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653Y1 - 지구본 시계 - Google Patents

지구본 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653Y1
KR200394653Y1 KR20-2005-0018273U KR20050018273U KR200394653Y1 KR 200394653 Y1 KR200394653 Y1 KR 200394653Y1 KR 20050018273 U KR20050018273 U KR 20050018273U KR 200394653 Y1 KR200394653 Y1 KR 2003946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arth model
clock
pedestal
gl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2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20-2005-00182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6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6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6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22Arrangements for indicating different local apparent times; Universal time pieces
    • G04B19/226Arrangements for indicating different local apparent times; Universal time pieces three-dimensionally shaped, e.g. terrestrial globes, cylinders and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현재의 시간과 세계 각국의 현재 시간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지구본 시계에 관한 것으로, 구형의 지구모형과, 지구모형을 기울어진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와, 지지대를 바닥에 고정하는 받침대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 지구모형의 하부와 받침대의 사이에는, 초틀과, 분틀과, 시틀이 동축상에 순차 배치된 원뿔형의 시계가 위치되고; 지구모형의 중심은 제 1투명커버를 통해 시틀에 고정되어 시틀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저면에 초틀, 분틀, 시틀을 작동시키는 작동모듈이 고정된 세계시간틀이 시틀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동축상으로 위치되며; 받침대와 지지대의 사이에는 세계시간틀에 고정된 상태로 초틀, 분틀, 시틀, 세계시간틀을 커버하는 제 2투명커버가 회전가능하게 위치되고; 시표시눈금의 12시 위치와, 세계시간표시눈금의 12시 위치에는 기준선이 표시되면서 받침대의 전면 중앙에는 기준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이와 같이 하면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면서도 지구본의 기능, 시계의 기능, 세계시간표시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고, 시틀의 회전에 따라 지구모형이 기계식으로 연동하고, 또 손으로 세계시간틀을 돌려 세계시간을 확인하는 것이므로 현재 시간의 표시 및 세계시간의 표시에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지구본 시계 {the globe clock}
본 고안은 지구본 시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현재의 시간과 세계 각국의 현재 시간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지구본은 구형의 외주면에 세계지도를 표시하여 지구를 축소·형상화한 것으로,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를 한눈에 볼 수 있어 교육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구본은 구형의 지구모형과, 지구모형을 그 실제 상태와 같이 23.5°정도 기울어진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와, 지지대를 바닥에 고정하는 받침대로 구성함이 보통이다.
그런데, 일반적인 지구본은 단순히 지도만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각 나라가 지구상의 어느 부위에 존재하는 지에 대해서는 쉽게 인식할 수 있으나, 그 이외의 기능은 전혀 없어 기능성에 한계가 있는 것이었으며, 이로 인해 각 가정마다 고가의 지구본을 학습용으로 하나씩 장만하고 있지만 초등학교 저학년만 지나면 실질적으로 지구본에 대한 관심이 적어지게 되어 구석에 방치하거나 폐기해버리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한편, 산업의 발달로 나라 사이의 교역이 활발해지면서 세계가 점차 가까워지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각 나라별 시차, 또는 해외의 현재시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실제 교육현장에서는 이에 대한 교육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다만 관심있는 특정한 사람들만이 알고 있는 게 현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지구본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구본과 시계를 결합하기도 하였는데, 종래에는 지구본의 받침대에 공지의 디지털시계나 공지의 아날로그시계를 단순히 장착하는 형태이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속한 지역의 현재 시간만을 확인할 수 있을 뿐 세계 각국의 현재 시간을 확인할 수 없었다.
이에, 지구본과 시계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시계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지구본이 자전주기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세계 각국의 현재시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지구본 시계가 시도되었는데, 실용신안공보 제1982-1786호에서는 지구본의 내부 중간에 링기어를 수평으로 고정하여 소형모터에 감속장치를 연설하고, 감속피니언과 일기어를 치합접등으로 지구본이 자전을 하도록 자전 가동장치를 구성하되, 그 회전은 24시간에 1회전을 하도록 하고, 소형모터의 케이스 후단은 축의 중간에 고정한 지지편에 핀으로 유착하여 이 핀을 기점으로 지지체 상단에 유설한 트리를 수동으로 감으면 그 끈의 끝이 소형모터의 케이스에 결박되어 있으므로 인하여 링기어에 접동되어 있는 감속피니언이 인상, 이탈하게 되어 자전을 중단하게 하고, 또 지구본의 적도선상위에는 등간격으로 24개의 감착원공을 천공하여 T형 시간표시편을 지구본상의 각국에 따라 시간에 맞는 것으로 순서적으로 감착 또는 이탈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그 밑에는 분눈금과 시간표시가 인쇄된 링형의 시간표시밴드를 수개의 괘구에 감삽설치하여 이 시간 표시밴드를 돌려서 자국의 현재 시각을 맞춤으로써 타국의 현재 시각을 읽어볼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인 바, 이 종래의 지구본시계의 경우 지구본 내부에 링기어 및 소형모터, 감속피니언 등의 각종 부품을 장착하기가 힘들게 되는 등 그 제작이 매우 번거롭게 됨은 물론 지구본의 적도부위에 시간표시편과 시간표시밴드가 설치되어 그 외관이 조잡하게 되고 자국의 현재 시각 및 세계 각국의 현재 시각을 확인하기도 매우 번거롭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다른 방식으로, 실용신안등록 제253522호의 경우 구형 본체와 받침대, 회전축을 갖는 공지의 지구본에 지구본의 회전량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 지구본의 회전량에 따른 해당 타임존의 대표도시명과 현재 시각을 표시하기 위한 세계시계 출력수단, 상기 본체의 회전에 관계없이 동일한 위치를 지키도록 상기 본체의 상단에 축과 나란하게 고정되어 사용자가 현재 시각의 확인을 원하는 지역을 가리키기 위한 타임존 지지수단, 상기 세계시계 출력수단에 내장되며 각 타임존의 대표 도시명과 시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지구본의 회전량 정보로부터 선택된 타임존의 대표도시명과 해당 타임존의 시차 데이터를 세계시계 출력수단에 공급하는 프로세서를 장착한 것인 바, 이러한 디지털타입의 것은 감지수단 및 출력수단, 지지수단, 프로세서 등을 구성하기가 매우 어려워 제작비용이 많이 들게 될 뿐 아니라 고장의 우려가 많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지구모형의 하부에 시계를 배치하되, 시계의 축이 지구모형의 하부 중심에 연결되게 하여 지구모형을 자전주기에 따라 자전하게 하고, 시계를 작동시키는 작동모듈이 고정되어 있는 세계시간틀을 시계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위치시켜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지구모형을 통해 지구본의 기능을 구현하고, 시계를 통해 현재의 시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세계시간틀을 회전시켜 지구모형의 원하는 부위 경도를 기준선에 맞추면 세계 각국의 현재시간을 알아볼 수 있는 지구본 시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구본 시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구본 시계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구본 시계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구본 시계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지구본 시계의 사용상태도로서, 도 5a는 영점을 잡을 때의 상태도이고, 도 5b는 현재시간이 표시되는 경우의 상태도이고, 도 5c는 원하는 국가의 현재시간이 표시되는 경우의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구본 시계는 구형의 지구모형(110)과, 지구모형(110)을 기울어진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120)와, 지지대(120)를 바닥에 고정하는 받침대(130)가 구비되어 있어 외형적으로는 일반적인 지구본과 유사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지구모형(110)의 하부와 받침대(130)의 사이에는, 원뿔형의 초틀(210)과, 둘레를 따라 분표시눈금(221)이 정방향으로 새겨진 분틀(220)과, 둘레를 따라 시표시눈금(231)이 정방향으로 새겨진 시틀(230)이 동축상에 순차 배치된 원뿔형의 시계(200)가 위치되고, 지구모형(110)의 중심은 초틀(210)과 분틀(220)을 간섭하지 않게 커버하는 제 1투명커버(240)를 통해 시틀(230)에 고정되어 시틀(230)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즉, 지구모형(110)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자전주기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둘레를 따라 세계시간표시눈금(301)이 시틀(230)의 시표시눈금(231)과는 반대방향으로 새겨지고, 저면에는 초틀(210), 분틀(220), 시틀(230)의 중심과 각각 연결되어 이들을 각각 회전작동시키는 다중관식의 작동봉(251)을 갖는 작동모듈(250)이 고정된 세계시간틀(300)이 마련되어 시틀(23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동축상으로 위치된다.
받침대(130)와 지지대(120)의 사이에는 세계시간틀(300)에 고정된 상태로 초틀(210), 분틀(220), 시틀(230), 세계시간틀(300)을 커버하는 원뿔형의 제 2투명커버(310)가 초틀(210), 분틀(220), 시틀(230)과는 간섭되지 않으면서 회전가능하게 위치되고, 시표시눈금(231)의 12시 위치와, 세계시간표시눈금(301)의 12시 위치에는 상하방향으로 직선을 이루는 기준선(232)(302)이 표시되며, 받침대(130)의 전면 중앙에는 기준돌기(131)가 돌출 형성되고, 제 2투명커버(310)의 하부측 둘레에는 손으로 눌러 돌릴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돌기(311)가 돌출 형성된다.
지구모형(110)의 중앙 상부에는 승강축(111)이 형성되고, 지지대(120)의 상단부에는 관통홀(121)이 형성되어 승강축(111)이 관통홀(121)에 끼워지며, 지지대(120)의 관통홀주위에는 제 1영구자석(122)이 고정되고, 승강축(111)의 상단 주위에는 마주보는 부위의 극성이 제 1영구자석(122)과 동일하게 제 2영구자석(112)이 고정되어 각 영구자석(112)(122) 사이의 반발력에 의해 지구모형(110)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지구본 시계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먼저, 작동모듈(250)의 조정노브(미도시)를 이용하여 지구모형(110)으로부터 자신이 원하는 국가를 선택하여 그 경도와, 시틀(230), 세계시간틀(300)의 기준선(232)(302)과 받침대(130)의 기준돌기(131)를 모두 맞추어 영점을 잡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사용자가 택한 국가의 현재의 시간으로 분틀(220)과 시틀(230)을 조정하면 지구모형(110) 역시 시틀(230)과 같이 그 위치가 조정되고, 이후 전원을 온하여 시계(200)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시계(200)는 원뿔형으로 되어 있으며, 상부로부터 초틀(210), 분틀(220), 시틀(230)이 순차 위치되어 있고, 그 외측으로는 제 1투명커버(240)와 제 2투명커버(310)가 씌워져 있어 사용자는 세계시간틀(300)의 기준선(302) 및 받침대(130)의 기준돌기(131)와 시틀(230)이 일치하는 부위를 보고 현재 몇시인 지를 확인할 수 있고, 또 기준선(302) 및 기준돌기(131)와 분틀(220)이 일치하는 부위를 보고 몇분인 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시틀(230)과 지구모형(110)의 중심은 제 1투명커버(240)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시간경과에 따라 시틀(230)이 회전되면 지구모형(110) 역시 같이 회전되어 마치 지구가 자전주기로 자전하는 것과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나라의 현재 시간을 알고 싶으면 손가락을 이용하여 제 2투명커버(310)의 돌기(311)를 돌려 지구모형(110)으로부터 확인되는 국가의 경도를 받침대(130)의 기준돌기(131)에 맞춘 후 이 기준돌기(131)와 세계시간틀(300)의 세계시간표시눈금(301)이 일치되는 부위로부터 그 나라의 현재 시간을 알 수 있다.
즉, 제 2투명커버(310)를 돌리면 이와 고정된 세계시간틀(300)은 물론 시계(200)와 지구모형(110)까지 한꺼번에 회전되는 것으로, 최초로 영점을 맞춘 국가가 한국이고, 프랑스의 현재시간을 알아본다고 할 경우, 한국이 현재 오전 10시 정각이라면 제 2투명커버(310)를 돌려 지구모형(110)의 프랑스의 위치를 기준돌기(131)에 맞추면 세계시간틀(300)의 세계시간표시눈금(301)과 기준돌기(131)가 만나는 부위에서 약 오전 2시를 가리키게 되므로 현재 프랑스는 오전 2시쯤이라고 인식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 현재 시간에 맞출 때에는 제 2투명커버(310)를 반대로 돌려 세계시간틀(300)의 기준선(302)과 받침대(130)의 기준돌기(131)를 일치시키면 된다.
한편, 지구모형(110)은 아무리 가벼운 재질로 구성하더라도 어느 정도의 부피가 있어 무게감이 있게 되며,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지구모형(110)의 중앙 상부에 승강축(111)을 형성하여 지지대(120)의 관통홀(121)에 회전가능하게 삽입하되, 관통홀(121)의 승강축 주위와 승강축(111)의 상단부 주위에는 마주보는 부위의 극성이 서로 동일하도록 제 1영구자석(122)과 제 2영구자석(112)을 각각 고정한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지구모형(110)이 각 영구자석(112)(122) 사이의 척력에 의해 무부하 상태로 부상될 수 있어 시틀(230)을 회전시킬 수 있는 정도의 작은 힘만으로도 지구모형(110)을 충분히 같이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초틀(210)은 분틀(220) 또는 시틀(230)보다는 훨씬 빠른 속도로 회전되므로 그 표면에 다양한 광고문구를 게재하여 광고의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지구본을 이루는 지구모형과 받침대의 사이에 원뿔형의 시계와 세계시간틀을 구비하여 서로 축을 통해 결합한 것이므로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며, 또한 시틀의 회전에 따라 지구모형이 기계식으로 연동하고 또 손으로 세계시간틀을 돌려 세계시간을 확인하는 것이므로 현재시간 표시 및 세계시간 표시에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형적으로는 일반적인 지구본과 유사한 형상을 취하면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지구모형이 회전되므로 유소년들의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고, 이러한 지구본 시계 하나만 장만하면 지구본의 기능, 시계의 기능, 세계시간 표시의 기능과 같은 다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구본 시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구본 시계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구본 시계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구본 시계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지구본 시계의 사용상태도로서,
도 5a는 영점을 잡을 때의 상태도.
도 5b는 현재시간이 표시되는 경우의 상태도.
도 5c는 원하는 국가의 현재시간이 표시되는 경우의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지구모형 111 : 승강축 112 : 제 2영구자석
120 : 지지대 121 : 관통홀 122 : 제 1영구자석
130 : 받침대 131 : 기준돌기 200 : 시계
210 : 초틀 220 : 분틀 221 : 분표시눈금
230 : 시틀 231 : 시표시눈금 232,302 : 기준선
240 : 제 1투명커버 250 : 작동모듈 251 : 작동봉
300 : 세계시간틀 301 : 세계시간표시눈금 310 : 제 2투명커버
311 : 돌기

Claims (3)

  1. 구형의 지구모형(110)과, 상기 지구모형(110)을 기울어진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120)와, 상기 지지대(120)를 바닥에 고정하는 받침대(130)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지구모형(110)의 하부와 상기 받침대(130)의 사이에는, 원뿔형의 초틀(210)과, 둘레를 따라 분표시눈금(221)이 정방향으로 새겨진 분틀(220)과, 둘레를 따라 시표시눈금(231)이 정방향으로 새겨진 시틀(230)이 동축상에 순차 배치된 원뿔형의 시계(200)가 위치되고;
    상기 지구모형(110)의 중심은 상기 초틀(210)과 상기 분틀(220)을 간섭하지 않게 커버하는 제 1투명커버(240)를 통해 상기 시틀(230)에 고정되어 상기 시틀(230)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둘레를 따라 세계시간표시눈금(301)이 상기 시틀(230)의 시표시눈금(231)과는 반대방향으로 새겨지고, 저면에는 상기 초틀(210), 상기 분틀(220), 상기 시틀(230)의 중심과 각각 연결되어 이들을 각각 회전작동시키는 다중관식의 작동봉(251)을 갖는 작동모듈(250)이 고정된 세계시간틀(300)이 상기 시틀(23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동축상으로 위치되며;
    상기 받침대(130)와 상기 지지대(120)의 사이에는 상기 세계시간틀(30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초틀(210), 상기 분틀(220), 상기 시틀(230), 상기 세계시간틀(300)을 커버하는 원뿔형의 제 2투명커버(310)가 상기 초틀(210), 상기 분틀(220), 상기 시틀(230)과는 간섭되지 않으면서 회전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시표시눈금(231)의 12시 위치와 상기 세계시간표시눈금(301)의 12시 위치에는 상하방향으로 직선을 이루는 기준선(232)(302)을 표시하며, 상기 받침대(130)의 전면 중앙에는 기준돌기(131)를 돌출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구본 시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투명커버(310)의 하부측 둘레에는 손으로 눌러 돌릴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돌기(311)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구본 시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구모형(110)의 중앙 상부에는 승강축(11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120)의 상단부에는 관통홀(121)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축(111)이 상기 관통홀(121)에 끼워지며, 상기 관통홀(121)의 주위에는 제 1영구자석(122)이 고정되고, 상기 승강축(111)의 상단 주위에는 마주보는 부위의 극성이 상기 제 1영구자석(122)과 동일하게 제 2영구자석(112)이 고정되어 상기 각 영구자석(112)(122) 사이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지구모형(110)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구본 시계.
KR20-2005-0018273U 2005-06-24 2005-06-24 지구본 시계 KR2003946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273U KR200394653Y1 (ko) 2005-06-24 2005-06-24 지구본 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273U KR200394653Y1 (ko) 2005-06-24 2005-06-24 지구본 시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813A Division KR100654939B1 (ko) 2005-06-24 2005-06-24 지구본 시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653Y1 true KR200394653Y1 (ko) 2005-09-02

Family

ID=43695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273U KR200394653Y1 (ko) 2005-06-24 2005-06-24 지구본 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6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932B1 (ko) * 2006-07-03 2007-10-25 배은경 세계 시간이 판독 가능한 지구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932B1 (ko) * 2006-07-03 2007-10-25 배은경 세계 시간이 판독 가능한 지구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26574B2 (ja) 世界中のいずれの場所における日の出又は日の入りを表示することができる計時器
JP6127091B2 (ja) 地球上のすべての地点における日の出と日の入りを示すことができる計時器
USD552002S1 (en) Transparent and translucent timepiece dial
JP2008504061A (ja) 教育用おもちゃ
KR200394653Y1 (ko) 지구본 시계
JPH0617100Y2 (ja) 世界時計
US6018503A (en) Time zone indicator device
KR100654939B1 (ko) 지구본 시계
US6299451B1 (en) Time teaching globe
JP2005078031A (ja) 天球儀
US358957A (en) Sun-dial
JP2002072865A (ja) 地球運行儀
JP2006220509A (ja) 時計表示装置
GB2476641A (en) Cyclinder clock
US2040322A (en) Educational clock
CN100590680C (zh) 日照地球现象仪
TWI305873B (ko)
KR100517627B1 (ko) 학습 교구용 해시계 및 그 조립방법
CN2297767Y (zh) 时空运动地球仪
US10665136B2 (en) Pedestrian orientation structure
KR200414757Y1 (ko) 지구본
CN203012375U (zh) 多功能手表
CN2658876Y (zh) 三天体地球仪
CN106647216A (zh) 一种显示全球晨昏信息的表盘
CN2233096Y (zh) 双时制世界报时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9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