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3438B1 - 셔터 랙이 없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셔터 랙이 없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3438B1
KR100843438B1 KR1020060129020A KR20060129020A KR100843438B1 KR 100843438 B1 KR100843438 B1 KR 100843438B1 KR 1020060129020 A KR1020060129020 A KR 1020060129020A KR 20060129020 A KR20060129020 A KR 20060129020A KR 100843438 B1 KR100843438 B1 KR 100843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hutter
image frame
stored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5548A (ko
Inventor
최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9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3438B1/ko
Publication of KR20080055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셔터 릴리즈 전부터 피사체를 촬영하여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생성/처리/저장하고, 저장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셔터 릴리즈 시점에서 촬영된 영상 프레임을 선택함으로써, 셔터 랙이 없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부와, 상기 이미지 센서부에서 생성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소정의 이미지 처리방식에 따라 처리하는 이미지 처리부와, 상기 이미지 처리부에서 처리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사용자의 셔터 릴리즈가 있는 경우, 상기 셔터 릴리즈 시점부터 상기 셔터 릴리즈에 따라 캡쳐되는 영상 프레임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시점까지의 셔터랙 시간을 측정하는 셔터 랙 계산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상기 셔터 릴리즈에 의해 캡쳐된 영상 프레임의 저장 시점으로부터 상기 셔터 랙 시간 전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고 출력하는 메모리 제어부를 포함하는 셔터 랙이 없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카메라, 셔터 랙, 메모리

Description

셔터 랙이 없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및 그 방법{CAMERA ACQUIRING IMAGE WITHOUT SHUTTER LAG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셔터 랙이 없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셔터 랙이 없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셔터 랙이 없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카메라 110: 이미지 센서부
120: 이미지 처리부 130: 메모리부
140: 셔터 랙 계산부 150: 제어부
160: 셔터 170: 표시부
180: 영상 프레임 선택 수단
본 발명은 셔터 랙이 없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셔터 릴리즈 전부터 피사체를 촬영하여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생성/처리/저장하고, 저장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셔터 릴리즈 시점에서 촬영된 영상 프레임을 선택함으로써, 셔터 랙이 없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과 멀티 미디어 기술의 발달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가 일반화되고 있으며, 휴대폰이나 PDA 등과 같은 휴대용기기에도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어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의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10)는 이미지 센서부(11)와 이미지 처리부(12)를 구비한다.
상기 이미지 센서부(11)는 피사체를 촬영하고, 이에 대한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상기 이미지 처리부(12)는 상기 이미지 센서부(11)에서 출력된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 신호를 소정의 이미지 처리방식에 따라 처리한 후, 이를 출력한다.
상기 이미지 처리부(12)는 사용자의 셔터 릴리즈가 있는 경우, 초점과 노출 이 최적이 되는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부(11)의 렌즈의 위치 또는 셔터 스피드(또는, 노출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부(11)는 이에 따른 조절이 완료된 후에, 피사체를 촬영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셔터 릴리즈 시점으로부터 이미지 센서부(11)가 피사체를 촬영하는 시점까지는 시간 차가 나게 되며, 이러한 시간 차는 피사체의 촬영 환경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시간 차를 셔터 랙(shutter lag)이라 한다.
이러한 셔터 랙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시점에서 셔터를 릴리즈 하더라도 원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셔터 릴리즈 전부터 피사체에 대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촬영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셔터 릴리즈 시점에서의 영상 프레임을 선택함으로써, 셔터 랙이 없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셔터 릴리즈 후, 셔터 릴리즈에 의해 영상 프레임이 생성되기까지 셔터 랙이 있는 카메라에 있어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부와, 상기 이미지 센서부에서 생성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소정의 이미지 처리방식에 따라 처리하는 이미지 처리부와, 상 기 이미지 처리부에서 처리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사용자의 셔터 릴리즈가 있는 경우, 상기 셔터 릴리즈 시점부터 상기 셔터 릴리즈에 따라 캡쳐되는 영상 프레임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시점까지의 셔터랙 시간을 측정하는 셔터 랙 계산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상기 셔터 릴리즈에 의해 캡쳐된 영상 프레임의 저장 시점으로부터 상기 셔터 랙 시간 전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고 출력하는 메모리 제어부를 포함하는 셔터 랙이 없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메모리 제어부는, 상기 영상 프레임의 선택 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모두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메모리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영상 프레임이 기설정된 메모리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먼저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한 영상 프레임 선택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셔터 릴리즈 후, 셔터 릴리즈에 의해 영상 프 레임이 생성되기까지 셔터 랙이 있는 카메라로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순차적으로 생성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소정의 이미지 처리방식에 따라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처리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셔터 릴리즈 시, 상기 릴리즈 시점부터, 상기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상기 릴리즈에 의해 생성되는 영상 프레임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시점까지의 셔터 랙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상기 셔터 릴리즈에 의해 캡쳐된 영상 프레임의 저장 시점으로부터 상기 셔터 랙 시간 전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셔터 랙이 없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셔터 랙이 없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100)는, 이미지 센서부(110)와, 이미지 처리부(120)와, 메모리부(130)와, 셔터 랙 계산부(140), 메모리 제어부(150) 및 셔터(160)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센서부(110)는, 렌즈, 이미지 센서 등으로 이루어져,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생성한다.
상기 이미지 처리부(120)는, 상기 이미지 센서부(110)로부터의 상기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소정의 이미지 처리방식에 따라 처리한다.
상기 메모리부(130)는, 상기 이미지 처리부(120)에서 처리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상기 셔터 랙 계산부(140)는, 사용자의 셔터 릴리즈가 있는 경우, 상기 셔터 릴리즈 시점부터 상기 셔터 릴리즈에 따라 캡쳐되는 영상 프레임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시점까지의 셔터랙 시간을 측정한다.
상기 메모리 제어부(150)는,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상기 셔터 릴리즈에 의해 캡쳐된 영상 프레임의 저장 시점으로부터 상기 셔터 랙 시간 전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고 출력한다.
한편, 상기 메모리 제어부(150)는, 상기 영상 프레임의 선택 후,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모두 삭제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메모리 제어부(150)는,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되는 영상 프레임이 기설정된 메모리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먼저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셔터(160)는, 사용자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는 장치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셔터 랙이 없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의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카메라(100')는, 도 2에 도시된 카메라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나,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표시하는 표시부(170)와, 상기 표시부(170)에 표시되는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한 영상 프레임 선택 수단(180)을 더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셔터 랙이 없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셔터 랙이 없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S110)와, 상기 영상 프레임을 소정의 이미지 처리방식에 따라 처리하는 단계(S120)와, 상기 처리된 영상 프레임을 저장하는 단계(S130)와, 사용자의 셔터 릴리즈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S140)와, 사용자의 셔터 릴리즈 시, 상기 릴리즈 시점부터 상기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상기 릴리즈에 의해 생성되는 영상 프레임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시점까지의 셔터 랙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S150)와, 저장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상기 셔터 릴리즈에 의해 캡쳐된 영상 프레임의 저장 시점으로부터 상기 셔터 랙 시간 전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고 출력하는 단계(S160)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이미지 센서부(110)는 사용자의 셔터 릴리즈가 있기 전부터 영상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생성하며, 생성되는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이미지 처리부(120)로 공급한다. 카메라는 셔터랙이 없는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소정의 모드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부(110)는 영상프레임을 생성하기 시작한다.
상기 이미지 센서부(110)에서 생성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은 상기 이미지 센서부(110)에 구비되는 CMOS와 같은 이미지 센서에서 각 화소별의 전기적인 신호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와 같은 신호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없는 신호이다. 이미지 처리부(120)는 이와 같은 이미지 센서부(110)로부터의 복수의 영상 프레임에 대한 신호를 소정의 처리방식으로 처리하여 사용자가 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 등을 통하여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센서부(110)로부터의 신호는 핫 픽셀 또는 콜드 픽셀 등과 같은 이미지 센서의 불량, 외부 노이즈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양질의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이미지 처리부(120)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불량, 외부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처리부(120)는 피사체 촬영 환경에 따라, 촬영되는 이미지가 최적의 초점과 최적의 노출 특성을 갖도록 자동 초점(AF: Auto Focus)과 자동 노출(AE: Auto Exposure)을 수행하며, 이러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부(110)의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 등을 조절하며,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최적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최적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부(110)와 이미지 처리부(120)가 동작하면서, 사용자의 셔터 릴리즈 시점과 이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가 실제로 촬영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적 차이가 발생하며, 이러한 차이가 셔터 랙이 발생되는 주요 요인이다.
상기 이미지 처리부(120)에 의하여 처리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30)로 공급되며, 상기 메모리부(130)는 공급받은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저장한다.
이때, 상기 메모리부(130)는 상기 복수의 영상 프레임의 촬영 시간을 상기 복수의 영상 프레임 각각에 대하여 저장하거나, 해당 영상 프레임의 촬영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저장할 할 수 있다. 상기 영상 프레임의 촬영 시간에 대한 정보는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 중 어느 한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와 같은 영상 프레임은 사용자의 셔터 릴리즈 동작에 의하여 생성된 영상 프레임이 메모리부(130)에 저장될 때까지 계속 생성/처리/저장된다.
한편, 상기 메모리부(130)는 저장 용량에 한계가 있으며, 따라서,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될 수 있는 영상 프레임의 수도 한정된다. 예를 들어, 300만 화소의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1 프레임당 대략 3Mb의 메모리 용량이 필요하며, 상기 메모리부(130)의 용량이 128Mb인 경우 대략 42개의 영상 프레임이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즉, 1초에 15프레임을 처리할 수 있는 카메라의 경우, 대략 2.8초 동안의 피사체에 대한 영상 프레임이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가 카메라(100)를 작동시킨 후, 실제로 피사체를 촬영하기까지는 2.8초를 더 넘을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100)의 온 후 2.8초가 경과하면 상기 메모리부(130)는 더 이상 영상 프레임을 저장할 수 없으므로, 메모리 제어부(150)는 상기 메모리부(130)에 순차적으로 저장되는 영상 프레임이 상기 메모리부(130)의 기설정된 메모리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먼저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상기 메모리부(130)에서 삭제하여, 계속 생성되는 영상 프레임을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메모리부(130)의 용량이 한정되더라도 선입선출(FIFO, first input first output) 방식으로 메모리 관리를 함으로써, 메모리부(130)의 용량을 확장하지 않고 셔터 랙 없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30)의 메모리 용량은 클수록 많은 영상 프레임을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카메라의 최대 해상도, 최대 셔터 랙 시간, 카메라의 최대 프레임 레이트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의 최대 해상도가 300만 화소이고(한 영상 프레임의 용량은 3Mb), 최대 셔터 랙 시간이 1.5초이며, 최대 프레임 레이트가 15fps(frame per second)라면, 상기 메모리부(130)의 메모리 용량은 대략 68Mb(3×1.5×15)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하여 셔터를 릴리즈 하는 경우, 상기 셔터 릴리즈 동작에 의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부(110)는 피사체의 영상 프레임을 캡쳐하고, 이때 캡쳐된 영상 프레임은 상기 이미지 처리부(120)에서 전술한 처리 방식에 따라 처리된 후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된다.
이 과정에서 셔터 릴리즈 동작이 있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 처리부(120)에서 자동 초점, 자동 노출 등을 수행하는 것에 의하여 소정의 시간이 소요된 후, 상기 이미지 센서부(110)로부터 피사체의 영상이 캡쳐되고, 캡쳐된 영상은 상기 이미지 처리부(120)에서 처리된 후, 메모리부(130)에 저장된다.
따라서, 셔터(160) 릴리즈 동작에 따라 캡쳐되는 영상 프레임은 셔터 릴리즈 동작이 이루어지는 시간으로부터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되는 시간 동안의 시간차가 셔터 랙 시간이 된다. 이때, 상기 셔터 랙 시간이 셔터 랙 계산부(140)에서 계산된 후, 메모리 제어부(150)로 공급되며, 상기 메모리 제어부(150)는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상기 셔터 랙 시간 전에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프레임을 선택하여 출력하게 한다.
상기 메모리부(130)가 이미지 처리부(120)로부터의 영상 프레임을 전송받아 저장하는 시간은 연속되는 영상 프레임이 생성되는 시간 간격과 비교할 때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상기 셔터 랙 계산부(140)는 카메라(100)의 셔터(160)가 릴리 즈 되는 시점(t1)과 상기 이미지 처리부(120)로부터의 영상 프레임이 상기 메모리부(130)에 전송되는 시점(t2)으로부터 상기 셔터 랙 시간(Δt=t2-t1)을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 중, 상기 셔터 랙 시간(Δt) 이전에 촬영된 영상 프레임이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시점에서의 영상 프레임이 되며, 이에 따라, 이 영상 프레임이 셔터 랙이 없는 영상 프레임이 된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부(130)는 각 영상 프레임에 대한 촬영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메모리부(130)의 각 영상 프레임이 해당 프레임의 촬영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영상 프레임의 촬영시간에 대한 정보와, 상기 셔터 랙 시간(Δt)을 이용하여 상기 셔터 릴리즈 시점에서 촬영된 영상 프레임을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모리 제어부(150)는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 중 한 프레임을 선택한 후에는,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프레임을 모두 삭제하여, 상기 메모리부(150)가 피사체에 대한 새로운 영상 프레임을 획득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셔터 랙이 없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100')는, 도 2에 도시된 카메라에 추가적으로 표시부(170) 및 영상 프레임 선택수단(180)이 더 부가된 구성을 갖는다.
사용자가 피사체의 동작을 보고 셔터(160)를 릴리즈하는 경우에 시차가 발생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실수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이 아닌 경우에 셔터를 릴리즈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 제어부(150)가 셔터 랙 계산부(140)로부터의 처리시간에 따라 메모리 제어부(150)가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 중 하나를 선택한다 하더라도, 원하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상기 메모리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셔터 릴리즈가 있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LCD와 같은 표시부(170)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표시부(170)에 표시되는 각 영상 프레임 중, 원하는 이미지를 영상 프레임 선택 수단(180)을 통하여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사체를 촬영할 때마다 표시부(170)와 영상 프레임 선택 수단(180)을 통해 원하는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선택을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사용자가 피사체를 계속 촬영하는 경우에는 비효율적이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 제어부(150)는 상기 셔터 랙 계산부(140)로부터의 처리시간에 따라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고, 촬영 간격이 충분히 큰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170)와 영상 프레임 선택 수단(180)을 통해 영상 프레임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영상 프레임 선택 수단(180)은 카메라(100')에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메 뉴 입력을 위한 버튼이 될 수 있으며, 영상 프레임의 선택을 위하여 상기 카메라(100')는 별도의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버튼 이외에도, 상기 영상 프레임 선택 수단(180)은 LCD와 같은 표시장치의 표면에 장착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셔터 랙이 없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셔터 릴리즈 후, 셔터 릴리즈에 의해 영상 프레임이 생성되기까지 셔터 랙이 있는 카메라로 영상을 촬영할 때, 카메라는 영상 프레임을 생성하고(S110), 생성된 영상 프레임을 소정의 영상 처리 방식에 따라 처리한 후(S120), 처리된 영상 프레임을 저장한다(S130). 이러한 과정(S110-S130)은 사용자의 셔터 릴리즈 동작이 있을 때까지 계속 반복된다.
사용자의 셔터 릴리즈 동작이 있는 경우(S140)에는, 셔터 릴리즈에 의해 카메라가 캡쳐하는 영상 프레임이 처리되는 시간을 측정한다(S150). 이에 따라, 사용자의 셔터 릴리즈 시점으로부터 상기 영상 프레임이 처리된 후 저장되는 시점까지의 셔터 랙 시간을 측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저장된 영상 프레임 중, 상기 셔터 릴리즈에 의해 상기 저장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상기 셔터 릴리즈에 의해 캡쳐된 영상 프레임의 저장 시점으로부터 상기 셔터 랙 시간 전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선택한다(S160).
상기 과정을 통하여, 셔터를 릴리즈 하기 전부터 순차적으로 피사체의 영상을 저장한 후, 셔터 릴리즈 시점의 영상 프레임을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어, 피사체에 대한 셔터 랙이 없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가 셔터랙이 없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소정의 모드(예를 들어, 셔터랙 제거 모드)를 가지고 있는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카메라가 상기 모드로 설정되고 난 다음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며, 이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셔터 랙이 없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피사체가 많이 움직이는 경우에도, 원하는 시점에서 상기 피사체를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부;
    상기 이미지 센서부에서 생성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소정의 이미지 처리방식에 따라 처리하는 이미지 처리부;
    상기 이미지 처리부에서 처리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부;
    사용자의 셔터 릴리즈가 있는 경우, 상기 셔터 릴리즈 시점부터 상기 셔터 릴리즈에 따라 캡쳐되는 영상 프레임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시점까지의 셔터랙 시간을 측정하는 셔터 랙 계산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상기 셔터 릴리즈에 의해 캡쳐된 영상 프레임의 저장 시점으로부터 상기 셔터 랙 시간 전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고 출력하는 메모리 제어부
    를 포함하는 셔터 랙이 없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제어부는,
    상기 영상 프레임의 선택 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모두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랙이 없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영상 프레임이 기설정된 메모리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먼저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랙이 없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셔터 릴리즈가 있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영상 프레임 중 하나의 영상 프레임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하기 위한 영상 프레임 선택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 제어부는 상기 셔터 랙 계산부에 의해 계산된 셔터 랙 시간 또는 상기 영상 프레임 선택 수단에 의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고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랙이 없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5.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순차적으로 생성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소정의 이미지 처리방식에 따라 처리하는 단계;
    상기 처리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의 셔터 릴리즈가 있는 경우, 상기 셔터 릴리즈 시점부터 상기 셔터 릴리즈에 따라 캡쳐되는 영상 프레임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시점까지의 셔터랙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 중, 상기 셔터 릴리즈에 의해 캡쳐된 영상 프레임의 저장 시점으로부터 상기 셔터 랙 시간 전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고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셔터 랙이 없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
KR1020060129020A 2006-12-15 2006-12-15 셔터 랙이 없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및 그 방법 KR100843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020A KR100843438B1 (ko) 2006-12-15 2006-12-15 셔터 랙이 없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020A KR100843438B1 (ko) 2006-12-15 2006-12-15 셔터 랙이 없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548A KR20080055548A (ko) 2008-06-19
KR100843438B1 true KR100843438B1 (ko) 2008-07-03

Family

ID=39802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020A KR100843438B1 (ko) 2006-12-15 2006-12-15 셔터 랙이 없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34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00363A (zh) * 2012-01-06 2013-07-10 三星电子株式会社 存储照相机捕获图像的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4113A (ko) * 2012-02-15 2013-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899851B1 (ko) 2012-05-03 2018-09-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104497B1 (ko) * 2012-11-12 2020-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9864A (ko) 2002-10-02 2004-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의 정지영상 캡처 방법
KR20060016578A (ko) 2004-08-18 2006-02-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콘텐츠 그룹 저장 비율 관리 방법
KR20060026691A (ko) 2004-09-21 2006-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캡쳐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9864A (ko) 2002-10-02 2004-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의 정지영상 캡처 방법
KR20060016578A (ko) 2004-08-18 2006-02-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콘텐츠 그룹 저장 비율 관리 방법
KR20060026691A (ko) 2004-09-21 2006-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캡쳐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00363A (zh) * 2012-01-06 2013-07-10 三星电子株式会社 存储照相机捕获图像的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548A (ko)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5848B1 (ko) 전자 기기
US957824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capture using image stored in camera
TW200828990A (en) Imaging apparatus,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and imaging control method
JP5536010B2 (ja) 電子カメラ、撮像制御プログラム及び撮像制御方法
KR20120119794A (ko) 특수 효과들을 사용한 촬영 방법 및 장치
JP6238756B2 (ja) 撮像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843438B1 (ko) 셔터 랙이 없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및 그 방법
JP6377286B2 (ja) 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作動プログラム
JP5423204B2 (ja) 撮像装置
JP5433459B2 (ja) 撮像装置
JP6569188B2 (ja) 撮像装置
JP4828486B2 (ja) デジタルカメラ、撮影方法及び撮影プログラム
JP2009105942A (ja) 電子カメラ装置
JP2004363935A (ja) デジタルカメラ
JP5700072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7124625B2 (ja) 撮影システム
KR101643772B1 (ko) 카메라에 저장된 이미지를 이용한 이미지 촬영 장치 및 방법
JP2019176487A (ja) 電子機器
JP2012129670A (ja) 撮像装置
JP2011040897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104501A (ja) 静止画像記録装置、静止画像記録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3165363A (ja) 撮像装置
JP2005303505A (ja) デジタルカメラ
JP5304146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CN116708987A (zh) 图像拍摄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