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2160B1 -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또는 그 유사체를 포함하는 패혈증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또는 그 유사체를 포함하는 패혈증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2160B1
KR100842160B1 KR1020020064308A KR20020064308A KR100842160B1 KR 100842160 B1 KR100842160 B1 KR 100842160B1 KR 1020020064308 A KR1020020064308 A KR 1020020064308A KR 20020064308 A KR20020064308 A KR 20020064308A KR 100842160 B1 KR100842160 B1 KR 100842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ysophosphatidylcholine
sepsis
composition
mice
icr m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4220A (ko
Inventor
김영희
송동근
서홍원
허성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시너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20064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2160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시너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시너젠
Priority to AU2003215954A priority patent/AU2003215954B2/en
Priority to ES03745031.9T priority patent/ES2536710T3/es
Priority to PCT/KR2003/000593 priority patent/WO2003080071A1/en
Priority to EP03745031.9A priority patent/EP1490072B1/en
Priority to CA002480429A priority patent/CA2480429C/en
Priority to CN038088991A priority patent/CN1646138B/zh
Priority to JP2003577897A priority patent/JP4320262B2/ja
Priority to US10/509,300 priority patent/US7410955B2/en
Publication of KR20040034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83Diesters of a phosphorus acid with two hydroxy compounds, e.g. phosphatidylinositols
    • A61K31/685Diesters of a phosphorus acid with two hydroxy compounds, e.g. phosphatidylinositols one of the hydroxy compounds having nitrogen atoms, e.g. phosphatidylserine,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혈증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우수한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유효성분으로서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및 그 유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Description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또는 그 유사체를 포함하는 패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SEPSIS COMPRISING LYSOPHOSPHATIDYLCHOLINE OR ITS DERIVATIVES}
도 1a 내지 도 1d는 CLP 패혈증 모델에서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의 효과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세균(E. coli)-유발 패혈증 모델에서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의 효과를 도시한다.
도 3은 LPS-유발 패혈증 모델에서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의 효과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또는 그 유사체를 포함하는 패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패혈증(sepsis)은 세균의 침입에 대해 숙주가 과도하게 전신적 반응을 함으로써 생기며, 이로 인한 사망률이 약 45%에 이른다. 대부분의 경우 세균에 감염된 숙주가 그람음성균의 내독소(endotoxin)에 대해 과도하게 반응함으로써 발생한다. 패혈증을 치료하기 위해 항균제와 스테로이드 제제가 사용되고 있으나 그 효과가 미미하여 패혈증으로 인한 사망률이 여전히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패혈증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우수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유효성분으로서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패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된다:
Figure 112002034500019-pa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C4-30의 알킬이거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중결합을 지닌 C4-30의 알케닐이다. 바람직한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은 1-스테아오릴(18:0)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L-α-Lysophosphatidylcholine, stearoly; Lysolecithin, stearoyl), 1-올레오일(18:1)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L-α-Lysophosphatidylcholine, Oleoyl; Lysolecithin, oleoyl), 및 1-미리스토일(14:0) 라이소파티딜콜린 (L-α-Lysophosphatidylcholine, myristoyl)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은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의 유사체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2의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의 에테르 유사체일 수 있다:
Figure 112002034500019-pat00002
상기 식에서 R2는 C4-30의 알킬이거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중결합을 지닌 C4-30의 알케닐이다. 바람직하게는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O-알크-1-에닐 (L-α -Lysophosphatidylcholine, γ-O-Alk-1-Enyl; Lysophosphatidalcholine);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O-알킬 (L-α-Lysophosphatidylcholine, γ-O-Alkyl; Lyso-platelet activating factor);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O-헥사데실 (DL-α-Lysophosphatidylcholine, γ-O-Hexadecyl; rac-Lyso-platelet activating factor); 및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O-헥사데실 (L-α-Lysophosphatidylcholine, γ-O-Hexadecyl; Lyso-platelet activating factor; Lyso-PAF-C16)이다.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및 그 유사체는 상업적으로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또한,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및 그 유사체는 동물로부터 단리할 수 있고, 당업계에 잘 알려진 합성 방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및 그 유사체는 포유동물의 체내에 내재성 물질이므로 안전성은 입증된 것과 다름없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다양한 비경구 또는 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 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의 대표적인 것은 주사용 제형으로 등장성 수용액 또는 현탁액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캅셀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 또는 글리신), 활탁제(예 :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멸균되고/되거나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및 그 유사체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대해 하루에 0.01 내지 100 ㎎/㎏(체중)의 양으로 1일 1회 또는 분할하여 비경구 또는 경구적 경로를 통해 투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패혈증 모델
(a) 맹장 결찰 및 천공 (Cecal Ligation and Puncture; CLP) 패혈증 모델
ICR 마우스 (체중 25 내지 30g; MJ Ltd.)를 펜토바비탈로 마취시킨 후, 복부 오른쪽 부위를 1㎝ 길이로 절개하고 맹장을 노출시킨 다음 회맹부 관 (ileocecal valve) 아래 부위를 결찰한 후 맹장에 21 게이지 바늘로 4개의 구멍을 내고, 복부를 다시 봉합하여 패혈증를 유발하였다.
(b) 직접적으로 유발시킨 패혈증 모델
ICR 마우스 (체중 25 내지 30g; MJ Ltd.)에 108개의 살아있는 E. coli(DH5a)를 함유하는 세균 현탁액을 0.5ml의 용량으로 복강내 주사하여 패혈증을 유발하였다 (세균-유발 폐혈증 모델).
또한, ICR 마우스 (체중 25 내지 30g; MJ Ltd.)에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 E. coli 055:B5에서 유래된)를 5mg/kg으로 복강내 주사하여 패혈증을 유발하였다 (LPS-유발 패혈증 모델).
실시예 1: CLP 패혈증 모델에서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의 효과
실시예 1a
참고예 1(a)에 따른 CLP 패혈증 모델의 ICR 마우스 40마리를 봉합한 지 2 시간 후부터 12시간 간격으로 4회에 걸쳐, 각 10마리의 ICR 마우스에게는 1 회씩 지방산이 없는 1% BSA(bovine serum albumin) 용액에 녹인 L-α-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스테아로일 (Sigma)을 5, 10, 20㎎/㎏의 양으로 복강 투여하고 (실험군), 나머지 10마리의 ICR 마우스에게는 지방산이 없는 1% BSA 용액 만을 투여하였다 (대조군).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실험군 및 대조군의 ICR 마우스의 생존율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는 도 1a에 도시하였다. 도 1a에서 알 수 있듯이,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을 투여한 실험군의 마우스들은 대조군의 마우스들에 비하여 생존율이 훨씬 높았다.
실시예 1b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이 패혈증이 진행된 경우에도 효과가 있는지를 관찰하기 위하여, 참고예 1(a)에 따른 CLP 패혈증 모델의 ICR 마우스 20마리를 CLP후 10시간 후부터 12시간 간격으로 4회에 걸쳐, 10마리의 ICR 마우스에게는 1 회씩 지방산이 없는 1% BSA 용액에 녹인 L-α-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스테아로일 (Sigma)을 10㎎/㎏의 양으로 복강 투여하고 (실험군), 나머지 10마리의 ICR 마우스에게는 지방산이 없는 1% BSA 용액 만을 투여한 (대조군) 후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실험 군 및 대조군의 ICR 마우스의 생존율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는 도 1b에 도시하였다. 도 1b에서 알 수 있듯이, 패혈증이 더 진행된 경우에도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은 거의 동일한 치료효과를 유지하였다.
실시예 1c
1-스테아로일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과 아실기 (화학식 1의 R1기)가 상이한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도 패혈증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1-스테아로일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대신에 각각 1-올레오일(18:1)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및 1-미리스토일(14:0)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을 10㎎/㎏의 양으로 복강 투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a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험하였고, 그 결과를 도 1c에 도시하였다. 도 1c에서 알 수 있듯이, 1-스테아로일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과 아실기가 상이한, 1-올레일(18:1)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및 1-미리스토일(14:0)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도 패혈증에 대해 우수한 치료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 1d
참고예 1(a)에 따른 CLP 패혈증 모델의 ICR 마우스 20마리를 CLP후 2 시간 및 12시간에, 10마리의 ICR 마우스에게는 지방산이 없는 1% BSA 용액에 녹인 L-α-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스테아로일 (Sigma)을 10㎎/㎏의 양으로 복강 투여하고 (실험군), 나머지 10마리의 ICR 마우스에게는 지방산이 없는 1% BSA 용액 만을 투여하였다 (대조군). 이들 마우스들을 CLP 24시간 후에 마취시킨 후, 복강을 노출시킨 뒤에 각각의 멸균 생리식염수(2ml) 세척액을 취하여 다시 멸균 생리식염수로 1/1000 으로 희석한 후, 각각의 희석액을 10㎕씩 Trypticase Soy 아가(BD BBL 사, USA) 플레이트상에 도말한 뒤, 37℃에서 하룻밤 배양하여 콜로니의 수(Colony Forming Unit(CFU))를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도 1d에 나타내었다.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이 투여된 실험군의 마우스들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복강내 세균의 수가 80%까지 감소되었다.
실시예 2: 대장균-유발 패혈증 모델에서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의 효과
실시예 2a
참고예 1(b)에 따른 대장균-유발 패혈증 모델의 ICR 마우스 20마리를 대장균 주사 2시간 후부터 12시간 간격으로 4회에 걸쳐, 10마리의 ICR 마우스에게는 지방산이 없는 1% BSA용액에 녹인 L-α-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스테아로일 (Sigma)을 10㎎/㎏의 양으로 복강 투여하고 (실험군), 나머지 10마리의 ICR 마우스에게는 지방산이 없는 1% BSA 용액 만을 투여하였다 (대조군).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실험군 및 대조군의 ICR 마우스의 생존율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도 2a에 도시하였다. 도 2a에서 알 수 있듯이,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을 투여한 실험군의 마우스들은 대조군의 마우스들에 비하여 생존율이 훨씬 높았다.
실시예 1b
참고예 1(b)에 따른 세균-유발 패혈증 모델의 ICR 마우스 20마리를 봉합한 후, 2 시간 및 12시간에 10마리의 ICR 마우스에게는 지방산이 없는 1% BSA 용액에 녹인 L-α-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스테아로일 (Sigma)을 10㎎/㎏의 양으로 복강 투여하고 (실험군), 나머지 10마리의 ICR 마우스에게는 지방산이 없는 1% BSA 용액 만을 투여하였다 (대조군). 그리고 나서 실시예 1d에서와 같이, 이들 마우스들의 복강액내의 세균 수(CFU)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2b에 나타내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이 투여된 실험군의 마우스들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복강내 세균의 수가 현격히 감소되었다.
실시예 3: LPS-유발 패혈증 모델에서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의 효과
참고예 1(b)에 따른 LPS-유발 패혈증 모델의 ICR 마우스 20마리를 대장균 주사 2시간 후부터 12시간 간격으로 4회에 걸쳐, 10마리의 ICR 마우스에게는 지방산이 없는 1% BSA용액에 녹인 L-α-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스테아로일 (Sigma)을 10㎎/㎏의 양으로 복강 투여하고 (실험군), 나머지 10마리의 ICR 마우스에게는 지방산이 없는 1% BSA 용액 만을 투여하였다 (대조군).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실험군 및 대조군의 ICR 마우스의 생존율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을 투여한 실험군의 마우스들은 대조군의 마우스들에 비하여 생존율이 훨씬 높았다.
실시예 1~3의 결과로 부터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및 그 유사체는 패혈증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효성분으로서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패혈증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Claims (3)

  1. 유효성분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의 에테르 유사체를 포함하는 패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09600816-pat00003
    상기 식에서, R1은 C4-30의 알킬이거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중결합을 지닌 C4-30의 알케닐이고,
    화학식 2
    Figure 112008009600816-pat00004
    상기 식에서, R2는 C4-30의 알킬이거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중결합을 지닌 C4-30의 알케닐이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은 1-스테아로일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1-올레오릴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및 1-미리스토일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020064308A 2002-03-25 2002-10-21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또는 그 유사체를 포함하는 패혈증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42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308A KR100842160B1 (ko) 2002-10-21 2002-10-21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또는 그 유사체를 포함하는 패혈증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S03745031.9T ES2536710T3 (es) 2002-03-25 2003-03-25 Nuevo uso terapéutico de LPC, ligandos agonistas específicos para el receptor G2A
PCT/KR2003/000593 WO2003080071A1 (en) 2002-03-25 2003-03-25 Novel therapeutical use of agonist ligands specific to g2a receptor
EP03745031.9A EP1490072B1 (en) 2002-03-25 2003-03-25 Novel therapeutical use of lpc, agonist ligands specific to g2a receptor
AU2003215954A AU2003215954B2 (en) 2002-03-25 2003-03-25 Novel therapeutical use of agonist ligands specific to G2A receptor
CA002480429A CA2480429C (en) 2002-03-25 2003-03-25 Novel therapeutical use of agonist ligands specific to g2a receptor
CN038088991A CN1646138B (zh) 2002-03-25 2003-03-25 对g2a受体特异性的激动剂配体的制药用途
JP2003577897A JP4320262B2 (ja) 2002-03-25 2003-03-25 G2a受容体に特異的な作用剤リガンドの新規な治療用途
US10/509,300 US7410955B2 (en) 2002-03-25 2003-03-25 Therapeutic use of agonist ligands specific to G2A recep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308A KR100842160B1 (ko) 2002-10-21 2002-10-21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또는 그 유사체를 포함하는 패혈증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220A KR20040034220A (ko) 2004-04-28
KR100842160B1 true KR100842160B1 (ko) 2008-06-27

Family

ID=37333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308A KR100842160B1 (ko) 2002-03-25 2002-10-21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또는 그 유사체를 포함하는 패혈증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21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2517A1 (ko) 2013-03-12 2014-09-18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지질나노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9490B1 (ko) 2020-04-22 2020-12-11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LPC) 또는 그의 에테르 유도체-함유 지질나노물질의 바이러스 감염 질환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866B1 (ko) * 2006-10-16 2008-03-06 학교법인 한림대학교 라이소 포스파디딜콜린 및 유도체의 전합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635A (ko) * 2001-04-25 2002-10-31 주식회사 바이오시너젠 라이소포스파티딘산을 포함하는 패혈성 쇼크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20030030125A (ko) * 2001-10-08 2003-04-18 주식회사 바이오시너젠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또는 그 유사체를 포함하는 패혈성쇼크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635A (ko) * 2001-04-25 2002-10-31 주식회사 바이오시너젠 라이소포스파티딘산을 포함하는 패혈성 쇼크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20030030125A (ko) * 2001-10-08 2003-04-18 주식회사 바이오시너젠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또는 그 유사체를 포함하는 패혈성쇼크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2517A1 (ko) 2013-03-12 2014-09-18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지질나노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9490B1 (ko) 2020-04-22 2020-12-11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LPC) 또는 그의 에테르 유도체-함유 지질나노물질의 바이러스 감염 질환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220A (ko) 200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4894A (en) Method of inhibiting the onset of septicemia and endotoxemia
RU2001108569A (ru)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ая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в лиофилизированной форме
JP2002363097A5 (ko)
ES2238268T3 (es) Medicamento para el tratamiento de la hipertension sanguinea.
JP2009535328A5 (ko)
KR100842160B1 (ko)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또는 그 유사체를 포함하는 패혈증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3922340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reating lung diseases
US4005224A (en) Method of combating influenza type A and B and parainfluenza type 3 viruses with aminospiranes and aminoalkylspiranes
Vallee et al. Activity and local delivery of azithromycin in a mouse model of Haemophilus influenzae lung infection
US4866035A (en) Dipeptidyl saccharides as host resistance enhancers in AIDS-immuno-compromised hosts and methods of use
US4666889A (en) Method for combatting viral infections
GB1599612A (en) Antiviral agent and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JP4062743B2 (ja) 「肺性心治療剤」
KR100849448B1 (ko)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또는 그 유사체를 포함하는 선천성면역 증강 조성물
BR122013012291B1 (pt) uso de 3-o-acetil-4"-o-isovaleril-tilosina ou um sal de adição de ácido farmacologicamente aceitável ou outro derivado da mesma, ração para suínos, composição revestida estável para adição a uma ração animal e medicamento veterinário
KR100842159B1 (ko)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또는 그 유사체를 포함하는 급성호흡곤란 증후군 및 다발성 장기부전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US4963577A (en) Use of the thiazole derivative tiprotimod for the preparation of an agent for the therapy of virus infections
KR20030030125A (ko)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또는 그 유사체를 포함하는 패혈성쇼크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20082635A (ko) 라이소포스파티딘산을 포함하는 패혈성 쇼크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1247641B1 (ko) Cxcr2에 결합하는 펩타이드 리간드를 포함하는 감염성 및 염증성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230005150A (ko) 바이러스 감염 및 건강 결과 치료 방법
JPH0759504B2 (ja) ポリプレニルアルコ−ル含有注射剤
Pollikoff et al. Antiviral Activity of N-Ethylisatin β-Thiosemicarbazone in Vaccinia-Infected Mice
KR20070059226A (ko) 3-라이소-2-포스파티딜콜린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패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E10048840A1 (de) Verwendung von Lipopeptiden oder Lipoproteinen zur Behandlung von Lungeninfektionen und -tumor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