) 2007-10-25
KR100846278B1 true KR100846278B1 (ko) 2008-07-16

Family

ID=38515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38475A KR100846278B1 (ko) 2006-04-20 2007-04-19 표시 패널을 갖는 표시 장치 및 그 분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247807A1 (ko)
EP (1) EP1852887A2 (ko)
JP (1) JP2007286527A (ko)
KR (1) KR100846278B1 (ko)
CN (1) CN10106005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157B1 (ko) * 2008-02-28 2009-05-1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CN102332231B (zh) * 2011-10-26 2013-02-06 中国兵器工业集团第二一四研究所苏州研发中心 厚膜印刷电路板混合集成led平板显示器工艺制作方法
CN102522285B (zh) * 2011-12-30 2014-08-27 四川虹欧显示器件有限公司 等离子显示屏中玻璃基板与软接线的分离方法及装置
CN102522289B (zh) * 2011-12-30 2014-12-17 四川虹欧显示器件有限公司 等离子显示屏中前基板与后基板的分离方法及装置
KR102125464B1 (ko) * 2013-10-17 2020-06-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이방성 도전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07884B1 (ko) 2018-01-05 2023-03-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분리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윈도우 분리 방법
CN207939941U (zh) * 2018-03-27 2018-10-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显示面板的散热装置和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3187A (ja) * 2000-10-17 2002-04-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5315939A (ja) * 2004-04-27 2005-1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3187A (ja) * 2000-10-17 2002-04-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5315939A (ja) * 2004-04-27 2005-1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47807A1 (en) 2007-10-25
JP2007286527A (ja) 2007-11-01
CN101060054A (zh) 2007-10-24
EP1852887A2 (en) 2007-11-07
KR20070104269A (ko) 200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278B1 (ko) 표시 패널을 갖는 표시 장치 및 그 분해 방법
US793177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plasma display device
JP2006178477A (ja)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
WO2007007396A1 (ja) ガラス製パネルを有する表示装置およびその分離方法
US20090033225A1 (en) Circuit board connection structure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3690907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23356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製造方法
KR20080003890A (ko) 글래스제 패널을 갖는 표시 장치 및 그 분리 방법
JP4007233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4007235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WO2002091339A1 (en) Method of producing plasma display devices
JP2002123187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4007232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H05266801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697438B1 (ko)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극을 가지는 방전램프 및 그 제조방법
JP2005315939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4007236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4492225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解体方法
JP2005208190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98452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エージング方法
JP2004309545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4007234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製造方法
JP2009092813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3223850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0527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