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7287B1 - 장착 기구 및 영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장착 기구 및 영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7287B1
KR100837287B1 KR1020060022005A KR20060022005A KR100837287B1 KR 100837287 B1 KR100837287 B1 KR 100837287B1 KR 1020060022005 A KR1020060022005 A KR 1020060022005A KR 20060022005 A KR20060022005 A KR 20060022005A KR 100837287 B1 KR100837287 B1 KR 100837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ounting mechanism
small display
display
intermedi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2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7651A (ko
Inventor
유타카 오카자키
타케시 야와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리사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리사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리사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60097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7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7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9/00Forging presses
    • B21J9/0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2Dies or mounting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안경에 대하여 소형 디스플레이를 간단히 희망하는 위치에서 장착할 수 있는 장착 기구가 제공된다. 안경에 소형 디스플레이를 장착하는 장착 기구는, 안경의 일부를 개재하는 클립부, 클립부로부터 연신되는 축봉, 축봉에 지지되며 축봉에 대하여 축봉의 길이 방향으로 접동하는 접동 부재, 접동 부재에 연결되며 접동 부재에 대하여 축봉의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회전축 주변을 회전하는 중간 부재, 그리고 중간 부재에 연결되어 중간 부재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회전축 주변으로 회전하며 소형 디스플레이를 유지하는 디스플레이 유지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장착 기구 및 영상 형성 장치{MOUNTING MECHANISM AND IMAGE FORMATION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형성 장치(20)가 안경(10)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장착 기구(10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장착 기구(100)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장착 기구(100)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5는 장착 기구(100)를 저면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6은 장착 기구(100)를 디스플레이 유지부(170)의 옆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7은 디스플레이 유지부(170)가 소형 디스플레이(40)를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안경 12 : 프레임
14 : 렌즈 20 : 영상 형성 장치
22 : 돌기 30 : 영상 정보 생성부
32 : 생성부 본체 34 : 케이블
40 : 소형 디스플레이 42 : 돌부
50 : 흡착부 100 : 장착 기구
110 : 클립부 112 : 클립 조각
114 : 클립 조각 116 : 판 스프링
120 : 축봉 122 : 스토퍼
124 : 스토퍼 130 : 접동 부재
132 : 평탄면 140 : 연결봉
본 발명은 장착 기구 및 영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안경에 소형 디스플레이를 장착하는 장착 기구 및 상기 소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영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안경에 확대경을 장착하는 장착 기구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3-295128호). 이러한 장착 기구에 있어서, 안경의 일부를 끼우는 클립부와 확대경이 장착된 축봉이 이단의 링크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한편, 사용자의 눈의 근방에 배치하는 소형 액정 디스플레이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술한 장착 기구를 이용하여 소형 액정 디스플레이를 장착하는 경우에, 안경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하는 경우에는 링크를 움직이고, 또한, 좌우 방향으로 조정하는 경우에는 축봉과 확대경과의 사이의 나사를 풀어서 디스플레이를 움직인다. 따라서, 조정하고 싶은 방향 및 취지에 대하여 각각 떨어진 부분을 조작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좌우의 눈의 근방에 각각 디스플레이를 배치하는 경우, 좌우의 디스플레이를 서로 독립하여 조정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경에 소형 디스플레이를 장착하는 장착 기구는, 안경의 일부를 끼우는 클립부, 상기 클립부로부터 연장되는 축봉, 상기 축봉에 지지되고 상기 축봉에 대하여 축봉의 길이 방향으로 접동하는 접동 부재, 상기 접동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접동 부재에 대하여 상기 축봉의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회전축 주위로 회전하는 중간 부재, 그리고 상기 중간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중간 부재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회전축 주위로 회전하여 소형 디스플레이를 유지하는 디스플레이 유지부를 구비한다.
상술한 장착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접동 부재 및 중간 부재는 각기 각 회전축에 대하여 평행한 한 쌍의 평탄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장착 기구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지부는 실질적으로 C자의 형상을 가지며, C자 형상의 노치 부분이 소형 디스플레이의 돌출부에 끼워 맞추어질 수 있다.
상기 장착기구에 있어서, 상기 축봉은 클립부로부터 좌우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형성 장치는,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정보 생성부, 상기 영상 정보 생성부가 생성한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소형 디스플레이, 상기 소형 디스플레이를 안경에 장착하는 장착 기구, 그리고 상기 안경의 렌즈에 흡착하여 소형 디스플레이를 고정하는 흡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기구는 안경의 일부를 끼우는 클립부, 상기 클립부로부터 연장되는 축봉, 상기 축봉에 지지되고 상기 축봉에 대하여 축봉의 길이 방향으로 접동하는 접동 부재, 상기 접동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접동 부재에 대하여 축봉의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회전축 주위로 회전하는 중간 부재, 그리고 상기 중간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중간 부재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회전축 주위로 회전하고 소형 디스플레이를 유지하는 디스플레이 유지부를 가진다.
상술한 본 발명의 개요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필요한 특징의 모두를 예시한 것은 아니며 이들의 특징군의 서브콤비네이션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하기 실시예들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하기 실시예들 중에서 설명되어 있는 특징의 조합의 모두가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형성 장치(20)가 안경(10)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형성 장치(20)는, 안경(10)을 쓰는 사용자에 대하여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한다. 영상 형성 장치(20)는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정보 생성부(30), 영상 정보 생성부(30)가 생성한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소형 디스플레이(40), 소형 디스플레이(40)를 안경(10)에 장착하는 장착 기구(100), 그리고 안경(10)의 렌즈(14)에 흡착하여 소형 디스플레이(40)를 고정하는 흡착부(50)를 가진다. 또한, 렌즈(14)는 광학적으로 렌즈의 기능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렌즈(14)는 유리 평판이여도 무방하다.
영상 정보 생성부(30)는 생성부 본체(32) 및 이러한 생성부 본체(32)와 소형 디스플레이(4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케이블(34)을 가진다. 생성부 본체(32)는, 기억 매체에 기억된 영상을 읽어내어 영상 정보를 생성하고, 이와 같은 영상 정보를 케이블(34)을 통하여 소형 디스플레이(4)로 보낸다. 영상 정보 생성부(30)는 케이블(34)로 바꿔서 와이어 레스로 영상 정보를 소형 디스플레이(40)에 보낼 수 있다. 소형 디스플레이(40)는 예를 들면, 1인치 정도의 액정 패널과 렌즈를 가지며, 생성부 본체(32)로부터 보내진 영상 정보를 표시한다.
도 2는 장착 기구(100)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장착 기구(100)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 기구(100)는 안경(10)의 프레임(12)을 끼우는 클립부(110), 클립부(110)로부터 연장되는 축봉(120), 축봉(120)에 지지된 접동 부재(130), 접동 부재(130)에 연결된 중간 부재(150), 그리고 중간 부재(15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유지부(170)를 구비한다.
클립부(110)는 수지 성형된 한 쌍의 클립 조각들(112, 114) 및 이들 한 쌍의 클립 조각들(112, 114)을 연결하는 판 스프링(116)을 가진다. 이에 따라, 클립 조각들(112, 114)은 도 3에 있어서의 화살표 A 방향으로 개폐된다. 상술한 구성에 있 어서, 클립 조각들(112, 114)의 일단(도면에서 상단)을 사용자가 뜯어서 근접시킴으로써, 타단(도면에서 하단)을 넓힌다. 이러한 상태에서 그 타단의 사이에 안경(10)의 프레임(12)을 삽입한 후에, 사용자가 클립 조각들(112, 114)의 일단에 걸린 힘을 해방함에 따라, 클립 조각들(112, 114)의 타단이 프레임(12)을 끼운다.
축봉(120)은 수지 성형되어 있으며, 클립부(110)의 클립 조각(114)을 관통하여, 클립부(110)의 좌우로 연장된 상태로 클립 조각(114)에 지지된다. 축봉(120)의 양단에는 스토퍼들(122, 124)이 장착된다.
접동 부재(130)는 수지 성형된 직방체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접동 부재(130)는 직방체 형상의 한 쌍의 서로 마주보는 면 사이(도면에서 좌우면)를 관통하는 관통공을 가진다. 이러한 관통공에 축봉(120)이 삽입되어, 접동 부재(130)가 축봉(120)에 지지된다. 또한, 접동 부재(130)는 상기 관통공이 설치된 면과 직교하는 면(도면에서 저면)에 도시되지 않은 구멍을 갖고, 이와 같은 구멍에 연결봉(140)이 삽입된다.
중간 부재(150)는 수지 성형된 직방체 형상을 가진다. 또한, 중간 부재(150)는 직방체 형상의 하나의 면(도면에서 상단)에 구멍을 갖는다. 이러한 구멍에 연결봉(140)이 삽입됨에 따라, 중간 부재(150)가 접동 부재(130)와 연결된다. 또한, 중간 부재(150)는 상기 구멍이 설치된 면과 직교하는 면(도면 중 오른쪽 면)에 구멍을 더 가진다.
디스플레이 유지부(170)는 수지 성형된 대략 C자의 형상을 가진다. 디스플레이 유지부(170)의 일부가 중간 부재(150)의 상기 구멍에 삽입됨에 따라, 디스플레 이 유지부(170)가 중간 부재(150)에 연결된다.
도 4는 장착 기구(100)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동 부재(130)는 축봉(120)에 대하여 축봉(120)의 길이 방향(도면 중 화살표 B)에 접동한다. 이에 따라, 안경(10)의 좌우 방향, 즉 수평 방향에 대하여 소형 디스플레이(4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축봉(120)은 클립부(110)로부터 좌우 모두 연신되어 있으므로, 좌우의 어디에도 접동 부재(130) 등을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소형 디스플레이(40)를 안경(10)의 좌우 어느 렌즈(14)에도 장착할 수 있다.
도 5는 장착기구(100)를 저면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부재(150)는 접동 부재(130)에 대하여 연결봉(140)을 회전축으로서 회전한다. 즉, 중간 부재(150)는 축봉(120)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회전축 주변(도면 중 화살표 C)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렌즈(14)에 대한 소형 디스플레이(40)의 전후 위치 및 수평면 내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접동 부재(130) 및 중간 부재(150)는 각기 연결봉(140)에 대하여 평행한 한 쌍의 평탄면들(132, 152)을 가지므로 사용자가 접동 부재(130) 및 중간 부재(150)의 평탄면들(132, 152)을 잡음에 따라 접동 부재(130)에 대하여 중간 부재(15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도 6은 장착 기구(100)를 디스플레이 보호부(170) 옆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지부(170)는 중간 부재(150)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회전축 주변(도면 중 화살표 D)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렌즈(14)에 대한 소형 디스플레이(40)의 연직면 내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중간 부재(150)와 디스플레이 유지부(170)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소형 디스플레이(40)의 6개 정도의 공간적인 자유도에 대하여 이와 같은 부분에서 조정을 할 수 있다.
도 7은 디스플레이 유지부(170)가 소형 디스플레이(40)를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소형 디스플레이(40)는 돌기(22)를 가진다. 소형 디스플레이(40)의 돌기(22)에 디스플레이 유지부(170)의 C자 형상의 노치(172)가 감합된다. 이에 따라, 소형 디스플레이(40)를 노치(172)에 대하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유지부(170)의 C자의 형상이 만드는 면상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소형 디스플레이(4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노치(172)에 의해 디스플레이 유지부(170)를 눌러 넓힐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유지부(170)에 대하여 소형 디스플레이(40)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한, 흡착부(50)는 예를 들면 흡착반이며, 안경(10)의 렌즈(14)에 흡착하여 소형 디스플레이(40)를 안경(10)에 대하여 고정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형 디스플레이(40)를 안경(10)에 장착하는 경우, 안경(10)에 대한 소형 디스플레이(40)의 6개의 공간적인 자유도에 대하여 서로 접속한 부분에서 조정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경(10)에 대하여 소형 디스플레이(40)를 간단히 희망하는 위치에서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안경(10)의 좌우 렌즈(14)에 대하여 각각 소형 디스플레이(40)를 장착하는 경우에, 좌우 소형 디스플레이(40)의 위치 및 방향을 독립하여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안경에 대하여 소형 디스플레이를 간단히 원하는 위치에서 장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안경에 소형 디스플레이를 장착하는 장착 기구에 있어서,
    안경의 일부를 끼우는 클립부;
    상기 클립부로부터 연장되는 축봉(軸棒);
    상기 축봉에 지지되며, 상기 축봉에 대하여 상기 축봉의 길이 방향으로 접동하는 접동 부재;
    상기 접동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접동 부재에 대하여 상기 축봉의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회전축 주위로 회전하는 중간 부재; 및
    상기 중간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중간 부재의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회전축 주위로 회전하며, 상기 소형 디스플레이를 유지하는 디스플레이 유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동 부재 및 상기 중간 부재는 각기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평행한 한 쌍의 평탄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지부는 실질적으로 C자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C자 형상의 노치 부분이 상기 소형 디스플레이의 돌출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봉은 상기 클립부로부터 좌우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기구.
  5. 영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정보 생성부;
    상기 영상 정보 생성부가 생성한 상기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소형 디스플레이;
    상기 소형 디스플레이를 안경에 장착하는 장착 기구; 및
    상기 안경의 렌즈에 흡착하여 상기 소형 디스플레이를 고정하는 흡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 기구는,
    안경의 일부를 끼우는 클립부;
    상기 클립부로부터 연장되는 축봉;
    상기 축봉에 지지되고, 상기 축봉에 대하여 상기 축봉의 길이 방향으로 접동하는 접동 부재;
    상기 접동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접동 부재에 대하여 상기 축봉의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회전축 주위로 회전하는 중간 부재; 및
    상기 중간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중간 부재의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회전축 주위로 회전하며, 상기 소형 디스플레이를 유지하는 디스플레이 유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형성 장치.
KR1020060022005A 2005-03-09 2006-03-09 장착 기구 및 영상 형성 장치 KR100837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65597 2005-03-09
JP2005065597A JP2006253902A (ja) 2005-03-09 2005-03-09 取り付け具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651A KR20060097651A (ko) 2006-09-14
KR100837287B1 true KR100837287B1 (ko) 2008-06-12

Family

ID=36970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005A KR100837287B1 (ko) 2005-03-09 2006-03-09 장착 기구 및 영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203084A1 (ko)
JP (1) JP2006253902A (ko)
KR (1) KR100837287B1 (ko)
CN (1) CN10045173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1681A (ja) * 2006-03-16 2007-09-27 Arisawa Mfg Co Ltd 小型ディスプレイ
JP5023755B2 (ja) 2007-03-26 2012-09-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WO2012155243A1 (en) 2011-05-13 2012-11-22 Écrans Polaires Inc. / Polar Screens Inc. Method and display for concurrently displaying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JP6076121B2 (ja) * 2013-02-14 2017-02-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眼鏡フレーム
US9857590B2 (en) * 2014-10-11 2018-01-02 Floyd Steven Hall, Jr. Method and system for press-on displays for fashionable eyewear and nosewear
KR102312259B1 (ko) * 2015-02-02 2021-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
CN105892065B (zh) * 2016-07-08 2018-08-17 邹泳峰 一种vr眼镜
WO2021243037A1 (en) 2020-05-27 2021-12-02 Looking Glass Factory, Inc. System and method for holographic display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1340A (ja) * 2001-04-13 2002-10-23 Nitto Kogaku Kk 拡大鏡
JP2003295128A (ja) * 2002-04-04 2003-10-15 Fukui Gankyo Co Ltd メガネに取付ける拡大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719A (en) * 1897-05-18 Memorandum-holder
US331791A (en) * 1885-12-08 Combined
US2155575A (en) * 1939-04-25 Binocular lotjfce
US839344A (en) * 1906-05-04 1906-12-25 Nathan A Vurgason Eyeglass.
US4796987A (en) * 1984-12-20 1989-01-10 Linden Harry A Digital display for head mounted protection
US5870166A (en) * 1997-02-25 1999-02-09 Chang; Byung Jin Versatile optical mounting assembly
US6034653A (en) * 1997-08-01 2000-03-07 Colorado Microdisplay, Inc. Head-set display device
CN2430718Y (zh) * 2000-06-26 2001-05-16 周宗锦 无框式眼镜与其附属眼镜间的结合装置
US20020021407A1 (en) * 2000-08-01 2002-02-21 Scott Elliott Eye-wear video game
US6755521B1 (en) * 2003-07-11 2004-06-29 20/20 Marketing Ltd. Clip-on glasses assembly and actuating mechanism therefor
JP2007251681A (ja) * 2006-03-16 2007-09-27 Arisawa Mfg Co Ltd 小型ディスプレ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1340A (ja) * 2001-04-13 2002-10-23 Nitto Kogaku Kk 拡大鏡
JP2003295128A (ja) * 2002-04-04 2003-10-15 Fukui Gankyo Co Ltd メガネに取付ける拡大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03084A1 (en) 2006-09-14
JP2006253902A (ja) 2006-09-21
CN100451735C (zh) 2009-01-14
CN1831583A (zh) 2006-09-13
KR20060097651A (ko) 200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7287B1 (ko) 장착 기구 및 영상 형성 장치
US10816825B2 (en) Head-mounted display
JP5023755B2 (ja) 画像表示装置
JP6547622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
TW422965B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US11340464B2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JP5699649B2 (ja) 虚像表示装置
WO2017096981A1 (zh) 一种头戴显示器
CN111123517B (zh) 头部佩戴型显示装置
JP2010231119A (ja) 眼鏡型の画像表示装置
JP2007064997A (ja) 頭部搭載型画像表示装置
KR20060134106A (ko) 화상 표시 장치
JP2019078966A (ja) ミラーユニット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US7410255B2 (en) Microdisplay
JP2006317817A (ja) 多焦点用眼鏡フレーム
JP2011180414A (ja) カメラユニットの固定構造
WO2009084657A1 (ja) 単眼型画像形成装置
CN106740545B (zh) 一种车载抬头显示器防抖支架
JP5237183B2 (ja) 立体視用ビュア
CN111983775A (zh) 光学元件驱动装置、照相机装置以及电子设备
CN110955046A (zh) 头部佩戴型显示装置以及罩部件
JP3833837B2 (ja) ビデオカメラ
WO2017119425A1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2017147522A (ja) 頭部装着型画像表示装置
JP6076121B2 (ja) 眼鏡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