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1299B1 -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1299B1
KR100831299B1 KR1020010080193A KR20010080193A KR100831299B1 KR 100831299 B1 KR100831299 B1 KR 100831299B1 KR 1020010080193 A KR1020010080193 A KR 1020010080193A KR 20010080193 A KR20010080193 A KR 20010080193A KR 100831299 B1 KR100831299 B1 KR 100831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rystal display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0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9863A (ko
Inventor
이재승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0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1299B1/ko
Publication of KR20030049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액정표시소자는, C/F 기판을 위로 두고 합착할 경우, 제 1기판, 제 2기판과, 상기 제 1기판에 산포된 스페이서와, 상기 제 2기판에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와, 상기 제 2기판에 형성된 열경화형 실재와,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 모서리부와, 상기 실재 형성 부분 사이에 형성된 공차 영역과,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조방법은, C/F 기판을 위로 두고 합착할 경우, 제 1기판과 제 2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 1기판위에 스페이서를 산포하는 단계와, 상기 제 2기판위에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기판위에 열경화형 실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기판, 제 2기판 모서리부와 상기 실재 형성 부분 사이에 공차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제 2기판을 합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이다. 그리고, TFT 기판을 위로 두고 합착한 경우의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도 포함한다.
공차 영역, 액정 주입, 실재 얼룩 발생부, 탑 케이스, 열경화형 실재

Description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C/F 기판을 위로 두고 합착한 액정표시소자의 평면도.
도 2a 내지 도 2d는 종래 기술에 의한 C/F 기판을 위로 두고 합착한 액정표시소자의 제조 공정도.
도 3a는 종래 기술에 의한 탑 케이스를 부착한 액정표시소자의 평면도.
도 3b는 종래 기술에 의한 탑 케이스를 부착한 액정표시소자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C/F 기판을 위로 두고 합착한 액정표시소자의 평면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의한 C/F 기판을 위로 두고 합착한 액정표시소자의 제조 공정도.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탑 케이스를 부착한 액정표시소자의 평면도.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탑 케이스를 부착한 액정표시소자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0 : 제 1기판 401 : 제 1배향막
402 : 스페이서 403a : 액정층
410 : 열경화형 실재 420 : 액티브 영역
430 : 블랙 매트릭스 450 : 제 2기판
451 : 제 2배향막 470 : 핫 프레스
480 : 실재 얼룩 발생부 485 : 공차 영역
490 : 탑 케이스
본 발명은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으로, 기판 크기를 늘려 실재 얼룩이 발생하는 부분을 탑 케이스(Top Case)가 덮도록 하는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소자는 저전압 구동, 저소비 전력, 풀칼라(Full Color) 구현, 경박 단소, 선명한 화질 등의 특징으로 인해 계산기, 시계, 노트북, PC(Personal Computer)용 모니터(Monitor) 등에서 TV(Television), 항공용 모니터, 휴대 전화, 개인 휴대 단말기 등으로 그 영역이 확대되어 왔다.
액정표시소자는 얇은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형성하여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로 약칭)에서 스위치(switch) 되는 신호를 액정층이 받아들여 영상으로 표현시키는 것이다. 이때 얇은 기판을 밀봉(sealing, 실링)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소자의 실재는 열에 의해 경화되는 열경화형 실재를 많 이 사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C/F(Color Filter) 기판을 위로 두고 합착한 액정표시소자의 평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종래 기술에 의한 C/F 기판을 위로 두고 합착한 액정표시소자의 제조 공정도이고, 도 3a는 종래 기술에 의한 탑 케이스를 부착한 액정표시소자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종래 기술에 의한 탑 케이스를 부착한 액정표시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1과 같이, TFT가 형성되고 스페이서(Spacer)가 산포된 제 1기판(100)을 아래에 놓고, 그 위에 칼라필터(Color Filter) 패턴(Pattern)이 형성되고 액티브 영역(Active Area, 120) 외부의 외곽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 130) 부분에 열경화형 실재(110)가 도포된 제 2기판(150)을 올려 놓는다. 그런 다음, 열을 가하여 열경화형 실재(110)를 경화시킨다. 그리고, 패널 합착후 진공 주입 방법으로 액정을 주입한다. 여기서, 도면 부호 110은 열경화형 실재로서 제 2기판 아래에 도포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와 같이, 액티브 영역(120)이 정의된 TFT가 형성된 제 1기판(100) 상부에 제 1배향막(101)을 형성하고, 액티브 영역(120)이 정의된 칼라필터 패턴이 형성된 제 2기판(150) 상부에 제 2배향막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액티브 영역(120)에 상응하는 제 1기판(TFT 기판, 100)상에는 복수개의 박막트랜지스터 및 화소 전극이 형성되고, 제 2기판(칼라필터 기판, 150) 상에는 복수개의 칼라필터 패턴 및 블랙매트릭스 그리고 공통 전극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2b와 같이, 제 1배향막 상부에 스페이서(102)를 산포하고, 제 2배향막 상부에 실재로서 열경화형 실재(110)를 도포한다. 상기 열경화형 실재(110)는 상기 스페이서(102)의 외곽에 도포한다.
도 2c는 제 2배향막(151)이 형성된 제 2기판(C/F 기판, 150)을 제 1배향막(101)이 형성된 제 1기판(100) 상부에 합착하고, 경화시키는 도면이다. 상기 열경화형 실재(110)는 기존의 합착 장비인 핫 프레스(Hot Press, 170)에서 140℃, 1시간 동안 열경화된다.
도 2d는 액정 패널을 열경화형 실재(110)로 경화시켜 합착하고, 액정층(103a)을 진공 주입한 도면이다. 액정 주입은 챔버(Chamber)내에서 LCD 패널의 내부와 외부와의 압력 차이를 이용하는 진공 주입법을 사용한다. 상기 액정 주입을 위한 액정 주입구는 액정 주입이 완료된 후 봉지된다(End Seal). 상기 액정 주입은 상기 제 1, 제 2기판을 합착한 후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2 기판을 위로 두고 합착한 경우의 제조방법에 관한 설명은 제 1기판을 위로 두고 합착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열경화형 실재(110)는 에폭시(Epoxy) 수지, 우레탄(Urethane) 수지, 페놀(Phenol) 수지, 폴리 에스테르(Poly Ester) 수지 등을 경화제와 함께 일정량 혼합해 놓은 것이다. 상기 열경화형 실재(110)에 열을 가하면 경화제가 먼저 반응 시작점이 되어 수지를 공격하고 수지들이 다시 반응 사이트가 되어 다른 수지들과 연결되어 고분자화가 되고 접착력이 좋아진다. 이 접착력을 이용하여 양기판을 합 착하는 것이다. 상기 열경화형 실재(110)에 포함된 아민(Amine) 등에 의하여 실 주변의 액정이 분해되어 결과적으로 실 주변에 표시 얼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3a는, 상기 열경화형 실재(110)에 기인한 실재 얼룩 발생부(180)가 형성되고, 상기 실재 얼룩 발생부(180)가 상기 탑 케이스(190)에 의해 덮어지지 않는 도면이다.
도 3b와 같이, LCM(Liquid Crystal Module) 화면 모서리부(125)와 상기 열경화형 실재(110)가 도포되는 영역인 패널(Panel) 실링부 사이의 공차 영역(185)이 거의 없어, 상기 열경화형 실재(110)가 상기 공차 영역(185)과 상기 액티브 영역(120)에 영향을 미치므로 상기 탑 케이스(190)로 부분만 덮여져 패널 완성후에는 상기 실재 얼룩 발생부(180)가 보인다.
상기와 같은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LCM 화면 모서리부와 실링부 사이에 공차가 없어 실링부에 열경화형 실재를 도포하면 열경화형 실재가 LCM 화면 모서리부에 영향을 미쳐 얼룩이 발생하고 탑 케이스를 장착하여도 얼룩이 가려지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기존 제품보다 기판의 크기를 조금 늘리고, TFT 회로 구성부의 크기는 동일하게 제작하여 LCM 화면 모서리부와 실링부간에 일정한 공차를 두어 실재 얼룩 발생부를 커버(Cover)하는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은, 액정표시소자는, C/F 기판을 위로 두고 합착할 경우, 제 1기판, 제 2기판과, 상기 제 1기판에 산포된 스페이서와, 상기 제 2기판에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와, 상기 제 2기판에 형성된 열경화형 실재와,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 모서리부와, 상기 실재 형성 부분 사이에 형성된 공차 영역과,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조방법은, C/F 기판을 위로 두고 합착할 경우, 제 1기판과 제 2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 1기판위에 스페이서를 산포하는 단계와, 상기 제 2기판위에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기판위에 열경화형 실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기판, 제 2기판 모서리부와 상기 실재 형성 부분 사이에 공차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제 2기판을 합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TFT 기판을 위로 두고 합착한 경우의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C/F 기판을 위로 두고 합착한 액정표시소자의 평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의한 C/F 기판을 위로 두고 합착한 액정표시소자의 제조 공정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탑 케이스를 부착한 액정표시소자의 평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탑 케이스를 부착한 액정표시소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기존 제품보다 기판의 크기를 늘이고, TFT 회로 구성부의 크기는 동일하게 제작하여, LCM 화면 모서리부와 패널 실링부간에 일정한 공차를 두어 실 얼룩 발생부를 커버하는 것이다.
도 4와 같이, TFT가 형성되고 스페이서가 산포된 크기가 증가된 제 1기판(400)을 아래에 놓고, 그 위에 칼라필터 패턴이 형성되고 액티브 영역(420) 외부의 외곽 블랙매트릭스(430) 부분에 열경화형 실재(410)가 도포된 크기가 증가된 제 2기판(450)을 올려 놓는다. 그런 다음, 열을 가하여 열경화형 실재(410)를 경화시킨다. 그리고, 패널 합착후 진공 주입 방법으로 액정을 주입한다. 여기서, 도면 부호 410은 열경화형 실재로서 제 2기판 아래에 도포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a와 같이, 액티브 영역(420)이 정의된 TFT가 형성된 제 1기판(400) 상부에 제 1배향막(401)을 형성하고, 액티브 영역(420)이 정의된 칼라필터 패턴이 형성된 제 2기판(450) 상부에 제 2배향막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액티브 영역(420)에 상응하는 제 1기판(TFT 기판, 400)상에는 복수개의 박막트랜지스터 및 화소 전극이 형성되고, 제 2기판(칼라필터 기판, 450)상에는 복수개의 칼라필터 패턴 및 블랙매트릭스 그리고 공통 전극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5b와 같이, 제 1배향막 상부에 스페이서(402)를 산포하고, 제 2배향막 상부에 실재로서 열경화형 실재(410)를 도포한다. 상기 열경화형 실재(410)는 상기 스페이서(402)의 외곽에 도포한다.
도 5c는 제 2배향막(451)이 형성된 제 2기판(C/F 기판, 450)을 제 1배향막(401)이 형성된 제 1기판(400) 상부에 합착하고, 경화시키는 도면이다. 상기 열경화형 실재(410)는 기존의 합착 장비인 핫 프레스(Hot Press, 470)에서 140℃, 1시간 동안 열경화된다.
도 5d는 액정 패널을 열경화형 실재(410)로 경화시켜 합착하고, 액정층(403a)을 진공 주입한 도면이다. 액정 주입은 챔버내에서 LCD 패널의 내부와 외부와의 압력 차이를 이용하는 진공 주입법을 사용한다. 상기 액정 주입을 위한 액정 주입구는 액정 주입이 완료된 후 봉지된다(End Seal). 상기 액정 주입은 상기 제 1, 제 2기판을 합착한 후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2 기판을 위로 두고 합착한 경우의 제조방법에 관한 설명은 제 1기판을 위로 두고 합착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a와 같이, 상기 열경화형 실재(410)의 영향에 의한 실 얼룩 발생부(480)가 형성되더라도, 상기 기판의 크기를 증가시켜 상기 실재 얼룩 발생부(480)가 LCM 화면 모서리부(425)와 상기 열경화형 실재(410)가 도포되는 영역인 패널 실링부 사이의 공차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탑 케이스(490)에 의해 덮어지는 도면이다.
도 6b와 같이, LCM 화면 모서리부(425)와 패널 실링부 사이의 공차 영역(485)이 있어, 상기 열경화형 실재(410)가 상기 공차 영역(485)에 영향을 미치므로 상기 액티브 영역(420)까지 진출하지 않아 상기 탑 케이스(490)로 덮여져 패널 완성후에는 상기 실재 얼룩 발생부(480)가 보이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공차 영역을 형성하고 실재 얼룩 부분이 상기 공차 영역에 형성되므로 이후 탑 케이스에 의해 상기 실재 얼룩 부분이 가려질 수 있다.
둘째, 공차 영역을 형성하므로 실재에 의한 액정의 오염 발생이 줄어든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8)

  1. 제 1기판, 제 2기판과,
    상기 제 1기판에 산포된 스페이서와,
    상기 제 2기판에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와,
    상기 제 2기판에 형성된 열경화형 실재와,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 모서리부와, 상기 실재 형성 부분 사이에 형성된 공차 영역과,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은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 합착 후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차 영역은 상기 기판 크기를 증가시키고 TFT 회로 구성부의 크기는 동일하게 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차 영역에 실재 얼룩 발생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5. 제 1기판, 제 2기판과,
    상기 제 1기판에 형성된 열경화형 실재와,
    상기 제 2기판에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와,
    상기 제 2기판에 산포된 스페이서와,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 모서리부와, 상기 실재 형성 부분 사이에 형성된 공차 영역과,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은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 합착 후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차 영역은 상기 기판 크기를 증가시키고 TFT 회로 구성부의 크기는 동일하게 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차 영역에 실재 얼룩 발생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9. 제 1기판과 제 2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 1기판위에 스페이서를 산포하는 단계와,
    상기 제 2기판위에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기판위에 열경화형 실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기판, 제 2기판 모서리부와 상기 실재 형성 부분 사이에 공차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제 2기판을 합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제 2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은 상기 제 1, 제 2기판을 합착하는 단계 후 진공 주입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11. 삭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차 영역은 상기 기판 크기를 증가시키고 TFT 회로 구성부의 크기는 동일하게 하여 확보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차 영역에 실재 얼룩 발생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14. 제 1기판과 제 2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 1기판위에 열경화형 실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기판위에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기판위에 스페이서를 산포하는 단계와,
    상기 제 1기판, 제 2기판 모서리부와 상기 실재 형성 부분 사이에 공차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제 2기판을 합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제 2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은 상기 제 1, 제 2기판을 합착하는 단계 후 진공 주입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16. 삭제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공차 영역은 상기 기판 크기를 증가시키고 TFT 회로 구성부의 크기는 동일하게 하여 확보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공차 영역에 실재 얼룩 발생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10080193A 2001-12-17 2001-12-17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831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0193A KR100831299B1 (ko) 2001-12-17 2001-12-17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0193A KR100831299B1 (ko) 2001-12-17 2001-12-17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863A KR20030049863A (ko) 2003-06-25
KR100831299B1 true KR100831299B1 (ko) 2008-05-22

Family

ID=29575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0193A KR100831299B1 (ko) 2001-12-17 2001-12-17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12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440U (ko) * 1993-07-22 1995-02-17
JPH08240807A (ja) * 1995-03-06 1996-09-17 Fujitsu Ltd 液晶表示パネルのシール方法
KR19990043887A (ko) * 1997-11-29 1999-06-15 김영남 이.에스.디. 방지를 위한 패드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440U (ko) * 1993-07-22 1995-02-17
JPH08240807A (ja) * 1995-03-06 1996-09-17 Fujitsu Ltd 液晶表示パネルのシール方法
KR19990043887A (ko) * 1997-11-29 1999-06-15 김영남 이.에스.디. 방지를 위한 패드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863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1678B1 (ko) 전기 광학 패널, 투사형 표시 장치 및 전기 광학 패널의제조 방법
US739149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column spacer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720411B1 (ko)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865284B1 (ko) 액정패널의 실링구조
KR100516656B1 (ko) 액정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05013478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WO2020087869A1 (en) Display pane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0437837B1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831299B1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2005004119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narrow cell gap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0592381B1 (ko) 액정 표시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0011671A (ko) 액정표시소자
JPS60119526A (ja) 液晶表示セルの製造方法
JP3861530B2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3636193B2 (ja) 液晶パネル及び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
KR101289064B1 (ko)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JP2007010706A (ja) 液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05670A (ko) 액정 장치, 액정 장치의 제조 방법, 전자 기기
KR100831281B1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78846B1 (ko) 액정표시소자의 에이징 방법
JP4200721B2 (ja)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847809B1 (ko)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KR100720094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202338758A (zh) 曲面面板及其製造方法
KR20020041184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