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340B1 - 자동변속기용 스냅링 이탈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용 스냅링 이탈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340B1
KR100836340B1 KR1020060019975A KR20060019975A KR100836340B1 KR 100836340 B1 KR100836340 B1 KR 100836340B1 KR 1020060019975 A KR1020060019975 A KR 1020060019975A KR 20060019975 A KR20060019975 A KR 20060019975A KR 100836340 B1 KR100836340 B1 KR 100836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snap ring
clutch retainer
clutch
vertic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9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0354A (ko
Inventor
김종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9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340B1/ko
Publication of KR20070090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3/00Coiling wire into particular forms
    • B21F3/02Coiling wire into particular forms hel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냅링 이탈방지 장치는 스냅링(4)의 개구부(4a)를 이어주는 폐쇄부(32)와, 폐쇄부(32)의 중앙내측에서 수직으로 부착된 내면 수직부(34)와, 내면 수직부(34)의 선단에서 수평하는 수평부(36)와, 수평부(36)의 선단에서 수직으로 부착된 외면 수직부(38)와, 외면 수직부(38)의 선단에서 좌우로 형성되는 좌우결합부(39)로 구성되는 스프링 강의 제 1 클립(30)이 스냅링(4) 개구부(4a)의 중앙에 위치된 클러치 리테이너(50)의 돌출부(52)에 삽입 결합된다. 이 제 1 클립(30)에 180도 대향하는 위치의 클러치 리테이너(50)의 돌출부(52)에는 제 2 클립(40)이 더 삽입 결합된다.
클러치 리테이너(50)의 돌출부(52) 상면과 전면에는 제 1 및 제 2 클립(30,40)의 수평부(36,46)가 삽입되는 삽입홈(56)과, 외면 수직부(38, 48)와 좌우결합부(39,49)가 삽입되는 삽입홈(58,59)이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냅링의 장착상태에서 스냅링의 개구부를 패쇄부로서 연결하여 스냅링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클립의 전장만큼 클러치팩의 전장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돌출부에 클립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가공함으로서 전체적인 전장을 동일하게 유지하며, 클립을 스프링강으로 제작함으로서 조립성이 확보되고, 제 1 클립에 대향하는 곳에 제 2 클립을 장착함으로서 회전체인 클러치팩의 언밸런스 문제를 해결하여 양산 적용성을 확보한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용 스냅링 이탈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A SEPARATION OF A SNAP RING OF AN AUTO TRANSMISSION}
도 1은 일반적인 자동변속기의 클러치 장치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클러치 장치에서 리테이너에 체결되는 스냅링의 장착 상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에 삽입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냅링 이탈방지 장치에 사용된 제 1 클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 1 클립을 도 2의 A"부분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장착상태도이고,
도 5는 도 2의 B"부분에 삽입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냅링 이탈방지 장치에 사용된 제 2 클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제 2 클립을 도 2의 B"부분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장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제 1 클립 32 : 폐쇄부
34, 44 : 내면 수직부 36, 46 : 수평부
38, 48 : 외면 수직부 40 : 제 2 클립
50 : 클러치 리테이너 52 : 돌출부
54 : 오목부 56, 58,59 : 삽입홈
60 : 장착홈
본 발명은 자동차의 자동변속기에 사용되는 스냅링 이탈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냅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클립을 제공하고, 이러한 클립으로 인한 언밸런스를 보정할 수 있는 스냅링 이탈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자동차의 자동변속기는 주행중, 스로틀의 개도와 차속이 변화되는 상태에 따라 변속비를 기설정된 변속패턴에 따라 추종할 수 있도록 변환시켜 주는 것으로, 주행중 변속에 대한 부담감을 줄여 운전의 편의성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발진과 가속 및 감속을 원활하게 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자, 엔진의 크랭크축과 변속기 사이에 위치하여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토오크를 증배시켜 변속기의 입력축으로 전달하는 토오크 컨버터와, 다수의 기어류에 의해 소정의 기어열을 이룸과 더불어, 변속시 해당 기어열과 변속기의 입력축 내지 변속기의 케이스 사이를 연결하여 동력의 전달 및 작동의 제한을 선택적으로 실시하는 다수의 마찰요소를 포함하여 다단의 변속단을 형성하는 유성기어장치와, 수동변속시 선택된 변속모드내지 자동변속시 기설정된 변속패턴으로의 동작을 위해 유성기어장치의 해당 마찰요소에 대한 유압의 공급 및 해제를 절환시키는 소정의 방향절환 및 압력제어 용 밸브류와, 이 밸브률를 설치함과 더불어 해당 마찰요소로의 유로를 형성하는 밸브바디를 포함하는 유압제어장치 및, 변속시 선택된 변속모드내지 기설정된 변속패턴으로의 동작을 위해 유압제어장치의 특정 밸브류들을 각각 온/오프 제어내지 듀티제어하기 위해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변속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주행중 트로틀의 개도와 차속이 변화하게 되면, 변속제어장치는 유압제어장치를 매개로 유성기어장치에서 출력되는 변속비가 기 설정된 변속패턴을 추종할 수 있도록 이를 제어하게 된다.
즉 유성기어장치의 기어열을 형성하는 각 기어부재와 연결된 클러치 내지 브레이크류의 마찰요소에는 유압제어장치로부터 가해지는 유압에 의한 작동력이 전달되어 기어열로부터 가변적인 변속비를 가지는 출력이 생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장치에서 클러치와 브레이크류의 마찰요소는 변속시 해당 기어열을 변속기의 입력축내지 변속기의 케이스와 연결하여 동력의 전달 및 작동을 제한하기 위해 한정된 공간을 가지는 변속기의 케이스내에서 유성기어장치와 함께 배설되어야 한다.
즉, 종래의 클러치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변속기의 케이스(도시하지 않음)내에 중앙부위로 배치되는 입력축(10)상에 슬립이음장식으로 결합되어 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리테이너(12)와, 이 리테이어(12)의 내주면에 외주면이 각각 슬립이동방식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디스크(14)와 이 디스크(14)들 사이에 개재됨과 더불어 유성기어장치의 해당요소와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허브(18)의 외주면상에 내부면이 슬립이음방식으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플레이트(1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리테이너(12)에는 유압제어장치의 작동에 따라 공급되는 작동유로부터 압력을 받아 이동하여 디스크(14)를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피스톤(20)이 설치되고, 이 피스톤(20)의 배면에는 작동유의 유입 및 유출을 허용하는 압력실(20a)이 형성되며, 허브(18)와 피스톤(20)사이의 공간에는 피스톤(20)을 탄발지지하는 리턴스프링(24)을 지지하는 스프링 리테이너(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리테이너(12)에는 다수개의 디스크(14)를 슬립이음방식으로 장착시킴에 있어, 리테이너(12)로부터 디스크(1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리테이너(12)의 선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체결홈(도시하지 않음)내에 스냅링(4)이 안착되고, 이 체결홈내에 안착된 스냅링(4)은 리테이너(12)에 슬립이음방식으로 결합된 디스크(14)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하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리테이너(12)를 채용하고 있는 클러치팩의 경우에 있어서, 스냅링(4)은 양측 선단으로 개구부(4a)가 형성된 통상 동심형 스냅링을 사용하는 바, 자동차의 주행중에, 스냅링이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스냅링(4)은 피스톤(20)에 의한 힘과 고속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복합적인 힘을 받는 경우 주행중에 스냅링(4)의 이탈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클러치팩은 스냅링 개구부의 위치와 내부의 클러치 디스크세트에 의하여 회전시의 언밸런스가 발생하며, 이는 아이들링시 차량의 진동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스냅링 개구부를 이어주고 클러치 리테이너의 돌출부에 삽입되어 스냅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 이탈방지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냅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클립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언밸런스를 보정할 수 있는 스냅링 이탈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스냅링 이탈방지 장치는 상기 스냅링의 개구부를 이어주는 폐쇄부와, 상기 폐쇄부의 중앙내측에서 수직으로 부착된 내면 수직부와, 상기 내면 수직부의 선단에서 수평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선단에서 수직으로 부착된 외면 수직부와, 상기 외면 수직부의 선단에서 좌우로 형성되는 좌우결합부로 구성되는 제 1 클립이 상기 스냅링 개구부의 중앙에 위치된 클러치 리테이너의 돌출부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 클립에 180도 대향하는 위치의 클러치 리테이너의 돌출부에는 제 2 클립이 더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냅링의 장착상태에서 스냅링의 끝단을 구속하여 즉, 스냅링의 개구부를 패쇄부로서 연결하여 스냅링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클립의 전장만큼 클러치팩의 전장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돌출부에 클립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가공함으로서 전체적인 전장을 동일하게 유지하며, 클립을 스프링강으로 제작함으로서 조립성이 확보되고, 제 1클립에 대향하는 곳에 제 2 클립을 장착함으로서 회전체인 클러치팩의 언밸런스 문제를 해결하여 양산 적용성을 확보한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5는 도 2의 "A" 부분과 B" 부분에 각각 삽입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냅링 이탈방지 장치에 사용된 제 1 클립과 제 2 클립을 나타내고, 도 4는 도 3의 제 1 클립을 도 2의 A"부분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 6은 도 5의 제 2 클립을 도 2의 B"부분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냅링 이탈방지 장치에 사용되는 제 1 클립(30)은 스냅링(4)의 개구부(4a)를 이어주는 폐쇄부(32)와, 폐쇄부(32)의 중앙내측에서 수직으로 부착된 내면 수직부(34)와, 내면 수직부(34)의 선단에서 수평하는 수평부(36)와, 수평부(36)의 선단에서 수직으로 부착된 외면 수직부(38)와, 외면 수직부(38)의 선단에서 좌우로 형성되는 좌우결합부(39)로 구성되며, 조립성을 확보하고자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강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냅링 이탈방지 장치에 사용되는 제 2 클립(40)은 제 1 클립(30)의 폐쇄부(32)이외에는 제 1 클립(30)과 마찬가지로, 내면 수직부(44)와, 수평부(46)와, 외면 수직부(48)와, 좌우결합부(49)로 구성되어, 제 1 클립(30)으로 인한 언밸런스를 보정하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클립(30)에 180도 대향하여 장착된다.
한편, 클러치 리테이너(5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 돌출부(52)와 오목부(54)가 연속해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52)의 내면에 형성되는 장착홈(60)에는 스냅링(4)의 돌기(4b)가 삽입되고, 이 스냅링(4)의 개구부(4a)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클러치 리테이너(50)의 돌출부(52)의 상면에는 제 1 및 제 2 클립(30,40)의 수평부(36,46)가 삽입되는 삽입홈(56)과, 외면 수직부(38, 48)와 좌우결합부(39,49)가 삽입되는 삽입홈(58,59)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냅링 이탈방지 장치에 사용되는 제 1 클립(30)은 스냅링(4)의 개구부(4a)를 폐쇄부(32)로 이어주면서, 내면 수직부(34)가 장착홈(60)에 삽입되고, 수평부(36)가 리테이터 돌출부(52) 상면의 삽입홈(56)에 삽입되고, 외면 수직부(58)와 좌우결합부(39)가 전면의 삽입홈(58,59)에 삽입됨으로서 클러치 팩이 회전하더라도 스냅링(4)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러한 제 1 클립(30)에 180도 대향하는 위치에 제 2 클립(40)을 장착함으로서 제 1 클립(30)으로 인한 중량의 편차를 상쇄시켜줌으로써 제 1 클립(30)으로 인한 언밸런스를 보정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냅링 이탈방지 장치에 사용되는 클립은 스냅링의 장착상태에서 스냅링의 끝단을 구속하여 즉, 스냅링의 개구부를 패쇄부로서 연결하여 스냅링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클립의 전장만큼 클러치팩의 전장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돌출부에 클립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가공함으로서 전체적인 전장을 동일하게 유지하며, 클립을 스프링강으로 제작함으로서 조립성이 확보되고, 제 1클립에 대향하는 곳에 제 2 클립을 장착함으로서 회전체인 클러치팩의 언밸런스 문제를 해결하여 양산적용성을 확보한 효과를 가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냅링 이탈방지 장치에 사용되는 클립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클러치 리테이너의 선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체결홈 내에 안착되는 스냅링에 있어서,
    상기 스냅링(4)의 개구부(4a)를 이어주는 폐쇄부(32)와,
    상기 폐쇄부(32)의 중앙내측에서 수직으로 부착 돌설된 내면 수직부(34)와,
    상기 내면 수직부(34)의 선단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클러치 리테이너(50)의 상단면에 위치하는 수평부(36)와,
    상기 수평부(36)의 선단에서 수직으로 부착된 외면 수직부(38)와,
    상기 외면 수직부(38)의 하단에서 좌우로 상기 클러치 리테이너(50)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좌우결합부(39)로 구성되는 제 1 클립(30)이, 상기 스냅링(4) 개구부(4a)의 중앙에 위치된 클러치 리테이너(50)의 돌출부(52)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링 이탈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립(30)에 180도 대향하는 위치의 상기 클러치 리테이너(50)의 돌출부(52)에 제 2 클립(40)이 더 삽입 결합되며,
    상기 제 2 클립(40)은
    상기 클러치 리테이너(50)의 돌출부(52) 내주면에 위치하여 상기 스냅링(4)을 결속하도록 수직으로 부착된 내면 수직부(44)와,
    상기 내면 수직부(44)의 선단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클러치 리테이너(50)의 상단면에 위치하는 수평부(46)와,
    상기 수평부(46)의 선단에서 수직으로 부착된 외면 수직부(48)와,
    상기 외면 수직부(48)의 하단에서 좌우로 상기 클러치 리테이너(50)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좌우결합부(4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링 이탈방지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리테이너(50)의 돌출부(52) 상면과 전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클립(30, 40)의 수평부(36, 46)가 각각 삽입되는 삽입홈(56)과, 외면 수직부(38, 48)와 좌우결합부(39, 49)가 삽입되는 삽입홈(58, 59)이 각각 형성되는 스냅링 이탈방지 장치.
KR1020060019975A 2006-03-02 2006-03-02 자동변속기용 스냅링 이탈방지 장치 KR100836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975A KR100836340B1 (ko) 2006-03-02 2006-03-02 자동변속기용 스냅링 이탈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975A KR100836340B1 (ko) 2006-03-02 2006-03-02 자동변속기용 스냅링 이탈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354A KR20070090354A (ko) 2007-09-06
KR100836340B1 true KR100836340B1 (ko) 2008-06-09

Family

ID=38688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9975A KR100836340B1 (ko) 2006-03-02 2006-03-02 자동변속기용 스냅링 이탈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3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021B1 (ko) * 2014-10-31 2016-07-12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변속기의 클러치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5432A (ja) 1987-02-06 1988-08-12 N S K Warner Kk 一方向クラツチドラグクリツプ
JPH02158401A (ja) * 1988-10-24 1990-06-18 Rapid Sa ホィールハブキャップ
KR970020395U (ko) * 1995-11-28 1997-06-18 한충양 비닐하우스용 환기구의 환기안내구조
KR20010042627A (ko) * 1999-02-11 2001-05-25 제이 엘. 차스킨, 버나드 스나이더, 아더엠. 킹 원주 방향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한 클립을 구비하는 가변간극의 패킹 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5432A (ja) 1987-02-06 1988-08-12 N S K Warner Kk 一方向クラツチドラグクリツプ
JPH02158401A (ja) * 1988-10-24 1990-06-18 Rapid Sa ホィールハブキャップ
KR970020395U (ko) * 1995-11-28 1997-06-18 한충양 비닐하우스용 환기구의 환기안내구조
KR20010042627A (ko) * 1999-02-11 2001-05-25 제이 엘. 차스킨, 버나드 스나이더, 아더엠. 킹 원주 방향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한 클립을 구비하는 가변간극의 패킹 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354A (ko) 200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5099B2 (en) Torque transmission device
US9194441B2 (en) Clutch device
JP6976940B2 (ja) 直列接続した内側及び外側弾性減衰部材を有する流体動力学的トルク結合装置用ねじり振動ダンパー
US6419068B1 (en) Park gear damper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for an automotive vehicle
US4360090A (en) Torque reversal control valve for a torque converter clutch
KR20210149692A (ko) 하이브리드 구동 트레인용 다중 디스크 클러치
CN102312951B (zh) 引擎侧盖板直连引擎曲轴的阻尼器组件及具有其的动力系
US20080257674A1 (en) Hydrodynamic clutch arrangement
US20150292593A1 (en) Vehicle flexible driving plate having torsional damper
JPH1151076A (ja) 連結機構
KR100836340B1 (ko) 자동변속기용 스냅링 이탈방지 장치
JP2003504575A (ja) 自動変速機
US8597130B2 (en) Force transmission flange for a torque transmission device or a damper device, and torque transmission device or damper device
US20100044176A1 (en) Force transmission device
JP2002147566A (ja) トルクコンバータ付き動力伝達装置
KR100890107B1 (ko) 클러치 디스크 댐퍼의 구조
KR100391623B1 (ko) 자동변속기의 클러치장치
US6186300B1 (en) Clutch assembly
KR100793710B1 (ko) 자동변속기 클러치 팩의 리테이너 드럼과 디스크 플레이트간의 오조립 방지 구조
JP3658793B2 (ja) 自動変速機の過熱対策装置
KR102117884B1 (ko) 베어링과 유성 기어 세트의 고정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변속기
KR102095712B1 (ko) 자동차용 드라이브 플레이트와 토크 컨버터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장치
KR100569405B1 (ko) 토크 컨버터 커버에 플렉시블 플레이트를 조립하는 방법
KR20020090499A (ko) 자동변속기의 스냅링 구조
CN108533625A (zh) 具有在弹簧板上的径向向外指向的固定钩的轴毂连接装置和驱动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