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1024B1 - 이어폰 - Google Patents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1024B1
KR100841024B1 KR1020070005606A KR20070005606A KR100841024B1 KR 100841024 B1 KR100841024 B1 KR 100841024B1 KR 1020070005606 A KR1020070005606 A KR 1020070005606A KR 20070005606 A KR20070005606 A KR 20070005606A KR 100841024 B1 KR100841024 B1 KR 100841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earphone
disposed
case
chan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8083A (ko
Inventor
빌 양
Original Assignee
코트론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트론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코트론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80018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6Spatial arrangements of separate transducers responsive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5/00Details of stereophonic arrangements covered by H04R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5/022Plurality of transducer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ound channels in each earpiece of headphones or in a singl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Stereophonic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케이스 연장유닛; 상기 케이스 연장유닛 상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와 함께 메인음향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플레이트; 상기 공간을 커버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 연장유닛 상에 배치되고, 상기 공간에 대향하여 플레이트의 외측에 위치되는 커버; 제1스피커 및 제2스피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스피커는, 그 제1스피커의 위치와 상기 제2스피커의 위치 사이의, 이어폰에서 그 이어폰을 착용한 사용자측으로의 음향방향에 따른 거리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플레이트의 지지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스피커가 배치되는 제2평면과는 다른 제1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케이스 연장유닛, 플레이트, 커버

Description

이어폰{Earphone}
도 1은 2.1채널들을 가지는 통상적인 이어폰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1채널들을 가지는 이어폰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1채널들을 가지는 이어폰을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이어폰 110:메인바디
112:케이스 114:케이스 연장유닛
116:커버 118:플레이트
120:연결구 130:메인 스피커
140:서브우퍼 스피커
본 발명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스피커들을 가지는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디지털 엔터테인먼트(entertaiment) 장치들은 일상생 활에 대중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는 대중적인 가정용 비디오 플레이어가 되고 있다. 상기 DVD 플레이어는 돌비디지털 시스템(Dolby Digital System) 또는 디지털 띠어터 시스템(Digital Theater System)을 위한 디코딩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디지털 신호를 디코드하고 스피커들 측으로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한다. 그런 다음, 상기 스피커들은 음향(sound)을 송출시킨다. 멀티-채널(multi-channel) 스피커들은 일상생활에서 양질의 디지털 엔터테인먼트를 위해 필수적이다. 5.1채널들을 가지는 스피커들은 알려져 있는 멀티-채널 스피커들이다.
그러나, 음향이 타인을 방해할 수 있는 특정상황에서는 스피커들의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대신에, 이어폰이 사용된다. 양질의 멀티-채널 음향소스(sound source)들을 슬리머(slimmer)한 이어폰에 흡수(intergrating)하기 위한 디자인들이 제공되어 왔다. 이어폰에서의 공간은 홈띠어터(home theater)만큼 크지 않기 때문에, 음향신호들을 위한 디지털 프러세싱이 멀티-채널 서라운딩 음향효과(multi-channel surrounding sound effect)를 얻기 위한 회로디자인과 같은 것에 의해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음향신호들은 디지털 프로세싱을 통해 콘트롤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출력음향필드(output sound field)는 열등하다. 홈띠어터에 채용되는 멀티-채널 스피커들과 비교하여, 통상적은 이어폰은 멀티-채널 스피커와 같은 양질의 음향 및 음향효과를 제공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어폰 내부에서 서로 다른 스피커들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필드(sound field)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이어폰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케이스 연장유닛; 상기 케이스 연장유닛 상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와 함께 메인음향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플레이트; 상기 공간을 커버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 연장유닛 상에 배치되고, 상기 공간에 대향하여 플레이트의 외측에 위치되는 커버; 제1스피커 및 제2스피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스피커는, 그 제1스피커의 위치와 상기 제2스피커의 위치 사이의, 이어폰에서 그 이어폰을 착용한 사용자측으로의 음향방향에 따른 거리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플레이트의 지지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스피커가 배치되는 제2평면과는 다른 제1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스피커는 상기 플레이트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스피커의 위치와 상기 제2스피커의 위치 사이의, 이어폰에서 그 이어폰을 착용한 사용자측으로의 음향방향에 따른 거리는, 상기 지지부의 높이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스피커는 2.1채널들을 가지는 메인 스피커일 수 있으며, 상기 제2스피커는 2.1채널들을 가지는 서브우퍼 스피커일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제1스피커는 2.1채널들을 가지는 서브우퍼 스피커인 것도 가능하며, 상기 제2스피커는 2.1채널들을 가지는 메인 스피커인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컴퍼지트 챔버를 구비하며, 상기 컴퍼지트 챔버에는, 제3스피커와 제4스피커와 함께 상기 제2스피커가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스피커는 5.1채널들을 가지는 메인 스피커이고, 상기 제2스피커는 5.1채널들을 가지는 서브우퍼 스피커이다. 또한, 상기 제3스피커와 제4스피커는, 각각 5.1채널들을 가지는 센터 스피커와 5.1채널들을 가지는 서라운딩 스피커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스, 케이스 연장유닛, 플레이트, 커버, 제1스피커 및 제2스피커를 포함하는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케이스 연장유닛은 상기 케이스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케이스 연장 유닛상에 배치되고, 메인 음향필드로서 역할을 하기 위한 공간을 상기 케이스와 함께 형성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케이스 연장유닛 상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를 커버하기 위해, 상기 공간에 대향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1스피커는, 그 제1스피커의 위치와 상기 제2스피커의 위치 사이의, 이어폰에서 그 이어폰을 착용한 사용자측을 향한 음향방향으로의 거리를 형성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지지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스피커가 위치되는 제2평면과는 다른 제1평면에 위치된다.
상기 제2스피커는 상기 프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스피커의 위치와 그 제2스피커의 위치 사이의,이어폰에서 그 이어폰을 착용한 사용자측을 향한 음향방향으로의 거리는 상기 지지부의 높이다. 상기 제1스피커 또는 제2스피커는, 각각 2.1채널들을 가지는 메인 스피커와 2.1채널들을 가지는 서브우퍼 스피커 중 하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컴퍼지트 챔버(composit chamber)가 상기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스피커가 제3스피커와 제4스피커와 함께 상기 컴퍼지트 챔버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1스피커는 5.1패널들을 가지는 메인 스피커이고 상기 제2스피커는 5.1채널들을 가지는 서브우퍼 스피커이다. 상기 제3스피커 및 제4스피커는, 각각 5.1채널들을 가지는 센터 스피커와 5.1채널들을 가지는 서라운딩 스피커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조부호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즉 도면으로 묘사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하게 이루어진다.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품들에 관한 도면들 및 설명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은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일련의 멀티-채널 이어폰들에 대한 최적의 디자인들 중 하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특징은 상기 이어폰의 챔버를 변경하고 상기 챔버의 체적을 조정하여 음향성능을 개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어폰은 "컴퍼지트 음향필드를 가지는 이어폰 구조"라는 명칭으로 2004.03.22 일에 출원된 TW 특허출원번호 제93107621호와, 2004.04.29 일에 출원된 TW 특허출원번호 93111985호와, "멀티플 채널 이어폰"이라는 명칭으로 2005.02.04일에 출원된 TW 특허출원번호 94103553호와, 2006.02.20일에 출원된 TW 특허출원번호 95105609호와, "음향안내튜브를 가지는 이어폰"이라는 명칭으로 2006.06.09일에 출원된 TW 특허출원번호 95120518호에 언급되어 있다. 상기 출원들 의 내용은 본 발명을 참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위에서 언급한 멀티-채널 이어폰들은, 홈띠어터에 마련된 멀티플 채널 스피커들에 의해 제공되는 멀티-채널 음향효과와 같은 음향효과를 도출해 내기 위해, 음향필드의 확장성(extensity)과 실제성(factuality)을 개선하는 작용을 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모든 개선사항은 상기 목적에 도달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은 더 특별한 효과를 가지는 음향필드를 제공하고, 어떤 주파수 영역에서 더 나은 주파수 응답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은 이어폰 내부에서 서로 다른 스피커들에 의해 발생하는 음향필드들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음향필드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더 특별한 작용을 하는 음향필드를 제공하고 상기 간섭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인 이어폰(200)은, 케이스 연장유닛(214)의 연장챔버(213)의 내부에 배치되는, 메인 스피커(230)와 서브우퍼 스피커(240) 중 하나를 구비한다. 메인스피커(230)와 서브유퍼 스피커(240)의 거리차(distance variation) 때문에, 더 특별한 효과를 가지는 음향필드는 상기 메인스피커(230)와 서브우퍼 스피커(240)가 동시에 음향을 송출할 때 얻어질 수 있다.
2.1채널들을 가지는 음향소스에 관하여, 이어폰에는 메인 스피커와 서브우퍼 스피커가 요구된다. 도 1은 2.1채널들을 가지는 이어폰(100)의 측면도이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한 다른 이어폰의 측면도는, 당해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상기 이어폰(100)은 메인바디(110)와 연결구(120)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바 디(110)는 케이스(112), 케이스 연장유닛(114) 및 커버(116)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 연장유닛(114)은 상기 케이스(112)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커버(116)에 연결된다. 상기 메인바디(110)는 메인 스피커(130)와 서브우퍼 스피커(140)를 고정하기 위한 플레이트(118)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 스피커(130)와 서브우퍼 스피커(140)는, 상기 메인바디(11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구(120)를 통해 2.1채널들을 가지는 음향 소스를 리시브한다. 서로 다른 음향 신호들이, 고급의 스테레오 음향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메인 스피커(130)와 서브우퍼 스피커(140)에 각각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이어폰의 메인 스피커(130)와 서브우퍼 스피커(140)는 상기 메인바디(110)의 플레이트(118) 상에 배치된다. 즉, 상기 메인 스피커(130)와 서브우퍼 스피커(140)는 A방향을 따라 사용자에게 음향을 송출시키기 위해 동일한 평면 상에 배열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메인 스피커(130)와 서브우퍼 스피커(140)가 동시에 음향을 송출시킬 때, 상기 음향필드에서 상기 A방향을 따라 거리차가 없다. 따라서, 상기 메인바디(110)의 내부에서의 상기 메인 음향필드(111)와 상기 케이스 연장유닛(114) 내부에서의 연장 음향필드(113) 사이의 간섭이 발생하게 되고 특히 저주파 영역에서 상기 이어폰의 성능을 떨어뜨리게 된다.
상기 이어폰 내부에서 멀티-채널 음향 소스에 의한 더 나은 음향효과를 도출해 내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음향효과를 개선하고 상기 이어폰에서의 공간배열을 변경함으로써 위에서 설명한 간섭을 방지하는 이어폰 구조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1음향채널들을 가지는 이어폰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의 측면도이나,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 사한 다른 이어폰의 측면도(설명은 생략한다)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함은 물론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2.1채널들을 가지는 이어폰(200)은 메인바디(210)와 연결구(220)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바디(210)는 케이스(212), 케이스 연장유닛(214) 및 커버(216)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 연장유닛(214)은 상기 케이스(212)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커버(216)에 연결된다. 상기 메인바디(210)는 메인 스피커(230)와 서브우퍼 스피커(240)를 고정하기 위한 플레이트(218)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 스피커(230)와 서브우퍼 스피커(240)는 상기 메인바디(210) 내부에 배치되고 2.1채널들을 가지는 음향 소스를 리시브한다. 서로 다른 음향 신호들이, 고급의 스테레오 음향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메인 스피커(230)와 서브우퍼 스피커(240)에 각각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스피커(230)와 서브우퍼 스피커(240)의 위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음향필드가 개선된 작용을 하고 상기 이어폰(200) 내부에 마련되는 스피커들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필드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메인 스피커(230)와 서브우퍼 스피커(240) 중 하나를 상기 케이스 연장유닛(214)의 연장챔버(213) 내에 배치시킨다. 따라서, 상기 메인 스피커(230)와 사용자 간의 거리와 상기 서브우퍼 스피커(240)와 사용자 간의 거리는 서로 다르다. 상기 메인 시프커와 서브우퍼 스피커(240)의 공간과 거리변화 때문에, 상기 메인 스피커(230)와 서브우퍼 스피커(240)가 동시에 음향을 송출시킬 때, 더 특별한 효과를 가지는 음향 필드가 얻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200)에서, 상기 플레이트(218)는 그 플레이트(218)의 평면에서 연장되는 지지부(218a)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스피커(230)는 상기 지지부(218a)에 배치된다. 즉, 상기 메인 스피커(230)와 서브우퍼 스피커(240)는 다른 평면상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스피커(230)는, 그 메인 스피커(230)와 서브우퍼 스피커(240) 간의 거리차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 연장유닛(214)의 연장챔버(213) 내에 배치된다. 상기 이어폰(200)에서 사용자 측으로의 B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 스피커(230)는 상기 서브우퍼 스피커(240)보다 사용자에게 더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스피커(230)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필드와 상기 서브우퍼 스피커(240)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필드 사이의 간섭은, 상기 거리차 때문에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모든 음향 필드의 음향효과들이 개선될 수 있다. 실제의 실험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200)은 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하고 특히 저주파 영역에서 저주파 응답을 한다.
예들 들어, 이어폰은 메인 음향채널이나 서브우퍼 효과를 두드러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스피커와 서브우퍼 스피커의 위치는 변화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서브우퍼 스피커는, 상기 메인 스피커와 서브우퍼 스피커의 거리변화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 연장유닛의 연장챔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어폰에서 사용자 측으로 향한 B 방향을 따라, 상기 서브우퍼 스피커는 상기 메인 스피커보다 더 가깝게 배치된다.
상기 이어폰에 마련되는 멀티-채널 음향 소스로부터 더 나은 음향효과를 도출해 내기 위해, 본 발명은 음향효과를 개선하고, 상기 이어폰에서 공간배열을 변경함으로써 위에서 설명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이어폰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디자인은, 5.1채널 이어폰이나 7.1채널 이어폰과 같은 다른 멀티-채널 이어폰에 채용될 수 있다. 특별히, 이어폰의 음향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상술한 일련의 특허출원에서 언급된 멀티-채널 이어폰들에 채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5.1 음향채널들을 가지는 이어폰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의 측면도이나,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한 다른 이어폰의 측면도(설명은 생략한다)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함은 물론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5.1 채널들을 가지는 이어폰(300)은 메인바디(310)와 연결구(320)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바디(310)는 케이스(312), 케이스 연장유닛(314) 및 커버(316)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 연장유닛(314)은 상기 케이스(312)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커버(316)에 연결된다. 상기 메인바디(310)는 메인 스피커(330)와 컴퍼지트 챔버(340)(composite chamber)를 고정하기 위한 플레이트(318)를 구비한다. 상기 컴퍼지트 챔버(340)는 챔버(342)와 복수의 서브 스피커(344a,344b,344c)들을 구비한다.
상기 챔버(342)는 상기 플레이트(318) 상에 배치되고 상기 챔버(342)의 출구는 사용자측에 대향한다. 상기 서브 스피커(344a,344b,344c)들은 상기 챔버(342) 내에 배치된다. 상기 서브 스피커들은 서브우퍼 스피커(344a), 제1스피커(344b) 및 제2스피커(344c)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우퍼 스피커(344a)는 상기 챔버(342)의 배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1스피커(344b)와 제2스피커(344c)는, 5.1채널 이어폰(300)의 센터 스피커나 서라운딩 스피커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각각 상기 챔버(342)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배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챔버(342)의 크기, 상기 서브 스피커(344a,344b,344c)들의 위치와 같은 상기 메인 스피커(330)와 컴퍼지트 챔버(340)의 배열은, 위에서 언급한 일련의 특허출원에 개시된 멀티-채널 이어폰들에 채용될 수 있다. 특히, "컴퍼지트 음향필드를 가지는 이어폰 구조"라는 명칭의 TW 특허 출원번호 93107621호는, 이어폰의 챔버의 구조 또는 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음향품질을 개선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그리고, 다른 개선점은, 위에서 언급한 "컴퍼지트 음향필드를 가지는 이어폰 구조"라는 명칭의 TW 특허출원번호 제93107621호, "컴퍼지트 음향필드를 가지는 이어폰 구조"라는 명칭의 TW 특허출원번호 제93111985호, "멀티플 채널 이어폰"이라는 명칭의 TW 특허출원번호 제94103553호 및 "멀티플 채널 이어폰"이라는 명칭의 TW 특허출원번호 제95105609호와 같은 특허출원에 개시된 이어폰들의 배열구조에 따라,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300)에서, 상기 플레이트(318)는 그 플레이트(318)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된 지지부(318a)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컴퍼지트 챔버(340)는 상기 플레이트(318)의 표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스피커(330)는 상기 지지부(318a)에 배치된다. 즉, 상기 메인 스피커(330)와 컴퍼지트 챔버(340)는 다른 평면상에 배치된다. 상기 메인 스피커(330)는, 그 메인 스피커(330)와 상기 컴퍼지트 챔버(340) 간의 거리차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 연장유닛(314)의 연장챔버에 배치된다. 상기 이어폰(300)에서 사용자 측으로의 C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 스피커(330)는 상기 컴퍼지트 챔버(340)보다 사용자에게 더 가깝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스피커(330)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필드와 상기 컴퍼지트 챔버(340)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필드 간의 간섭이, 상기 거리차 때문에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모든 음향필드의 음향효과가 개선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이어폰에는 복수의 스피커들에 의해 발생하는 음향필드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케이스;
    상기 케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케이스 연장유닛;
    상기 케이스 연장유닛 상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와 함께 메인음향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플레이트;
    상기 공간을 커버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 연장유닛 상에 배치되고, 상기 공간에 대향하여 플레이트의 외측에 위치되는 커버;
    제1스피커 및 제2스피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스피커는, 그 제1스피커의 위치와 상기 제2스피커의 위치 사이의, 이어폰에서 그 이어폰을 착용한 사용자측으로의 음향방향에 따른 거리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플레이트의 지지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스피커가 배치되는 제2평면과는 다른 제1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피커는 상기 플레이트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스피커의 위치와 상기 제2스피커의 위치 사이의, 이어폰에서 그 이어폰을 착용한 사용자측으로의 음향방향에 따른 거리는, 상기 지지부의 높이가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피커는 2.1채널들을 가지는 메인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피커는 2.1채널들을 가지는 서브우퍼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피커는 2.1채널들을 가지는 서브우퍼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피커는 2.1채널들을 가지는 메인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컴퍼지트 챔버를 구비하며,
    상기 컴퍼지트 챔버에는, 제3스피커와 제4스피커와 함께 상기 제2스피커가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피커는 5.1채널들을 가지는 메인 스피커이고, 상기 제2스피커는 5.1채널들을 가지는 서브우퍼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스피커와 제4스피커는, 각각 5.1채널들을 가지는 센터 스피커와 5.1채널들을 가지는 서라운딩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KR1020070005606A 2006-08-23 2007-01-18 이어폰 KR1008410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5130956 2006-08-23
TW095130956A TWI310661B (en) 2006-08-23 2006-08-23 Ear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083A KR20080018083A (ko) 2008-02-27
KR100841024B1 true KR100841024B1 (ko) 2008-06-24

Family

ID=39047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606A KR100841024B1 (ko) 2006-08-23 2007-01-18 이어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80089B2 (ko)
JP (1) JP4663621B2 (ko)
KR (1) KR100841024B1 (ko)
DE (1) DE102006059197A1 (ko)
TW (1) TWI3106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66779B1 (en) * 2008-09-18 2019-05-22 Sonion Nederland B.V. An apparatus for outputting sound comprising multiple receivers and a common output channel
AT507622B1 (de) * 2009-03-19 2010-09-15 Weingartner Bernhard Dipl Ing Ohraufliegender kopfhörer
JP2013070138A (ja) * 2011-09-21 2013-04-18 D & M Holdings Inc ヘッドホン装置
WO2015057750A1 (en) * 2013-10-14 2015-04-23 Jaynes Stephen R Headset with ball joint allowing rotation of earpieces in multiple axes
US9883290B2 (en) 2014-12-31 2018-01-30 Skullcandy, Inc. Audio driver assembly, headphone including such an audio driver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TR201903435A2 (tr) * 2019-03-06 2019-03-21 Mehmet Tunc Turgut Çevresel olarak ses veri̇ci̇ unsurlar i̇le donatilmiş hoparlör bi̇ri̇mleri̇ bulunduran kulak üstü kulaklik yapilanmasi
DE102021200552B4 (de) 2021-01-21 2023-04-20 Kaetel Systems Gmbh Am Kopf tragbarer Schallerzeuger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challerzeugers
CN115002590B (zh) * 2021-09-22 2023-05-16 北京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扬声器模组和耳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9187A (ja) 2001-12-17 2003-07-11 Zuisho Ko ヘッドフォン
KR100490868B1 (ko) 2002-11-26 2005-05-24 엠엠기어 주식회사 다채널 헤드폰
KR20050094327A (ko) * 2004-03-22 2005-09-27 코트론 코포레이션 컴포지트 사운드 필드를 가진 이어폰 구조
JP2005278177A (ja) 2004-03-22 2005-10-06 Cotron Corp 多重チャネル・イヤホン
JP2005354560A (ja) 2004-06-14 2005-12-22 Zuisho Ko 多チャンネルの指向を導く構造付きイヤホン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498A (en) 1980-06-06 1982-01-08 Mitsubishi Electric Corp Multiway speaker device
US7340071B2 (en) * 2001-12-04 2008-03-04 Jui-Shu Huang Headphones with a multichannel guiding mechanism
HRP20020861A2 (en) * 2002-10-31 2005-02-28 Milneršić Siniša Multichannel headphones
CN100525510C (zh) 2004-05-09 2009-08-05 固昌通讯股份有限公司 具有复合音场的耳机结构
EP1608204A1 (en) * 2004-06-09 2005-12-21 Jui-Shu Huang Headphones with a multichannel guiding mechanism
DE102005033780A1 (de) 2004-07-21 2006-03-16 Goldbeck Solar Gmbh Vorrichtung zum Befestigen von Funktionsgruppen auf Flachdächern, insbesondere von Solarmodulen auf Industriehalle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9187A (ja) 2001-12-17 2003-07-11 Zuisho Ko ヘッドフォン
KR100490868B1 (ko) 2002-11-26 2005-05-24 엠엠기어 주식회사 다채널 헤드폰
KR20050094327A (ko) * 2004-03-22 2005-09-27 코트론 코포레이션 컴포지트 사운드 필드를 가진 이어폰 구조
JP2005278177A (ja) 2004-03-22 2005-10-06 Cotron Corp 多重チャネル・イヤホン
JP2005354560A (ja) 2004-06-14 2005-12-22 Zuisho Ko 多チャンネルの指向を導く構造付きイヤホ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054270A (ja) 2008-03-06
TWI310661B (en) 2009-06-01
KR20080018083A (ko) 2008-02-27
US8180089B2 (en) 2012-05-15
TW200812417A (en) 2008-03-01
DE102006059197A1 (de) 2008-03-13
US20080049959A1 (en) 2008-02-28
JP4663621B2 (ja)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024B1 (ko) 이어폰
US8041067B2 (en) Earphone structure with a composite sound field
US20080159545A1 (en) Speaker System
US20070195984A1 (en) Multiple channel earphone
JP2005278177A (ja) 多重チャネル・イヤホン
JP4879675B2 (ja) 音誘導チューブを有するイヤホン
JP5528569B2 (ja) フラットスピーカ
JP6312785B2 (ja) ヘッドフォン
EP3200477B1 (en) Headphone
JP5266877B2 (ja) スピーカ駆動方法およびスピーカシステム
TWI602439B (zh) 耳機
JP2007067496A (ja) スピーカシステム
JP2007295173A (ja) 小型ステレオ一体型スピーカーシステム
KR20150142806A (ko) 덕트 스피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