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3453B1 - 은나노 입자를 함유하는 인체에 유익한 몰딩 및 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은나노 입자를 함유하는 인체에 유익한 몰딩 및 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453B1
KR100833453B1 KR1020070077349A KR20070077349A KR100833453B1 KR 100833453 B1 KR100833453 B1 KR 100833453B1 KR 1020070077349 A KR1020070077349 A KR 1020070077349A KR 20070077349 A KR20070077349 A KR 20070077349A KR 100833453 B1 KR100833453 B1 KR 100833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aw material
parts
molding
me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7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상철
Original Assignee
노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상철 filed Critical 노상철
Priority to KR1020070077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3842Manufacturing moulds, e.g. shaping the mould surface by mach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몰딩용 합성수지 재질에 항균, 살균, 항곰팡이, 탈취 및 원적외선 방출과 같은 효과를 갖는 은 입자를 일정한 방법에 의해 함침함으로 몰딩에 곰팡이와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며, 더욱이 몸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지속적으로 방출하는 기능을 갖는 인체에 유익한 몰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몰딩의 제조방법은 1차 원료 배합 및 용융공정과 2차 원료 배합 및 용융공정으로 이루어지고, 1 내지 3㎚의 은 나노 입자를 상기 1차 원료 배합 공정과 2차 원료 배합 공정 각각에 나누어 투입하되, 상기 1차 원료 배합 공정에서 5 내지 15중량%, 상기 2차 원료 배합 공정에서 85 내지 95중량%의 중량비율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항균, 살균, 항곰팡이, 탈취, 원적외선 방출 및 대전 방지와 같은 유용한 기능을 갖는 은 나노 입자가 소정의 비율로 함유되어 몰딩에 곰팡이가 끼어 변형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며 원적외선의 방출로 인체에 유익한 효과가 있다.
은나노, 항균, 원적외선, 방출, 몰딩

Description

은나노 입자를 함유하는 인체에 유익한 몰딩 및 그 제조방법{Moldings being beneficial to human bodies by comprising a silver nano-particles and the method for making them}
본 발명은 인테리어에 있어 마감자재로 사용하는 건축용 몰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몰딩용 합성수지 재질에 항균, 살균, 항곰팡이, 탈취 및 원적외선 방출과 같은 효과를 갖는 은 입자를 일정한 방법에 의해 함침함으로 몰딩에 곰팡이와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며, 더욱이 몸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지속적으로 방출하는 기능을 갖는 인체에 유익한 몰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테리어 작업 시에는 벽면 모서리부와 같은 곡각부분에 미관을 위해 몰딩을 부착하게 되는데, 원목은 고급스럽고 환경친화적인 장점이 있으나 제조경비가 비싼 단점이 있으므로 좀처럼 사용되지 않고, 엠디에프(M.D.F) 합판에 각종 무늬지를 접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엠디에프 합판은 고운 톱밥을 고압으로 응축 합판대용으로 쓰게 된 것으로서, 가공이 쉽고 제작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수분에 매우 약해 습기를 먹으면 손상되기 쉽고 접착제나 도료 등에서 포름알데이드와 같은 유해성분이 발생하므로 두통 및 호흡기 질환 등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
한편,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몰딩을 제작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표면처리가 미숙하여 고급스런 느낌을 주기 어려웠으며, 이들 재질 또한 여전히 유해성분이 배출되므로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어 그 해결이 요구되어 왔다.
또한, 현대에는 주택이나 아파트의 건축구조가 냉난방의 에너지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고도의 기밀성과 밀폐성을 요구하므로 인위적으로 환기를 하지 않는 한 실내공기의 순환이 어려워 음식물 냄새, 신발장, 의류, 화장실, 쓰레기, 습한 곳의 곰팡이 냄새, 애완 동물을 사육에 따른 냄새와 싱크대, 욕실, 화장실 등에서 발산되는 습기가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실내에 가득 차게 되며, 특히 동절기에는 난방에 의해 외부와의 온도차가 심해서 실내에 결로(結露)현상이 생겨 실내가 축축해지고 의류나 장롱 속의 곰팡이 발생 원인이 되기도 하며 인체에도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상황에서,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하고 음식냄새 등 생활 악취를 제거하며 인체에 해로운 유해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탈취제나 방향제 또는 실내의 공기 중에 포함된 양이온을 중화시킬 음이온을 발생시키기 위한 음이온 발생기 등을 구비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별도의 탈취제나 방향제 또는 음이온 발생기를 구입하는 데는 별도의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탈취제나 방향제 또는 음이온 발생기를 배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5-0118876호의 "인체에 유익한 몰딩 및 그 제조방법"에서 "합성수지재에 참숯 분말을 골고루 혼합한 다음 용융하여 압출 성형하여 인테리어 마감자재로 사용하는 건축용 몰딩"을 제조하는 방법을 발명하고 출원하여 특허등록 제0729841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몰딩은 수지와 발포제에 부가하여 일정량의 참숯을 특정한 방법에 의해 혼합하고 압출 성형하여 형성된 것으로, 공기를 정화하여 인체에 유용하지만, 몰딩 자체의 내부 및 표면에 세균과 곰팡이류가 기생할 수 있으며, 특히 습기가 많은 곳에 설치된 몰딩에서는 곰팡이류가 쉽게 번식되어 그 표면을 변색시킬 뿐 아니라 인체에 해로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이 종래의 몰딩에 있어서 세균과 곰팡이류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는 항균성을 부여할 수 있어, 인체에 보다 유익한 효과를 가질 수 있는 몰딩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예의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공지된 사실로써, 일반적으로 귀금속인 은(silver; Ag)은 전도성을 갖는 금속으로서 약 5,000년 전부터 항균, 살균, 항곰팡이, 탈취, 원적외선 방출, 대전 방지와 같은 여러 가지 특성이 알려져 각종 용도로 널리 사용되어 왔는데, 이러한 특성을 갖는 은은 값비싼 귀금속이기 때문에, 상기한 은의 살균 및 항균성, 탈취성, 원적외선 방출특성 등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은을 미립자화하여 이용하거나 또는 실리카나 제올라이트와 같은 다공성 물질에 담지시켜 이용하거나, 또는 코팅이나 도금하여 이용해 왔으며, 특히 근년 들어 나노(nano)기술이 발달하면서 은을 나노 입자화하여 비표면적을 크게 하므로써 항균특성 등의 제반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상기한 은의 항균특성은 은 성분이 세균의 내부로 침투하여 세포막결합과 함께 파괴하여 세균을 사멸시키는 메카니즘을 통해 항균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학계에서 연구 보고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나노기술을 이용한 무기물이나 금속의 나노입자들은 그들의 표면적이 극대화되어 통상의 입자 상태에서 나타내는 물리, 화학적 성질들을 더욱 적은 양으로도 더욱 뛰어나게 구현할 뿐만 아니라, 통상의 입자 상태에서 나타나지 않는 다른 성질들을 나타내기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처럼 나노입자들은 극소량 사용하여도 그 효과를 충분하게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나노입자들은 재질의 사용량을 줄여 환경친화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몰딩의 제조에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은 유용한 기능을 갖는 은의 우수한 특성이 반영구적으로 발휘될 수 있도록 하여 몰딩 자체에 곰팡이 등의 세균의 번식을 완전하게 억제하며 원적외선 방출을 통하여 인체에 유익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몰딩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은 입자를 나노입자로 하여 사용하므로 그 표면적을 극대화하여 은의 특성인 항균, 살균, 항곰팡이, 탈취 및 원적외선 방출 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합성수지에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게 되어 몰딩의 외관 및 강도가 전혀 떨어지지 않는 몰딩을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은 나노 입자를 함유하는 인체에 유익한 몰딩의 제조방법은;
합성수지재 등 각종 원료를 배합한 다음 용융하는 공정과, 이를 압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합성수지재 몰딩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료 배합 및 용융공정은;
EPS(EXPENDED POLYSTYRENE) 15~35 중량부와 HIPS(HIGH IMPACT POLYSTYRENE) 60~85 중량부를 배합하고 이를 150~180℃의 온도로 용융하는 1차 원료 배합 및 용융공정과,
상기 1차 원료 배합 및 용융공정에서 용융된 원료에 GPPS(GENERAL PURPOSE POLSYTYRENE)를 전체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해 0.5~2.5중량부 만큼 배합하고 이를 150~180℃의 온도로 용융하는 2차 원료 배합 및 용융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상기 1 및 2차 원료 100중량부에 대해, 1 내지 3㎚ 사이즈의 은 나노 입자 1중량부를 실리카 10중량부와 반응시켜 얻은 은-실리카 복합체 0.03 내지 0.1중량부를 상기 1차 원료 배합 공정과 2차 원료 배합 공정 각각에 나누어 투입하되, 상기 1차 원료 배합 공정에서 5 내지 15중량%, 상기 2차 원료 배합 공정에서 85 내지 95중량%의 중량비율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1차 원료 배합 및 용융공정에서 전체 원료 100중량부에 대해 구연산 0.01~0.3 중량부, 아연 0.001~0.2 중량부, 발포제 0.2~2.5 중량부, 지당 0.01~0.2 중량부, 색소 0.002~0.2 중량부를 추가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은 나노 입자를 함유하는 인체에 유익한 몰딩의 제조방법에 따라 얻어진 몰딩은 은의 항균, 살균, 항곰팡이, 탈취, 원적외선 방출 및 대전 방지 특성이 반영구적으로 지속되게 됨으로 몰딩에 곰팡이가 끼어 변 형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며 원적외선의 방출로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고로 일 실시형태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몰딩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조공정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몰딩의 제조공정은 합성수지재 등의 원료를 용융, 압출하여 몰딩을 제조하는 공법으로, 1차 원료 배합, 용융, 2차 원료 배합, 재용융, 압출, 냉각, 전사, 절단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몰딩의 제조는 먼저, 원료배합공정에서는 EPS(EXPENDED POLYSTYRENE)와, HIPS(HIGH IMPACT POLYSTYRENE)를 약 1 : 3의 비율로 혼합하되 전체 원료 100중량부에 대해 이들이 90~95중량부를 차지하도록 혼합하고, 추가적으로 구연산 0.01~0.3 중량부, 아연 0.001~0.2 중량부, 발포제 0.2~2.5 중량부, 지당 0.01~0.2 중량부, 색소 0.002~0.2 중량부를 혼합한다.
상기 주원료인 EPS는 인장력을 강화하는 기능을 하고, HIPS는 충격강도를 강화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1차로 원료가 배합되어지면 이를 압출기에 투입하여 압출기 내부의 고열에 의해 용융되도록 하고, 용융된 원료는 자체 무게와 압출기 내부 에 위치한 스크류가 회전함으로써 금형 안으로 압출되어진다.
이때 압출온도가 200℃ 이상이 될 경우 원료가 분해되어 성질이 변하게 되므로, 용융온도는 반드시 150~180 ℃를 유지해야만 한다.
또한, 구연산은 입자를 분말화 하기 위한 것이며, 아연은 열전도율을 증가하기 위한 것이며, 발포제는 원료를 발포하기 위한 것이며, 지당은 색상을 정돈하기 위한 것이며, 색소는 미관을 아름답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에 기재한 수치만큼 혼합되어진다.
용융 원료가 금형 내에 공급되어지면 물에 담궈 급냉함으로써 점성 액체를 완전 고체화하여 몰딩의 기본형태가 완성되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기본 형태가 완성된 몰딩은 핫 스탬핑 포일(HOT STAMPING FOIL)이라 불리는 전사지로 몰딩 표면을 전사해줌으로써 여러 가지 색상을 표현하거나 조각 전사를 통해 문양을 삽입할 수 있으며, 이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해줌으로써 몰딩을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합성수지재의 몰딩 제조공정 중에 용융공정을 2차에 걸쳐 수행하도록 하고, 1, 2차 용융공정에서 사용하는 원료를 달리하고, 또한 1 내지 3nm 크기의 은 나노 입자를 각 공정에서 일정비율로 나눠 공급해 줌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몰딩을 제공한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에서는 1차 원료배합 및 용융 공정 시에는 합성수지재로서 EPS는 전체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15~35중량부, HIPS는 60~85중량부 만큼 혼합하고, 2차 원료 배합 및 용융공정 시에는 GPPS(GENERAL PURPOSE PS)를 전체 혼합 물 100중량부에 대해 0.5~2.5중량부 만큼 혼합하여 용융해줌으로써, 완성된 몰딩의 표면이 매끄러우면서도 고급스런 질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2차 원료배합시 사용되는 GPPS는 몰딩표면을 매끄럽게 코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공정이 제외될 경우 몰딩 표면이 거칠어 전사가 안되는 결점이 나타나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은 나노 입자는 상기 합성수지재의 중량 대비 0.03 내지 0.1중량부를 부가하며, 그 부가 시점 및 중량비는 상기 2회에 걸친 합성수지재 원료 배합공정 중에서 각각 일정비율로 부가하여 혼합하되, 1회에는 5~15중량%를 부가하고 2회에는 85~95중량%를 혼합해준다. 만일 은 나노 입자의 부가 비율이 0.03 중량부 미만이면, 은의 특성인 항균성 및 원적외선 방출 특성을 거의 발휘하지 못하고, 0.1중량부를 초과하면 제조 비용이 상승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은 나노 입자를 상기와 같이 분할하여 1회에는 5~15중량%를 부가하고 2회에는 85~95중량%를 부가하므로, 은 나노 입자가 주로 표면 쪽으로 많이 분포되도록 하여 은의 제반 특성이 보다 잘 나타나도록 하였다. 즉, 은 나노 입자가 1차 원료 배합시에 주로 많이 배합하게 되면 이들 물질의 몰딩 내부에 위치되게 되어 항규ㄱ특성이나 원적외선 방출 효율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은 나노 입자가 1차 원료 배합시 5중량% 이하로 사용되면 은 나노 입자가 합성수지의 각 종류에 거의 혼합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항균 특성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라 은 나노 입자가 실리카와 결합된 은-실리카 복합체를 사용하여 은의 제반 특성이 더욱 잘 발현되어 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먼저, 1차원료배합공정으로 EPS(EXPENDED POLYSTYRENE) 75㎏와, HIPS(HIGH IMPACT POLYSTYRENE) 225㎏과, 구연산 300g과, 아연 350g과, 발포제 2.2㎏과, 지당 200g과, 황색색소 25g과, 밤색색소 35g, 약 1nm 사이즈의 은 나노 입자 100g을 실리카 1000g과 반응 시켜 얻은 은-실리카 복합체 55g을 고르게 혼합한 다음, 이를 압축기에 투입하여 압축기의 내부온도 약 150℃로 유지하면서 용융되도록 하여 약 2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그 후, 2차원료배합공정으로 GPPS(GENERAL PURPOSE PS) 3Kg과 상기한 은-실리카 복합체 1045g을 추가하여 상기 일차 용융시와 동일한 온도에서 용융시키며, 용융되어진 배합원료는 압출기를 통해 금형으로 압출되어 몰딩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제작되어진 몰딩은 표면이 매끄럽게 코팅되어지고, 이후에 전사가 잘 이루어지므로 고급스런 느낌을 표현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먼저, 1차원료배합공정으로 EPS(EXPENDED POLYSTYRENE) 75㎏와, HIPS(HIGH IMPACT POLYSTYRENE) 225㎏과, 구연산 300g과, 아연 350g과, 발포제 2.2㎏과, 지당 200g과, 황색색소 25g과, 밤색색소 35g, 약 1nm 사이즈의 은 나노 입자 100g을 실리카 1000g과 반응 시켜 얻은 은-실리카 복합체 165g을 고르게 혼합한 다음, 이를 압축기에 투입하여 압축기의 내부온도 약 150℃로 유지하면서 용융되도록 하여 약 2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그 후, 2차원료배합공정으로 GPPS(GENERAL PURPOSE PS) 3Kg과 상기한 은-실리카 복합체 935g을 추가하여 상기 일차 용융시와 동일한 온도에서 용융시키며, 용융되어진 배합원료는 압출기를 통해 금형으로 압출되어 몰딩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제작되어진 몰딩은 표면이 매끄럽게 코팅되어지고, 이후에 전사가 잘 이루어지므로 고급스런 느낌을 표현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먼저, EPS(EXPENDED POLYSTYRENE) 75㎏와, HIPS(HIGH IMPACT POLYSTYRENE) 225㎏과, 구연산 300g과, 아연 350g과, 발포제 2.2㎏과, 지당 200g과, 황색색소 25g과, 밤색색소 35g을 고르게 혼합한 다음, 이를 압축기에 투입하여 압축기의 내부온도 약 150℃로 유지하면서 용융되도록 하여 약 2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그 후, GPPS(GENERAL PURPOSE PS) 3Kg과 약 1nm 사이즈의 은 나노 입자 100g을 실리카 1000g과 반응시켜 얻은 은-실리카 복합체 1100g을 추가하여 상기 일차 용융시와 동일한 온도에서 용융시키며, 용융되어진 배합원료는 압출기를 통해 금형으로 압출되어 몰딩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제작되어진 몰딩은 표면이 매끄럽게 코팅되어지고, 이후에 전사가 잘 이루어지므로 고급스런 느낌을 표현할 수 있었다.
비교예 2
먼저, EPS(EXPENDED POLYSTYRENE) 75㎏와, HIPS(HIGH IMPACT POLYSTYRENE) 225㎏과, 구연산 300g과, 아연 350g과, 발포제 2.2㎏과, 지당 200g과, 황색색소 25g과, 밤색색소 35g, 약 1nm 사이즈의 은 나노 입자 100g을 실리카 1000g과 반응 시켜 얻은 은-실리카 복합체 220g을 고르게 혼합한 다음, 이를 압축기에 투입하여 압축기의 내부온도 약 150℃로 유지하면서 용융되도록 하여 약 2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그 후, GPPS(GENERAL PURPOSE PS) 3Kg과 상기한 은-실리카 복합체 880g을 추가하여 상기 일차 용융시와 동일한 온도에서 용융시키며, 용융되어진 배합원료는 압출기를 통해 금형으로 압출되어 몰딩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제작되어진 몰딩은 표면이 매끄럽게 코팅되어지고, 이후에 전사가 잘 이루어지므로 고급스런 느낌을 표현할 수 있었다.
실험예 1
항균성 측정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몰딩을 성형한 후 충분히 경화시킨 후 그 표면에 대장균과 황색포도상 구균을 각각 도포하여 24 시간 배양함으로 몰딩의 항균성을 실험한 결과를 실시예 1 및 2의 몰딩에서는 대장균과 황색포도상 구균이 모두 사멸하였으며, 비교예 1과 2의 몰딩에서는 도포된 개체수의 각각 13%와 20%의 균이 생존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이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생산된 몰딩은 세균 사멸율이 거의 100%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원적외선 방출 실험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몰딩의 표면으로부터 원적외선의 방사율과 방사 에너지를 KICM-FIR-1005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 40℃에서 원적외선 방출량은 실시예 1의 몰딩이 각각 방사율(5~20㎛)이 0.888이고 방사에너지(W/㎡)가 3.58×102이었다. 그러나 비교예 2의 원적외선 방출량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그 이유는 몰딩의 표면으로 배치되는 은 나노 입자의 절대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되어 진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은 나노 이온을 함유하는 인체에 유익한 몰딩의 제조방법은 항균, 살균, 항곰팡이, 탈취, 원적외선 방출 및 대전 방지와 같은 유용한 기능을 갖는 은을 나노 입자의 형태로 소정의 방법에 따라 소정의 비율로 함유되도록 함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몰딩은 곰팡이가 끼어 변형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며 원적외선의 방출로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제공할 뿐 아니라, 은 나노 입자-실리카 복합체는 합성수지와의 결합력이 가장 이상적으로 되는 비율과 공정에 따라 부가되어 지므로 제조된 몰딩의 외관 및 강도가 전혀 저하되지 않는 몰딩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산업적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몰딩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조공정도이다.

Claims (3)

  1. 합성수지재 등 각종 원료를 배합한 다음 용융하는 공정과, 이를 압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합성수지재 몰딩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료 배합 및 용융공정은;
    EPS(EXPENDED POLYSTYRENE) 15~35 중량부와 HIPS(HIGH IMPACT POLYSTYRENE) 60~85 중량부를 배합하고 이를 150~180℃의 온도로 용융하는 1차 원료 배합 및 용융공정과,
    상기 1차 원료 배합 및 용융공정에서 용융된 원료에 GPPS(GENERAL PURPOSE POLSYTYRENE)를 전체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해 0.5~2.5중량부 만큼 배합하고 이를 150~180℃의 온도로 용융하는 2차 원료 배합 및 용융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상기 1 및 2차 원료 100중량부에 대해, 1 내지 3㎚ 사이즈의 은 나노 입자 1중량부를 실리카 10중량부와 반응시켜 얻은 은-실리카 복합체 0.03 내지 0.1중량부를 상기 1차 원료 배합 공정과 2차 원료 배합 공정 각각에 나누어 투입하되, 상기 1차 원료 배합 공정에서 5 내지 15중량%, 상기 2차 원료 배합 공정에서 85 내지 95중량%의 중량비율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나노 입자를 함유하는 인체에 유익한 몰딩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원료 배합 및 용융공정에서 전체 원료 100중량부에 대해 구연산 0.01~0.3 중량부, 아연 0.001~0.2 중량부, 발포제 0.2~2.5 중량부, 지당 0.01~0.2 중량부, 색소 0.002~0.2 중량부를 추가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나노 입자를 함유하는 인체에 유익한 몰딩의 제조방법.
KR1020070077349A 2007-08-01 2007-08-01 은나노 입자를 함유하는 인체에 유익한 몰딩 및 그제조방법 KR100833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349A KR100833453B1 (ko) 2007-08-01 2007-08-01 은나노 입자를 함유하는 인체에 유익한 몰딩 및 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349A KR100833453B1 (ko) 2007-08-01 2007-08-01 은나노 입자를 함유하는 인체에 유익한 몰딩 및 그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3453B1 true KR100833453B1 (ko) 2008-05-29

Family

ID=39665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7349A KR100833453B1 (ko) 2007-08-01 2007-08-01 은나노 입자를 함유하는 인체에 유익한 몰딩 및 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34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247B1 (ko) 2010-01-06 2011-03-29 (주)하이우드 친환경 몰딩 제조방법
WO2018117473A1 (ko) 2016-12-23 2018-06-28 롯데첨단소재(주) 발포성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포체
US11124643B2 (en) 2016-12-27 2021-09-21 Lotte Chemical Corporatio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manufactured therefrom
US11365304B2 (en) 2016-12-23 2022-06-21 Lotte Chemical Corporation Foaming resin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foam us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231A (ko) * 2003-10-17 2004-03-02 정철상 복합기능을 갖는 플라스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64351A (ko) * 2003-01-11 2004-07-19 목영주 은분말을 함유한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용도
KR100729841B1 (ko) * 2005-12-07 2007-06-18 노상철 인체에 유익한 몰딩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4351A (ko) * 2003-01-11 2004-07-19 목영주 은분말을 함유한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용도
KR20040018231A (ko) * 2003-10-17 2004-03-02 정철상 복합기능을 갖는 플라스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29841B1 (ko) * 2005-12-07 2007-06-18 노상철 인체에 유익한 몰딩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247B1 (ko) 2010-01-06 2011-03-29 (주)하이우드 친환경 몰딩 제조방법
WO2018117473A1 (ko) 2016-12-23 2018-06-28 롯데첨단소재(주) 발포성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포체
US11365304B2 (en) 2016-12-23 2022-06-21 Lotte Chemical Corporation Foaming resin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foam using same
US11124643B2 (en) 2016-12-27 2021-09-21 Lotte Chemical Corporatio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manufactured therefro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1602B1 (ko) 친환경 건축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80249715A1 (en) Method for producing a bacteriostatic and fungistatic additive in masterbatch for application in plastics
KR100833453B1 (ko) 은나노 입자를 함유하는 인체에 유익한 몰딩 및 그제조방법
CN103289239B (zh) 一种防虫抗菌地板膜
CN105298085A (zh) 木塑地板及其制造方法
US20070082971A1 (en) Use of a plastic composition and a product obtained thereby
CN106189864B (zh) 一种具有抗菌防霉功能的植物纤维墙衣涂料
CN109071353A (zh) 陶瓷添加剂制剂及制备方法
JP2002087842A (ja) 抗菌剤及び抗菌性人工大理石
CN107877643A (zh) 一种草木油负离子木地板制造工艺
KR102307691B1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기능을 갖는 가구용 엣지마감재
KR100729841B1 (ko) 인체에 유익한 몰딩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83542A (ko) 나노 실버와 향이 함유된 애완 동물의 물병
KR100635063B1 (ko) 기능성 수지패널 및 그 패널의 제조방법
KR20080066118A (ko) 합성수지 성형체의 제조방법
KR100426204B1 (ko) 합성수지판제조방법
JP2002003239A (ja) ガラス系抗菌剤
KR200394555Y1 (ko) 은 나노와 향이 함유된 블록
CN207862705U (zh) 一种装饰印刷纸
JP2002003238A (ja) 新規なガラス系抗菌剤
CN114190391B (zh) 防霉剂组合物和防霉方法
CN101011634B (zh) 一种抗菌玩具及其制法
CN104552973A (zh) 抗菌亚克力卫浴生产工艺
KR101400489B1 (ko) 탈취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몰딩 및 그 제조방법
JP2000281941A (ja) ゲルコート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