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3602B1 - 리셉터클 단자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602B1
KR100833602B1 KR1020060088951A KR20060088951A KR100833602B1 KR 100833602 B1 KR100833602 B1 KR 100833602B1 KR 1020060088951 A KR1020060088951 A KR 1020060088951A KR 20060088951 A KR20060088951 A KR 20060088951A KR 100833602 B1 KR100833602 B1 KR 100833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elastic portion
terminal
receptacle terminal
recep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8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4618A (ko
Inventor
배해성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8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602B1/ko
Publication of KR20080024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4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탭단자를 수용하여 단자간의 연결에 의해 와이어와 와이어간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리셉터클 단자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텝단자와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탄성체의 형상을 개선하여 단자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면서 탄성체의 변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리셉터클 단자의 구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탭 단자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리셉터클 단자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단자의 내측면에 제공되며 삽입된 탭 단자를 유지하는 제1 탄성부와 제2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부의 일 단부와 제2 탄성부의 일 단부 사이에 제1 탄성부의 탄성변형 중에서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제공되며, 상기 탭 단자가 삽입되면 제2 탄성부가 제1 탄성부를 받쳐주도록 되어 있다.
리셉터클 단자, 탭 단자, 판 스프링

Description

리셉터클 단자{RECEPTACLE TERMINAL}
도 1은 종래의 리셉터클 단자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리셉터클 단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리셉터클 단자의 단면 사시도.
본 발명은 탭단자를 수용하여 단자간의 연결에 의해 와이어와 와이어간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리셉터클 단자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텝단자와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탄성체의 형상을 개선하여 단자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면서 탄성체의 변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리셉터클 단자의 구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와 와이어를 연결할 경우에는 와이어와 결합한 단자들을 연결시켜 통전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단부가 돌출되어 있는 탭 단자와 상기 탭 단자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춘 리셉터클 단자를 사용하여 탭 단자를 리셉터클 단자에 삽입시켜 암수결합을 하고 리셉터클 단자에 형성된 판 스프링에 고정하여 단자간의 연결을 하는 것이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이었다.
특히 종래기술에서 사용되는 판 스프링은 반복적인 사용이나 과도한 힘을 주어 단자를 결합 또는 해제시키면서 판 스프링이 파손되거나 한계를 넘어 과변형을 일으켜 탄성력을 상실하는 경우가 많이 있었다. 그래서 리셉터클 단자의 탄성체가 탄성력을 상실하게 되면 탭 단자와 리셉터클 단자와의 결합이 유지되지 못해 단자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일반적으로 리셉터클 단자를 제조할 때, 도 1과 같이 단일 금속을 구부려서 구부려지는 방향의 양단부를 서로 겹쳐서 연속면을 형성하고, 겹쳐진 부분(1) 중 내측 부분을 변형시켜 탄성체(2)로 형성하여 리셉터클 단자를 형성하였다.
하지만, 종래기술과 같이 하는 경우 서로 겹쳐진 부분(1)은 단자의 재료가 중복되어 사용되고 있어, 재료의 낭비가 컸다. 실제로 리셉터클 단자의 경우 재료비가 많이 드는 경우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상기 종래기술에서 리셉터클 단자의 재료인 단일의 금속판이 겹쳐지는 부분을 거의 없이 하여 재료의 낭비를 없애는 리셉터클 단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리셉터클 단자의 탄성체를 이중으로 설치하고 과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탄성체도 추가하여 과도한 변형에 의한 탄성력 상실을 방지하여 강한 결합력을 오래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리셉터클 단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탭 단자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리셉터클 단자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단자(100)의 내측면에 제공되며 삽입된 탭 단자를 유지하는 제1 탄성부(102)와 제2 탄성부(10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부의 일 단부와 제2 탄성부의 일 단부 사이에 제1 탄성부의 탄성변형 중에서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105)이 제공되며, 상기 탭 단자가 삽입되면 제2 탄성부(103)가 제1 탄성부(102)를 받쳐주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리셉터클 단자가 2개의 탄성부(102,103)를 구비하도록 하여 1개의 탄성부만에 의해 모든 힘을 받도록 하는 것보다 힘을 분산시켜 각각의 탄성부가 과도한 힘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 단자의 몸체부는 소정의 소재를 절곡하여 상기 소재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를 연결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는 상기 단부가 연결되는 면이 아닌 면에 제공되도록 하여 종래의 기술에서 단자의 재료가 중복되어 사용되어 재료의 낭비가 컸던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 탄성부(103)에서 제1 탄성부(102)와 겹쳐지지 않은 부분이 구부려져서 제1 탄성부측으로 연장되도록 하고, 제1 탄성부와 여유공간을 두고 겹쳐지는 단부가 제1 탄성부를 받쳐주며 제2 탄성부가 변형될때, 제2 탄성부(103)의 변형을 제한하도록 하는 과변형방지 탄성부(104)를 구비하도록 하여 과변형에 의한 파손 및 불량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의 구성을 가지며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그 단면도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셉터클 단자의 몸체부(101)는 단일 금속을 구부려서 구부려지는 방향의 양단부를 서로 맞대어 닫힌 연속면을 형성하여 구부려지는 방향과 수직 방향의 양단부에 개구부를 형성하며 내부에 관통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연속면의 일측면에 탄성부(102,103)를 형성하여 탄성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제1 탄성부(102)와 제2 탄성부(103)는 모두 단자와 같은 재질을 소성변형시켜 판 스프링으로 만든 것이다. 또한, 상기 과변형방지 탄성부(104)도 역시 제2 탄성부(103)를 연장하여 판 스프링 형상으로 만든 것이다.
본 실싱예에서는 몸체부(101)를 형성하기 위해 단일 금속을 사용하였으며, 단일 금속판을 구부려 연속면을 형성한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구부리는 양 단부를 서로 맞대어 종래에 서로 겹치게 하여 단자의 재료를 많이 사용하였던 것과는 차이가 있다.
왜냐하면 종래에는 겹쳐져서 타 단부의 아래로 들어가던 부분에 탄성부(2)를 구비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겹치는 부분(1)을 없애는 대신 탄성부를 겹쳐지는 면이 아닌 면에 구비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굳이 탄성부를 겹쳐지는 부분에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겹치는 부분(1)을 없애더라도 구조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2개의 탄성부(102,103)를 구비하도록 하는데, 2개의 탄성부(102,103) 사이에 여유공간(105)을 가지도록 하여 탭 단자와 먼저 접촉하여 변형되는 제1 탄성부(102)의 탄성변형 중에서 일부를 상기 여유공간(105)에서 수용되도록 하여 제2 탄성부(103)에 주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하도록 하였다.
왜냐하면, 실제로 2개의 탄성부를 가지도록 하면, 받치는 탄성부인 제2 탄성부(103)에 응력이 집중되고 제1 탄성부(102)는 응력을 거의 받지 않는 상태가 되어 제2 탄성부(103)가 파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2개의 탄성부에 의해 응력을 분산시킨다고 하더라도 과도한 변형은 결국 탄성부의 파손으로 이어져 단자의 기능을 해하게 된다. 따라서 과도한 변형을 방지해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제2 탄성부(103)에서 제1 탄성부(102)와 겹쳐지지 않은 부분이 구부려져서 제1 탄성부측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형성된 과변형방지 탄성부(104)가 있는 것이 단자를 보호하는데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과변형방지 탄성부(104)는 걸림턱과 같은 역할을 하여 제2 탄성부(103)가 제1 탄성부(102)의 변형을 수용하여 변형될 때, 변형이 어느 정도 이상 진행되면 제2 탄성부(103)가 과변형방지 탄성부(104)에 접촉하게 되어 더 이상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 게 된다.
상기와 같은 리셉터클 단자(100)의 실시예에서 실제로 탭 단자가 삽입이 되면, 우선 탭 단자가 리셉터클 단자 내부의 공간으로 들어오게 되고, 판 스프링인 제1 탄성부(102)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1 탄성부는 변형을 하게 되고, 제2 탄성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105)에 제1 탄성부의 변형중 일부를 수용하게 된다.
상기의 공간에 제1 탄성부의 변형중 일부가 수용되고 나면, 제1 탄성부(102)는 제2 탄성부(103)와 접하게 된다. 이때, 제1 탄성부(102)가 제2 탄성부(103)와 접하게 된 다음부터는 대부분의 변형력은 제2 탄성부(103)에 걸리게 된다.
상기 제1 탄성부와 접촉한 제2 탄성부(103)는 변형을 시작하고, 상기 과변형방지 탄성부(104)에 접하기 전까지 변형하기 시작한다. 제2 탄성부(103)가 과변형방지 탄성부(104)에 접하고 나면 과변형방지 탄성부(104)에 의해 제2 탄성부의 변형은 저지당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탄성부(102)와 제2 탄성부(103)가 위치하는 리셉터클 단자의 측면과 반대되는 리셉터클 단자의 측면에 제3 탄성부(106)를 구비한 것이 있다. 이 경우 제3 탄성부(106)도 판 스프링을 사용하였다.
즉, 도 3에 도시되듯이, 상기 제3 탄성부(106)는 상기 제1 탄성부(102)와 제2 탄성부(103)가 위치하는 리셉터클 단자의 측면과 반대되는 리셉터클 단자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는 리셉터클 단자를 직육면체로 보면, 제1 탄성부와 제2 탄성부가 하면에 해당하고 제2 탄성부가 상면에 해당됨을 알 수 있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2 탄성부(106)는 리셉터클 단자의 상면의 일부를 탄성변형시켜 직육면체인 리셉터클 단자의 내측으로 굴곡시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탄성변형된 형태는 리셉터클 단자의 내측에서 보면 엠보싱과 같이 탄성을 가지며 돌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판 스프링과 같은 작용을 한다.
이 경우도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지 않지만, 제1 탄성부(102)와 제2 탄성부(103)와는 다른 탄성부를 별도로 구비하여 단자간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고 리셉터클 단자에 가해지는 힘을 쉽게 분산할 수 있어 단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3 탄성부는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와 반대되는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가 리셉터클 단자에 삽입되는 탭단자에 힘을 가할때 반대되는 측면에서 동시에 탭단자에 힘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탭단자는 양측에서 힘을 받게 되어 리셉터클 단자와의 결합력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는 리셉터클 단자에 가해지는 힘이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에만 가해지지 않고 제3 탄성부에도 전달되도록 하여 힘을 쉽게 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진다는 것을 알아두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해 탭 단자와 결합하는 리셉터클 단자는 탄성부를 2개 가지도록 구성하여 단자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켰고, 과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탄성부를 두어 단자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단자의 몸체를 형성할때 겹치는 부분을 줄여서 재료를 절약하여 경제적으로 이익이 되도록 하였다.

Claims (8)

  1. 탭 단자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리셉터클 단자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단자의 내측면에 제공되며 삽입된 탭 단자를 유지하는 제1 탄성부와 제2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탄성부에서 제1 탄성부와 겹쳐지지 않은 부분이 구부려져서 제1 탄성부측으로 연장되도록 하고, 제1 탄성부와 겹쳐지는 단부가 제1 탄성부를 받쳐주며 제2 탄성부가 변형될때 변형을 제한하도록 하는 과변형방지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탄성부의 일 단부와 제2 탄성부의 일 단부 사이에 제1 탄성부의 탄성변형 중에서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제공되며, 상기 탭 단자가 삽입되면 제2 탄성부가 제1 탄성부를 받쳐주도록 되어 있는, 리셉터클 단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단자의 몸체부는 소정의 소재를 절곡하여 상기 소재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를 연결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는 상기 소정의 소재를 절곡하여 상기 소재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면이 아닌 면에 제공되는, 리셉터클 단자.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와 제2 탄성부가 위치하는 측면과 반대되는 측면에 제3 탄성부를 구비한, 리셉터클 단자.
  5. 삭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서,
    상기 제1 탄성부와 제2 탄성부중 적어도 하나는 판 스프링인, 리셉터클 단자.
  7. 삭제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3 탄성부는 판 스프링인, 리셉터클 단자.
KR1020060088951A 2006-09-14 2006-09-14 리셉터클 단자 KR100833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951A KR100833602B1 (ko) 2006-09-14 2006-09-14 리셉터클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951A KR100833602B1 (ko) 2006-09-14 2006-09-14 리셉터클 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618A KR20080024618A (ko) 2008-03-19
KR100833602B1 true KR100833602B1 (ko) 2008-05-30

Family

ID=39412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8951A KR100833602B1 (ko) 2006-09-14 2006-09-14 리셉터클 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360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0798A (ja) * 1995-12-27 1997-07-11 Amp Japan Ltd 電気端子
JPH10312844A (ja) * 1997-05-09 1998-11-24 Nippon Moretsukusu Kk 雌型電気端子
JP2000150041A (ja) 1998-09-11 2000-05-30 Jst Mfg Co Ltd コネクタの端子及びハウジング
US6428366B1 (en) 2000-11-03 2002-08-06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terminal socket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JP2006179362A (ja) 2004-12-24 2006-07-06 Jst Mfg Co Ltd 接続端子およびそれを備えた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0798A (ja) * 1995-12-27 1997-07-11 Amp Japan Ltd 電気端子
JPH10312844A (ja) * 1997-05-09 1998-11-24 Nippon Moretsukusu Kk 雌型電気端子
JP2000150041A (ja) 1998-09-11 2000-05-30 Jst Mfg Co Ltd コネクタの端子及びハウジング
US6428366B1 (en) 2000-11-03 2002-08-06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terminal socket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JP2006179362A (ja) 2004-12-24 2006-07-06 Jst Mfg Co Ltd 接続端子およびそれを備えた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618A (ko) 2008-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0089B2 (en) Wire-to-board connector
KR910003607B1 (ko) 리셉터클 단자
US20060252294A1 (en) Electrical connector element
KR101486179B1 (ko) 콘택트 및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US20100203752A1 (en)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ncreased connection object removal force
US6135779A (en) Contact for a conductor on a foil
JP4834673B2 (ja) 誤挿入防止用突起を有するターミナル
KR100240180B1 (ko) 단자 이음쇠 조립 구조물
JP2019067574A (ja) 音叉端子及び電気接続箱
KR100874963B1 (ko) 리셉터클 터미널
JP2002025674A (ja) 接続端子
KR100833602B1 (ko) 리셉터클 단자
WO2011031715A2 (en) Electric connector and connector
JP2002075498A (ja) 雄型コンタクト
KR101508253B1 (ko) 특히 차량 제어 장치용의 직결식 플러그 소자
KR101489787B1 (ko) 두 개의 스프링 구역을 갖는 직결식 플러그 소자
JPS5934064Y2 (ja) 板フユ−ズ装置用中継端子
KR200479082Y1 (ko) 터미널
JPH07230834A (ja) バスバーとタブ端子の固定構造
US20040218757A1 (en) Structure of wrong insertion preventive RJ45 telecom jack
CN214124160U (zh) 接触件
JPH0329905Y2 (ko)
KR200281757Y1 (ko) 입출력커넥터
JPS607019Y2 (ja) 雌型電気接続子
KR200418109Y1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