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7520B1 -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7520B1
KR100837520B1 KR1020070049066A KR20070049066A KR100837520B1 KR 100837520 B1 KR100837520 B1 KR 100837520B1 KR 1020070049066 A KR1020070049066 A KR 1020070049066A KR 20070049066 A KR20070049066 A KR 20070049066A KR 100837520 B1 KR100837520 B1 KR 100837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pinion
base
seat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진호
Original Assignee
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070049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75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7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7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84Adjustable seat-cushion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2Thigh-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션 익스텐션 장치가 구비된 시트에서, 쿠션의 전방 일부분이 쿠션의 전후 방향으로 신축함에 따라 쿠션을 감싸는 쿠션커버의 전방측 단부가 쿠션의 하측에서 쿠션의 전방 일부분의 이동량에 추종하여 적절한 양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쿠션을 감싸는 쿠션커버의 상태가 항상 안정되고 미려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장치{CUSHION EXTENTION APPARATUS OF A SEAT}
도 1은 본 발명의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장치가 적용된 쿠션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하측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와 비교하여 일부 부품을 제거하고 내부구조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5는 가이드블록과 관련 부품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쿠션베이스 3; 연장부
5; 베이스랙 7; 제1피니언
9; 제2피니언 11; 피니언구동축
13; 이동랙 15; 고정바
17; 전기모터 19; 작동로드
21; 가지부 23; 연결프레임
25; 가이드블록 27; 가이드레일
본 발명은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등에 사용되는 시트의 쿠션 전후방향 길이를 사용자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차량 시트의 쿠션은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없어서, 다양한 신체적 조건을 가진 탑승자에게 최적의 편의성을 제공하기에 부족한 면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필요성에 의하여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장치가 제안되었는 바, 쿠션의 전방 일부분이 쿠션의 전방측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 메커니즘이 제안되었다.
상기와 같은 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대체로 쿠션의 전방 일부분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메커니즘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쿠션에는 통상 쿠션커버가 씌워져 있는바, 쿠션커버의 전방측은 쿠션의 전방측을 감고 그 단부가 쿠션 하측에 위치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여 시트의 미관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쿠션 익스텐션 장치가 구비된 시트에서는, 쿠션의 전방 일부분이 쿠션의 전후방향으로 신축함에 따라, 쿠션커버의 단부가 쿠션의 하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쿠션커버가 쿠션을 감싸는 상 태가 항상 안정되고 미려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특히, 쿠션커버는 쿠션의 상측면으로부터 쿠션의 전방측면을 감싸서 쿠션의 하측에 그 단부가 위치하므로, 쿠션의 전방 일부분이 이동하는 양과 그에 필요한 쿠션커버의 단부가 쿠션의 하측에서 이동해야 하는 양은 동일하지 않으며, 쿠션의 형상이나 크기 등에 의해 쿠션커버의 단부가 이동해야 하는 적절한 양이 다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쿠션 익스텐션 장치가 구비된 시트에서, 쿠션의 전방 일부분이 쿠션의 전후 방향으로 신축함에 따라 쿠션을 감싸는 쿠션커버의 전방측 단부가 쿠션의 하측에서 쿠션의 전방 일부분의 이동량에 추종하여 적절한 양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쿠션을 감싸는 쿠션커버의 상태가 항상 안정되고 미려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쿠션의 고정된 부분을 이루는 쿠션베이스와;
상기 쿠션베이스에 대하여 시트의 전후 방향을 따라 직선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연장부와;
상기 쿠션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연장부를 직선슬라이딩시키도록 구비된 액츄에이터와;
상기 쿠션베이스에 시트의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된 베이스랙과;
상기 베이스랙에 치합되는 제1피니언과;
상기 제1피니언과 동심축을 이루고 상호 회전구속 상태로 구비된 제2피니언과;
상기 제1피니언과 제2피니언의 회전축 역할을 하며 상기 연장부에 연결된 피니언구동축과;
상기 쿠션베이스의 하측에서 상기 쿠션베이스에 대하여 시트의 전후 방향을 따라 직선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피니언에 치합되도록 시트의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된 이동랙과;
상기 이동랙에 설치되어 쿠션커버의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바;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는 쿠션의 고정된 부분을 이루는 쿠션베이스(1)와; 상기 쿠션베이스(1)에 대하여 시트의 전후 방향을 따라 직선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연장부(3)와; 상기 쿠션베이스(1)에 대하여 상기 연장부(3)를 직선슬라이딩시키도록 구비된 액츄에이터와; 상기 쿠션베이스(1)에 시트의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된 베이스랙(5)과; 상기 베이스랙(5)에 치합되는 제1피니언(7)과; 상기 제1피니언(7)과 동심축을 이루고 상호 회전구속 상태로 구비된 제2피니언(9)과; 상기 제1피니언(7)과 제2피니언(9)의 회전축 역할을 하며 상기 연 장부(3)에 연결된 피니언구동축(11)과; 상기 쿠션베이스(1)의 하측에서 상기 쿠션베이스(1)에 대하여 시트의 전후 방향을 따라 직선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피니언(9)에 치합되도록 시트의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된 이동랙(13)과; 상기 이동랙(13)에 설치되어 쿠션커버의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바(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장부(3)가 상기 쿠션베이스(1)에 대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시트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써, 쿠션의 전후 방향 길이의 신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전기모터형을 사용하였는 바, 전기모터(17)의 회전력을 워엄기어 등으로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작동로드(19)를 직선운동시키는 구조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모터(17)는 상기 쿠션베이스(1)의 하측에 고정되고, 상기 작동로드(19)는 전방 단부가 상기 연장부(3)에 연결된 구조이다.
상기 연장부(3)의 이동거리에 추종하여 상기 고정바(15)의 이동거리를 적절히 선정함에 따라, 쿠션커버가 쿠션을 감싸고 있는 상태가 계속적으로 안정되고 미려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베이스랙(5), 이동랙(13), 제1피니언(7) 및 제2피니언(9) 등에 의해 구현된다.
특히, 상기 제1피니언(7)과 제2피니언(9)의 상대적인 크기를 다르게 함으로써, 상기 연장부(3)의 이동량에 따라 상기 고정바(15)의 이동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어서, 쿠션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필요로 하는 고정바(15)의 이동량을 원하는 수준으로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랙(5)과 이동랙(13)은 쌍을 이루어 쿠션의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랙(5)과 이동랙(13)에 치합되도록 쿠션의 양측으로 배치되는 제1피니언(7) 및 제2피니언(9)은 상기 피니언구동축(11)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양측의 두 이동랙(13)은 상기 고정바(15)에 의해 서로 연결된 구조이다.
즉, 상기 연장부(3)에 연결된 피니언구동축(11)의 변위를 변환하여 상기 고정바(15)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메커니즘을 쿠션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구비함으로써, 안정된 작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피니언구동축(11)은,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 자형으로 형성되어 돌출된 두 가지부(21)가 상기 연장부(3)에 고정되고, 상기 두 가지부(21)를 연결하는 부분이 상기 피니언구동축(11)을 감싸는 구조의 연결프레임(23)에 의해, 상기 연장부(3)에 연결되는 구조이다. 상기 연결프레임(23)에 의해 감싸여진 상태에서 상기 피니언구동축(11)은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3)의 이동변위를 어느 일측으로 치우침 없이 안정되게 상기 피니언구동축(11)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랙(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쿠션베이스(1)의 하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랙(5)을 고정하는 가이드블록(25)을 통해 상기 쿠션베이스(1)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랙(13)은 상기 가이드블록(25)에 형성된 가이드레일(27)에 끼워져서 시트의 전후 방향을 따라 직선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랙(5)과 이동랙(13) 사이의 위치관계가 상기 가이드블 록(25)에 의해 용이하고 정확하게 특정되어, 상기 제1피니언(7) 및 제2피니언(9)이 상기 베이스랙(5)과 이동랙(13) 사이에서 원활하고 안정되게 작동될 수 있으며, 쿠션 조립 작업의 신속성 및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기모터(17)를 구동하면 작동로드(19)가 상기 연장부(3)를 밀거나 당겨 상기 쿠션베이스(1)에 대하여 시트의 전방 또는 후방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연장부(3)는 상기 연결프레임(23)을 매개로 상기 피니언구동축(11)을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피니언구동축(11)의 직선 이동은 상기 제1피니언(7)이 상기 베이스랙(5)을 타고 이동하면서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제2피니언(9)은 상기 제1피니언(7)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이동랙(13)을 직선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이동랙(13)의 직선이동량은 상기 제1피니언(7)과 제2피니언(9)의 상대적인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쿠션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상기 제1피니언(7)과 제2피니언(9)의 상대적인 크기를 최적화하여 적용함으로써, 연장부(3)가 쿠션베이스(1)에 대하여 이동하는 모든 상태에 있어서, 항상 안정되고 미려한 상태로 쿠션커버의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참고로, 도 6은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한 것으로서 우측의 상태는 쿠션커버의 단부가 연장부의 이동량에 비하여 너무 많이 이동된 경우로서, 쿠션커버에 주름이 발생하여 외관을 해치는 상태를 표현한 것이고, 우측은 이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연장부의 이동량에 대하여 적정량으로 쿠션커버의 단부가 이동됨에 의해 항상 안정되고 미려한 상태를 보이는 쿠션커버의 상태를 설명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쿠션 익스텐션 장치가 구비된 시트에서, 쿠션의 전방 일부분이 쿠션의 전후 방향으로 신축함에 따라 쿠션을 감싸는 쿠션커버의 전방측 단부가 쿠션의 하측에서 쿠션의 전방 일부분의 이동량에 추종하여 적절한 양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쿠션을 감싸는 쿠션커버의 상태가 항상 안정되고 미려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4)

  1. 쿠션의 고정된 부분을 이루는 쿠션베이스와;
    상기 쿠션베이스에 대하여 시트의 전후 방향을 따라 직선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연장부와;
    상기 쿠션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연장부를 직선슬라이딩시키도록 구비된 액츄에이터와;
    상기 쿠션베이스에 시트의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된 베이스랙과;
    상기 베이스랙에 치합되는 제1피니언과;
    상기 제1피니언과 동심축을 이루고 상호 회전구속 상태로 구비된 제2피니언과;
    상기 제1피니언과 제2피니언의 회전축 역할을 하며 상기 연장부에 연결된 피니언구동축과;
    상기 쿠션베이스의 하측에서 상기 쿠션베이스에 대하여 시트의 전후 방향을 따라 직선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피니언에 치합되도록 시트의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된 이동랙과;
    상기 이동랙에 설치되어 쿠션커버의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바;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랙과 이동랙은 쌍을 이루어 쿠션의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랙과 이동랙에 치합되도록 쿠션의 양측으로 배치되는 제1피니언 및 제2피니언은 상기 피니언구동축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양측의 두 이동랙은 상기 고정바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구동축은, ㄷ 자형으로 형성되어 돌출된 두 가지부가 상기 연장부에 고정되고 상기 두 가지부를 연결하는 부분이 상기 피니언구동축을 감싸는 구조의 연결프레임에 의해, 상기 연장부에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랙은 상기 쿠션베이스의 하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랙을 고정하는 가이드블록을 통해 상기 쿠션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랙은 상기 가이드블록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에 끼워져서 시트의 전후 방향을 따라 직선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20070049066A 2007-05-21 2007-05-21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0837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066A KR100837520B1 (ko) 2007-05-21 2007-05-21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066A KR100837520B1 (ko) 2007-05-21 2007-05-21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7520B1 true KR100837520B1 (ko) 2008-06-12

Family

ID=39771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066A KR100837520B1 (ko) 2007-05-21 2007-05-21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75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08334A (zh) * 2013-04-19 2014-10-22 长春博泽汽车部件有限公司 汽车座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1062A (en) 1989-11-22 1992-12-15 Bertand Faure Automobile Adjustable front seats of motor vehicles having extending front portion and head rest
KR970036515A (ko) * 1995-12-29 1997-07-22 김태구 자동적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시트쿠션을 지닌 자동차용 전방시트
US20070102985A1 (en) 2005-11-10 2007-05-10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Electric telescopic apparatus for vehicle seat
US20070108817A1 (en) 2005-11-17 2007-05-17 Lee Joel R Thigh extension system for a vehicle sea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1062A (en) 1989-11-22 1992-12-15 Bertand Faure Automobile Adjustable front seats of motor vehicles having extending front portion and head rest
KR970036515A (ko) * 1995-12-29 1997-07-22 김태구 자동적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시트쿠션을 지닌 자동차용 전방시트
US20070102985A1 (en) 2005-11-10 2007-05-10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Electric telescopic apparatus for vehicle seat
US20070108817A1 (en) 2005-11-17 2007-05-17 Lee Joel R Thigh extension system for a vehicle sea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08334A (zh) * 2013-04-19 2014-10-22 长春博泽汽车部件有限公司 汽车座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1011B2 (en)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KR100687021B1 (ko) 시트용 받침대 조정 장치 및 그 받침대 슬라이더 및 장착 플레이트, 시트 받침대의 위치 조정 방법, 및 모듈화된 받침대 조정 장치를 조립하는 방법
CN208306408U (zh) 滑动装置
US7571964B2 (en) Electric telescopic apparatus for vehicle seat
US7770972B2 (en) Seat lumbar actuator
JP4922166B2 (ja) 調節可能な側部チークを有している自動車用座席
KR101034310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JP2008511483A5 (ko)
JP2017506599A (ja) アクチュエータアセンブリおよびシート調整方法
KR101180677B1 (ko) 차량용 레그레스트
KR20090035090A (ko) 시트쿠션 길이 조절장치
EP3275726B1 (en) Four-way electric power actuation head restraint
JP2010042209A (ja) ヘッドレスト構造
KR101725413B1 (ko) 차량용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EP1728673B1 (en) A configurable seat assembly for a vehicle
KR100837520B1 (ko)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장치
JP4301014B2 (ja) シートバックのサイドサポート構造
KR100808792B1 (ko)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기구
JP2004519765A (ja) 乗物用のクラッチペダル及びこれを用いた自動車用のペダルボックスモジュール
KR101470223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20100063959A (ko) 시트 등받이 조절 장치
JP2018177162A (ja) 乗物シート用オットマン装置
KR20170115689A (ko) 와이어 이용 차량용 전동 시트트랙 장치
KR20110013664A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2215295B1 (ko)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