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8792B1 -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기구 - Google Patents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8792B1
KR100808792B1 KR1020070049697A KR20070049697A KR100808792B1 KR 100808792 B1 KR100808792 B1 KR 100808792B1 KR 1020070049697 A KR1020070049697 A KR 1020070049697A KR 20070049697 A KR20070049697 A KR 20070049697A KR 100808792 B1 KR100808792 B1 KR 100808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planetary gear
seat
extension
gear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진호
Original Assignee
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070049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87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84Adjustable seat-cushion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2Thigh-rests

Abstract

본 발명은 쿠션 익스텐션 기구가 구비된 시트에서, 쿠션의 전방 일부분이 쿠션의 전후 방향으로 신축함에 따라 쿠션을 감싸는 쿠션커버의 전방측 단부가 쿠션의 하측에서 쿠션의 전방 일부분의 이동량에 추종하여 적절한 양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쿠션을 감싸는 쿠션커버의 상태가 항상 안정되고 미려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기구{CUSHION EXTENTION APPARATUS OF A SEAT}
도 1은 본 발명의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기구가 구비된 쿠션을 상측에서 관측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하측을 관측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본 발명의 주요부만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반대방향에서 관측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일부분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
도 7은 도 6의 일부분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쿠션베이스 3; 연장부
5; 선기어 7; 링기어
9; 유성기어 11; 고정바
13; 유성기어의 회전축 15; 캐리어기구
17; 가이드어셈블리 19; 가이드레일
21; 장공 23; 가이드윙부
25; 가이드링 27; 캐리어윙부
29; 축연결부재 31; 전기모터
33; 작동로드
본 발명은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등에 사용되는 시트의 쿠션 전후방향 길이를 사용자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차량 시트의 쿠션은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없어서, 다양한 신체적 조건을 가진 탑승자에게 최적의 편의성을 제공하기에 부족한 면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필요성에 의하여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기구가 제안되었는 바, 쿠션의 전방 일부분이 시트의 전방측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 메커니즘이 제안되었다.
상기와 같은 쿠션 익스텐션 기구는 대체로 쿠션의 전방 일부분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메커니즘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쿠션에는 통상 쿠션커버가 씌워져 있는바, 쿠션커버의 전방측은 시트의 전방측을 감고 그 단부가 쿠션 하측에 위치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여 시트의 미관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쿠션 익스텐션 기구가 구비된 시트에서는, 쿠션의 전방 일부분이 쿠션의 전후방향으로 신축함에 따라, 쿠션커버의 단부가 쿠션의 하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쿠션커버가 쿠션을 감싸는 상태가 항상 안정되고 미려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특히, 쿠션커버는 쿠션의 상측면으로부터 시트의 전방측면을 감싸서 쿠션의 하측에 그 단부가 위치하므로, 쿠션의 전방 일부분이 이동하는 양과 그에 필요한 쿠션커버의 단부가 쿠션의 하측에서 이동해야 하는 양은 동일하지 않으며, 쿠션의 형상이나 크기 등에 의해 쿠션커버의 단부가 이동해야 하는 적절한 양이 다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쿠션 익스텐션 기구가 구비된 시트에서, 쿠션의 전방 일부분이 쿠션의 전후 방향으로 신축함에 따라 쿠션을 감싸는 쿠션커버의 전방측 단부가 쿠션의 하측에서 쿠션의 전방 일부분의 이동량에 추종하여 적절한 양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쿠션을 감싸는 쿠션커버의 상태가 항상 안정되고 미려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기구는
쿠션의 고정된 부분을 이루는 쿠션베이스와;
상기 쿠션베이스에 대하여 시트의 전후 방향을 따라 직선슬라이딩 가능하도 록 설치된 연장부와;
상기 쿠션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연장부를 직선슬라이딩시키도록 구비된 액츄에이터와;
회전축은 쿠션의 횡방향을 향하며, 선기어의 일부 구간이 상기 쿠션베이스에 대하여 시트의 전후 방향을 향해 길게 배치되고, 링기어의 일부 구간이 상기 쿠션베이스에 대하여 원형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선기어와 링기어 사이에 치합된 유성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유성기어세트와;
상기 유성기어세트의 링기어에 설치되어 쿠션커버의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바와;
상기 유성기어세트의 유성기어의 회전축을 가이드하며, 상기 연장부에 연결되어 상기 연장부의 직선슬라이딩 운동을 상기 유성기어에 전달하는 캐리어기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도면에 중복되어 표시된 동일부호는 일체로 연결된 동일부품임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쿠션의 고정된 부분을 이루는 쿠션베이스(1)와; 상기 쿠션베이스(1)에 대하여 시트의 전후 방향을 따라 직선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연장부(3)와; 상기 쿠션베이스(1)에 대하여 상기 연장부(3)를 직선슬라이딩시키도록 구비된 액츄에이터와; 회전축은 쿠션의 횡방향을 향하며, 선기어(5)의 일부 구간이 상기 쿠션베이스(1)에 대하여 시트의 전후 방향을 향해 길게 배치 되고, 링기어(7)의 일부 구간이 상기 쿠션베이스(1)에 대하여 원형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선기어(5)와 링기어(7) 사이에 치합된 유성기어(9)를 포함하여 구성된 유성기어세트와; 상기 유성기어세트의 링기어(7)에 설치되어 쿠션커버의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바(11)와; 상기 유성기어세트의 유성기어의 회전축(13)을 가이드하며, 상기 연장부(3)에 연결되어 상기 연장부(3)의 직선슬라이딩 운동을 상기 유성기어(9)에 전달하는 캐리어기구(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쿠션베이스(1)에 대하여 상기 연장부(3)가 이동하게 되면, 상기 연장부(3)의 이동변위를 상기 캐리어기구(15)를 통해 상기 유성기어세트의 유성기어(9)에 전달하여, 상기 유성기어(9)에 치합되어 있는 링기어(7)가 유성기어세트의 기어비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링기어(7)에 설치된 고정바(11)가 쿠션커버의 단부를 상기 연장부(3)의 이동변위에 따라 적절한 수준으로 이동시켜주어, 쿠션커버가 항상 안정되고 미려한 상태로 쿠션을 감싸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성기어세트는 완전한 원형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원형의 일부분만을 절단해 낸 구성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이 연장부(3)의 직선 슬라이딩 운동에 추종하여 쿠션커버의 단부를 이동시키는 것이므로, 상기 절단해 낸 부분 즉, 선기어(5)와 링기어(7)는 대략 그 접선 방향이 시트의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링기어(7)는 원형 슬라이딩 운동을 하므로 그 배치 상태를 특정하기 어렵지만, 상기 선기어(5)는 상기 쿠션베이스(1)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로서, 그 길이방향 즉, 접선방향이 대략 시트의 전후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야, 작동시 에 상기 링기어(7)가 쿠션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쿠션커버의 단부를 쿠션의 전후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유성기어세트는 상기 링기어(7)의 원형 슬라이딩 운동 방향이 상기 유성기어(9)의 공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이 되는 싱글피니언타입이다. 따라서, 상기 캐리어기구(15)의 이동방향과 거의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링기어(7)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 유성기어세트의 선기어(5)는 상기 쿠션베이스(1)의 하측에 장착되는 가이드어셈블리(17)에 고정되며, 상기 유성기어세트의 링기어(7)는 상기 가이드어셈블리(17)에 일체로 구비된 가이드레일(19)에 끼워져서 원형 슬라이딩 운동이 가이드되고, 상기 캐리어기구(15)는 상측이 상기 연장부(3)에 고정되고, 하측에는 상기 유성기어의 회전축(13)이 삽입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21)이 구비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캐리어기구(15)의 직선운동에 대하여 상기 유성기어의 회전축(13)이 원운동하여 대략 상기 캐리어기구(15)의 직선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어셈블리(17)에는 상기 캐리어기구(15)의 직선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가이드윙부(23)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유성기어의 회전축(13)이 공전하는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링(25)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캐리어기구(15)는 상기 가이드윙부(23)에 삽입되는 캐리어윙부(27)가 일체로 구비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성기어세트는 쿠션의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고, 상기 양측의 각 유성기어세트의 유성기어(9)들의 회전축은 축연결부재(29)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링기어(7)에 설치되는 고정바(11)는 양단이 각각 상기 양측의 유성기어세트의 링기어(7)에 각각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전기모터형을 사용하였는 바, 전기모터(31)의 회전력을 워엄기어 등으로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작동로드(33)를 직선운동시키는 구조로서, 상기 전기모터(31)는 상기 쿠션베이스(1)의 하측에 고정되고, 상기 작동로드(33)는 상기 연장부(3)에 연결된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기모터(31)를 구동하여 상기 작동로드(33)가 상기 연장부(3)를 상기 쿠션베이스(1)에 대하여 시트의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연장부(3)의 이동변위는 상기 캐리어기구(15)를 통해 상기 유성기어(9)로 전달된다.
상기 유성기어(9)는 상기 쿠션베이스(1)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선기어(5)를 타고 공전 및 자전을 하면서 상기 가이드링(25)에 의해 가이드되어 원형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유성기어(9)의 공전 및 자전은 상기 링기어(7)를 상기 연장부(3)의 운동에 추종하여 시트의 전방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링기어(7)가 이동하는 변위는 상기 선기어(5)와 링기어(7)의 기어비에 따라 변화하게 되므로, 상기 연장부(3)가 이동하는 양에 대하여 적합한 양의 링기어(7) 및 고정바(11)의 이동량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선기어(5)와 링기어(7)의 기어비를 본 발명이 적용될 쿠션의 크기나 형상 등에 따라 최적화하여 설정하거나 실험 등에 의하여 선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쿠션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상기 유성기어세트를 이루는 선기어(5)와 링기어(7)의 기어비를 최적화하여 적용함으로써, 상기 연장부(3)가 쿠션베이스(1)에 대하여 이동하는 모든 상태에 있어서, 항상 안정되고 미려한 상태로 쿠션커버의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참고로, 도 8은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한 것으로서 우측의 상태는 쿠션커버의 단부가 연장부(3)의 이동량에 비하여 너무 많이 이동된 경우로서, 쿠션커버에 주름이 발생하여 외관을 해치는 상태를 표현한 것이고, 우측은 이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연장부(3)의 이동량에 대하여 적정량으로 쿠션커버의 단부가 이동됨에 의해 항상 안정되고 미려한 상태를 보이는 쿠션커버의 상태를 설명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쿠션 익스텐션 기구가 구비된 시트에서, 쿠션의 전방 일부분이 쿠션의 전후 방향으로 신축함에 따라 쿠션을 감싸는 쿠션커버의 전방측 단부가 쿠션의 하측에서 쿠션의 전방 일부분의 이동량에 추종하여 적절한 양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쿠션을 감싸는 쿠션커버의 상태가 항상 안정되고 미려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4)

  1. 쿠션의 고정된 부분을 이루는 쿠션베이스와;
    상기 쿠션베이스에 대하여 시트의 전후 방향을 따라 직선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연장부와;
    상기 쿠션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연장부를 직선슬라이딩시키도록 구비된 액츄에이터와;
    회전축은 쿠션의 횡방향을 향하며, 선기어의 일부 구간이 상기 쿠션베이스에 대하여 시트의 전후 방향을 향해 길게 배치되고, 링기어의 일부 구간이 상기 쿠션베이스에 대하여 원형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선기어와 링기어 사이에 치합된 유성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유성기어세트와;
    상기 유성기어세트의 링기어에 설치되어 쿠션커버의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바와;
    상기 유성기어세트의 유성기어의 회전축을 가이드하며, 상기 연장부에 연결되어 상기 연장부의 직선슬라이딩 운동을 상기 유성기어에 전달하는 캐리어기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세트는 상기 링기어의 원형 슬라이딩 운동 방향이 상기 유성기어의 공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이 되는 싱글피니언타입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세트의 선기어는 상기 쿠션베이스의 하측에 장착되는 가이드어셈블리에 고정되며;
    상기 유성기어세트의 링기어는 상기 가이드어셈블리에 일체로 구비된 가이드레일에 끼워져서 원형 슬라이딩 운동이 가이드되고;
    상기 캐리어기구는 상측이 상기 연장부에 고정되고, 하측에는 상기 유성기어의 회전축이 삽입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이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세트는 쿠션의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고;
    상기 양측의 각 유성기어세트의 유성기어들의 회전축은 축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링기어에 설치되는 고정바는 양단이 각각 상기 양측의 유성기어세트의 링기어에 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기구.
KR1020070049697A 2007-05-22 2007-05-22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기구 KR100808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697A KR100808792B1 (ko) 2007-05-22 2007-05-22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697A KR100808792B1 (ko) 2007-05-22 2007-05-22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8792B1 true KR100808792B1 (ko) 2008-03-03

Family

ID=39397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697A KR100808792B1 (ko) 2007-05-22 2007-05-22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87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766B1 (ko) 2011-12-22 2013-09-06 현대다이모스(주) 헤드레스트 연동형 백 익스텐션 유닛
US9371011B2 (en) 2014-03-13 2016-06-21 Hyundai Motor Company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CN110654287A (zh) * 2018-06-28 2020-01-07 佛吉亚汽车座椅有限责任公司 用于车辆座椅的腿部支撑件
DE102019216331A1 (de) * 2019-10-23 2021-04-29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Sitztiefenverstellein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1062A (en) 1989-11-22 1992-12-15 Bertand Faure Automobile Adjustable front seats of motor vehicles having extending front portion and head rest
KR970036515A (ko) * 1995-12-29 1997-07-22 김태구 자동적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시트쿠션을 지닌 자동차용 전방시트
US20070102985A1 (en) 2005-11-10 2007-05-10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Electric telescopic apparatus for vehicle seat
US20070108817A1 (en) 2005-11-17 2007-05-17 Lee Joel R Thigh extension system for a vehicle sea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1062A (en) 1989-11-22 1992-12-15 Bertand Faure Automobile Adjustable front seats of motor vehicles having extending front portion and head rest
KR970036515A (ko) * 1995-12-29 1997-07-22 김태구 자동적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시트쿠션을 지닌 자동차용 전방시트
US20070102985A1 (en) 2005-11-10 2007-05-10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Electric telescopic apparatus for vehicle seat
US20070108817A1 (en) 2005-11-17 2007-05-17 Lee Joel R Thigh extension system for a vehicle sea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766B1 (ko) 2011-12-22 2013-09-06 현대다이모스(주) 헤드레스트 연동형 백 익스텐션 유닛
US9371011B2 (en) 2014-03-13 2016-06-21 Hyundai Motor Company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CN110654287A (zh) * 2018-06-28 2020-01-07 佛吉亚汽车座椅有限责任公司 用于车辆座椅的腿部支撑件
DE102019216331A1 (de) * 2019-10-23 2021-04-29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Sitztiefenverstellein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4621B2 (en) Seat-depth adjustable vehicle seat with a first seat part and a second seat part
KR101034310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0687021B1 (ko) 시트용 받침대 조정 장치 및 그 받침대 슬라이더 및 장착 플레이트, 시트 받침대의 위치 조정 방법, 및 모듈화된 받침대 조정 장치를 조립하는 방법
KR101422820B1 (ko) 차량용 시트쿠션의 길이 조절장치
KR100808792B1 (ko)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기구
KR20150107033A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JP5387185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調整装置
JP5318935B2 (ja) 多軸駆動装置
JP2017506599A (ja) アクチュエータアセンブリおよびシート調整方法
KR20130032599A (ko) 시트쿠션의 높낮이 및 경사 조절구조가 단일화된 차량시트
KR101576382B1 (ko) 기어 박스
JP2021100853A5 (ko)
KR101593846B1 (ko) 헤드레스트 장치
JP5022250B2 (ja) マッサージ機
KR100837520B1 (ko) 시트의 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1078232B1 (ko) 시트 등받이 조절 장치
CN101384450A (zh) 致动器具和座椅,特别是机动车辆座椅
JP2008220640A (ja) 車両用シートのサイドサポート調整装置
JP6251918B2 (ja) ワイパ装置
CN103476633B (zh) 用于座椅的致动器装置和调节方法
CN110356302A (zh) 头部支撑件
CN101438083A (zh) 变速布置与变速箱
JP4624488B2 (ja) 車両用シートの駆動機構
KR20110013664A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CN209977166U (zh) 一种运动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