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757Y1 - 입출력커넥터 - Google Patents
입출력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81757Y1 KR200281757Y1 KR2020020012619U KR20020012619U KR200281757Y1 KR 200281757 Y1 KR200281757 Y1 KR 200281757Y1 KR 2020020012619 U KR2020020012619 U KR 2020020012619U KR 20020012619 U KR20020012619 U KR 20020012619U KR 200281757 Y1 KR200281757 Y1 KR 20028175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tal cap
- input
- connector
- connector body
- output connector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출력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입출력커넥터의 커넥터몸체 외측에 설치되는 금속캡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커넥터몸체에 대한 금속캡의 결합력이 증대되도록 한 입출력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입출력커넥터는 금속캡의 양단부 측에 마련되며 서로 걸림구조를 이루는 동시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체결되는 돌출부와 수용부에 의해 입출력커넥터의 전체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커넥터몸체에 대한 금속캡의 체결력을 증대시켜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마련된 PCB에 입출력커넥터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출력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입출력커넥터의 커넥터몸체 외측에 설치되는 금속캡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커넥터몸체에 대한 금속캡의 결합력이 증대되도록 한 입출력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입출력커넥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기능화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부품으로서, 단말기 내부의 PCB와 외부기기를 연결시키도록 단말기 본체 하단에 설치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및 배터리 충전과 데이터 전송 및 컴퓨터와의 연결 등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입출력커넥터는 통상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사출물로 형성되며 암단자(미도시) 및 납땜리드(1a)가 설치되는 커넥터몸체(1)와, 상기 커넥터몸체(1)의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금속캡(2)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커넥터몸체(1)의 납땜리드(1a)는 납땜작업을 통해 PCB(미도시)의 제어회로에 결합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몸체(1)의 암단자(미도시)에 외부기기(미도시)의 플러그(미도시)에 마련된 숫단자(미도시)를 결합시키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미도시)와 외부기기(미도시)는 서로 접속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금속캡(2)은 커넥터몸체(1)의 외측에 결합되어 커넥터몸체(1)를 보호하면서도 커넥터몸체(1)의 양단부 측 금속캡(2)에 마련된 고정돌기(2a)를 통해 상기 입출력커넥터가 상기 PCB(미도시)의 일면에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한다. 즉,상기 커넥터몸체(1)의 양단부 측과 대응하는 부위의 상기 금속캡(2)에는 금속캡(2)의 일부를 절개시켜 수직방향으로 절곡시킨 고정돌기(2a)가 마련되고, 이렇게 형성된 고정돌기(2a)를 PCB(미도시)에 형성된 고정홀(미도시)에 삽입고정시킴에 따라 입출력커넥터는 PCB(미도시)의 일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금속캡(2)은 상기 커넥터몸체(1)의 둘레와 같은 길이를 갖도록 가공된 판상의 금속판을 커넥터몸체(1)의 외주면에 감싸 밀착시킴으로써 마련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커넥터몸체(1)의 각 모서리와 대응하는 부분의 금속캡(2)은 밴딩작업을 통해 밴딩되고, 금속캡(2) 양 끝단부 측에 마련된 접촉부(2b)는 커넥터몸체(1)의 중심부 측에서 맞닿은 상태로 서로를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금속캡(2)의 양 접촉부(2b)는 별도의 체결가공 없이 서로 맞닿아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커넥터몸체(1)의 암단자(미도시)에 결합된 외부기기(미도시)의 플러그(미도시)에 충격이 전달되어 상기 플러그(미도시)가 상기 금속캡(2) 내부에서 비틀어지게 될 경우, 상기 금속캡(2)의 양 접촉부(2b)는 서로 쉽게 분리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몸체(1)도 PCB(미도시)로부터 이탈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캡(2)의 양 끝단부 사이에 몰드물을 개재시켜 커넥터몸체(1)에 대한 금속캡(2)의 결합력이 보다 증대되도록 한 입출력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즉, 상기 개선된 입출력커넥터는 금속캡(2)의 양단부 사이에 커넥터몸체(1)와 일체로 형성되며 커넥터몸체(1)와 같이 플라스틱 사출물로 형성되는 고정부(3)를 마련하고, 상기금속캡(2)의 양단부 측에는 상기 고정부(3)에 삽입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부(2c)를 형성함으로써 커넥터몸체(1)에 대한 금속캡(2)의 결합력이 증대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개선된 입출력커넥터에 마련되는 상기 고정부(3)는 전체 입출력커넥터의 두께를 증가시키게 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형화를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입출력커넥터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커넥터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커넥터몸체에 대한 금속캡의 체결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입출력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종래의 입출력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종래의 개선된 입출력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력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력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커넥터몸체 11: 지지부
13: 납땜리드부 14: 걸림부
20: 금속캡 21: 고정돌기
22: 걸림홀 23: 돌출부
24: 수용부 30: 가압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에 연결되는 외부기기를 접속시키도록 상기 단말기 내부에 설치되며,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커넥터몸체와, 상기 커넥터몸체 외주를 감싸 보호하도록 금속판을 밴딩시켜 형성된 금속캡을 구비하는 입출력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금속캡의 일단부에는 상기 금속캡의 타단부 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금속캡의 타단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져 걸려지도록 형성된 수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 및 수용부는 상기 금속캡과 같은 두께를 갖으며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금속캡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 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넓어지도록 테이퍼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용부보다 소정크기 크게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와 겹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 내부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입출력커넥터는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의 PCB와 외부기기를 접속시키도록 단말기 본체 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사출물로 형성되는 커넥터몸체(10)와, 상기 커넥터몸체(10)의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금속캡(2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몸체(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는 지지부(11) 및 상기 지지부(11)의 일면 중앙으로부터 상기 지지부(11) 외측으로 수직 연장되는 암단자부(12)와, 상기 암단자부(12) 반대편 지지부(11)의 모서리 측에 형성되는 납땜리드부(1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커넥터몸체(10)의 납땜리드부(13)는 납땜작업을 통해 단말기(미도시) 내부에 마련된 PCB(미도시)의 제어회로에 결합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몸체(10)의 암단자부(12)에 외부기기(미도시)의 플러그(미도시)에 마련된 숫단자부(미도시)를 결합시키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미도시)와 외부기기(미도시)는서로 접속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금속캡(20)은 상기 커넥터몸체(10)의 암단자부(12)를 감싸도록 일단부 측 내주가 커넥터몸체(10)의 지지부(11) 외주에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몸체(10)에 결합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금속캡(20)은 커넥터몸체(1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상기 외부기기(미도시)의 숫단자부(미도시)와 커넥터몸체(10)의 암단자부(12)의 체결시 상기 숫단자부(미도시)를 가이드하고, 양 단자부의 체결 이후에는 숫단자부(미도시) 외주를 지지하여 양 단자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몸체(10)의 양단부 측 금속캡(20)에는 고정돌기(21)가 형성되어 상기 입출력커넥터가 상기 PCB(미도시)의 일면에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한다. 즉, 상기 커넥터몸체(10)의 지지부(11) 양단부 측과 대응하는 부위의 상기 금속캡(20)에는 금속캡(20)의 일부를 절개시켜 수직방향으로 절곡시킨 고정돌기(21)가 마련되고, 이렇게 형성된 고정돌기(21)를 PCB(미도시)에 형성된 고정홀(미도시)에 삽입고정시킴에 따라 입출력커넥터는 PCB(미도시)의 일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금속캡(20)과 접하게 되는 지지부(11)의 외면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걸림부(14)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14)와 대응하는 부위의 금속캡(20)에는 상기 걸림부(14)가 걸려 지지되도록 하는 걸림홀(22)이 상기 금속캡(20)을 관통하도록 마련된다.
한편, 상기 금속캡(20)은 상기 지지부(11)의 둘레와 같은 길이를 갖도록 가공된 판상의 금속판을 지지부(11)의 외주면에 감싸 밀착시킴으로써 마련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11)의 각 모서리와 대응하는 부분의 금속캡(20)은 밴딩작업을 통해 지지부(11)의 외측에 밀착되도록 밴딩되며, 금속캡(20)의 양 끝단부는 상기 밴딩작업을 통해 상기 암단자부(12) 중앙부 외측에서 서로 맞닿게 된다.
그리고 이때, 서로 맞닿게 되는 상기 금속캡(2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각각 돌출부(23)와 수용부(24)가 형성되어 상기 금속캡(20)의 양 끝단부를 서로 강력하게 체결시킨다. 즉, 상기 돌출부(23) 및 수용부(24)는 상기 금속캡(20)과 같은 두께를 갖으며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데, 상기 돌출부(23)는 상기 금속캡(20)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 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넓어지도록 테이퍼 성형되고, 상기 수용부(24)도 상기 돌출부(23)와 이물림결합되도록 상기 돌출부(23)와 같은 형상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테이퍼형상으로 마련되는 상기 돌출부(23)와 수용부(24)의 결합으로 상기 금속캡(20)의 양단부는 걸림구조를 이루며 서로 강력하게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3)와 수용부(24)는 최초 가공시 상기 돌출부(23)의 크기가 상기 수용부(24)에 비해 소정크기 크게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23)와 수용부(24)의 체결시 상기 돌출부(23)는 상기 수용부(24) 내부에 억지끼움장식을 통해서 체결된다. 즉, 수용부(24)보다 소정크기 크게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23)는 상기 밴딩작업만으로는 상기 수용부(24) 내부에 체결될 수 없으므로, 상기 밴딩작업을 통해 금속캡(20)의 양단부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돌출부(23)와 수용부(24)가 겹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23)와 수용부(24)의 경계상에 마련된 가압부(30)를 가압가공을 통해 가압함으로써, 상기 돌출부(23)는 상기수용부(24) 내부로 억지끼움방식으로 체결된다. 그리고 이러한 돌출부(23)와 수용부(24)간의 억지끼움방식 체결은 걸림구조로 마련된 상기 돌출부(23)와 수용부(24)의 체결이 더욱 강력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금속캡(20)의 양단부 측에 형성되며 서로 억지끼움방식을 통해 체결되는 동시에 걸림구조를 이루는 상기 돌출부(23)와 수용부(24)에 의해 상기 금속캡(20)은 커넥터몸체(10)의 외부에 보다 강력하게 체결되어 상기 커넥터몸체(10)의 암단자부(12)에 결합되는 외부기기(미도시)의 플러그(미도시)에 충격이 전달되더라고 상기 커넥터몸체(1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23) 및 수용부(24)는 상기 금속캡(30)과 같은 두께를 갖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상기 입출력커넥터의 전체 두께를 증가시킬 우려도 없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입출력커넥터는 금속캡의 양단부 측에 마련되며 서로 걸림구조를 이루는 동시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체결되는 돌출부와 수용부에 의해 입출력커넥터의 전체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커넥터몸체에 대한 금속캡의 체결력을 증대시켜 상기 입출력커넥터가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마련된 PCB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Claims (3)
-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에 연결되는 외부기기를 접속시키도록 상기 단말기 내부에 설치되며,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커넥터몸체와, 상기 커넥터몸체 외주를 감싸 보호하도록 금속판을 밴딩시켜 형성된 금속캡을 구비하는 입출력커넥터에 있어서,상기 금속캡의 일단부에는 상기 금속캡의 타단부 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금속캡의 타단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져 걸려지도록 형성된 수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커넥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돌출부 및 수용부는 상기 금속캡과 같은 두께를 갖으며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금속캡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 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넓어지도록 테이퍼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커넥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용부보다 소정크기 크게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와 겹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 내부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입출력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12619U KR200281757Y1 (ko) | 2002-04-25 | 2002-04-25 | 입출력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12619U KR200281757Y1 (ko) | 2002-04-25 | 2002-04-25 | 입출력커넥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81757Y1 true KR200281757Y1 (ko) | 2002-07-13 |
Family
ID=73075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12619U KR200281757Y1 (ko) | 2002-04-25 | 2002-04-25 | 입출력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81757Y1 (ko) |
-
2002
- 2002-04-25 KR KR2020020012619U patent/KR20028175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60726B1 (ko) | 커넥터 어셈블리 | |
US6267623B1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a mating portion defined by a metallic shell | |
TW202044671A (zh) | 連接器組件 | |
US20140113497A1 (en) | Waterproof connector | |
JPH08339861A (ja) | コネクタソケット | |
TW201618395A (zh) | 具有雙向插接功能的插頭連接器 | |
US20010009817A1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female contact | |
JP2006210182A (ja) | 基板接続用コネクタ | |
KR20010107622A (ko) | 리셉터클 타입의 중계용 커넥터 | |
US20070004255A1 (en) | Electrical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dustproof means | |
US10651580B2 (en) | Circuit board connecting device | |
US20170040743A1 (en) | Usb plug capable of being inserted face up and face down | |
KR20180112359A (ko) | 소켓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 |
US7798859B1 (en) | Electrical terminal | |
JPH08339860A (ja) | コネクタプラグ | |
US11631952B2 (en) |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US20100087093A1 (en) | Connector for adapting adaptors of various protocols | |
CN214673042U (zh) | 插座连接器 | |
US20090181578A1 (en) | Connector assembly | |
KR200281757Y1 (ko) | 입출력커넥터 | |
US6106325A (en) | Cable connector assembly | |
JP4028439B2 (ja) | 回路基板内蔵型コネクタ | |
CN209822915U (zh) | Usb连接器 | |
US7086891B2 (en) | Electrical plug with protection structure | |
KR200479847Y1 (ko) | 전자기기용 양면 유에스비 소켓 커넥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608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