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4694B1 - 자동차용 사이드실의 보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사이드실의 보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4694B1
KR100844694B1 KR1020070105491A KR20070105491A KR100844694B1 KR 100844694 B1 KR100844694 B1 KR 100844694B1 KR 1020070105491 A KR1020070105491 A KR 1020070105491A KR 20070105491 A KR20070105491 A KR 20070105491A KR 100844694 B1 KR100844694 B1 KR 100844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vehicle
inner panel
body floo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학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5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46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사이드실의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패널(10)과 외측패널(11)이 서로 일정공간을 형성하면서 융착되어 있고, 이들 내측 및 외측패널(10, 11)의 사이에 보강패널(12)이 수직 융착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패널(10)의 내측 수평 방향으로는 차체플로어패널(13)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플로어패널(13)의 하부와 상기 내측패널(10)의 내측면 사이에는 자동차의 전후 방향으로 단면이 폐곡면으로 된 사이드 프레임(20)이 설치된 자동차의 사이드실에 있어서, 상기 내측패널(10)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20)을 연결 고정하여 차량의 측면 충돌시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장치(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내측패널(10)의 하부면에 브래킷(51)을 설치하고, 이 브래킷(51)의 상하면에 고무로 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어퍼 및 로워부시(53, 54)를 위치시켜 부시마운팅볼트(52)로 내측패널(10)의 하부면에 브래킷(51)의 일단을 고정하고, 브래킷(51)의 타단은 사이드 프레임(20)에 볼트(55)를 매개로 고정하여 구성함으로써,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내측패널(10)의 하단부와 사이드 프레임(20)과의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결국 차체로의 충돌에 의한 침입량이 감소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사이드실, 보강장치

Description

자동차용 사이드실의 보강장치{REINFORCING APPARATUS OF SIDE SILL PART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사이드실의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차체플로어의 하단과 내측패널을 연결하는 부재를 사이드 프레임을 관통하도록 설치하여 사이드실의 측면 충돌에 의한 차체의 횡강성을 보강한 자동차용 사이드실의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는 주로 차량 정면 충돌시에 대비한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설계, 제작되었던 반면에 상대적으로 차량 측면충돌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는 측면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차량 측면충돌시에 의해 발생하는 피해가 늘어나고 그 피해정도가 커지고 있는 추세에 따라 이에 대한 관계법규가 강화되고, 또한 수출용 차량에 대한 대외적인 법규 규제 등으로 인하여 그 중요성이 점차 인식되고 있는 것이 최근의 실정인 바,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자동차의 차체측면구조 특히, 차량 측면충돌시 가장 취약한 부위 중의 하나인 도어 하단부의 사이드실 부위에 대한 구조개선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자동차에 있어서, 사이드실은 차체의 도어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전,후측 자체 패널 구조물을 연결하여주는 멤버이다.
이러한 사이드실의 구조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패널(10)과 외측패널(11)이 서로 일정공간을 형성하면서 융착되어 있고, 상기 공간부에는 보강패널(12)이 수직 융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패널(10)의 내측 수평 방향으로는 차체플로어패널(13)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차체플로어패널(13)의 하부와 상기 내측패널(10)의 내측면 사이에는 자동차의 전후 방향으로 단면이 폐곡면으로 된 사이드 프레임(20)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사이드실 구조는 차량 측면충돌시 사이드실 하부의 연결구조 즉, 상기 사이드 프레임(20)과 차체를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지 않아서 충분한 지지강성을 갖기에는 매우 취약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로 인하여 충돌과 동시에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실 부위가 안쪽으로 심하게 밀리게 되고, 결과적으로 인체 상해치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차체플로어의 하단과 내측패널을 연결하는 부재를 사이드 프레임을 관통하도록 설치하여 사이드실의 측면 충돌에 의한 차체의 횡강성을 보강한 자동차용 사이드실의 보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 드실의 보강장치는, 내측패널과 외측패널이 서로 일정공간을 형성하면서 융착되어 있고, 이들 내측 및 외측패널의 사이에 보강패널이 수직 융착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패널의 내측 수평 방향으로는 차체플로어패널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플로어패널의 하부와 상기 내측패널의 내측면 사이에는 자동차의 전후 방향으로 단면이 폐곡면으로 된 사이드 프레임이 설치된 자동차의 사이드실에 있어서, 상기 내측패널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을 연결 고정하여 차량의 측면 충돌시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사이드실의 보강장치에 의하면, 내측패널의 하부면에 브래킷을 설치하고, 이 브래킷의 상하면에 고무로 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어퍼 및 로워부시를 위치시켜 부시마운팅볼트로 내측패널의 하부면에 브래킷의 일단을 고정하고, 브래킷의 타단은 사이드 프레임에 볼트를 매개로 고정하여 구성함으로써,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내측패널(10)의 하단부와 사이드 프레임(20)과의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결국 차체로의 충돌에 의한 침입량이 감소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사이드실에 보강장치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사이드실에 보강장치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사이드실의 구성은 내측패널(10)과 외측패널(11)이 서로 일정공간을 형성하면서 융착되어 있고, 상기 공간부에는 보강패널(12)이 수직 융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패널(10)의 내측 수평 방향으로는 차체플로어패널(13)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차체플로어패널(13)의 하부와 상기 내측패널(10)의 내측면 사이에는 자동차의 전후 방향으로 단면이 폐곡면으로 된 사이드 프레임(20)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의 사이드실에 있어서, 상기 내측패널(10)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20)을 연결 고정하여 차량의 측면 충돌시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장치(50)가 설치된다.
상기 보강장치(50)는 상기 내측패널(10)의 하부면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20)의 모서리부를 브래킷(51)으로 연결하고 있는 바, 이 브래킷(51)의 상하면에는 부시마운팅볼트(52)를 매개로 상기 내측패널(10)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어퍼 및 로워부시(53, 54)가 삽입 설치된다. 물론, 상기 브래킷(51)의 타단인 사이드 프레임(20)과의 고정은 볼트(55)를 매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내측패널(10)의 하부면에 브래킷(51)을 설치하고, 이 브래킷(51)의 상하면에 고무로 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어퍼 및 로워부시(53, 54)를 위치시켜 부시마운팅볼트(52)로 내측패널(10)의 하부면에 브래킷(51)의 일단을 고정하고, 브래킷(51)의 타단은 사이드 프레임(20)에 볼트(55)를 매개로 고정한다.
이와 같이 보강장치(50)를 설치함으로써,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내측패널(10)의 하단부와 사이드 프레임(20)과의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결국 차체로의 충돌에 의한 침입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사이드실의 보강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1은 자동차의 측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사이드실에 보강장치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사이드실에 보강장치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사이드실 보강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내측패널 11 : 외측패널
12 : 보강패널 13 : 차체플로어패널
20 : 사이드 프레임 50 : 보강장치
51 : 브래킷 52 : 부시마운팅볼트
53, 54 : 어퍼 및 로워부시 55 : 볼트

Claims (2)

  1. 내측패널(10)과 외측패널(11)이 서로 일정공간을 형성하면서 융착되어 있고, 이들 내측 및 외측패널(10, 11)의 사이에 보강패널(12)이 수직 융착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패널(10)의 내측 수평 방향으로는 차체플로어패널(13)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플로어패널(13)의 하부와 상기 내측패널(10)의 내측면 사이에는 자동차의 전후 방향으로 단면이 폐곡면으로 된 사이드 프레임(20)이 설치된 자동차의 사이드실에 있어서,
    상기 내측패널(10)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20)을 연결 고정하여 차량의 측면 충돌시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장치(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장치(50)는 상기 내측패널(10)의 하부면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20)의 모서리부를 연결하는 브래킷(51)과;
    상기 브래킷(51)의 상하면에 위치하면서 부시마운팅볼트(52)를 매개로 상기 내측패널(10)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어퍼 및 로워부시(53, 5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장치.
KR1020070105491A 2007-10-19 2007-10-19 자동차용 사이드실의 보강장치 KR100844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491A KR100844694B1 (ko) 2007-10-19 2007-10-19 자동차용 사이드실의 보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491A KR100844694B1 (ko) 2007-10-19 2007-10-19 자동차용 사이드실의 보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4694B1 true KR100844694B1 (ko) 2008-07-07

Family

ID=39824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491A KR100844694B1 (ko) 2007-10-19 2007-10-19 자동차용 사이드실의 보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469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6000A (ja) * 2006-06-28 2008-01-17 Fujinon Corp 内視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6000A (ja) * 2006-06-28 2008-01-17 Fujinon Corp 内視鏡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6-0003995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6747B2 (en) Attachment structure of door mirror
US8132845B2 (en) Vehicle door structure
EP2199128A1 (en) Door structure for a vehicle, method of providing a door structure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KR102371245B1 (ko) 차량의 센터 필러 구조
KR20110062110A (ko) 차량의 전방 차체구조
KR100844694B1 (ko) 자동차용 사이드실의 보강장치
KR20200061153A (ko) 차량의 차체구조물
KR100844698B1 (ko) 자동차용 사이드실의 보강장치
KR100844690B1 (ko) 자동차용 사이드실의 보강장치
CN110770408B (zh) 铰链
KR20170121222A (ko) 자동차 몸체 구조물용 보강재
CN205524477U (zh) 一种汽车车身安装点加强结构
KR20190068129A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KR100844677B1 (ko) 자동차용 사이드실의 보강장치
KR0138928B1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20090061895A (ko) 자동차용 센터필러 보강구조
KR200152954Y1 (ko) 자동차용 후방도어 임팩트바의 구조
JP2023150837A (ja) 車体の側部構造
KR200146879Y1 (ko) 자동차의 프런트 도어 힌지 레인포스먼트 패널 보강 구조
KR0137532B1 (ko) 자동차 도어의 보강벨트와 사쉬 취부구조
KR200146885Y1 (ko) 자동차의 프린트 도어 힌지 레인포스먼트 패널 보강 구조
KR100282920B1 (ko) 자동차 라디에이터 지지부재의 결합구조
KR100195500B1 (ko) 자동차 도어 임팩트빔의 취부구조
KR20100034276A (ko) 차량용 파워 트레인의 지지구조
KR20020088919A (ko) 승용차용 리어도어의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