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259B1 -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259B1
KR102312259B1 KR1020150016352A KR20150016352A KR102312259B1 KR 102312259 B1 KR102312259 B1 KR 102312259B1 KR 1020150016352 A KR1020150016352 A KR 1020150016352A KR 20150016352 A KR20150016352 A KR 20150016352A KR 102312259 B1 KR102312259 B1 KR 102312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isplay device
wearable display
fram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5309A (ko
Inventor
유안나
김무겸
유희수
이광훈
이명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6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259B1/ko
Priority to TW104138474A priority patent/TWI695294B/zh
Priority to EP15195824.6A priority patent/EP3051328A3/en
Priority to US14/975,087 priority patent/US9690326B2/en
Priority to CN201610008625.1A priority patent/CN105842849B/zh
Priority to JP2016014750A priority patent/JP2016145979A/ja
Publication of KR20160095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3/00Special supporting arrangements for lens assemblies or monocles
    • G02C3/04Arrangements for supporting by hand, e.g. lorgnette, Arrangements for supporting by 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6Collapsible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04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with adjustable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3Side-members having special ear pie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에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송출하는 표시부와, 일단이 표시부와 연결되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제1 하우징과, 일단이 표시부를 기준으로 제1 하우징과 대향되도록 위치되는 제2 하우징 및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Wear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머리, 팔, 다리 등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최근 표시 장치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표시 장치의 범주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뿐만 아니라, 스마트 워치(smart watch),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HeadMount Display, HMD) 등의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wearable display device)로까지 폭넓게 확장되고 있다.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 중에서도 증강 현실(Artificial Reality, AR)을 이용하여 안경 대신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의 일례로, 미국 구글 사에서 판매 중인 구글 글라스(google glass)를 들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는 충전 또는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별도의 충전용 도크 또는 별도의 데이터 저장소와 연결되어야 한다. 즉,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표시 장치의 규격에 맞는 별도의 충전용 도크 또는 데이터 저장소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해당 표시 장치의 쾌적한 사용을 위해서는 별도의 충전용 도크 또는 데이터 저장소를 상시 휴대해야 하므로, 표시 장치의 휴대성 및 호환성 면에서 제약을 받게 된다.
본 발명은 별도의 별도의 충전용 도크 또는 데이터 저장소를 구비하지 않고도 다양한 단말기들과 충전 또는 데이터 전송 등이 상호 호환되어 휴대성 및 호환성이 개선된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신체에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송출하는 표시부; 일단이 상기 표시부와 연결되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제1 하우징; 일단이 상기 표시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하우징과 대향되도록 위치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은 각각 L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측에 결합되되, 적어도 상기 표시부의 외측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슬라이딩 가능한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에는 2 이상의 제1 요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의 타단에는 제1 회전관절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관절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타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힌지; 제1 힌지와 힌지 결합되는 제1 볼 및 상기 제1 볼이 끼워지도록 U자 형상의 끼움홈이 형성된 제1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회전관절부와 연결되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제3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하우징은 일면에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접촉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면에는 2 이상의 제2 요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의 타단에는 제2 회전관절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관절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의 타단과 결합되되, 상기 제2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회전가능한 제2 힌지; 제2 힌지와 힌지 결합되는 제2 볼 및 상기 제2 볼이 끼워지도록 U자 형상의 끼움홈이 형성된 제2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회전관절부와 연결되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제4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하우징은 일면에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접촉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단에 수용되되, 상기 제2 하우징을 향해 연장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단에 수용되되, 상기 제1 하우징을 향해 연장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 의해 각각 관통되는 스토퍼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스토퍼 블록으로부터 각각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와이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단에는 상기 스토퍼 블록이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는 머리, 팔, 다리와 같은 신체에 착용 가능하며, 신체에 착용하지 않을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고정시켜 휴대 및 보관 가능한 동시에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별도의 충전용 도크 또는 데이터 저장소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단말기를 통한 표시 장치의 충전 또는 단말기와 표시 장치 간 정보 교환이 가능한 바, 휴대성 및 호환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 중 표시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와 단말기가 서로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의 제1 회전관절부의 회전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의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 구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의 제1 접촉단자의 회전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의 제1 접촉단자가 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의 착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100)는 사람의 신체, 예를 들어 머리, 팔 또는 다리 등에 다양하게 착용 가능하며, 머리에 착용할 경우 화상이 착용자의 안구에 직접 전달되도록 조절될 수 있고, 팔 또는 다리 등에 착용될 경우에는 외부의 일정 공간에 화상을 투사(project)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100)는 표시부(110), 제1 하우징(120), 제2 하우징(130), 슬라이딩부(140), 제3 하우징(150) 및 제4 하우징(160)을 포함한다.
표시부(110)는 2 이상의 렌즈 및 광학계를 포함하고, 렌즈와 광학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화상을 착용자의 안구 또는 외부의 일정 공간으로 투사(project)시킬 수 있다. 표시부(110)는 화상을 투사하기 위해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100)를 머리에 착용할 경우,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110)가 y축 방향을 따라 착용자의 안구 전면(front side)에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안경으로서 사용할 수 있으나, 표시부(110)가 손등에 위치하도록 표시 장치(100)를 손목에 착용함으로써 손목시계로도 사용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표시부(110)의 형상이 육면체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장치(100)의 용도, 착용 부위 등에 따라 구형(sphere), 원형(circle)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20)은 일단이 표시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20)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표시부(110)에 화상 신호를 송출하는 회로부(미도시)가 위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착용자가 표시 장치(100)를 머리에 착용할 경우 관자놀이 상부와 접촉하는 안경의 다리(temple)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20)은 손목, 발목 등에 감길 수 있도록 가요성(flexibility)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 중 표시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커버(121)는 표시부(110)와 인접한 제1 하우징(120) 외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버(121)는 제1 하우징(120) 외측으로부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적어도 표시부(110) 외측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커버(121)는 U자형 구조체로서 도 1을 기준으로 표시부의 z축 방향 면과 y축 방향 양 면을 덮어 보호할 수 있으나, 커버(121)의 형상 및 커버 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장치(100)의 용도, 사용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표시 장치(100)를 야외에서 사용할 경우, 눈, 비 등의 기후 변화나 땀, 먼지 등 외부 이물질의 유입에 따른 표시부(1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요홈부(122)는 표시 장치(100)를 착용할 경우, 신체와 제1 하우징(120)이 직접 접촉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요홈부(122)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20)의 x축 방향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요홈부(122)는 2 이상이 도 1의 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와 단말기가 서로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표시 장치(100)는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10)의 상부와 양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요홈부(122)는 휴대용 단말기(10)의 양 측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이상의 돌출부(11)가 형성될 경우, 돌출부(11)에 각각 끼워짐으로써 단말기(10)와 표시 장치(100)를 상호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 장치(100)를 신체에 착용하지 않을 경우, 휴대용 단말기(10)에 고정시킴으로써 표시 장치(100)를 착용하지 않을 경우 표시 장치(100)의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의 제1 회전관절부의 회전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의 제1 회전관절부의 구성 및 회전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회전관절부(123)는 제1 하우징(120)의 타단에 결합되되, 제1 하우징(120)에 고정되어 회전 가능한 구조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100)의 제1 회전관절부(123)는 제1 볼(123a), 제1 소켓(123b), 제1 힌지(123c) 및 제1 베어링(123d)을 포함하여, 서로 다른 2 이상의 복합적인 회전 동작이 가능하다.
제1 소켓(123b)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볼(123a)이 끼워질 수 있도록 제1 볼(123a)과 접촉하는 면에 끼움홈이 형성되되, 끼움홈이 형성된 면과 반대방향측 면은 제3 하우징(150)과 연결된다. 제1 소켓(123b)은 제1 볼(123a)이 끼움홈으로 원활하게 끼워지는 동시에, 끼워진 제1 볼(123a)이 제1 소켓(123b)을 이탈하지 않도록 끼움홈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볼(123a)과 제1 소켓(123b)을 결합시킴으로써, 제1 볼(123a)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제1 힌지(123c)는 제1 하우징(120)의 타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힌지(123c)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20)과 제1 힌지(123c)의 결합 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 한편, 제1 힌지(123c)는 제1 볼(123a)과 힌지 결합됨으로써, 제1 볼(123a)과 제1 소켓(123b)을 동시에 도 4의 점선 부분처럼 힌지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베어링(123d)은 제1 하우징(120)의 타단과 제1 힌지(123c)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 힌지(123c) 및 제1 하우징(120)의 하중을 지지하는 동시에 제1 힌지(123c)를 제1 하우징(120)과 제1 힌지(123c)의 결합 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100)의 제1 회전관절부(123)는 제1 볼(123a)과 제1 소켓(123b)의 결합에 의한 회전(제1 회전)과, 제1 힌지(123c)와 제1 볼(123a)의 힌지 결합에 의한 회전(제2 회전) 및 제1 베어링(123d)에 의한 제1 힌지(123c)의 회전(제3 회전)이 동시에 동작 가능하다. 이러한 제1 회전관절부(123)의 복합 회전 동작으로 인한 효과는 제3 하우징 및 제4 하우징의 구성과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도 3 및 전술한 제1 하우징(120)의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의 제2 하우징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하우징(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표시부(110)를 기준으로 제1 하우징(120)과 대향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30)은 제1 하우징(120)의 형상에 상응하는 L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착용자가 표시 장치(100)를 머리에 착용할 경우 관자놀이 상부와 접촉하는 안경의 다리(temple)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1을 기준으로 표시 장치(100)를 머리에 착용할 경우, 제1 하우징(120)은 우측 관자놀이 상부에, 제2 하우징(130)은 좌측 관자놀이 상부에 각각 접촉하게 된다. 제2 하우징(130)은 제1 하우징(120)처럼 중공이 형성되어 내부에 회로부(미도시) 및 제1 하우징(120)과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통신 모듈(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착용 부위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 모듈(100)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1 하우징(120) 및 제2 하우징(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로부(미도시)는 촬상 모듈(미도시)이나 심박 측정 모듈(미도시), 중력 센서(미도시), 위치 센서(미도시) 등과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하우징(130)은 수용홈(131) 및 제2 요홈부(132)를 포함한다.
수용홈(131)은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을 서로 연결하는 슬라이딩부(14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제2 하우징(130) 일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0)를 신체에 착용하지 않을 경우 제1 하우징(120) 및 제2 하우징(130)간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단말기(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요홈부(132)는 표시 장치(100)를 신체에 착용할 경우, 신체와 제2 하우징(130)이 직접 접촉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제2 요홈부(13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요홈부(122)와 대향되는 제2 하우징(130)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요홈부(132)는 제1 요홈부(122)와 유사하게 도 1의 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에 형성된 2 이상의 돌출부(11)와 각각 끼워져 단말기(10)와 표시 장치(100)를 상호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 장치(100)를 신체에 착용하지 않을 경우, 휴대용 단말기(10)의 양 측면을 균형있게 고정시킴으로써 표시 장치(100)를 착용하지 않을 경우 표시 장치(100)의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다.
이하에서는 도 4, 도 5 및 전술한 제1 회전관절부(123)의 구성을 참조하여 제2 회전관절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회전관절부(133)는 제2 하우징(130)의 타단에 결합되되, 제2 하우징(130)에 고정되어 회전 가능한 구조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100)의 제2 회전관절부(133)는 제2 볼(133a), 제2 소켓(133b), 제2 힌지(133c) 및 제2 베어링(133d)을 포함하며, 상세한 구성 및 회전 동작은 전술한 제1 회전관절부(123)의 구성 및 회전 동작과 동일하다.
즉, 제2 회전관절부(133)의 제2 소켓(133b)에는 제2 볼(133a)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되 끼움홈이 형성된 면과 반대방향측 면은 제4 하우징(160)과 연결되고, 제2 힌지(133c)는 제2 하우징(130)의 타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동시에 제2 볼(133a)과는 힌지 결합되며, 제2 베어링(133d)은 제2 하우징(130)의 타단과 제2 힌지(133c)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2 볼(133a)과 제2 소켓(133b)의 결합에 의한 회전(제1 회전)과, 제2 힌지(133c)와 제2 볼(133a)의 힌지 결합에 의한 회전(제2 회전) 및 제2 베어링(133d)에 의한 제2 힌지(133c)의 회전(제3 회전)이 동시에 동작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의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 구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의 슬라이딩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슬라이딩부(140)는 제1 하우징(120)의 일단과 제2 하우징(130)의 일단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부(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신체 사이즈에 따라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 간격을 유연하게 조절하되, 전술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 사이즈에 따라 착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단말기(10)에 고정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슬라이딩부(140)는 제1 프레임(141), 제2 프레임(142), 스토퍼 블록(143) 및 한 쌍의 와이어(144)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141)은 적어도 일부가 제1 하우징(120)의 일단을 향해 제1 하우징(120)으로 수용되되, 제2 하우징(13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4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20)으로부터 제2 하우징(130)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제2 프레임(142)는 적어도 일부가 제2 하우징(130)의 일단을 향해 제2 하우징(130)으로 수용되되, 제1 하우징(12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즉, 제2 프레임(142)은 제1 프레임(141)의 슬라이딩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2 하우징(130)으로부터 제1 하우징(120)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스토퍼 블록(143)은 제1 프레임(141) 및 제2 프레임(142)에 의해 각각 관통되되, 제1 프레임(141)과 제2 프레임(142)이 슬라이딩 궤도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제1 프레임(141) 및 제2 프레임(142)의 슬라이딩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프레임(141)의 양 끝단과 제2 프레임(142)의 양 끝단이 스토퍼 블록(143)의 관통홀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 프레임(141) 및 제2 프레임(142)이 스토퍼 블록(143)을 이탈하지 않고 도 6에 도시된 슬라이딩 궤도를 유지하며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프레임(141), 제2 프레임(142) 및 스토퍼 블록(143)은 표시 장치(100)를 머리에 착용할 경우,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을 서로 연결하는 안경의 브릿지(bridge)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와이어(144)는 스토퍼 블록(143)으로부터 제1 프레임(141)의 연장방향과 제2 프레임(142)의 연장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와이어(14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41)의 끝단 및 제2 프레임(142)의 끝단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41)측에 연결된 와이어는 제1 하우징(120)을 향해 연장되고, 제2 프레임(142)측에 연결된 와이어는 제2 하우징(130)을 향해 연장된다.
한 쌍의 와이어(144)는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간 간격이 넓어질 경우 도 6에 도시된 점선 부분과 같이 각각 제1 프레임(141) 및 제2 프레임(142)과 함께 펼쳐졌다가,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간 간격이 좁아질 경우 제1 프레임(141) 및 제2 프레임(142)과 함께 각각 제1 하우징(120) 및 제2 하우징(130)으로 수용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와이어(144)는 외력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점선 위치로부터 화살표 방향을 따라 유연하게 구부릴 수 있는 동시에, 변형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와이어(144)는 제1 프레임(141) 및 제2 프레임(142)과 함께 펼쳐지고, 유연하게 구부릴 수 있는 바, 표시 장치(100)를 머리에 착용할 경우, 안경의 코받침(nose pad)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의 제1 접촉단자의 회전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의 제1 접촉단자가 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하우징 및 제4 하우징에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 하우징(150)은 제1 소켓(123b)과, 제4 하우징(160)은 제2 소켓(133b)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3 하우징(150) 및 제4 하우징(160)은 각각 서로 상응하는 막대 형상의 구조체로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는 회로부(미도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팩(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제3 하우징(150)의 일면에는 제1 접촉 단자(151)가 수용되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하우징(150)으로부터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4 하우징(160)의 일면에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하우징(150)에 상응하는 제2 접촉 단자(161)가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 접촉 단자(151) 및 제2 접촉 단자(16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표시 장치(100)를 단말기(10)에 고정시킬 경우, 단말기(10) 하단에 위치한 충전단자에 삽입되어 단말기(10)와 표시 장치(1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촉 단자(151)가 단말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단말기(10)의 충전단자 위치, 표시 장치(100)의 배터리팩(미도시) 설치 위치 등에 따라 제1 접촉 단자(151) 및 제2 접촉 단자(161)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제2 접촉단자(151, 161)를 이용하여 표시 장치(100)를 단말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표시 장치(100) 또는 단말기(10) 중 어느 하나가 충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단말기(10)와 표시 장치(100)간 정보를 교환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100)는 제1, 제2 요홈부(122, 132)를 통해 단말기(10)의 양 측면과 단순 고정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제1, 제2 접촉단자(151, 161)를 통해 단말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신체에 착용되지 않을 경우 별도의 충전용 도크 또는 데이터 저장소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단말기(10)를 통한 표시 장치(100)의 충전 또는 단말기(10)와 표시 장치(100) 간 정보 교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를 머리에 착용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100)의 제3, 제4 하우징(150, 160)의 다양한 위치 변화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100)는 도 1에서와 같이 제3, 제4 하우징(150, 160)이 모두 y축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0)는 단말기(10)에 고정될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힌지(123c, 133c)에 의하여 제3, 제 4 하우징(150, 160)이 단말기(10) 하측을 감싸도록 힌지 회전될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100)는 도 9에서와 같이 머리에 착용될 경우, 표시부(110)가 우측 안구의 전면(front side)에 이격 배치되고, 제1 하우징(120)이 우측 관자놀이와 접촉하여 우측 귀 상부까지, 제2 하우징(130)이 좌측 관자놀이와 각각 접촉하여 좌측 귀 상부까지 연장되며, 한 쌍의 와이어(144)가 코를 받치도록 위치된다. 이때, 제3, 제4 하우징(150, 160)은 각각 제1, 제2 회전관절부(123, 133)에 의하여 회전함으로써, 좌, 우측 귀 뒷부분을 각각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 제4 하우징(150, 160)은 안경의 팁(tip)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100)를 손목에 착용할 경우, 표시부(110)가 손등에 배치되고, 제1, 제2 하우징(120, 130)이 손목 양 측면과 접촉되며, 제3, 제 4 하우징(150, 160)이 손목 하측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 4 하우징은 표시 장치(100)가 손목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손목 외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손목 시계의 밴드(band)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100)는 제1, 제2 회전관절부(123, 133)의 복합 회전 동작을 통하여 제3, 제4 하우징(150, 160)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바, 머리, 팔, 다리 등의 신체에 다양하게 착용 가능하며, 신체에 착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단말기(10)의 충전단자에 제1, 제2 접촉 단자(151, 161)를 삽입하여 충전 또는 정보 교환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100)는 머리, 팔, 다리와 같은 신체에 착용 가능하며, 신체에 착용하지 않을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고정시켜 휴대 및 보관 가능한 동시에 단말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별도의 충전용 도크 또는 데이터 저장소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단말기를 통한 표시 장치의 충전 또는 단말기와 표시 장치 간 정보 교환이 가능하여, 휴대성 및 호환성이 모두 우수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단말기 11: 돌출부
100: 표시 장치
110: 표시부 120: 제1 하우징
121: 커버 122: 제1 요홈부
123: 제1 회전관절부
123a: 제1 볼 123b: 제1 소켓
123c: 제1 힌지 123d: 제1 베어링
130: 제2 하우징
131: 수용홈 132: 제2 요홈부
133: 제2 회전관절부
133a: 제2 볼 133b: 제2 소켓
133c: 제2 힌지 133d: 제2 베어링
140: 슬라이딩부
141: 제1 프레임 142: 제2 프레임
143: 스토퍼 블록 144: 한 쌍의 와이어
150: 제3 하우징 151: 제1 접촉 단자
160: 제4 하우징 161: 제2 접촉 단자

Claims (16)

  1. 신체에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송출하는 표시부;
    일단이 상기 표시부와 연결되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제1 하우징;
    일단이 상기 표시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하우징과 대향되도록 위치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단에 수용되되, 상기 제2 하우징을 향해 연장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단에 수용되되, 상기 제1 하우징을 향해 연장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 의해 각각 관통되는 스토퍼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단에는 상기 스토퍼 블록이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되는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은 각각 L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는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측에 결합되되, 적어도 상기 표시부의 외측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슬라이딩 가능한 커버를 더 포함하는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에는 2 이상의 제1 요홈부가 형성되는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제1 하우징의 타단에는 제1 회전관절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제1 회전관절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타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힌지;
    상기 제1 힌지와 힌지 결합되는 제1 볼 및
    상기 제1 볼이 끼워지도록 U자 형상의 끼움홈이 형성된 제1 소켓을 포함하는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제1 회전관절부와 연결되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제3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제3 하우징은 일면에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접촉 단자를 포함하는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면에는 2 이상의 제2 요홈부가 형성되는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제2 하우징의 타단에는 제2 회전관절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제2 회전관절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의 타단과 결합되되, 상기 제2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회전가능한 제2 힌지;
    제2 힌지와 힌지 결합되는 제2 볼 및
    상기 제2 볼이 끼워지도록 U자 형상의 끼움홈이 형성된 제2 소켓을 포함하는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
  12. 제10항에서,
    상기 제2 회전관절부와 연결되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제4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제4 하우징은 일면에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접촉 단자를 포함하는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
  14. 삭제
  15. 제1항에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스토퍼 블록으로부터 각각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와이어 부재를 더 포함하는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
  16. 삭제
KR1020150016352A 2015-02-02 2015-02-02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 KR102312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352A KR102312259B1 (ko) 2015-02-02 2015-02-02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
TW104138474A TWI695294B (zh) 2015-02-02 2015-11-20 穿戴式顯示裝置
EP15195824.6A EP3051328A3 (en) 2015-02-02 2015-11-23 Wearable display device
US14/975,087 US9690326B2 (en) 2015-02-02 2015-12-18 Wearable display device
CN201610008625.1A CN105842849B (zh) 2015-02-02 2016-01-07 可佩带式显示设备
JP2016014750A JP2016145979A (ja) 2015-02-02 2016-01-28 着用可能な表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352A KR102312259B1 (ko) 2015-02-02 2015-02-02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309A KR20160095309A (ko) 2016-08-11
KR102312259B1 true KR102312259B1 (ko) 2021-10-13

Family

ID=54782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352A KR102312259B1 (ko) 2015-02-02 2015-02-02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90326B2 (ko)
EP (1) EP3051328A3 (ko)
JP (1) JP2016145979A (ko)
KR (1) KR102312259B1 (ko)
CN (1) CN105842849B (ko)
TW (1) TWI6952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95865S1 (en) * 2016-01-06 2017-08-29 Vuzix Corporation Monocular smart glasses
US10228727B1 (en) * 2017-08-22 2019-03-12 Facebook Technologies, Llc Adjustable front assembly in head-mounted display
JP2020071299A (ja) * 2018-10-30 2020-05-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頭部装着型表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58270A1 (en) * 2012-03-30 2013-10-03 Google Inc. Wearable device with input and output structures
WO2014093284A1 (en) 2012-12-13 2014-06-19 Kopin Corporation Spectacle with invisible optics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23641A (en) * 1933-04-05 1935-02-05 Paul Hempel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pectacle frames
US6424321B1 (en) * 1993-10-22 2002-07-23 Kopin Corporation Head-mounted matrix display
US6193368B1 (en) * 1999-09-24 2001-02-27 Byron George Manually adjustable spectacle temple
US20120105740A1 (en) * 2000-06-02 2012-05-03 Oakley, Inc. Eyewear with detachable adjustable electronics module
US6817710B2 (en) * 2001-08-31 2004-11-16 180S, Inc. Eyeglasses frame with rotatable temples
US6879443B2 (en) * 2003-04-25 2005-04-12 The Microoptical Corporation Binocular viewing system
JP2006253902A (ja) * 2005-03-09 2006-09-21 Arisawa Mfg Co Ltd 取り付け具及び画像形成装置
CN2802541Y (zh) * 2005-06-27 2006-08-02 雅视光学有限公司 眼镜铰链
US20080144264A1 (en) * 2006-12-14 2008-06-19 Motorola, Inc. Three part ho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O2008076774A2 (en) * 2006-12-14 2008-06-26 Oakley, Inc. Wearable high resolution audio visual interface
US7484847B2 (en) * 2007-01-02 2009-02-03 Hind-Sight Industries, Inc. Eyeglasses having integrated telescoping video camera and video display
KR20080113815A (ko) 2007-06-26 2008-12-31 손진영 다기능 안경
KR101692433B1 (ko) 2010-01-07 201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영상 시스템 및 이동 단말기
US20120194418A1 (en) * 2010-02-28 2012-08-02 Osterhout Group, Inc. Ar glasses with user action control and event input based control of eyepiece application
JP5678460B2 (ja) * 2010-04-06 2015-03-04 ソニー株式会社 頭部装着型ディスプレイ
JP5485093B2 (ja) * 2010-09-16 2014-05-0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頭部装着型画像表示装置
WO2012069980A2 (en) 2010-11-22 2012-05-31 Svip 9 Llc Eyewear device and system
US8645604B2 (en) 2011-03-25 2014-02-04 Apple Inc. Device orientation based docking functions
US20130022220A1 (en) 2011-07-20 2013-01-24 Google Inc. Wearable Computing Device with Indirect Bone-Conduction Speaker
JP5767082B2 (ja) * 2011-11-04 2015-08-19 シャープ株式会社 眼鏡型無線通信機
US8947322B1 (en) * 2012-03-19 2015-02-03 Google Inc. Context detection and context-based user-interface population
KR101321157B1 (ko) * 2012-08-07 2013-10-2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슬라이딩 구조를 가지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CN203012257U (zh) * 2012-11-22 2013-06-19 吕晓建 可调式眼镜框架
US9696566B2 (en) * 2012-12-13 2017-07-04 Kopin Corporation Spectacle with invisible optics
US9285830B2 (en) * 2013-02-05 2016-03-15 Ross Dominique Diaz Alcazar Interchangeable battery wearable device
TWM474154U (zh) * 2013-09-03 2014-03-11 Emerging Display Tech Corp 頭戴式3d立體成像顯示裝置
CN203535311U (zh) * 2013-11-05 2014-04-09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透射式立体显示眼镜装置
EP3007029B1 (en) * 2014-10-07 2017-12-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wearable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58270A1 (en) * 2012-03-30 2013-10-03 Google Inc. Wearable device with input and output structures
WO2014093284A1 (en) 2012-12-13 2014-06-19 Kopin Corporation Spectacle with invisible op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24070A1 (en) 2016-08-04
CN105842849A (zh) 2016-08-10
CN105842849B (zh) 2020-05-29
US9690326B2 (en) 2017-06-27
TWI695294B (zh) 2020-06-01
JP2016145979A (ja) 2016-08-12
KR20160095309A (ko) 2016-08-11
EP3051328A2 (en) 2016-08-03
EP3051328A3 (en) 2016-10-19
TW201629700A (zh) 2016-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71116A1 (en) Electronic eyewear and display
US10591745B1 (en) Eyewear with conductive temple joint
US11762224B2 (en) Eyewear having extended endpieces to support electrical components
US11600945B2 (en) Eyewear having selectively exposable feature
US11300814B1 (en) Eyewear having linkage assembly between a temple and a frame
US11243416B2 (en) Eyewear supporting embedded electronic components
US10324295B2 (en) Eyeglass-type display apparatus
KR101977433B1 (ko) 입력 및 출력 구조들을 구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CN109407757B (zh) 显示系统
CN104160320A (zh) 具有输入和输出结构的可佩戴设备组合件
JP7015378B2 (ja) アイウェア
CN108646409A (zh) 带有输入和输出结构的可佩戴装置
KR102312259B1 (ko) 착용 가능한 표시 장치
US20220260859A1 (en) Eyewear having removable temples that support electrical components
KR102492607B1 (ko) 스포츠 고글
US11022807B2 (en) Electronic eye wear viewing device
KR200389180Y1 (ko) 소형 카메라가 장착된 안경
CN114296259B (zh) 眼镜
US9606358B1 (en) Wearable device with input and output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