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1171B1 - 조립식 모형 해시계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모형 해시계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1171B1
KR100831171B1 KR1020060084148A KR20060084148A KR100831171B1 KR 100831171 B1 KR100831171 B1 KR 100831171B1 KR 1020060084148 A KR1020060084148 A KR 1020060084148A KR 20060084148 A KR20060084148 A KR 20060084148A KR 100831171 B1 KR100831171 B1 KR 100831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sundial
shiban
leg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4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0811A (ko
Inventor
허훈
Original Assignee
허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훈 filed Critical 허훈
Priority to KR1020060084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1171B1/ko
Publication of KR20080020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0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9/00Time-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9/02Sundi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모형 해시계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개도로 인쇄된 각 부분품들을 절취선들을 따라 절개한 후 절곡 및 접합시켜 직접 조립하는 조립식 모형 해시계를 제공하여 해시계의 원리이해와 절기 및 시간 그리고 영침 설치의 원리를 정확하게 이해하므로 학습능률을 향상시키고, 공작(工作)을 통하여 성취감과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조립식 모형해시계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해시계, 앙부일구, 시반, 영침, 시반테두리부, 다리부, 받침대

Description

조립식 모형 해시계 및 그 조립방법{Fabricated model sundial and the assembly method}
도 1은 본 발명 조립식 모형 해시계의 조립이 완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식 모형 해시계에서 시반의 표면도와 이면도를 도시한 전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침의 표면도와 이면도를 도시한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반테두리부의 표면도와 이면도를 도시한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부의 표면도와 이면도를 도시한 전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표면도와 이면도를 도시한 전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명패의 표면도와 이면도를 도시한 전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반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부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시반테두리부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침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판에 조립이 완성된 모형 해시계를 올려놓고 명패를 함께하여 전시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시반 110: 제1시반
120: 제2시반 111: 절기선
112: 시각선 113: 바닥부
114: 구멍 115: 절취선
200: 영침 200a: 제1영침부
200b: 제2영침부 210: 지시부
220: 걸림부 230: 결합홈
300: 시반테두리부 400: 다리부
500: 받침대 510: 제1받침바
520: 제2받침바 600: 접합부
650: 절첩선 700: 받침판
710: 위치지정선 720: 방향표시선
730: 시차보정표 740: 고정편
800: 명패
본 발명은 조립식 모형 해시계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전개도로 인쇄된 모형 해시계의 각 부분품들을 절취선들을 따라 절개한 후 절곡 및 접합시켜 직접 조립하여 제작하는 조립식 모형 해시계를 제공하고 이를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시계는 지구의 자전에 의하여 물체의 그림자가 이동하는 것으로부터 시간이 경과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우리나라의 해시계 역사는 1437년(세종 19) 처음으로 만들어져, 혜정교(惠政橋)와 종묘 남가(南街)에 각각 석대를 쌓아 그 위에 설치하여 한국 최초의 공중시계 역할을 하다가 임진왜란 때 유실되어 없어지고, 2∼3세기 후에 만들어진 2개의 앙부일구가 남아 보물로 지정되었다.
상기 앙부일구는 '하늘을 쳐다보는 솥 모양의 해시계'라는 뜻으로 쉽게 말해서 오목해시계라 할 수 있다.
상기 앙부일구의 구조는 해 그림자를 받는 시반과, 해 그림자를 나타내는 영침과, 시반을 단단하게 고정시켜 주는 받침대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시반은 오목한 반구형의 솥 모양으로 동지에서 하지에 이르는 24절기가 13개의 절기선으로 표시되어 있고 이 절기선에 수직으로 시각선이 표시되어 있어 시계바닥의 역할을 하고, 상기 영침은 시반의 경사면에 북극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꽂혀있어 그림자로 시반의 시간과 절기를 표시하는 시계바늘 역할을 하며, 상기 받 침대는 십자형태로 이루어져 정확한 수평을 잡아 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해시계를 교과서에 개재된 그림이나 사진을 보고 해시계의 원리이해와 절기 및 시간 그리고 태양의 일주운동과 태양주위를 공전하는 지구의 타원운동등 과학적 이론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반구형의 대접 모양으로 내측에 수평으로 동지에서 하지에 이르는 24절기를 13선의 절기선으로 나타내고 수직으로 시각선이 그려진 시반; 상기 시반의 내측 영점 위치에 고정되어 그늘을 만들어 내는 영침; 상기 시반을 고정하기 위해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학습 교구용 해시계가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학습교구용 해시계는 선조들이 제작한 앙부일구의 해시계를 본따 단지 학습교구용으로 만든 것으로, 직접 공작을 통한 성취감이나 재미를 느낄 수 없을 뿐만아니라, 해시계의 형상을 비슷하게 갖추었을 뿐 해시계의 원리를 이해하고 학습하는 데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시계(앙부일구;반구형)의 모형을 전개도로 제작하여 직접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시계의 원리를 학습하고, 지구의 자전과 공전 및지축의 기움 등의 과학적 이론의 이해를 도우며, 공작(工作)을 통하여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모형 해시계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로로 동지에서 하지에 이르는 24절기를 13개의 선으로 표기하는 절기선과 세로로 시간을 12개의 선으로 표기하는 시각선이 그려지고, 두개의 구멍이 구비되는 바닥부의 외곽테두리로부터 방사상으로 절취선이 구비되어 오목하게 접어지는 제1시반과, 상기 제1시반의 절기선과 시각선이 연결되어 그려지고, 상기 시각선의 영점위치에 끼움홈이 구비되며, 두개의 구멍이 구비되는 바닥부의 외곽테두리로부터 방사상으로 절취선이 구비되어 오목하게 접어지는 제2시반이 상기 바닥부의 구멍을 중심으로 결합되어 반구형상을 이루는 시반과; 상기 시반의 끼움홈에 고정되는 후단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의 일단에는 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일정한 형상의 그림자가 유지되도록 사방이 동일한 "+"자 형상을 가지는 선단 지시부를 구비한 영침과; 상기 시반의 절기선에 맞춰 24절기가 표기되고, 시각선에 맞춰 시간이 표기되어 상기 시반의 상면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시반테두리부와; 상기 시반테두리부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시반을 받쳐주는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와 시반의 저면 중앙에 고정되어 수평을 잡아주는 십자형태의 받침대;가 전개도로 인쇄되고 절취선들을 따라 절개 후 절곡 및 접합시켜 조립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모형 해시계의 제작에 필요한 각 부분품의 전개도를 준비하는 제1단계와; 상기 준비된 전개도에서 제1시반과 제2시반을 떼어내거나 오려내어 절기선 및 시각선이 그려진 부분이 내측을 향하도록 절취선들을 접착한 다음, 제1시반과 제2시반에 구비된 바닥부의 두 구멍을 맞추고 제1시반 접합부와 제2시반 접합부가 서 로 타측 제1,제2시반 외면에 접착되어 반구형의 시반을 완성하는 제2단계와; 상기 준비된 전개도에서 4개의 다리부를 떼어내거나 오려내어 접고 접착한 다음 시반의 상면에 접착하여 고정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준비된 전개도에서 시반테두리부를 떼어내거나 오려내어 시반 상면 가장자리와 다리부의 상면에 접착하여 고정시키는 제4단계와; 상기 준비된 전개도에서 받침대를 떼어내거나 오려내어 접고 십자형태로 접착한 다음 상기 시반의 저면 중앙에 받침대의 중앙을 접착하고, 받침대의 가장자리에 다리부의 하부를 접착하여 고정시키는 제5단계와; 상기 준비된 전개도에서 영침을 떼어내거나 오려내어 사방이 동일한 "+"자 형상의 지시부를 갖도록 접고 접착한 다음 걸림부를 시반의 끼움홈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제6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모형 해시계의 조립이 완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모형 해시계의 각 부분품의 표면도와 이면도를 도시한 전개도이고, 도8 ~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모형 해시계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판에 조립이 완성된 모형 해시계를 올려놓고 명패를 함께하여 전시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2 ~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반(100)과, 영침(200)과, 시반테두리부(300)와, 다리부(400)와, 받침대(500)가 전개도로 인쇄되고 절취선들을 따라 절개 후 절곡 및 접합시켜 조립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시반(100)은 가로로 동지에서 하지에 이르는 24절기를 13개의 선으로 표기하는 절기선(111)과 세로로 시간을 12개의 선으로 표기하는 시각선(112)이 그려지고 두개의 구멍(114)이 구비되는 바닥부(113)의 외곽테두리로부터 방사상으로 절취선(115)이 구비되어 오목하게 접어지는 제1시반(110)과, 상기 제1시반(110)의 절기선(111)과 시각선(112)이 연결되어 그려지고 상기 시각선(112)의 영점위치에 끼움홈(121)이 구비되며 두개의 구멍(114)이 구비되는 바닥부(113)의 외곽테두리로부터 방사상으로 절취선(115)이 구비되어 오목하게 접어지는 제2시반(120)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시반(110)과 제2시반(120)의 절취선(115)에는 오목하게 접어 절취선들을 연결하는 접합부(600)를 구비한다.
상기 영침(200)은 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일정한 형상의 그림자가 유지되도록 사방이 동일한 "+"자 형상을 가지는 선단 지시부(210)를 구비하고, 상기 지시부(210)의 후단에는 시반(100)의 끼움홈(121)에 고정되는 걸림부(220)를 구비한다.
상기 영침(200)의 지시부(210)는 필요에 따라 원하는 모양으로 만들 수는 있지만, 불꽃모양 또는 시계바늘 모양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락직하고, 상기 걸림 부(220)는 시반의 끼움홈(121)에 삽입이 잘 이루어지고 삽입 후 걸림 되도록 일측으로 약간 휘어지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방이 동일한 "+"자 형상의 지시부(210)를 구비하기 위해서는 상기 지시부(210)의 중앙을 접어서 중앙의 일측에 걸림부(220)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220)가 구비된 측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이 이루어지도록 한 제1영침부(200a)와 제2영침부(200b)를 구비한다.
상기 제1영침부(200a)와 제2영침부(200b)는 각각 지시부(210)의 중앙을 기준으로 걸림부(220)가 구비된 일면에 풀칠하여 대칭하는 면과 접착되도록 하고, 걸림부(220)가 구비되지 않은 일면은 제1영침부(200a)와 제2영침부(200b)의 대응면에 접착하여 "+"자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영침(200)의 걸림부(220)에는 시반(100)의 끼움홈(12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홈(221)을 더 구비하여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반테두리부(300)는 시반(100)의 상면 가장자리에 구비하는 것으로 시반(100)의 절기선(111)에 맞춰 24절기를 표기하고, 시각선(112)에 맞춰 시간을 표기한다.
상기 24절기는 1년동안의 태양의 움직임을 24개의 절기로 나누어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시반의 절기선에 맞춰서 좌측에는 동지,대설,소설,입동,상강,한로,추분,백로,처서,입추,대서,소서,하지까지 표기하고 우측에는 동지,소한,대한,입춘,우수,경칩,춘분,청명,곡우,입하,소만,망종,하지까지 표기한다.
또한, 상기 시각선에 맞춰서 시간을 표기하되, 23시~1시:자시, 1시~3시:축시, 3시~5시:인시, 5시~7시:묘시, 7시~9시:진시, 9시~11시:사시, 11시~13시:오시, 13시~15시:미시, 15시~17시:신시, 17시~19시:유시, 19시~21시:술시, 21시~23시:해시 로 표기한다. 또는 1시~24시의 숫자로 표기한다.
상기 다리부(400)는 시반테두리부(300)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시반(100)을 받쳐주는 것으로, 4개의 다리부(400)를 구비하여 시반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받침대(500)는 일자형상의 제1받침바(510)와 상기 제1받침바(510)가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길이방향의 중앙을 제1받침바(510)의 폭만큼 절개한 제2받침바(520)로 구비하여 상기 제1받침바(510)와 제2받침바(520)가 수평을 잡아주는 십자형태를 이루도록 결합하여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시반(100)과, 시반테두리부(300)와, 다리부(400)와, 받침대(500)의 각 연결부위에는 상호 면접촉하여 접착되는 접합부(600)를 더 구비하여 상호 접착 및 결합이 더욱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접합부(600)에는 ■,●,▲,◆,□,○,△,◇ 등을 표시하여 상호 대응하는 접착부의 풀칠영역은 상호 동일하면서도 유일한 색상으로 인쇄하여 상호 접착면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시반(100)과, 영침(200)과, 시반테두리부(300)와, 다리부(400)와, 받침대(500)의 각 부분품들의 이면에는 절곡이 필요한 부분에 절첩선(650)을 표시한다.
이때, 절첩선(650)은 일점쇄선과 점선으로 구분하거나 또는 색깔로서 구분하여 안으로 접고, 바깥으로 접는 것을 구분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목과 조립하여 제작한 사람의 이름을 새기고 전시할 수 있도록 명패(800)를 별도로 구비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구비되고, 외부 상면에는 모형 해시계를 올려놓는 위치지정선(710)이 표기되며, 상기 위치지정선(710)의 일측에는 나침반을 올려놓는 방향표시선(720)과 타측에는 시차보정표(730)가 표기되어 조립된 모형 해시계를 정확히 읽을 수 있도록 한 받침판(700)을 구비한다.
상기 받침판(700)의 위치지정선(710)에는 조립된 모형 해시계의 십자받침대(500)가 올려지는 위치에 고정편(740)을 더 구비하여 십자받침대(5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받침판(700)은 모형 해시계의 각 부분품들의 전개도를 포장하여 판매할 수 있으며, 모형 해시계의 조립이 완성되면 상기 받침판(700) 위에 올려놓고 나침반과 시차보정표를 참고로 하여 정확히 읽을 수 있도록 보조한다.
그리고, 상기 모형 해시계의 재질은 판지,골지,마분지,종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접착제는 테이프, 풀, 아교 등으로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개도를 도 8 ~ 도 12를 참조로 하여 모형 해시계의 조 립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단계(S10)는 모형 해시계의 제작에 필요한 각 부분품의 전개도를 준비한다.
제2단계(S2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준비된 전개도에서 제1시반(110)과 제2시반(120)을 떼어내거나 오려내어 절기선(111) 및 시각선(112)이 그려진 부분이 내측을 향하도록 절취선(115)들을 접착하여 오목하게 만든 다음, 제1시반(110)과 제2시반(120)에 구비된 바닥부(113)를 포개어 두 구멍(114)을 맞추고 제1시반(110)의 접합부(600)와 제2시반(120)의 접합부(600)를 서로 타측 제1,제2시반의 외면에 접착하여 반구형의 시반(100)을 완성한다.
이때, 바닥부(113)의 두 구멍(114)에는 이쑤시개와 같은 꼬챙이를 끼워 사용하면 제1시반(110)과 제2시반(120)의 중심을 맞추는데 더욱 편리하다.
제3단계(S3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준비된 전개도에서 4개의 다리부(400)를 떼어내거나 오려내어 접고 풀칠하여 각각 다리를 만든 다음 시반(100)의 상면 접합부(600)에 다리부(400)의 상면 중앙 접합부(600)를 접착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모든 접합부(600)는 접합부(600)에 표시된 숫자나 도형을 비교하여 접착위치를 확인한다.
제4단계(S4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준비된 전개도에서 시반테두리부(300)를 떼어내거나 오려내어 시반(100) 상면 가장자리의 접합부(600)와 다리부(400)의 상면 양측 접합부(600)에 접착하여 고정시킨다.
제5단계(S5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준비된 전개도에서 제1받침 바(510)와 제2받침바(520)를 떼어내거나 오려내어 각각 접고 풀칠하여 접착한 다음 일자형상의 제1받침바(510)를 제2받침바(520)의 중앙 절개부에 넣고 접착하여 십자형태의 받침대(500)를 만든다.
상기 받침대(500)의 중앙을 시반(100)의 저면 중앙에 접착하고, 받침대(500)의 가장자리에 다리부(400)의 하측 접합부(600)를 접착하여 고정시킨다.
제6단계(S6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준비된 전개도에서 제1영침부(200a)와 제2영침부(200b)를 떼어내거나 오려내어 각각 지시부(210)의 중앙을 기준으로 걸림부(220)가 구비된 일면에 풀칠하여 대칭하는 면과 접착되도록 하고, 걸림부(220)가 구비되지 않은 일면은 제1영침부(220a)와 제2영침부(220b)의 대응면에 접착하여 "+"자 형상을 갖는 영침을 만든 다음, 상기 영침의 걸림부를 시반의 끼움홈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면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성된 모형 해시계를 상기 받침판 위에 올려놓고 나침반과 시차보정표를 참고로 하여 정확히 읽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목과 만든 사람의 이름을 새기는 명패를 만들어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대체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해시계(앙부일구;반구형)의 모형을 전개도로 제작하여 직접 조립함으로써 해시계의 원리이해와 절기 및 시간 그리고 영침 설치의 원리를 정확하게 이해하므로 학습능률을 향상시키고, 공작(工作)을 통하여 성취감과 재미를 느낄 수 있어 제품 전체의 상품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반구형의 대접 모양으로 내측에 수평으로 동지에서 하지에 이르는 24절기를 13선의 절기선으로 나타내고 수직으로 시각선이 그려진 시반, 상기 시반의 내측 영점 위치에 고정되어 그늘을 만들어 내는 영침, 상기 시반을 고정하기 위해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립식 해시계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해시계는 가로로 동지에서 하지에 이르는 24절기를 13개의 선으로 표기하는 절기선(111)과 세로로 시간을 12개의 선으로 표기하는 시각선(112)이 그려지고, 두개의 구멍(114)이 구비되는 바닥부(113)의 외곽테두리로부터 방사상으로 절취선(115)이 구비되어 오목하게 접어지는 제1시반(110)과, 상기 제1시반의 절기선(111)과 시각선(112)이 연결되어 그려지고, 상기 시각선(112)의 영점위치에 끼움홈(121)이 구비되며, 두개의 구멍(114)이 구비되는 바닥부(113)의 외곽테두리로부터 방사상으로 절취선(115)이 구비되어 오목하게 접어지는 제2시반(120)이 상기 바닥부(113)의 구멍(114)을 중심으로 결합되어 반구형상을 이루는 시반(100)과;
    상기 시반(100)의 끼움홈(121)에 고정되는 후단 걸림부(220)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220)의 일단에는 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일정한 형상의 그림자가 유지되도록 사방이 동일한 "+"자형상을 가지는 선단 지시부(210)를 구비한 영침(200)과;
    상기 시반(100)의 절기선(111)에 맞춰 24절기가 표기되고, 시각선(112)에 맞춰 시간이 표기되어 상기 시반(100)의 상면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시반테두리부(300)와;
    상기 시반테두리부(300)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시반(100)을 받쳐주는 다리부(400)와;
    상기 다리부(400)와 시반(100)의 저면 중앙에 고정되어 수평을 잡아주는 십자받침대(500)와;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구비되고, 외부 상면에는 상기 십자받침대(500)가 위치하는 위치지정선(710)이 표기되며, 상기 위치지정선(710)의 일측에는 나침반을 올려놓는 방향표시선(720)과 시차보정표(730)가 표기되는 받침판(700);이 전개도로 인쇄되고 절취선들을 따라 절개 후 절곡 및 접합시켜 조립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모형 해시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반(100)과, 시반테두리부(300)와, 다리부(400)와, 십자받침대(500)의 각 연결부위에는 상호 면접촉하여 접착되는 접합부(6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모형 해시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침(200)의 후단 걸림부(220)에는 시반(100)의 끼움홈(12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홈(22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모형 해시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700)의 위치지정선(710)에는 상기 십자받침대(500)를 지지하는 고정편(74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모형 해시계.
  5. 모형 해시계의 제작에 필요한 각 부분품의 전개도를 준비하는 제1단계(S10)와;
    상기 준비된 전개도에서 제1시반(110)과 제2시반(120)을 떼어내거나 오려내어 절기선 (111)및 시각선(112)이 그려진 부분이 내측을 향하도록 절취선(115)들을 접착한 다음, 제1시반(110)과 제2시반(120)에 구비된 바닥부(113)의 두 구멍(114)을 맞추고 제1시반 접합부(600)와 제2시반 접합부(600)가 서로 타측 제1,제2시반 외면에 접착되어 반구형의 시반(100)을 완성하는 제2단계(S20)와;
    상기 준비된 전개도에서 4개의 다리부(400)를 떼어내거나 오려내어 접고 접착한 다음 시반(100)의 상면에 접착하여 고정시키는 제3단계(S30)와;
    상기 준비된 전개도에서 시반테두리부(300)를 떼어내거나 오려내어 시반(100) 상면 가장자리와 다리부(400)의 상면에 접착하여 고정시키는 제4단계(S40)와;
    상기 준비된 전개도에서 받침대(500)를 떼어내거나 오려내어 접고 십자형태로 접착한 다음 상기 시반(100)의 저면 중앙에 받침대(500)의 중앙을 접착하고, 받침대(500)의 가장자리에 다리부(400)의 하부를 접착하여 고정시키는 제5단계(S50)와;
    상기 준비된 전개도에서 영침(200)을 떼어내거나 오려내어 사방이 동일한 "+"자 형상의 지시부(210)를 갖도록 접고 접착한 다음 걸림부(220)를 시반(100)의 끼움홈(121)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제6단계(S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하는 조립식 모형 해시계의 조립방법.
  6. 삭제
KR1020060084148A 2006-09-01 2006-09-01 조립식 모형 해시계 및 그 조립방법 KR100831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148A KR100831171B1 (ko) 2006-09-01 2006-09-01 조립식 모형 해시계 및 그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148A KR100831171B1 (ko) 2006-09-01 2006-09-01 조립식 모형 해시계 및 그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0811A KR20080020811A (ko) 2008-03-06
KR100831171B1 true KR100831171B1 (ko) 2008-05-21

Family

ID=39395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4148A KR100831171B1 (ko) 2006-09-01 2006-09-01 조립식 모형 해시계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11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137B1 (ko) * 2008-04-11 2009-09-08 허훈 조립식 모형 혼천의 및 그 조립 방법
KR100951372B1 (ko) * 2008-08-19 2010-04-08 정창우 조립식 모형 해시계 및 그 조립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189A (ja) 1986-05-30 1988-02-01 Masaji Nakano 日時計製作法
KR940010770U (ko) * 1992-10-15 1994-05-27 조창익 교습용 해시계
JP2003066166A (ja) 2001-08-23 2003-03-05 Yusuke Nakai 自発的方位配向機構および自発的水平保持機構を有する日時計
KR20040101626A (ko) * 2003-05-26 2004-12-03 서경리 학습 교구용 해시계 및 그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189A (ja) 1986-05-30 1988-02-01 Masaji Nakano 日時計製作法
KR940010770U (ko) * 1992-10-15 1994-05-27 조창익 교습용 해시계
JP2003066166A (ja) 2001-08-23 2003-03-05 Yusuke Nakai 自発的方位配向機構および自発的水平保持機構を有する日時計
KR20040101626A (ko) * 2003-05-26 2004-12-03 서경리 학습 교구용 해시계 및 그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0811A (ko) 200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99904T3 (es) Un conjunto de modelado
KR100831171B1 (ko) 조립식 모형 해시계 및 그 조립방법
CN103367484B (zh) 太阳能发电装置以及电子表
KR200463580Y1 (ko) 달 위상 변화 관찰교구
US4582286A (en) Easel display stand
KR100517627B1 (ko) 학습 교구용 해시계 및 그 조립방법
KR20180025605A (ko) 조립식 모형 해시계 및 그 조립방법
US9446623B2 (en) Egg decorating kit
US20130273269A1 (en) Personalized Keepsake
KR100951372B1 (ko) 조립식 모형 해시계 및 그 조립방법
CN207799956U (zh) 用于钢琴教学的辅助用品
JP2007097855A (ja) 組立て式フレーム
JP3044345U (ja) 立体組立体
CN220615300U (zh) 一种可弯折的多角度调节立体卡牌结构
JP3110138U (ja) グラウンドゴルフ等のスタート表示体
JPH0325990Y2 (ko)
Ribouillault Julius III’s Tower of the Winds: A Forgotten Aspect of Villa Giulia
CN220476385U (zh) 一种方便观察植物根部生长拼砌型观察窗体
JP3149431U (ja) 三角柱筐体
CN206394298U (zh) 一种带有插扣的压花贺卡
KR200394653Y1 (ko) 지구본 시계
JP3004070U (ja) 建物の立体模型用キット
TW201124954A (en) Learning game box.
KR20220051119A (ko)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
JPS606860Y2 (ja) 組立表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