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4006B1 - 원단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원단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4006B1
KR100834006B1 KR1020070063307A KR20070063307A KR100834006B1 KR 100834006 B1 KR100834006 B1 KR 100834006B1 KR 1020070063307 A KR1020070063307 A KR 1020070063307A KR 20070063307 A KR20070063307 A KR 20070063307A KR 100834006 B1 KR100834006 B1 KR 100834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creen roller
moisture
suction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3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준
Original Assignee
이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준 filed Critical 이창준
Priority to KR1020070063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40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4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by suction
    • D06B15/043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by suction by means of a perforated dr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24Arrangements of devices using drying processes not involving heating
    • F26B13/30Arrangements of devices using drying processes not involving heating for applying s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 특히 직물원단의 표면에 도포되는 각종 염료 및 원단의 표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의 제거 및 원단을 탈수하는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염색, 정련, 표백 등과 같은 가공처리된 원단에 함유된 수분 및 표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원단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구동부, 원단을 이송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원단의 일면에 접촉하고 상기 원단의 이송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며 미세 격자망(網)으로 이루어진 중공 원통형의 스크린롤러(Rotary Nickel Screen)와, 상기 스크린롤러의 내부에서 상기 원단과 접촉하는 쪽으로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와 연결된 흡입통로로 이루어진 흡입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원단, 탈수, 염료, 텐터,

Description

원단 탈수장치{Device for dehydrating fabric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탈수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사시도
도 3은 동작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C : 원단 M : 구동부
W : 유연재 10 : 가이드롤러
20 : 스크린롤러 21 : 중공부
22 : 격자망 30 : 흡입수단
31 : 흡입구 32 : 흡입통로
33 : 저항부재 40 : 분사노즐
41 : 분사공 50 : 수용부
51 : 걸림망 52 : 공급부
본 발명은 원단 특히 직물원단의 표면에 도포되는 각종 염료 및 원단의 표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 하는 원단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염색, 정련, 표백 등과 같은 가공처리된 원단에 함유된 수분 및 표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원단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 원단의 염색가공 및 유연제 도포공정 등을 거친 원단에서 수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약품을 원단에 고착시키기 위한 전,후가공장치로 사용되는 후가공 텐터(TENTER)기는 일명 폭출기라고도 하는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텐터기는 원단을 구성하는 섬유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원단에 포함된 수분을 대략 8%(면을 기준으로) 내외가 되도록 건조함과 동시에 원단의 표면에 도포된 약품을 고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텐터기는 원단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많은 에너지와 과다한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가동 중에 발생하는 많은 수증기와 함께 고온의 가스로 인한 공해물질이 발생하여 에너지 손실 및 대기오염을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원단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안된 원단 탈수장치로는 먼저 등록실용신안 제20-349808호(공고일자 2004년05월08일) ' 원단 탈수장치 '(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가 제안되었는데,
상기 종래기술1은 ' 상부면에 다수의 흡착공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다수의 흡착공과 연통된 탈수관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탈수관에 진공흡입펌프가 연결된 진공흡착제와; 일측에 공기공급원이 연결되고, 하부면에 상기 진공흡착제의 흡착공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된 노즐부를 구비한 공기분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탈수장치' 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1은 공기분사체에서 분사된 공기가 원단을 통과하면서 원단에 포함된 수분을 탈수관체로 배출되는데 상기 공기분사체에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게 될 때 원단이 맞닿는 흡착공의 공간에 밀려 들어가게 되고 이때 상기 흡착공의 모서리에 의하여 원단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413427호(공고일자 2006년04월07일) ' 초음파를 이용한 직물원단 연속탈수장치'에서는 직물원단에 초음파진동이 이루어지는 초음파진공진관을 접촉상태로 통과하면서 동시에 송풍에 의해 물분자를 날려보내 탈수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제안하고 있는데,
초음파를 이용하기 위한 제조부품이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높아지게 되며, 상부에 형성된 공기배출구에 의해 가압되는 원단이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위치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상기와 같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방식과는 다르게 한쌍의 가압롤러 사이에 원단을 삽입하여 가압롤러의 가압 및 마찰에 의하여 원단내의 수분을 제 거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러한 종래 방식은 원단이 쉽게 손상되며 수분의 제거가 일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원심력을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일정길이의 원단을 원통형의 탈수통에 넣은 후 고속으로 회전시켜 원단 내부의 수분을 탈수하는 방식은 연속되는 원단을 처리하지 못하고 일정한 길이로 원단을 절단해서 탈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수분의 제거가 완벽하게 이루어지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되는 것으로, 원단에 포함된 수분을 일정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원단을 손상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연속되게 수분을 제거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원단 탈수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로 제품의 마모가 진행되지 않도록 저항부재가 구비되어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가 간단하여 고장의 염려가 적은 원단 탈수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부, 원단을 이송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원단의 일면에 접촉하고 상기 원단의 이송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회 전하며 미세 격자망(網)으로 이루어진 중공 원통형의 스크린롤러와, 상기 스크린롤러의 내부에서 상기 원단과 접촉하는 쪽으로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와 연결된 흡입통로로 이루어진 흡입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탈수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동작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먼저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염료가 도포된 원단(C)을 이송하는 가이드롤러(10)가 복수개 구비되어 원단(C)을 이송하고, 상기 원단(C)의 일면에 접촉하는 스크린롤러(20)는 미세한 격자 망(網)(22)으로 형성되고 원통형으로 구성하여 내부에 중공부(21)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스크린롤러(20)는 상기 원단(C)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구동되는 구동부(M)와 결합하여 상기 원단(C)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여 원단(C)과 스크린롤러(20)의 마찰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스크린롤러(20)의 회전속도는 상기 원단(C)의 이송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회동하는데 상기 스크린롤러(20)의 외경이 크고 원단(C)의 속도가 느릴수록 스크린롤러(20)의 회전속도는 느려지고, 반대로 스크린롤러(20)의 외경이 작고 원단(C)의 속도가 빨라질수록 스크린롤러(20)의 회전속도는 빠르게 회동한다.
나아가 상기 스크린롤러(20)의 중공부(21)에는 상기 원단(C)과 접촉하는 쪽으로 흡입구(31)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31)와 연결된 흡입통로(32)로 이루어진 흡입수단(30)이 구비되는데,
상기 흡입수단(30)은 상기 스크린롤러(20)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31)가 상기 스크린롤러(20)가 상기 원단(C)과 맞닿는 쪽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흡입수단(30)은 상기 스크린롤러(20)의 중공부(21)에서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고 항상 동일한 위치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흡입구(31)를 지나치는 원단(C)을 진공압으로 빨아들여 원단(C)에 포함된 수분 및 이물질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크린롤러(20)의 중공부(21)에는 상기 흡입수단(30)에 의하여 흡수되는 수분 및 이물질에 의하여 상기 스크린롤러(20)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사노즐(4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분사노즐(40)은 복수개의 분사공(41)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21)에 구비되며 미리 설정된 각도 및 분사 시간에 맞추어 유연재(W)를 스크린롤러(20)의 중 공부(21)에서 외부 방향으로 분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40)에 의하여 분사된 유연재(W)를 수용하는 수용부(50)가 상기 스크린롤러(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연재(W)를 수용하게 되고 수용된 유연재(W)를 다시 상기 분사노즐(40)에 재공급하는 공급부(52)가 더 포함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수용부(50)에서 공급부(52)를 거쳐 상기 분사노즐(40)로 유연재(W)를 공급할 때 상기 원단(C)에서 흡입된 이물질이 섞여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공급부(52)에 걸림망(5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흡입수단(30)의 흡입구(31)에는 저항부재(33)가 구비되는데, 상기 저항부재(33)는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흡입구(31)와 상기 스크린롤러(20)사이에 위치하여 회전하는 스크린롤러(20)와 고정된 흡입수단(30)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하여 제품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저항부재(33)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며 수분을 흡수하지 않고 가격이 비싸지 않아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테프론(Teflon) 재질로 구성하여 마찰에 의한 마모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염색, 정련 및 표백 등과 같이 각종 염료가 도포되고 수분을 포함한 원단(C)은 복수개의 가이드롤러(10)와 맞물리면서 일정한 장력상태를 유지하여 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한 속도로 이송된다.
상기 원단(C)의 이송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스크린롤러(20)는 상기 원단(C)의 일면에 접촉하고 미세 격자망으로 형성되고 원통형으로 구성하여 형성된 중공부(21)에 흡입수단(30)이 구비되고, 상기 흡입수단(30)이 상기 스크린롤러(20)가 접촉하는 상기 원단(C)의 접촉면을 흡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흡입수단(30)은 상기 원단(C)의 일면과 맞닿는 스크린롤러(20)쪽에 흡입구(31)가 구비되고 상기 흡입구(31)를 통해 흡입된 수분과 이물질이 이송되는 흡입통로(32)가 구비되어 흡입된 수분 및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흡입수단(30)에 의하여 원단(C)의 표면에 흡입될 때 수분 및 이물질에 의하여 상기 스크린롤러(20)의 격자망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린롤러(20)의 중공부(21)에 분사노즐(40)을 구비하여 상기 분사노즐(40)에서 유연재(W)를 중공부(21)에서 외부쪽으로 분사하여 스크린롤러(20)의 미세 격자망(22)에 끼인 수분 및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유연재(W)는 상기 스크린롤러(20)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용부(50)에 수 용되고 상기 분사노즐(40)에 재공급 되기 위하여 펌프 및 이송파이프로 구성된 공급부(52)에 의하여 상기 분사노즐(40)에 재공급되고, 이때 이물질등이 상기 분사노즐(40)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망(51)이 상기 수용부(50)에 구비되어 이물질이 공급부(52)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원단을 손상하지 않으면서 원단에 포함된 수분 및 이물질을 쉽고 빠르게 제거할 수 있으며, 나아가 원단에 포함된 수분을 균일하게 제거할 수 있고 연속적인 탈수작업이 가능하여 생산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구동부;
    원단을 이송하는 복수개의 가이드롤러;와
    상기 원단의 일면에 접촉하고 상기 원단의 이송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며 미세 격자망(網)으로 이루어진 중공 원통형의 스크린롤러;와
    상기 스크린롤러의 내부에서 상기 원단과 접촉하는 쪽으로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와 연결된 흡입통로로 이루어진 흡입수단;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탈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롤러에는
    내부에 유연재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구비되며 상기 분사노즐에서 분사된 유연재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상기 스크린롤러의 하부 일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탈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분사노즐과 연결된 공급부가 포함되어 수용된 유연재를 재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탈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수단에는
    상기 흡입구에 저항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탈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재는
    탄성력을 가진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흡입수단이 상기 스크린롤러와의 마찰에 의하여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탈수장치.
KR1020070063307A 2007-06-26 2007-06-26 원단 탈수장치 KR100834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307A KR100834006B1 (ko) 2007-06-26 2007-06-26 원단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307A KR100834006B1 (ko) 2007-06-26 2007-06-26 원단 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4006B1 true KR100834006B1 (ko) 2008-05-30

Family

ID=39665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3307A KR100834006B1 (ko) 2007-06-26 2007-06-26 원단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40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340B1 (ko) 2012-05-23 2013-07-04 다이텍연구원 섬유원단의 진공흡입탈수장치
WO2018124419A1 (en) * 2016-12-29 2018-07-05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Sheet type materials dry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45454B1 (ko) * 2020-05-25 2020-08-18 (주)에프에스이노베이션 무장력 진공 석션 수세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467Y1 (ko) * 1986-06-24 1989-04-22 김태수 염색직물지의 연속탈수장치
KR930004079Y1 (ko) * 1991-06-28 1993-06-30 김종대 로우프 타입 원단용 진공 탈수기
JPH0693552A (ja) * 1992-09-04 1994-04-05 Hiroshi Hikosaka 布状物の真空脱水装置及び洗浄脱水装置
KR200326309Y1 (ko) 2003-05-31 2003-09-13 이전우 원단의 진공탈수장치
KR200349808Y1 (ko) 2004-02-16 2004-05-08 황규진 원단 탈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467Y1 (ko) * 1986-06-24 1989-04-22 김태수 염색직물지의 연속탈수장치
KR930004079Y1 (ko) * 1991-06-28 1993-06-30 김종대 로우프 타입 원단용 진공 탈수기
JPH0693552A (ja) * 1992-09-04 1994-04-05 Hiroshi Hikosaka 布状物の真空脱水装置及び洗浄脱水装置
KR200326309Y1 (ko) 2003-05-31 2003-09-13 이전우 원단의 진공탈수장치
KR200349808Y1 (ko) 2004-02-16 2004-05-08 황규진 원단 탈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340B1 (ko) 2012-05-23 2013-07-04 다이텍연구원 섬유원단의 진공흡입탈수장치
WO2018124419A1 (en) * 2016-12-29 2018-07-05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Sheet type materials dry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45454B1 (ko) * 2020-05-25 2020-08-18 (주)에프에스이노베이션 무장력 진공 석션 수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10117A (zh) 用于准备吸附性基底的工艺以及用于基底的集成处理系统
KR100834006B1 (ko) 원단 탈수장치
KR101037514B1 (ko) 직물원단 먼지 제거장치
CN109208205A (zh) 一种纺织染色装置
CN108435465A (zh) 一种喷胶生产线及其喷胶清洁系统
CN108532202A (zh) 一种提高布料染色效果的方法
CN107988779B (zh) 一种衣物自动处理装置
CN113529323A (zh) 一种服装生产用纤维面料用热定型加工设备及其使用方法
JP2009165968A (ja) ベルト状被洗浄物の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CN105113159A (zh) 一种纺织面料多功能喷涂处理系统
GB254411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fabric
CN106379716A (zh) 一种带有清洁装置的染花机传送带
WO2018120373A1 (zh) 负压吸水型清洗装置
CN208136511U (zh) 自动洗衣系统
CN204564708U (zh) 一种针剂安瓿瓶清洗甩干一体化装置
CN116752301A (zh) 一种印染布料烘干清洗一体化设备
JP6060140B2 (ja) 乾式指紋洗浄装置
CN216378710U (zh) 一种印染面料加工用脱水去尘装置
CN205088438U (zh) 一种纺织面料自动喷涂处理装置
CN115354458A (zh) 一种纺织用安全防护纺织材料冲洗烘干装置
CN204982356U (zh) 一种纺织品染色装置
CN105665376B (zh) 干式指纹清洗装置
CN211142462U (zh) 一种化纤布料有害物质去除装置
CN205240633U (zh) 一种带有清洁装置的染花机传送带
CN204509739U (zh) 一种经纱泡沫润湿与泡沫上浆的集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