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722B1 - 롤 타입 현미 절단기 - Google Patents

롤 타입 현미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9722B1
KR100839722B1 KR1020060049785A KR20060049785A KR100839722B1 KR 100839722 B1 KR100839722 B1 KR 100839722B1 KR 1020060049785 A KR1020060049785 A KR 1020060049785A KR 20060049785 A KR20060049785 A KR 20060049785A KR 100839722 B1 KR100839722 B1 KR 100839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wn rice
pit
roll
blade
br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5411A (ko
Inventor
송찬우
송원경
송정식
Original Assignee
송찬우
송원경
송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찬우, 송원경, 송정식 filed Critical 송찬우
Priority to KR1020060049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722B1/ko
Publication of KR20070115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9/00Other milling methods or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 B02C9/02Cutting or splitting gra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미의 영양분이 그대로 유지되면서도 취반이 용이하고 또한 취식시에 백미에 못지않게 식감이 우수한 파단 가공 현미를 상품성이 높도록 제조하는 장치에 관하며, 특히 현미 피트들이 파여져 있는 롤 타입의 장치에 관한다.
현미 절단기

Description

롤 타입 현미 절단기 {Roll Type Brown Rice Cutter}
도1은 현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강층 12: 전분층
13: 배아부
도2는 현미의 주요 칫수 명칭에 관련된 부분을 보여주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길이 22: 폭
23: 두께
도3은 현미 절단기의 하단 롤과 상단 롤을 보여주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현미 피트 32: 하단 롤
33: 원형의 칼날 34: 스페이서
35: 상단 롤 36: 스페이서의 단
37: 칼날 골
도4는 도3의 현미 피트들이 평면에 조성되었을 때를 보여 주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현미 피트 37: 칼날 골
41: 현미 피트의 길이 42: 현미 피트의 폭
43: 현미 피트의 깊이
도5는 현미 피트에 담겨져 있는 현미를 칼날이 칼날 골을 따라 진행하면서 현미를 절단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현미 피트 33: 원형의 칼날
37: 칼날 골 51: 현미
도6은 도4의 현미 피트(31)를 A 방향에서 볼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현미 피트 42: 현미 피트의 폭
43: 현미 피트의 깊이
도7은 현미 피트의 앞 부분이 경사진 모습을 보여 주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 현미 피트의 진행 방향 31: 현미 피트
71: 경사부
도8은 현미를 담는 챔버 내부에 설치된 상단롤, 하단롤, 회전 부러쉬, 그리고 수평 칼날을 측면에서 보여 주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2: 하단 롤 33: 원형의 칼날
35: 상단 롤 81: 현미를 담는 챔버
82: 회전 부러쉬 83: 수평 칼날
84: 분리 벽
도9는 하단 롤에 형성된 현미 피트에 제대로 들어가지 못하고 일부분은 담겨지고 일부분은 걸쳐져 있는 현미가 수평 칼날에 의하여 절단되려 하는 모습을 하단 롤의 측면 방향에서 보여 주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현미 피트 42: 현미 피트의 폭
43: 현미 피트의 깊이 83: 수평 칼날
91: 걸쳐진 현미
도10은 본 발명의 현미 절단기의 또 다른 실시 예인, 현미 피트가 세로로 파여진 하단 롤을 보여주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현미 세로 피트 32: 하단 롤
33: 원형의 칼날 34: 스페이서
35: 상단 롤 36: 스페이서의 단
37: 칼날 골
현미의 구조는 크게 보면 도 1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쌀겨층인 강층(11)과 내부의 전분층(12) 그리고 쌀눈인 배아부(13)로 이루어져있다. 배젖 또는 배유부라고도 불리우는 전분층은 주로 녹말 입자로 차 있고, 강층을 벗겨 백미로서 식용하는 부분이다. 현미를 이루는 부분들은 강층이 5∼6%, 배아부가 2∼3%, 전분층이 92%의 중량 비율로 되어있다. 따라서 현미를 정미기로 도정하면 약 8%의 중량 손실이 일어나며, 현미 92%의 백미를 얻을 수 있다.
현미를 도정하여 백미로 만드는 과정에서 벗겨져 버려지는 강층과 배아부에는 쌀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섬유질, 비타민 B, 무기질 등이 포함되어 있어 백미보다는 현미가 건강에 더 좋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강층에는 지방성분이 많아 물이 투과하기 어려우므로 현미를 취반할려면 현미를 오랫동안 물에 불리거나 또는 압력솥에 취반하여야 하는데, 물에 오랫동안 불리는 방법은 불편하며, 압력솥에 취반하면 고온이므로 영양소가 파괴되는 단점이 있고, 취반 후에도 역시 강층이 전분층을 그대로 둘러 싸고 있으므로 현미를 씹을 때 백미보다 단단하고 미끄러운 느낌이 드는 등 식감이 백미에 비하여 매우 떨어진다.
따라서 그 동안 현미를 편리하게 식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등록번호 1000477400000, 100247686, 1001523610000, 1002404980000 등의 많은 발명들이 이루어져 왔으나, 그 발명들이 다양한 온도층에서 수 많은 공정을 수일간을 걸쳐 수행하여야만 취반이 용이한 현미를 제조할 수 있어, 제조공정이 매우 까다롭고, 특히 가공 단계에서 현미의 영양분이 파괴될 수 있으며, 그 발명들이 현실화되려면 많은 시간 및 공정들을 거쳐야 하므로 가공 현미의 최종가격이 상당히 올라가 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기존의 발명들의 단점을 간단히 해소하기 위하여 등록번호 10-0509671의 "파단 가공 현미 및 제조 방법"의 발명이 이루어졌으나, 그 발명에서의 파단 가공 현미의 제조 방법이 단순히 "현미를 단면이 규칙적인 돌출부가 있고 돌출부 사이의 거리가 현미의 크기보다 더 작으며, 롤 사이의 간격이 현미의 크기보다 더 작고, 한쪽 롤러의 돌출부가 다른쪽 롤러의 돌출부 사이의 골과 정렬되게 회전하는 두개의 롤러의 사이를 통과시키는 방법" 이므로 제조 과정에서 현미가 돌출부에 눌릴 때 가루가 다량 발생될 수 있고 또한 가공된 현미의 형태가 불규칙하여 상품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파단 가공된 현미의 상품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현미의 절단 시에 가루 발생이 적도록 절단하며 또한 가공된 현미의 형태가 비교적 규칙성을 가질 수 있도록 절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현미 절단기는, 현미 피트들이 원둘레를 따라 표면에 파여져 있는 하단 롤과, 원형의 칼날이 구비되어 있는 상단 롤과, 그리고 상단 롤 앞에서 하단 롤에 근접되게 설치되는 회전 부러쉬와 수평 칼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이하 본 발명의 설명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현미의 각 부분의 크기를 도 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21 의 길이, 22 의 폭, 23 의 두께로 정의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여 주는 개략도로서, 현미 피트(31)가 원둘레를 따라 파여져 있는 하단 롤(32)과 원형의 칼날(33)이 구비되어 있는 상단 롤(35)을 보여 주고 있다. 원형의 칼날들 사이에는 스페이서(34)가 있어 상단 롤의 원형의 칼날과 하단 롤의 현미 피트의 중앙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칼날 골(37)과 서로 정렬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34)에는 0.1 mm 내지 0.5 mm 의 작은 단(36)이 형성되어 있어 원형의 칼날(33)이 어느 정도 휘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원형의 칼날(33)이 현미 피트들의 중앙을 따라 형성된 칼날 골(37)을 따라 회전하면서 현미 피트(31)의 속을 지나면 현미 피트에 담겨져 있는 현미가 절단된다.
도 4 는 하단 롤의 원둘레 상에 형성된 현미 피트와 칼날 골을 알기 쉽게 하기 설명하기 위하여 현미 피트(31)와 칼날 골(37)이 평면상에 형성된 모습을 보여 주는 개략도로서, 41 은 현미 피트의 길이, 42 는 현미 피트의 폭, 43 은 현미 피트의 깊이이다. 하단 롤 표면에 현미 피트들이 형성될 때, 그 길이는 롤의 축 방향으로, 그 폭은 롤의 원둘레 방향으로, 그 깊이는 축의 중심 방향으로 형성된다. 현미 피트의 길이와 폭을 각 각 현미의 길이와 폭보다 조금 더 크게, 그리고 현미 피트의 깊이가 현미의 두께와 비슷한 크기가 되도록 현미 피트를 형성한 후, 현미 피트들 상에 현미들을 충분히 올려 놓고 쓸어 지나가게 하면 현미들이 현미의 길이는 현미 피트의 길이 방향으로, 현미의 폭은 현미 피트의 폭 방향으로 정렬되면서 현미 피트에 하나씩 들어가게 된다. 현미 피트의 길이가 절단하려는 현미들 중 가장 큰 현미의 길이보다 1% 내지 25% 정로 더 길게, 현미 피트의 폭은 절단하려는 현미들 중 가장 큰 현미의 폭보다 1% 내지 30% 정도 더 크게, 그리고 현미 피트의 깊이는 절단하려는 현미들 중 가장 큰 현미의 두께의 절반과 같거나 두께의 50%까 지 더 깊게 현미 피트를 만들면 현미들이 한 개씩 현미 피트들 속으로 들어갈 수 있다.
도 5 는 현미(51)가 담겨져 있는 한 현미 피트(31)의 칼날 골(37)을 따라 원형의 칼날(33)이 지나가면서 현미가 가로로 잘려지는 모습을 보여 주는 단면도이다. 칼날을 가지고 현미를 절단하는 시험을 하여 보면, 칼날이 현미에 0.2 mm 만 들어가도 현미가 절단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현미가 원형 칼날에 의해 잘려지려면 칼날의 끝과 현미 피트의 바닥과의 간격이 절단하려는 현미들 중 가장 작은 현미의 두께보다 0.2 mm 이상 더 작아야 하며, 실패되지 않고 전부 다 잘 잘려지려면 현미 두께의 절반 이하가 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판매되는 현미들의 크기를 측정하여보면 그 두께의 평균이 2.1 mm 정도가 된다. 따라서 원형 칼날의 끝과 현미 피트 바닥과의 간격이 0.2 mm 내지 0.5 mm 이면 현미 피트(31)에 들어 있는 현미들이 전부 다 잘 잘려질 수 있다.
도 6 은 도 3 의 현미 피트(31)를 A 의 방향에서 보는 단면도로서, 42 는 현미 피트의 폭이며 43 은 현미 피트의 깊이이다.
도 7 은 현미 피트 벽의 한 부분이 경사져 있는 모습을 보여 주는 단면도로서, 하단 롤의 회전에 따라 현미 피트가 B 의 방향으로 진행하게 될 때, 현미 피트의 앞 부분이 71 과 같이 경사부로 되어 있으면, 현미가 더 용이하게 현미 피트에 담겨질 수 있다.
도 8 은 현미를 담는 챔버(81) 내부에 설치된 하단 롤(32), 원형의 칼날(33)이 구비된 상단롤(35), 하단 롤에 근접되게 설치된 회전 부러쉬(82)와 수평 칼날(83), 그리고 현미를 담는 챔버 내에 현미를 공급할 때 그 현미들이 회전 부러쉬와 수평 칼날 그리고 상단 롤의 위로 가지 않도록 분리하여 주는 분리 벽(84)을 측면에서 보여 주는 개략도로서, 이 개략도에서 하단 롤(32)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 부러쉬(82)도 시계 방향으로, 상단 롤(35)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현미를 절단한다. 하단 롤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현미를 담는 챔버 내부의 현미들은 하단 롤에 파여져 있는 현미 피트에 담겨지거나, 현미 피트 안에 일부분이 담겨 걸쳐지거나 또는 현미 피트 사이에 얹혀져서 상단 롤 쪽으로 이동하게된다. 이 현미들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부러쉬를 만나면, 현미 피트에 담겨져 있는 현미들은 그대로 통과하게 되고, 현미 피트 안에 일부분이 담겨 걸쳐져 있는 현미들은 회전 부러쉬에 의하여 쓸려 밀려 나거나, 현미 피트에 들어 가게 되거나, 또는 일부분이 담겨 걸쳐진 그대로 통과하게 되며, 현미 피트 사이에 얹혀져 있던 현미들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부러쉬에 의하여 쓸려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현미 피트에 담겨져 진행된 현미들은 원형의 칼날(33)에 의하여 가로로 절단되고, 현미 피트에 들어 가지 못하고 일부분이 담겨 걸쳐진 그대로 통과하는 현미들은 수평 칼날(83)에 의하여 절단되게 되는데, 수평 칼날은 하단 롤에 닿아 칼날이 상하지 않도록 적어도 0.1 mm 이상, 그리고 현미 피트 안에 일부분이 담겨져 걸쳐진 그대로 통과하는 현미들이 절단될 수 있도록 0.5 mm 보다는 작은 간격을 갖는다.
도 9 는 하단 롤에 형성된 현미 피트들에 현미가 담겨지거나 일부분이 담겨 걸쳐져서 진행하는 모습을 보여 주는 개략도로서, 91 의 걸쳐진 현미는 수평 칼날(83)에 의하여 절단되게 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하단 롤에 현미 피트들이 세로로 파여진 모습을 보여 주는 개략도이다. 이 세로 현미 피트(101)는 길이 방향이 하단 롤의 원둘레 방향으로, 그리고 폭 방향이 하단 롤의 축 방향으로 파여져 있어, 이 세로 현미 피트들에 현미들이 세로로 들어 가면 원형의 칼날(33)에 의하여 세로로 절단되게 된다.
본 발명의 현미 절단기를 사용하면 현미의 절단 시에 가루 발생이 적어 가공 현미의 수율이 높으며 또한 파단 가공된 현미의 형태가 비교적 규칙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4)

  1. 현미를 담는 챔버 내에, 현미 피트들이 원둘레를 따라 파여져 있고 이 현미 피트들의 중앙을 따라 칼날 골이 형성되어 있는 하단 롤과, 원형의 칼날들을 갖추고 이 칼날들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스페이서들에 의해 원형의 칼날들이 하단 롤에 형성된 칼날 골에 정렬되는 상단 롤이 구비되어 있고, 상단 롤의 앞에는 회전 부러쉬와 수평 칼날이 구비되어 있고, 또한 현미를 담는 챔버 내의 현미들이 회전 부러쉬와 수평 칼날 그리고 상단 롤의 위로 가지 않도록 분리하여 주는 분리 벽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 절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현미 피트들이 그 길이는 절단하려는 현미들 중 가장 큰 현미의 길이보다 1% 내지 25% 정도 더 길게, 그 폭은 절단하려는 현미들 중 가장 큰 현미의 폭보다 1% 내지 30% 정도 더 크게, 그리고 깊이는 절단하려는 현미들 중 가장 큰 현미의 두께의 절반 내지 1.5 배까지 깊게 형성되고,
    원형의 칼날의 칼날 끝과 현미 피트의 바닥과의 간격은 0.2 mm 내지 0.5 mm 이며,
    스페이서에는 0.1 mm 내지 0.5 mm 의 단이 형성되어 있고,
    수평 칼날은 하단 롤에서 0.1 mm 내지 0.5 mm 의 간격을 갖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 절단기.
  3. 제 1 항에 있어서, 하단 롤에 현미 피트들이 그 길이는 하단 롤의 축 방향으로, 폭은 하단 롤의 원둘레 방향으로, 깊이는 하단 롤의 축의 중심 방향으로 파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 절단기.
  4. 제 1 항에 있어서, 하단 롤에 현미 피트들이 그 길이는 하단 롤의 원둘레 방향으로, 폭은 하단 롤의 축 방향으로, 깊이는 하단 롤의 축의 중심 방향으로 파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 절단기.
KR1020060049785A 2006-06-02 2006-06-02 롤 타입 현미 절단기 KR100839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785A KR100839722B1 (ko) 2006-06-02 2006-06-02 롤 타입 현미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785A KR100839722B1 (ko) 2006-06-02 2006-06-02 롤 타입 현미 절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411A KR20070115411A (ko) 2007-12-06
KR100839722B1 true KR100839722B1 (ko) 2008-06-19

Family

ID=39141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785A KR100839722B1 (ko) 2006-06-02 2006-06-02 롤 타입 현미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97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705B1 (ko) 2008-08-08 2010-12-02 농업회사법인 황금미가 유한회사 기능성 현미 가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90053B (zh) * 2018-12-03 2020-08-28 哈尔滨权清科技服务有限责任公司 一种家用齿槽式留胚并研磨精米的一体化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5138A (ja) * 1989-03-18 1990-09-28 Satake Eng Co Ltd コーヒー豆の焙煎方法
JPH03143553A (ja) * 1989-10-30 1991-06-19 Karl Jimuki Kk シュレッダのカッター装置
JPH04346756A (ja) * 1991-05-24 1992-12-02 Minagawa Seika:Kk 粳米を原料に使用する薄小片米菓の製造法
KR100509671B1 (ko) 2003-09-23 2005-08-26 송정식 파단 가공 현미 및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5138A (ja) * 1989-03-18 1990-09-28 Satake Eng Co Ltd コーヒー豆の焙煎方法
JPH03143553A (ja) * 1989-10-30 1991-06-19 Karl Jimuki Kk シュレッダのカッター装置
JPH04346756A (ja) * 1991-05-24 1992-12-02 Minagawa Seika:Kk 粳米を原料に使用する薄小片米菓の製造法
KR100509671B1 (ko) 2003-09-23 2005-08-26 송정식 파단 가공 현미 및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705B1 (ko) 2008-08-08 2010-12-02 농업회사법인 황금미가 유한회사 기능성 현미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411A (ko) 200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39014A (zh) 一种石磨及石磨面粉加工工艺
KR100839722B1 (ko) 롤 타입 현미 절단기
CN206614587U (zh) 一种用于魔芋加工的均匀切片机
CN105926047B (zh) 一种大麻干茎碾压装置
CN105658071A (zh) 面条切割装置及生面
CN207109434U (zh) 一种用于造纸厂的纸浆分散设备
KR200425538Y1 (ko) 롤 타입 현미 절단기
CN107348528A (zh) 一种核桃青皮剥离机
CN205521560U (zh) 一种中药材切片装置
CN104068452B (zh) 一种芡实剥壳工艺方法及芡实剥壳装置
KR101892479B1 (ko) 압축된 햄 원료를 절단하는 장치
CN204397963U (zh) 一种木耳切片切丝装置
KR200443467Y1 (ko) 현미 파단 가공기
CN215087397U (zh) 一种全自动珍珠天然提取装置
JPH08256669A (ja) 製麺用ロール
CN212388014U (zh) 一种低醇黄酒的蒸馏装置
JP5016679B2 (ja) ヘアラインクラックを形成させる玄米の加工方法
CN208863552U (zh) 一种高效毛豆剥壳机
CN201911285U (zh) 切丝机强化摩擦面铜排链条
CN205358086U (zh) 一种蒸汽式炒松机
CN111713592A (zh) 光皮木瓜果脯制作方法
CN206643989U (zh) 一种肉类刨片机
JP2002199860A (ja) 切れ目加工いか及びそ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
CN203887921U (zh) 茯苓切刀擦拭装置
CN205885231U (zh) 一种适用于原汁机的螺杆结构及具有其的原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