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228B1 - 힌지형 입상관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힌지형 입상관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228B1
KR100845228B1 KR1020060103976A KR20060103976A KR100845228B1 KR 100845228 B1 KR100845228 B1 KR 100845228B1 KR 1020060103976 A KR1020060103976 A KR 1020060103976A KR 20060103976 A KR20060103976 A KR 20060103976A KR 100845228 B1 KR100845228 B1 KR 100845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hole
fixing device
slab
hinge
gra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3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7218A (ko
Inventor
한재광
Original Assignee
한재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광 filed Critical 한재광
Priority to KR1020060103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5228B1/ko
Publication of KR20080037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형 입상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의 층간 슬라브에 형성된 연통홀에 입상관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입상관 고정장치에 있어서,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브의 연통홀을 커버하며 동시에 상기 입상관을 감싸며 지지하도록 양쪽으로 분할된 제1 및 제2분할판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서로 밀착되는 상기 제1 및 제2분할판의 단부 중 한쪽 단부는 힌지핀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한쪽 단부는 체결수단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슬라브의 연통홀에 위치된 입상관이 서로 힌지 연결된 한 쌍의 제1 및 제2분할판을 통해 간편하고 안정되게 결속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통홀 내의 입상관 위치 오차를 보정하여 작업할 수 있으며, 더불어 경제적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슬라브, 연통홀, 입상관, 제1 및 제2분할편, 홀더부재,

Description

힌지형 입상관 고정장치{A HINGE TYPE PIPE-SUPPORT DEVICE FOR WATER SUPPLY OR WATER DRAI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형 입상관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사용상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형 입상관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 요부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제1분할판
200: 제2분할판
300: 힌지핀
400: 체결수단
500: 홀더부재
600: 패킹
본 발명은 입상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층간 슬라브에 상하 수직하게 연결 설치되는 입상관을 슬라브에 형성된 연통홀에 안정되고 간편하게 결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힌지형 입상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상관은 건물의 각 층에서 발생되는 급수 및 배수 그리고 환기 등을 수행할 있도록 상하로 연결되는 것으로 통상 수평 슬라브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다.
즉, 슬라브의 일정 위치에 상하 관통된 소정의 연통홀을 형성시킨 다음 이들 연통홀을 통해 입상관을 수직하게 설치 고정된다.
이때, 입상관을 층간 슬라브의 연통홀에 각기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해야지만 입상관의 훼손 방지 또는 급수 및 배수 그리고 환기 등의 흐름이 안정되게 이루어지게 되는데 종래에는 슬라브의 연통홀 주위에 지지프레임을 앵커보올트 통해 고정시킨 다음 U 자형 보올트를 통해 입상관을 감싸도록 한 후 보올트의 단부를 지지프레임에 너트 결합시키는 방식을 취하여 왔었다.
하지만, 층간 슬라브에 형성된 연통홀이 동일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되지 않고 소정의 공차를 발생하게 되는 경우 즉, 하층 슬라브의 연통홀과 상측 슬라브의 연통홀이 그 위치를 달리하는 연통홀에 입상관을 설치하게 되면 입상관이 연통홀의 중심에 위치하지 않고 그 위치를 달리하게 됨에 따라 지지프레임의 설치시 입상관을 먼저 설치한 후 해당 위치에 지지프레임을 설치해야지만 입상관 고정을 안전하게 할 수 있어 그 작업이 힘든 문제점 및 슬라브에 설치된 지지프레임으로 인해 그 내부가 지저분해 지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더욱이, 사용중 또는 급수 및 배수 흐름에 따른 입상관의 유동현상 발생시 그 유동이 상기 지지프레임으로 전달되어져 소음문제의 야기 및 잦은 유동시 탈거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 다양한 구조의 입상관 고정 또는 지지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그 중 한 예로 본원 출원인에 의해 입상관 고정장치가 제시된 바 있으며, 이는 좌우 한 쌍의 부재가 연통홀 내의 입상관을 감싼후 그 양단이 각각 체결보올트와 너트를 통해 결합 고정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 안정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지만 조립시 불편함과 입상관을 지지하는 부재의 상면에 다양한 형상의 체결보올트가 안내될 수 있도록 형상을 변형시켜야 함에 따라 제조시 가격 비용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층간 슬라브의 연통홀에 세워지는 입상관이 일측이 힌지 결합된 제1및 제2분할편을 통해 감싸진 상태에서 한 쪽의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그 설치의 간편함은 물론 경제적 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형 입상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더불어, 기존 슬라브의 연통홀에 대해 편심 위치된 입상관도 별도의 홀더부재를 통해 현재의 위치상태에서 안정되게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의 층간 슬라브에 형성된 연통홀에 입상관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입상관 고정장치에 있어서,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브의 연통홀을 커버하며 동시에 상기 입상관을 지지하도록 양쪽으로 분할된 제1 및 제2분할판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서로 밀착되는 상기 제1 및 제2분할판의 단부 중 한쪽 단부는 힌지핀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한쪽 단부는 체결수단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분할판 또는 제2분할판 중 하나의 저면에, 일측단이 상기 제1 또는 제2분할판의 저면에 밀착되어 보올트로 고정되도록 결합편으로 형성되고, 절곡된 타측 양쪽에 반원형으로 상기 연통홀의 내측 벽면에 탄성력을 가지며 밀착 지지되도록 호형의 양쪽 걸림편을 가지며, 상기 결합편과 연결되는 상기 걸림편 중간부위에 상하 직립면을 형성하여서 된 홀더부재가 추가로 결합되어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편이 상기 제1분할판 또는 제2분할판에 대해 좌우 슬라이드 이동된 후 보올트 고정될 수 있도록 보올트 고정용 장홀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1분할판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며 외향으로 걸림홈을 형성하여서 된 걸림부재와, 상기 제2분할판의 단부에 절곡된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며 너트 고정으로 상기 걸림부재에 결합되는 록킹보올트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분할판 또는 제2분할판의 안쪽 둘레에 고무재의 패킹이 더 결합되도록 함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분할판과 제2분할판의 대응밀착시 상기 연통홀이 상하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들 단부에 각각 상하로 슬라이드 밀착되는 상측 가림편과 하측 가림편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힌지형 입상관 고정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와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의 층간 슬라브에 형성된 연통홀(C)에 입상관(P)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힌지형 입상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에 의하여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브의 연통홀(C)을 커버하며 동시에 상기 입상관(P)을 지지하도록 양쪽으로 분할된 제1 및 제2분할판(100)(200)과, 상기 제1 및 제2분할판(100)(200)의 한쪽단을 힌지 고정하는 힌지핀(300)과, 상기 제1 및 제2분할판(100)(200)의 다른 한쪽단을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하는 체결수단(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분할판(100)은, 반원 형상을 취하며 내측 안쪽둘레면이 상기 입상관의 외측을 지지하고 저면이 상기 입상관(P)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연통홀(C)을 커버하게 된다.
상기 제2분할판(200)은, 상기 제1분할판(100)과 대칭된 형상을 취하며 일단부가 상기 제1분할판(100)과 힌지핀(300)을 통해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체결수단(400)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체결수단(400)은, 서로 밀착시킨 후 이들을 고정하는 보올트 너트 조임 등 공지의 조임방식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분할판(100)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며 외향으로 걸림홈(422)을 형성하여서 된 걸림부재(420)와, 상기 제2분할판(200)의 단부에 절곡된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걸림홈(422)에 삽입되며 너트(440) 고정으로 상기 걸림부재(420)에 밀착 결합되는 록킹보올트(4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2분할판(200)의 단부에 힌지 고정된 록킹보올트(430)를 회동시켜 상기 제1분할판(100)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재(420)의 걸림홈(422)에 삽입되도록 하고, 연속해서 너트(440)를 결합시키게 되면 너트(440)가 록킹보올트(430)를 당기게 되면서 서로 이격된 상기 제1 및 제2분할판(100)(200)의 대응단부 간격을 줄이면서 슬라브의 연통홀에 삽입되어 있는 입상관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분할판(100)과 제2분할판(200)의 안쪽 둘레에는 고무재의 패킹(600)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입상관과의 밀착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분할판(100)과 제2분할판(200)의 대응밀착시 상기 연통홀(C)이 상하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들 단부에 각각 상하로 슬라이드 밀착되는 상측 가림편(130)과 하측 가림편(23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분할판(100)의 단부에는 상측 가림편(130)이 돌출되고, 상기 제2분할판(200)의 단부에는 상기 상측 가림편(130)의 저면에 슬라이드 밀착되는 하측 가림편(230)이 돌출 형성된다.
이들 상하측 가림편(130)(230)은 대응 결합시 상하로 노출되는 연통홀(C)의 노출을 방지하게 된다.
도 4 또는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제1 및 제2분할편이 연통홀에 끼워 맞춤 상태로 고정되어 입상관을 지지하도록 홀더부재(500)를 제공하여서 된 것이다.
즉, 상기 제1분할판(100)의 저면에, 상기 연통홀에 탄력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분할판(100)을 슬라브의 상면에 고정하는 홀더부재(500)가 제공된다.
상기 홀더부재(500)는, 일측단이 상기 제1분할판(100)의 저면에 삽입 밀착되어 상기 제1분할판(100)의 저면과 동일면을 유지하며 결합되는 결합편(520)과, 슬라브의 연통홀(C) 내벽에 탄력적으로 지지 고정되어 상기 입상관(P)이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반원 형상의 걸림편(540)(550)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편(520)은, 상기 걸림편(540)(550)의 중간부위 상단에 결합되어 외향으로 절곡 전개되는 형상을 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분할편(100)의 저면에는 상기 결합편(520)이 삽입되어 슬라이드 걸림될 수 있도록 결합편 안내홈(120)이 하향 개방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편(520)에는 보올트 고정용 장홀(522)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제1분할판(100)에 형성된 보올트홀(110)을 통한 보올트(521)가 상기 제1분할판(100)과 상기 홀더부재(500)를 결합시킬 때, 상기 제1분할판(100)과 결합편(520)이 상호 슬라이드 이동된 후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연통홀에 입상관이 중심에 위치하지 않고 한 쪽으로 편중된 경우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편(520)이 결합되는 상기 걸림편(540)(550)의 중간 부위에는 상하 직립면(530)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걸림편(540)(550)의 연통홀(C) 내벽 밀착시 이 직립면(530)과 상기 연통홀(C)의 내벽과 틈새를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걸림편(540)(550)의 탄성력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 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입상관 고정장치는 오폐수의 유동현상 및 유동에 따른 소음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상관과 제1 및 제2지지부재의 위치 오차를 간편하게 보정하여 작업을 할 수 있으며, 더불어 입상관의 훼손 방지 및 작업성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건물의 층간 슬라브에 형성된 연통홀에 입상관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입상관 고정장치에 있어서,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브의 연통홀을 커버하며 동시에 상기 입상관을 감싸며 지지하도록 양쪽으로 분할된 제1 및 제2분할판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서로 밀착되는 상기 제1 및 제2분할판의 단부 중 한쪽 단부는 힌지핀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며, 다른 한쪽 단부는 체결수단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제1분할판 또는 제2분할판의 저면에,
    일측단이 상기 제1 또는 제2분할판의 저면에 밀착되어 보올트로 고정되도록 결합편으로 형성되고, 절곡된 타측 양쪽에 반원형으로 상기 연통홀의 내측 벽면에 탄성력을 가지며 밀착 지지되도록 호형의 양쪽 걸림편을 가지며, 상기 결합편과 연결되는 상기 걸림편 중간부위에 상하 직립면을 형성하여서 된 홀더부재를 추가로 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형 입상관 고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의 표면에 상기 제1분할판 또는 제2분할판 중 하나에 대해 좌우 슬라이드 이동된 후 보올트 고정될 수 있도록 보올트 고정용 장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형 입상관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1분할판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며 외향으로 걸림홈을 형성하여서 된 걸림부재와, 상기 제2분할판의 단부에 절곡된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 고정으로 서로 이격된 상기 제1 및 제2분할판의 대응단부 간격을 조절하며 상기 걸림부재에 결합되는 록킹보올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형 입상관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할판 또는 제2분할판의 안쪽 둘레에 고무재의 패킹이 더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형 입상관 고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할판과 제2분할판의 대응밀착시 상기 연통홀이 상하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들 단부에 각각 상하로 슬라이드 밀착되는 상측 가림편과 하측 가림편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형 입상관 고정장치.
KR1020060103976A 2006-10-25 2006-10-25 힌지형 입상관 고정장치 KR100845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976A KR100845228B1 (ko) 2006-10-25 2006-10-25 힌지형 입상관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976A KR100845228B1 (ko) 2006-10-25 2006-10-25 힌지형 입상관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218A KR20080037218A (ko) 2008-04-30
KR100845228B1 true KR100845228B1 (ko) 2008-07-09

Family

ID=39575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3976A KR100845228B1 (ko) 2006-10-25 2006-10-25 힌지형 입상관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52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242B1 (ko) 2012-03-30 2014-02-12 안병득 입상관 고정장치
WO2021159188A1 (en) * 2020-02-13 2021-08-19 Odare Michael Collar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038B1 (ko) * 2010-01-25 2010-04-05 심현일 입상배관용 고정 장치 및 그 구조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439Y1 (ko) * 2005-04-29 2005-09-22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상수파이프 고정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439Y1 (ko) * 2005-04-29 2005-09-22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상수파이프 고정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242B1 (ko) 2012-03-30 2014-02-12 안병득 입상관 고정장치
WO2021159188A1 (en) * 2020-02-13 2021-08-19 Odare Michael Collar assembly
AU2021218693B2 (en) * 2020-02-13 2022-04-14 Innovation Logic Intellectual Property Pty Ltd Colla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218A (ko) 200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228B1 (ko) 힌지형 입상관 고정장치
US10123660B2 (en) Shower door assembly
JP2013227820A (ja) スライド式免震ジョイントカバー装置
WO1994029548A1 (fr) Dispositif de coffrage d&#39;escalier tournant et procede de montage correspondant
AU2019203012A1 (en) A Light Weight Lid Arrangement for a Manhole or Pit
KR20060104739A (ko) 배관파이프 고정장치
KR20040064661A (ko) 하수도용 커버
KR101403917B1 (ko) 샤워 부스의 유리문용 힌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리문 시공방법
KR100777045B1 (ko) 입상관 고정장치
KR100730917B1 (ko) 배수관 고정장치
JP4132833B2 (ja) 浴室ユニットのフロアー構造
JP2009007893A (ja) 鉄蓋開閉装置
JP2873185B2 (ja) 地下構造物用蓋受枠
JP4712417B2 (ja) 浴室床面構造
BE364206A (ko)
JP3627709B2 (ja) 浴室のドア枠取付け部の構造
FR2873362A1 (fr) Porte d&#39;acces a des ascenseurs dans des immeubles
JPH06317074A (ja) 排水部付き扉用枠
KR20090016082A (ko) 입상관 가압 고정장치
KR100937236B1 (ko) 문지방
JP3853265B2 (ja) 地下構造物用中蓋
KR200202237Y1 (ko) 변기용 수세장치의 체크밸브 결합용 클립
JPS5830930Y2 (ja) 丁番の取り付け構造
JP2004162361A (ja) 浴室用防水パン
JPH09151519A (ja) 排水トラ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