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496B1 - 캡이 부착된 콜릿 및 콜릿용 캡 - Google Patents

캡이 부착된 콜릿 및 콜릿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496B1
KR100845496B1 KR1020010084366D KR20010084366D KR100845496B1 KR 100845496 B1 KR100845496 B1 KR 100845496B1 KR 1020010084366 D KR1020010084366 D KR 1020010084366D KR 20010084366 D KR20010084366 D KR 20010084366D KR 100845496 B1 KR100845496 B1 KR 100845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collet
cap
sealing member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4366D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미네쯔요시
쿠보하루아키
Original Assignee
빅알파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빅알파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빅알파 카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17Retention by friction only, e.g. using springs, resilient sleeves, t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20Longitudinally-split sleeves, e.g. collet chucks
    • B23B31/201Characteriz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 B23B31/202Details of the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24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 B23B31/30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using fluid-pressure means in the chuck
    • B23B31/305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using fluid-pressure means in the chuck the gripping means is a deformable slee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15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by supplying a cutting liquid through the spindle
    • B23Q11/1023Tool holders, or tools in general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the cutting liquid from the spind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7Socket type
    • Y10T279/17111Fluid-conduit drill ho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7Socket type
    • Y10T279/17384Socket type with means to exclude contaminants; e.g., seal, shiel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7Socket type
    • Y10T279/17411Spring biased jaws
    • Y10T279/17478Spring biased jaws with means to exclude contaminants; e.g., seal, shiel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34Accessory or component
    • Y10T279/3493Protection means; e.g., cover, seal, overstress prevention, air bla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44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with means to apply transient, fluent medium to work or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44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with means to apply transient, fluent medium to work or product
    • Y10T408/46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with means to apply transient, fluent medium to work or product including nozz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중심구멍에 공구의 생크를 삽입해서 파지하고, 상기 공구에 유체를 공급하는 공구홀더에 장착되는 캡이 부착된 콜릿으로서, 상기 공구의 생크가 삽입되는 콜릿 본체, 상기 콜릿 본체의 공구삽입측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공구를 관통시키는 캡, 및 상기 공구홀더와 캡사이에 배치되어, 양자사이를 밀폐하는 밀봉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콜릿 본체는 적어도 공구삽입측으로부터 형성된 슬릿과 공구선단측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캡에 결합되는 피결합부를 보유하며,
상기 캡은 상기 콜릿 본체의 피결합부에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콜릿 본체의 공구 삽입측 끝면을 덮는 커버부를 보유하는 캡이 부착된 콜릿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캡이 부착된 콜릿 및 콜릿용 캡{CAPPED COLLET AND COLLET CAP}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1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을 공구홀더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단면도이다.
도2는 도1에 나타낸 콜릿의 측면도이다.
도3은 도2에 나타낸 콜릿의 평면도이다.
도4는 도1의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콜릿의 측면도이다.
도6은 도5에 나타낸 콜릿의 평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콜릿의 측면도이다.
도8은 도7에 나타낸 콜릿의 평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을 공구홀더에 장착한 상태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을 공구홀더에 장착한 상태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을 공구홀더에 장착한 상태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을 공구홀더에 장착한 상태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을 공구홀더에 장착한 상태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을 공구홀더에 장착한 상태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을 공구홀더에 장착한 상태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을 공구홀더에 장착한 상태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의 일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의 일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1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을 다른 공구홀더에 장착한 상태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2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을 공구홀더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단면도이다.
도21은 도20에 나타낸 콜릿의 측면도이다.
도22는 도21에 나타낸 콜릿의 평면도이다.
도2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3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을 공구홀더에 장착 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단면도이다.
도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을 공구홀더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단면도이다.
도2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3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을 다른 공구홀더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2 : 캡이 부착된 콜릿 10,50 : 콜릿본체
11 : 캡 12,31,32,34,37,39,42,46 : 밀봉부재
13,14,52,53 : 슬릿 15,33,35,38,40,44,47,55 : 환형홈
22 : 커버부 23 : 부착부
26,27,28,29 : 유체유출부 60 : 밀봉부재
61 : 환형홈 100,111,130,140 : 공구
101,120 : 공구홀더
본 발명은, 공작기계 등의 주축에 장착되는 공구홀더에 삽입되어 공구를 유지하는 캡이 부착된 콜릿 및 콜릿에 설치되는 캡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선반, 볼반, 프라이스반 등의 공작기계에 있어서, 드릴, 엔드밀 등의 공구를 유지하는 홀더의 일부로서 콜릿이 사용되고 있다.
이 콜릿은, 통상, 공구의 생크가 삽입되는 콜릿 본체와, 상기 콜릿 본체에 형성되는 슬릿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공구는, 공작물을 가공(절삭)할 때에 발생하는 열을 억제하기 위해서, 연속적으로 냉각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가공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 윤활을 행하기도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서는, 일반적으로, 수용성 냉각제나 기름이나 미스트, 세미드라이 등의 절삭액(냉각용 유체)을 공구에 공급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 공구로의 절삭액의 공급방법으로서는, 예컨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관통구멍이 형성된 공구를 사용하여, 이 관통구멍에 절삭액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공구를 냉각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의 경우, 콜릿본체에 형성된 슬릿으로부터 절삭액이 유출하지 않도록, 슬릿의 소정 위치에 봇둑재를 설치하거나, 또는 콜릿본체의 기단측(공구삽입측과는 반대측)에 밀봉기구를 해서 공구의 관통구멍에 효율적으로 절삭액이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공구를 사용하는 경우는, 통상, 콜릿본체에 형성된 슬릿을 이용하여, 콜릿과 이것을 파지하는 공구사이에 절삭액을 공급함으로써, 공구를 냉각하는 방법도 있다.
상기 공구의 관통구멍에 절삭액을 통과시킴으로써 공구를 냉각하는 방법을 행하는 경우, 봇둑재를 슬릿에 삽입하는 데에 번거롭다. 또한, 공구를 파지하기 위해서 콜릿본체가 수축했을 때에, 슬릿에서 봇둑재가 쉽게 빠져나가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콜릿본체의 기단측에 밀봉기구를 설치한 콜릿은, 공구에 따른 여러가지 방법으로 절삭액을 공급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콜릿 본체에 형성된 슬릿을 이용하여 절삭액을 공구에 공급하는 방법으로는, 콜릿본체에 삽입되는 공구의 지름에 따라서 슬릿율의 지름방향의 단면적이 변화되기 때문에, 이것에 따라서 절삭액의 속도가 변화되어 버린다. 그 결과, 항상 공구의 소망위치에 절삭액을 효율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어렵게 될 우려가 있다. 특히, 고압으로 공급하더라도 고속회전시에는, 그 원심력으로 절삭액이 공구의 절삭날끝에 도달하기 전에 분산되어 버릴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콜릿 및 콜릿에 부착되는 캡을 개량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며, 콜릿에 파지되는 공구에 따라서, 상기 공구에, 적절한 유속, 유량, 유출방향으로 냉각용 유체를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양호한 냉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캡이 부착된 콜릿 및 콜릿에 부착되는 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중심구멍에 공구의 생크를 삽입하여 파지하여, 상기 공구에 유체를 공급하는 공구홀더에 장착되는 캡이 부착된 콜릿으로서, 상기 공구의 생크가 삽입되는 콜릿본체와, 상기 콜릿본체의 공구삽입측에 착탈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공구를 관통시키는 캡과, 상기 공구홀더와 캡사이에 배치되어, 양자사이를 밀폐하는 밀봉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콜릿본체는, 적어도 공구삽입측으로부터 형성된 슬릿과 공구선단측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캡에 결합되는 피결합부를 보유하며, 상기 캡은 상기 콜릿본체의 피결합부에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콜릿본체의 공구삽입측끝면을 덮는 커버부를 보유하는 캡이 부착된 콜릿을 제공한다.
이 구성을 갖춘 콜릿은, 캡의 착탈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공구홀더와 캡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공구의 급유형태, 냉각용 유체의 소정 유량, 유속, 유출방향등, 여러가지의 조건에 따른 형상의 캡으로 교환함으로써,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피결합부는, 상기 콜릿본체의 공구삽입측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형홈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캡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콜릿본체에 형성된 환형홈에 끼워맞춰지는 환형돌기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은, 상기 캡의 커버부와 공구사이에 형성된 간극으로부터 상기 유체를 유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간극의 사이즈나 형상 등을 조절함으로써, 유체의 유량, 유속, 유출방향 등을 임의로 결정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은, 상기 캡의 커버부에 상기 유체를 유출시키는 유체유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체유출부의 형성위치, 사이즈, 형상 등을 조절함으로써, 유체의 유량, 유속, 유출방향 등을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은, 상기 캡의 커버부와 공구사이를 밀폐하는 밀봉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공구에 형성된 관통구멍으로부터 상기 유체를 유출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유체를 공구에 형성된 관통구멍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유출시킬 수 있다.
상기 캡의 커버부와 공구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밀봉부재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해 밀폐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압의 유체를 공급한 경우라도, 높은 밀봉성이 얻어지고, 상기 유체를 공구의 관통구멍으로부터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은, 스트레이트 콜릿, 또는 테이퍼 콜릿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중심구멍에 공구의 생크를 삽입하여 파지하여, 상기 공구에 유체를 공급하는 공구홀더에 장착되는 콜릿의 공구삽입측에 부착되는 캡으로, 상기 콜릿의 피결합부에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콜릿의 공구선단측 끝면을 덮는 커버부와, 상기 공구홀더와 캡사이에 배치되어, 양자사이를 밀폐하는 밀봉부재를 구비하는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구성을 갖춘 캡은, 콜릿으로부터 분리 할 수 있다. 따라서, 공구의 급유형태, 냉각용 유체의 소정유량, 유속, 유출방향 등 여러가지의 조건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된 캡을 사용함으로써, 콜릿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캡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콜릿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형홈에 끼워맞춰지는 환형돌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캡은, 커버부와 공구사이에 형성된 간극으로부터 상기 유체를 유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캡은, 커버부에 상기 유체를 유출시키는 유체 유출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캡은, 커버부와 공구사이를 밀폐하는 밀봉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면, 상기 공구에 형성된 관통구멍으로부터 상기 유체를 유출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커버부와 공구사이를 밀폐하는 밀봉부재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해 밀폐도를 증가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에 나타낸 실시의 형태에서는, 공구가 삽입되는 쪽을 「선단측」이라고하며, 그 반대측을 「기단측」이라고 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1)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1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을 공구홀더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단면도, 도2는, 도1에 나타낸 콜릿의 측면도, 도3은, 도2에나타낸 콜릿의 평면도, 도4는, 도1의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도1∼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1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1)은, 스트레이트 콜릿이며, 중심구멍(20)에 공구(100)의 생크를 삽입하여 파지하는 콜릿본체(10)와, 콜릿본체(10)의 선단측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고 공구(100)를 관통시키는 캡(11)과, 공구홀더(101)와 캡(11) 사이에 배치되며, 양자사이를 밀폐하는 밀봉부재(1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콜릿본체(10)는, 선단측으로부터 축방향으로 형성된 슬릿(13)과, 기단측으로부터 축방향으로 형성되며, 또한 인접한 슬릿(13)끼리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14) 과, 선단부에 설치되며, 뒤에 상술하는 캡(11)에 형성되는 환형돌기(21)가 결합되며, 또한 밀봉부재(12)가 배치되는 환형홈(15)과, 슬릿(13)의 기단측에 형성된 구멍부(1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슬릿(13)은, 서로 같은 각도(실시의 형태1에서는 120°)를 두고, 총 3개 형성되어 있다. 슬릿(14)도 마찬가지로 서로 같은 각도를 두고 총 3개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13,14)이 형성된 콜릿본체(10)는, 탄성변형을 동반한 지름의 확축에 의해, 공구(100)의 생크를 해방하거나 파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이 탄성변형에 의한 콜릿본체(10)의 축경은, 콜릿본체(10)의 선단에 캡(11)을 부착하기 쉽게 하며, 캡(11)을 부착한 후에 확경함으로써, 콜릿본체(10)로부터 캡 (11)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구멍부(16)는, 모든 슬릿(13)의 기단측에 슬릿(13)과 연통해서, 콜릿본체 (10)의 반경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이 구멍부(16)는, 통상, 콜릿본체(10)의 지름이 확축할 때에 따른 응력 등을 완화하기 위해서 형성되는 것이다.
환형홈(15)은, 특히 도4에 나타내듯이, 밀봉부재(12)가 삽입되는 제1의 환형홈(17)과, 제1의 환형홈(17)의 선단측에 연통하고, 캡(11)의 환형돌기 (21)가 결합하는 제2의 환형홈(18)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의 환형홈(17)은, 제2의 환형홈(18)보다 약간 깊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의 환형홈(17)의 깊이는, 밀봉부재(12)의 사이즈나 형상 등에 의해서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캡(11)은, 콜릿본체(10)의 선단면을 덮는 커버부(22)와, 커버부(22)에 연속하여 형성되며, 콜릿본체(10)의 제2의 환형홈(18)에 결합하는 환형돌기(21)를 갖춘 부착부(2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커버부(22)의 대략 중앙부에는, 공구(100)를 관통시키는 관통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24)은, 공구(100)를 관통시켰을 때에, 공구(100)와의 사이에 냉각용 유체를 공구(100)의 소망위치(예컨대, 선단)를 향해 유출시키는 것이 가능한 간극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밀봉부재(12)는, O링으로 이루어지며, 제1의 환형홈(17)에 삽입·배치되어 공구홀더(101)의 내주면과 캡(11)사이를 밀폐한다.
상기 캡이 부착된 콜릿(1)이 장착되는 공구홀더(101)는, 공구홀더본체(102)와, 공구홀더본체(102)의 선단측 외주면에, 니들롤러(103)를 통해 외부에서 끼워지는 체결용 회전통(104)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공구홀더본체(102)는, 공작기계 등의 주축(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되는 테이퍼생크부(105)와, 이 테이퍼생크부(105)의 대경측단부에 형성된 척위치 결정용의 플랜지부(106)와, 플랜지부(106)로부터 공구홀더본체(102)의 선단측으로 동축일체로 돌출되게 설치된 척통(107)을 구비하고 있다. 척통(107)에는, 선단측으로부터 축방향으로 형성된 슬릿(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척통(107)은, 상기 슬릿에 의해, 탄성변형을 따른 지름의 확축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니들롤러(103)는, 축받이(108)에 유지되어, 체결용 회전통(104)과 척통(107)사이에 배치된다. 이 니들롤러(103)는, 체결용 회전통(104)을 회전시킴으로써 척통 (107)의 외주면(107a)에 대하여 나선상으로 공전하며, 그것에 의하여 척통 (107)을 탄성적으로 축경시켜, 캡이 부착된 콜릿(1)을 고정하게 되어 있다.
이 구성을 갖춘 캡이 부착된 콜릿(1)에 공구(100)를 삽입부착 하기 위해서는, 공구홀더(101)에 유지된 캡이 부착된 콜릿(1)의 선단측으로부터 공구(100)의 생크를 삽입한다. 다음에, 니들롤러(103)를 통해, 체결용 회전통(104)을 공구홀더본체(102)에 대하여 회전시켜, 척통(107)을 탄성적으로 축경시켜서 콜릿본체(10)를 탄성적으로 축경시키고, 이것에 의하여 공구(100)의 생크를 체결한다.
상기 상태에 있어서, 공구홀더(101)를 회전시켜, 공구(100)에 의해서 공작물의 가공을 할 때, 캡이 부착된 콜릿(1)의 기단측에서 냉각용 유체가 공급되면, 도1
및 도4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냉각용 유체는, 슬릿(13)을 통해 선단을 향해서 유출하도록 한다. 이 때, 콜릿본체(10)의 선단측에는, 밀봉부재(12)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냉각용 유체는, 공구홀더(101)의 내주면과 캡(11)사이에 유출되는 일 없이, 콜릿본체(10)의 선단까지 유도된다. 콜릿본체(10)의 선단에 부착된 캡(11)은, 상기한 바와 같이, 커버부(22)가 콜릿본체(10)의 선단면을 덮고 있고, 공구(10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만 냉각용 유체가 통과하는 간극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있다. 이 때문에, 냉각용 유체는, 상기 캡(11)과 공구(100)의 외주면이 형성하는 간극으로부터 공구(100)의 절삭날끝 등의 소망위치에 효율적으로 공급된다. 또한, 냉각용 유체의 유출방향을 보다 제어하기 쉽게 되는 효과도 얻어진다.
여기에서는, 상기 간극의 사이즈를 임의로 설정함으로써, 공구(100)에 공급되는 냉각용 유체의 유속, 유량 등을 적절히 제어(조절)할 수 있다. 이 결과, 공구(100)의 회전(특히 고속회전)에 의해 원심력이 생기더라도, 냉각용 유체를 공구(100)의 절삭날끝 등에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 실시의 형태1에서는, 슬릿(13)이 3개, 슬릿(14)이 3개 형성된 캡이 부착된 콜릿(1)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제한하지 않고, 슬릿은, 도5∼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선단측으로부터 형성된 슬릿(13)을 보유하고 있으면 좋다. 또한, 슬릿(13)의 형성수는, 예컨대, 도5 및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나, 도7 및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 등, 공구에 공급하는 냉각용 유체의 유량, 유속, 방향 등, 소망에 의해 임의로 결정할 수가 있다.
또한, 밀봉부재(12)의 배치위치 및 형상은, 상술한 구성으로 제한하지 않고, 여러가지의 변형예를 채용할 수가 있다. 예컨대,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봉부재 (12)에 추가로, 캡(11)의 부착부(23)의 공구홀더(101)와의 접촉면에 밀봉부재(31)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봉부재(12)대신에, 캡(11)의 부착부(23)의 공구홀더(101)와의 접촉면에 밀봉부재(32)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부착부(23)의 공구홀더(101)와의 접촉면에, 밀봉부재(32)를 삽입가능하게 환형홈(33)을 형성하여, 상기 환형홈(33)내에, 예컨대 O링등으로 이루어지는 밀봉부재(32)를 배치하여, 공구홀더(101)의 내주면과 캡(11)사이를 밀폐해도 좋다.
그리고 또한,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봉부재(12)대신에, 단면이 대략 L 자형의 밀봉부재(34)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콜릿본체(10)의 외주면에, 밀봉부재(34)의 일부가 삽입되는 환형홈(35)을 형성하고, 캡(11)의 부착부(23)의 공구홀더(101)와의 접촉면에 밀봉부재(34)의 일부가 삽입되는 환형의 노치(36)를 형성하고, 이 환형홈(35)과 노치(36)에 밀봉부재(34)의 소정부위를 배치(삽입)하고, 공구홀더(101)의 내주면과 캡(11)사이를 밀폐해도 좋다.
또한, 도12∼도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구홀더(101)에 냉각용 유체의 통로(109)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로(109)를 사용하지 않고, 콜릿본체(10)에 형성된 슬릿(13)을 이용하여 공구(100)에 냉각용 유체를 공급하는 경우는, 이하에 나타낸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우선, 캡(11)의 부착부(23)로 통로(109)를 덮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부착부 (23)의 외경을 연장한 구성으로 하여,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부(23)의 공구홀더(101)와의 접촉면이고, 통로(109)보다도 외경측에, 밀봉부재(37)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부착부(23)의 공구홀더(101)와의 접촉면에, 밀봉부재(37)를 삽입가능한 환형홈(38)을 형성하여, 이 환형홈(38)내에, 예컨대 O링등으로 이루어지는 밀봉부재(37)를 배치하여, 통로(109)를 밀폐하는 동시에, 공구홀더(101)의 내주면과 캡(11)사이를 밀폐해도 좋다.
또한, 도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봉부재(12)대신에, 통로(109)를 막을 수 있는 폭(길이)을 구비한 단면 대략 L자형의 밀봉부재(39)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콜릿본체(10)의 외주면에, 밀봉부재(39)의 일부가 삽입되는 환형홈(40)을 형성하여, 캡(11)의 부착부(23)의 공구홀더(101)와의 접촉면이고, 통로(109)를 완전히 막을 수 있는 위치까지, 밀봉부재(39)의 일부가 삽입되는 환형의 노치(41)를 형성하고, 이 환형홈(40)과 노치(41)에 밀봉부재(39)의 소정부위를 배치(삽입)하여, 통로(109)를 막는 동시에, 공구홀더(101)의 내주면과 캡(11)과의 사이를 밀폐해도 좋다.
그리고 또한, 도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봉부재(12)에 대신에, 통로(109)를 막을 수 있는 폭(길이)을 구비한 단면이 대략 コ자형의 밀봉부재(42)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밀봉부재(42)는, 단면이 대략 コ자형에 의해 획정된 내측공간이 액저장실(43)로 되어있고, 이 액저장실(43)에 통로(109)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용 유체가 수용되고, 동시에, 통로(109)를 막고, 공구홀더(101)의 내주면과 캡(11) 사이를 밀폐한다. 액저장실(43)에 냉각용 유체를 수용시킴으로써, 밀봉부재(42)에 따른 냉각용 유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밀봉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 밀봉부재(42)는, 콜릿본체(10)의 외주면에, 밀봉부재(42)의 일부가 삽입되는 환형홈(44)을 형성하여, 캡(11)의 부착부(23)의 공구홀더(101)와의 접촉면에 상당하는 부분이고, 통로(109)를 완전히 막을 수 있는 위치까지, 밀봉부재(42)의 일부가 삽입되는 환형의 노치(45)를 형성하여, 이 환형홈(44)과 노치(45)에 밀봉부재(42)의 소정부위를 삽입함으로써 배치된다.
또한, 도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구홀더(101)의 척통(107)에, 탄성변형을 동반한 지름의 확축을 행하게 하기 위해서, 선단측으로부터 축방향으로 형성된 슬릿(110)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이 슬릿(110)으로부터 냉각용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공구홀더(101)의 내주면과 캡(11)사이를 밀폐하는 밀봉부재 (46)를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밀봉부재(46)는, 슬릿(110)을 막을 수 있는 폭(길이)을 구비한 단면 대략 コ자형을 보유하여, 단면 대략 コ자형에 의해 획정되는 안쪽공간이 액저장실(49)로 되어있다. 이 액저장실(49)에, 슬릿(110)으로부터 유출하는 냉각용 유체가 수용되는 동시에, 슬릿(110)의 선단을 막아, 공구홀더 (101)의 내주면과 캡(11)사이를 밀폐한다. 밀봉부재(46)는, 콜릿본체(10)의 외주면에, 밀봉부재(46)의 일부가 삽입되는 환형홈(47)을 형성하고, 캡(11)의 부착부(23)의 공구홀더(101)와의 접촉면에 상당하는 부분이고, 슬릿(110)을 완전히 막을 수 있는 위치까지, 밀봉부재(46)의 일부가 삽입되는 환형의 노치(48)를 형성하여, 이 환형홈(47)과 노치(48)에 밀봉부재(46)의 소정부위를 삽입함으로써 배치된다.
그리고 또한, 도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15와 같은 슬릿(110)으로부터 냉각용 유체가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공구홀더(101)의 내주면과 캡(11)사이를 밀폐하는 밀봉부재(54)를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밀봉부재(54)는, 슬릿 (110)을 막을 수 있는 폭(길이)을 구비하고, 외주를 향해 두께가 작게 되도록, 선단측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밀봉부재(54)는, 콜릿본체(10)의 외주면에, 밀봉부재(54)의 일부가 삽입되는 환형홈(55)을 형성하고, 캡(11)의 부착부(23)의 공구홀더(101)와의 접촉면에 상당하는 부분이고, 슬릿(110)을 완전히 막을 수 있는 위치까지, 밀봉부재(54)의 일부가 삽입되는 환형 또한 테이퍼상의 노치(56)를 형성하여, 이 환형홈(55)과 노치(56)에 밀봉부재(54)의 소정부위를 삽입함으로써 배치된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캡(11)은, 커버부(22)의 관통구멍(24)을 획정하는 내주단에, 도17 및 도18에 나타내듯이, 냉각용 유체를 유출시키는 유체유출부 (26,27,28,29)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도17에 나타낸 유체유출부(26)는, 관통구멍 (24)을 고정하는 내주단에 형성된 대략 반원형의 노치로 구성되어 있다. 도17에서는, 유체유출부(26)는 서로 90°의 각도를 두고, 총 4곳에 형성한 경우에 관해서 기재했지만, 유체유출부의 형상이나 사이즈, 설치수 및 설치개소는, 공구에 공급하 는 냉각용 유체의 유량, 유속, 유출방향 등 소망조건에 의해 결정할 수가 있다.
예컨대, 도18의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구멍(24)을 획정하는 내주단근방에 대략 원형의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유체유출부(27)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도18의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구멍(24)을 획정하는 내주단에 대략 사각형의 노치로 이루어지는 유체유출부(28)를 형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또한, 도18의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구멍(24)을 획정하는 내주단에, 외주측이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고, 내주측이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된 노치로 이루어지는 유체유출부(29)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커버부(22)에 유체유출부를 형성하는 캡(11)은, 공구(10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냉각용 유체가 유출하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거나, 형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좋다. 즉, 공구(100)에 공급하는 냉각용 유체의 유량, 유속, 유출방향 등, 소망조건에 의해, 상기 간극과 유체유출부를 병용해도 좋고, 또한, 유체유출부만으로부터 냉각용 유체를 유출시키게 하여도 좋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1)은, 도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에 의해서 콜릿본체(10)를 파지고정하는 유압식 공구홀더(유압척)에도 응용가능하다. 상기 유압식 공구홀더(113)는, 테이퍼생크부(105)와, 이 테이퍼생크부 (105)의 대경측단부에 형성된 척위치 결정용의 플랜지부(106)와, 플랜지부(106)로부터 공구홀더본체(102)의 선단측으로 동축일체로 돌출되어 설치된 척통(114)을 구비하고 있다. 척통(114)에는, 선단측으로부터 축방향으로 형성된 슬릿(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척통(114)은 그 내부에, 유압척바(115)와, 유압척바(115)에 소망의 기름을 공급로(116)를 통해 공급하는 기름공급원(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기름공급원으로부터 유압척바(115)에 공급되는 기름의 양에 의해서, 척통(114)은, 상기 슬릿(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탄성변형을 동반한 지름의 확축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유압식 공구홀더(113)에 대해서도, 상술한 모든 캡이 부착된 콜릿을 채용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2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2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을 공구홀더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단면도, 도21은, 도20에 나타낸 콜릿의 측면도, 도22는, 도21에 나타낸 콜릿의 평면도이다. 또, 실시의 형태2에서는, 실시의 형태1과 같은 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20∼도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2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2)의, 실시의 형태1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1)과 다른 점은, 테이퍼를 이용한 점과, 이것에 알맞은 공구홀더(120)를 사용한 점이다.
즉, 실시의 형태2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2)은, 테이퍼 콜릿이며, 중심구멍(51)에 공구(111)의 생크를 삽입하여 파지하는 콜릿본체(50)와, 콜릿본체(50)의 선단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공구(111)를 관통시키는 캡(11)과, 공구홀더 (120)와 캡(11)사이에 배치되어, 양자사이를 밀폐하는 밀봉부재(3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콜릿본체(50)는, 선단측으로부터 축방향으로 형성된 슬릿(52)과, 콜릿본체 (50)의 기단측으로부터 축방향으로 형성되며, 또한 인접하는 슬릿(52)끼리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53)과, 선단부에 형성되어 캡(11)의 환형돌기(21)가 결합하고 또한, 뒤에 상술하는 공구홀더(120)의 너트부(122)의 결합단(123)이 결합하는 환형홈 (55)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52)은, 서로 같은 각도(실시의 형태2에서는, 60°)를 두고, 총 6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릿(53)도 마찬가지로 서로 같은 각도를 두고 총6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릿(52,53)이 형성된 콜릿본체(50)는, 탄성변형을 동반한 지름의 확축에 의해, 공구(111)의 생크를 해방하거나 파지한다.
상기 캡이 부착된 콜릿(2)이 장착되는 공구홀더(120)는, 공구홀더본체(121)와, 공구홀더본체(121)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공구홀더본체(121)에 삽입된 캡이 부착된 콜릿(2)을 체결하여 고정하는 너트부(12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공구홀더본체(121)는, 공작기계 등의 주축(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되는 테이퍼생크부(125)와, 상기 테이퍼생크부(125)의 대경측단부에 형성된 척위치 결정용의 플랜지부(126)와, 플랜지부(126)로부터 공구홀더본체(121)의 선단측으로 동축일체로 돌출되어 설치된 척통(127)을 구비하고 있다. 척통(127)의 선단측의 너트부 (122)가 외측에서 끼워지는 부분은, 기단측에 비해 작은 지름으로 되어 있다.
너트부(122)는, 콜릿본체(50)의 선단부에 형성된 환형홈(55)의 기단측에 결합하는 결합단(123)을 구비하고, 척통(127)의 외주면에 대하여, 연결용의 구체 (128)를 통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공구홀더본체(121)에 삽입된 캡 이 부착된 콜릿(2)을 반경방향으로 체결해서 고정한다.
상기 구성을 갖춘 캡이 부착된 콜릿(2)에 공구(111)를 삽입하고, 상기 콜릿( 2)을 공구홀더(120)에 삽입하여 너트부(122)를 회전하여, 캡이 부착된 콜릿(2)로 공구(111)를 고정한다.
상기 상태에 있어서, 공구홀더(120)를 회전시켜, 공구(111)에 의해 공작물의 가공을 행할 때, 캡이 부착된 콜릿(2)의 기단측에서부터 냉각용 유체가 공급되면, 도19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1과 같이 냉각용 유체는, 슬릿(52)을 통해 선단을 향해서 유출하도록 한다. 이 때, 콜릿본체(50)의 선단측에는, 밀봉부재(32)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냉각용 유체는, 공구홀더(120)의 내주면과 캡(11)사이에서 유출되는 일없이, 콜릿본체(50)의 선단까지 유도되고, 이어서, 캡(11)과 공구(111)의 외주면이 형성하는 간극으로부터 공구(111)의 절삭날끝 등의 소망위치에 효율적으로 공급된다. 또한, 냉각용 유체의 유출방향이 보다 쉽게 제어된다고 하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테이퍼 콜릿을 사용한 경우도, 실시의 형태1에서 설명한 캡 및 그 변형예, 밀봉부재 및 그 변형예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콜릿본체(50)에 형성되는 슬릿은 적어도, 선단측으로부터 형성된 슬릿(52)을 보유하고 있으면 좋다. 또한, 슬릿(52)의 형성수는, 공구(111)에 공급하는 냉각용 유체의 유량, 유속, 방향 등, 소망에 의해 임의로 결정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3)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3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3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을 공구홀더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단면도이다. 또, 실시의 형태3에서는, 실시의 형태1과 같은 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3에서는, 실시의 형태1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1)에, 냉각용 유체를 통과시키는 관통구멍(131)이 내부에 형성된 공구 (130)를 파지고정하고 있다. 상기 공구(130)를 파지고정하는 캡이 부착된 콜릿(1)은, 공구홀더(101)와 캡(11)사이를 밀폐하는 것은 물론이지만, 냉각용 유체를 관통구멍(131)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유출시키기 때문에, 캡(11)의 관통구멍(24)의 내주단과, 공구(131)사이를 밀폐하기 위한 밀봉부재(60)가 배치되어 있다.
이 밀봉부재(60)는, 캡(11)의 커버부(22)의 안쪽에 형성된 환형홈(61)에, 그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밀봉부재(60)는, 선단측의 외경과 내경의 차가 작고, 기단측의 외경과 내경의 차가 비교적 큰 단면이 대략 삼각형의 부분을 보유하여, 냉각용 유체의 압력이 높을 수록 공구(130)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밀봉성이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냉각용 유체의 압력에 의해 밀폐도가 증가된다.
상기 캡이 부착된 콜릿(1)은, 실시의 형태1에서 설명한 것 같이, 공구홀더 (101)에 파지고정되어 공구(130)를 유지한 상태로, 기단측에서부터 냉각용 유체가 공급되고, 슬릿(13)을 통해 냉각용 유체가 선단측에 도달하지만, 캡(11)에 설치된 밀봉부재(60)에 의해서, 공구(130)의 외주면과 캡(11)사이로부터 유출되는 것이 방 지된다. 이 때, 밀봉부재(60)는, 냉각용 유체의 압력에 의해서 선단측으로 밀리지만, 이 압력에 의해서, 공구(130)의 외주면에 양호하게 밀착하여, 밀봉성이 향상된다. 또한, 밀봉부재(12)에 의해서, 공구홀더(101)와 캡(11)사이에 냉각용 유체가 유출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3에서는, 단면이 대략 삼각형의 부분을 구비하고, 냉각용 유체의 압력에 의해서 밀봉성이 향상하는 밀봉부재(60)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제한하지 않고, 공구(130)의 외주면과, 캡(11)사이를 밀폐가능할 수 있으면, 예컨대, O링등, 여러가지의 형상을 갖춘 밀봉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의 형태3에서는, 캡이 부착된 스트레이트 콜릿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공구를 파지고정시키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도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이 부착된 테이퍼 콜릿, 즉, 실시의 형태2에서 설명한 구성의 캡이 부착된 콜릿(2)에 관통구멍(141)이 형성된 공구(140)를 파지고정하는 경우에도 응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도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식 공구홀더(113)에,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을 장착하여, 관통구멍(131)이 형성된 공구(130)를 파지고정시키는 경우에도 응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1∼3에서 설명한 캡(11)은, 콜릿용 캡으로서, 다른 콜릿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콜릿용 캡은, 공구홀더와 캡사이에 배치되어, 양자사이를 밀폐하는 밀봉부재를 포함한 구성으로 한다.
상기 설명한 것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캡이 부착된 콜릿은, 캡의 착탈을 행할 수 있을 수 있는 동시에, 공구홀더와 캡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따라서, 공구자신에 냉각용 유체를 공급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캡과 공구사이 또는 캡에 설치한 유체유출부로부터 냉각용 유체를 유출시키고, 공구자신에 상기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캡과 공구사이를 밀폐하여, 이 관통구멍으로부터 냉각용 유체를 유출시킬 수 있다. 이 결과, 공구의 급유형태, 냉각용 유체의 소정유량, 유속, 유출방향 등, 여러가지의 조건에 대응할 수 있는 형상의 캡으로 대체함으로써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콜릿용 캡은, 콜릿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공구의 급유형태, 냉각용 유체의 소정유량, 유속, 유출방향 등, 여러가지의 조건에 대응할 수 있는 형상의 캡을 사용함으로써 콜릿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6)

  1. 콜릿의 중심구멍에 공구의 생크를 삽입해서 공구를 파지하고, 상기 공구에 유체를 공급하는 공구홀더에 장착되는 캡이 부착된 콜릿으로서,
    상기 공구의 생크가 삽입되는 콜릿 본체;
    상기 공구홀더의 공구삽입측의 단면보다 공구삽입측에 설치되며 상기 콜릿 본체의 공구삽입측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공구를 관통시키는 캡; 및
    상기 공구홀더와 캡사이에 배치되어, 양자사이를 밀폐하는 밀봉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콜릿 본체는 적어도 그 공구삽입측으로부터 형성된 슬릿과, 그 공구삽입측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캡에 결합되는 피결합부를 보유하며,
    상기 캡은 상기 콜릿 본체의 피결합부에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콜릿 본체의 공구 삽입측 끝면을 덮는 커버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이 부착된 콜릿.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결합부는, 상기 콜릿 본체의 공구삽입측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형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이 부착된 콜릿.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캡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콜릿본체에 형성된 환형홈에 끼워맞춰지는 환형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이 부착된 콜릿.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커버부와 공구사이에 형성된 간극으로부터 상기 유체를 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이 부착된 콜릿.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커버부에 상기 유체를 유출시키는 유체유출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이 부착된 콜릿.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커버부와 공구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밀봉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공구에 형성된 관통구멍으로부터 상기 유체를 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이 부착된 콜릿.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해 밀폐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이 부착된 콜릿.
  8. 제 1항에 있어서, 스트레이트 콜릿 또는 테이퍼 콜릿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이 부착된 콜릿.
  9. 콜릿의 중심구멍에 공구의 생크를 삽입하여 공구를 파지하고, 상기 공구에 유체를 공급하는 공구홀더에 장착되는 콜릿의 공구삽입측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배열되는 캡으로서,
    상기 콜릿의 공구삽입측에 형성된 피결합부에 결합하는 결합부;
    상기 콜릿의 공구삽입측 끝면을 덮는 커버부; 및
    상기 공구홀더와 캡사이에 배치되어, 양자사이를 밀폐하는 밀봉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콜렛의 공구삽입측에 부착되어 상기 공구홀더에 장착되는 때에, 상기 공구홀더의 공구삽입측의 단면보다 공구삽입측에 설치되는 캡.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캡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콜릿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형홈에 끼워맞춰지는 환형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와 공구사이에 형성된 간극으로부터 상기 유체를 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12.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 상기 유체를 유출시키는 유체유출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13.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와 공구사이를 밀폐하는 밀봉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공구에 형성된 관통구멍으로부터 상기 유체를 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해 밀폐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15. 콜릿의 중심구멍에 공구의 생크를 삽입해서 공구를 파지하고, 상기 공구에 유체를 공급하는 공구홀더본체에 외주면에 끼워맞춰지는 클램핑 로타리 슬리브관을 갖는 공구홀더에 장착되는 캡이 부착된 콜릿으로서,
    상기 공구의 생크가 삽입되는 테이퍼 콜릿 본체;
    상기 공구홀더의 공구삽입측의 단면보다 공구삽입측에 설치되며 상기 테이퍼 콜릿 본체의 공구삽입측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공구를 관통시키는 캡; 및
    상기 클램핑 로타리 슬리브관과 캡사이에 배치되어, 양자사이를 밀폐하는 밀봉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테이퍼 콜릿 본체는 적어도 그 공구삽입측으로부터 형성된 슬릿과, 그 공구삽입측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캡에 결합되는 피결합부를 보유하며,
    상기 캡은 상기 테이퍼 콜릿 본체의 피결합부에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테이퍼 콜릿 본체의 공구 삽입측 끝면을 덮는 커버부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이 부착된 콜릿.
  16. 테이퍼 콜릿의 중심구멍에 공구의 생크를 삽입하여 공구를 파지하고, 상기 공구에 유체를 공급하는 공구홀더본체에 외주면에 끼워맞춰지는 클램핑 로타리 슬리브관을 갖는 공구홀더에 장착되는 테이퍼 콜릿의 공구삽입측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배열되는 캡으로서,
    상기 테이퍼 콜릿의 공구삽입측에 형성된 피결합부에 결합하는 결합부;
    상기 테이퍼 콜릿의 공구삽입측의 끝면을 덮는 커버부; 및
    상기 클램핑 로타리 슬리브관과 캡사이에 배치되어, 양자사이를 밀폐하는 밀봉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콜렛의 공구삽입측에 부착되어 상기 공구홀더에 장착되는 때에, 상기 공구홀더의 공구삽입측의 단면보다 공구삽입측에 설치되는 캡.
KR1020010084366D 2001-10-04 2001-12-24 캡이 부착된 콜릿 및 콜릿용 캡 KR100845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09176 2001-10-04
JP2001309176A JP4115112B2 (ja) 2001-10-04 2001-10-04 キャップ付きコレット及びコレット用キャッ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5496B1 true KR100845496B1 (ko) 2008-07-10

Family

ID=1912837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4366D KR100845496B1 (ko) 2001-10-04 2001-12-24 캡이 부착된 콜릿 및 콜릿용 캡
KR1020010084366A KR100846751B1 (ko) 2001-10-04 2001-12-24 캡이 부착된 콜릿 및 콜릿용 캡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4366A KR100846751B1 (ko) 2001-10-04 2001-12-24 캡이 부착된 콜릿 및 콜릿용 캡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29627B2 (ko)
EP (1) EP1312434B1 (ko)
JP (1) JP4115112B2 (ko)
KR (2) KR100845496B1 (ko)
CN (1) CN100441375C (ko)
TW (1) TW5364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4812B2 (en) * 2002-07-17 2006-11-14 Kevin Beckington Tool coolant application and direction assembly
US20100270757A1 (en) * 2002-07-17 2010-10-28 Kevin Beckington Tool coolant application and direction assembly
US7785046B2 (en) * 2002-07-17 2010-08-31 Advanced Industries Tool coolant application and direction assembly
DE50304879D1 (de) * 2003-11-06 2006-10-12 Schunk Gmbh & Co Kg Zwischenbüchse für ein Spannfutter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2005279808A (ja) * 2004-03-29 2005-10-13 Kuroda Precision Ind Ltd ミスト供給用工具ホルダ
JP4772403B2 (ja) * 2005-07-08 2011-09-14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切削工具及び切削加工方法
CH716410B1 (de) * 2007-01-30 2021-01-29 Erowa Ag Spanneinrichtung mit einem Spannfutter und einem lösbar daran fixierbaren Werkstückträger.
EP2047931B1 (de) * 2007-08-13 2011-01-19 Rego-Fix AG Kühlmittelzuführung
DE102008045233A1 (de) * 2008-08-28 2010-03-04 Franz Haimer Maschinenbau Kg Schrumpffutter mit Dehnungsnuten
US9956621B2 (en) 2008-08-29 2018-05-01 Franz Haimer Maschinenbau Kg Tool holding device
DE102008044996A1 (de) * 2008-08-29 2010-03-04 Franz Haimer Maschinenbau Kg Werkzeughaltervorrichtung
DE202009007821U1 (de) * 2009-06-03 2009-10-08 Klingelnberg Ag Zahnradmaschine mit Vibrationsdämpfung
KR100974316B1 (ko) * 2009-09-01 2010-08-05 강신우 다기능 가리개
US8747033B2 (en) * 2009-09-02 2014-06-10 Lockheed Martin Corporation Through tool coolant adapter for drilling motor
US9022393B2 (en) 2012-08-23 2015-05-05 Iscar, Ltd. Cutting tool lock nut having grooved collet-locking surface and cutting tool incorporating same
JP5976563B2 (ja) * 2013-02-14 2016-08-23 独立行政法人国立高等専門学校機構 コレット
JP5883407B2 (ja) * 2013-03-12 2016-03-15 株式会社アルク生技研 位置調整用治具、それを含むチャック装置を備えた工作機械、それを含むチャック装置を備えた検査器、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可変形部材
KR101522867B1 (ko) * 2013-12-30 2015-05-26 주식회사 다인정공 제트 쿨런트용 콜렛
JP6616581B2 (ja) * 2015-03-30 2019-12-04 株式会社アルプスツール クランプ装置
US10399150B2 (en) 2017-06-05 2019-09-03 Kennametal Inc. Sealed collet
CN109531250A (zh) * 2018-11-30 2019-03-29 江苏省连云港工贸高等职业技术学校 一种机电一体化加工车床
DE102019111281A1 (de) * 2019-05-02 2020-11-05 Haimer Gmbh Hydraulisch spannbarer Werkzeug-/Werkstückhalter
TWI714476B (zh) * 2020-03-12 2020-12-21 佑倫筒夾有限公司 筒夾組
DE102020109775A1 (de) 2020-04-08 2021-10-14 Kennametal Inc. Reduzierhülse, Baukastensystem zum Bereitstellen einer Reduzierhülsenbaugruppe und Zerspanungsbaugrupp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0531U (ko) * 1988-05-23 1989-12-01
US5028178A (en) 1988-02-19 1991-07-02 Mordechai Ronen Spring collets
JPH1199441A (ja) 1997-07-29 1999-04-13 Mst Corporation:Kk 工具ホルダ
JPH11114708A (ja) * 1997-10-15 1999-04-27 Daishowa Seiki Co Ltd チャック用コレット
KR19990062393A (ko) * 1997-12-16 1999-07-26 쯔요시 코미네 공구 홀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0999A (en) * 1980-03-13 1982-03-23 Briese Leonard A Coolant guide for end mill
DE4140597C1 (en) * 1991-12-10 1993-05-19 Zollmann Gmbh, 7419 Sonnenbuehl, De Tool chuck with inner coolant feed duct - has tool abutting seal exchangeable from outside in tool surrounding recess in clamping nut
US5567093A (en) * 1995-04-11 1996-10-22 Richmond; Daryl E. Seal for coolant-fed tool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8178A (en) 1988-02-19 1991-07-02 Mordechai Ronen Spring collets
JPH01170531U (ko) * 1988-05-23 1989-12-01
JPH1199441A (ja) 1997-07-29 1999-04-13 Mst Corporation:Kk 工具ホルダ
JPH11114708A (ja) * 1997-10-15 1999-04-27 Daishowa Seiki Co Ltd チャック用コレット
KR19990062393A (ko) * 1997-12-16 1999-07-26 쯔요시 코미네 공구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36440B (en) 2003-06-11
CN1411953A (zh) 2003-04-23
US20020145260A1 (en) 2002-10-10
KR20030029005A (ko) 2003-04-11
US6729627B2 (en) 2004-05-04
EP1312434A1 (en) 2003-05-21
EP1312434B1 (en) 2018-10-03
KR100846751B1 (ko) 2008-07-30
JP4115112B2 (ja) 2008-07-09
CN100441375C (zh) 2008-12-10
JP2003117767A (ja) 2003-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496B1 (ko) 캡이 부착된 콜릿 및 콜릿용 캡
KR200145569Y1 (ko) 공구에의 유체공급장치
KR100298065B1 (ko) 공구홀더및이러한공구홀더내에절삭공구를장착하기위한방법
KR100302413B1 (ko) 공구 홀더
JP2003340631A (ja) ボーリング孔のバリを取るための工具、装置、及びその方法
KR102431594B1 (ko) 공작 기계
JPH07508936A (ja) 改良された工具ホールダー組立体
JP4982253B2 (ja) コンビネーションホルダ
KR20030024562A (ko) 콜릿
JP2013063483A (ja) 工具ホルダ
JP2010142889A (ja) 工具保持具、工具保持具用切削液供給プレート及び切削加工方法
JP4720823B2 (ja) 加工装置
JP3009999B2 (ja) 切削工具の工具ホルダ
JP2007130694A (ja) 工具ホルダ
JP4051223B2 (ja) プルスタッド及び工具ホルダ
JP3749668B2 (ja) 流体通路を備えた工具ホルダ
JP3801862B2 (ja) 流体通路を備えた工具ホルダ
JP2002028837A (ja) クーラント流路接続機構
JP4177079B2 (ja) コレットチャック用コレット
US20160039064A1 (en) Sealing system for a tool holder
GB2401335A (en) Machine tool chuck provided for receiving a supply of pressurised fluid
JPH02172651A (ja) 冷却液誘導アダプタ
JP2008030138A (ja) 工具ホルダ
JP2529827Y2 (ja) 工具チャック用コレット
JP2009285767A (ja) 工具ホル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