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1119A -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 - Google Patents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1119A
KR20220051119A KR1020200134758A KR20200134758A KR20220051119A KR 20220051119 A KR20220051119 A KR 20220051119A KR 1020200134758 A KR1020200134758 A KR 1020200134758A KR 20200134758 A KR20200134758 A KR 20200134758A KR 20220051119 A KR20220051119 A KR 20220051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ldspar
traditional
furniture body
doo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4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교
안라연
Original Assignee
정태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교 filed Critical 정태교
Priority to KR1020200134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1119A/ko
Publication of KR20220051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1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6Models made by folding pap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에 관한 것으로, 전통 가구를 모형화한 전통 가구 및 장석 체험용 키트를 통해 장석과 같은 전통 공예 문화를 체험 및 학습에 참여하고 문화적 가치를 앙양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목재나 금속을 제외한 경량의 소재로 모형화된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에 있어서, 앞널부재 및 문판부재, 양쪽 측널부재, 뒷널부재, 천판부재, 바닥부재로 이루어진 육면체 형태의 가구본체; 상기 가구본체의 앞널부재 및 측널부재에 결합되는 들쇠부재; 상기 천판부재에 부착되어 상기 문판부재를 고정하는 걸목부재; 상기 가구본체의 표면에 접착제로 접착되며, 면판, 귀잡이, 감잡이, 광두정, 경첩을 포함하는 장석부재;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를 제안한다.

Description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Traditional feldspar educational kit using a cabinet}
본 발명은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에 관한 것으로, 전통 가구를 모형화한 전통 가구 및 장석 체험용 키트를 통해 장석과 같은 전통 공예 문화를 체험 및 학습에 참여하고 문화적 가치를 앙양할 수 있는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우리 조상들이 사용했던 장, 농, 함과 같은 전통방식의 가구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미적 감각이 뛰어난 반닫이가 있다. 반닫이는 옷가지나 서적, 문서, 그릇, 귀중품등 여러 생활용품을 보관하는 용도로 널리 쓰였으며, 앞면을 반으로 나누어 한쪽 면만을 여닫도록 만들어 반닫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반닫이는 지역의 이름을 따서 평양반닫이, 강화반닫이, 경상도반닫이, 진주반닫이, 밀양반닫이, 제주반닫이등이 있고, 장석의 디자인에 따라 그 명칭이 달라지며 전통 가구의 멋을 살려주는 장석이 반닫이에 차지하는 비중이 아주 크다할 수 있다.
전통 금속 공예중에서 무형 문화재로 지정된 전통 가구 장석 교육과정이 있으며, 이는 백동 또는 황동 판재를 재료로 톱, 줄, 정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장시간의 기술 습득 과정을 거쳐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초보자들의 고된 작업에 따른 피로도와 흥미 유발 요소가 감소가 되는 등, 교육이 원활히 이루지지 못하고 있으며, 중학생 이하의 어린 학생들에게는 교육의 기회 조차도 제공하지 못하였다. 또한 장석 교육을 위해서는 완성된 백골(보통 느티나무, 참죽나무, 오동나무로 제작함)을 준비하고 장석을 직접 제작 또는 미리 제작 완성된 장석을 백골가구에 못으로 부착을 하면서 장석의 기능적인 요소와 디자인적인 요소등을 직접 체험하게 된다. 그런데, 고가의 백골 제작 비용과 교육을 위한 장석을 미리 제작을 해두어야 하는 장석 제작 기간, 교육생들의 낮은 기술숙련도로 인해 불량 및 정해진 기간 내에 완성이 되기가 어려웠다. 또한 전통 가구의 백골을 제작하는 소목장들의 경우 장석 교육에 필요한 백골 제작(공급)에는 소극적인 태도로 인해 항상 장석 교육에 필요한 백골 제작에 대한 고민과 장석 교육의 방법에 대한 해결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편, 본 발명의 출원인은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31호 두석장(豆錫匠) 기능보유자 (故)정한열 선생님의 이수자로써, 전통 공예 기술(두석장 전수 및 장석 제작 교육)을 계승하고 전통 문화 유산을 널리 홍보하기 위한 노력을 다방면으로 경주하고 있다.
위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특허문헌)을 살펴보면, (특허문헌 001)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6904(공개일자 2017년07월27일)호의 '조립식 가구의 축소 모형 전개도를 포함한 포장체'가 공지된 바에 있으며, 이미 공지된 바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선행기술은 연결 프레임에서 분리한 가구 부품을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체결단으로 고정하기가 까다롭고 난해하며, 부품의 손상 및 파손의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6904(공개일자 2017년07월27일)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가의 백골 제작 비용과 백골 수급의 문제, 장석을 직접 만드는데 드는 오랜 시간으로 전통 가구 장석의 교육 및 체험의 어려운점이 있어 목재의 질감을 가진 경량의 판재를 사용하여 쉬운 조립식으로 백골 가구본체를 구성하고, 가구본체에는 금속질감을 가진 각종 장석부재(장식물)을 부착할 수 있는 교육용 키트를 제공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전통 가구의 제작과정을 체험 및 학습할 수 있게 되는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목재나 금속을 제외한 경량의 소재로 모형화된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에 있어서, 앞널부재 및 문판부재, 양쪽 측널부재, 뒷널부재, 천판부재, 바닥부재로 이루어진 육면체 형태의 가구본체; 상기 가구본체의 앞널부재 및 측널부재에 결합되는 들쇠부재; 상기 천판부재에 부착되어 상기 문판부재를 고정하는 걸목부재; 상기 가구본체의 표면에 접착제로 접착되며, 면판, 귀잡이, 감잡이, 광두정, 경첩을 포함하는 장석부재;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앞널부재는 측면에 제 1 측널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문판부재는 중간부에 배목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목 결합홈의 양측에 들쇠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측널부재는 일 측면에 상기 제 1 측널 결합홈에 끼움 조립되는 앞널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 측면에 제 1 뒷널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천판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뒷널부재는 양 측면에 상기 제 1 뒷널 결합부가 끼움 조립되는 제 2 측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천판 결합부가 끼움 조립되는 천판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천판부재는 양 측면에 상기 천판 결합부가 끼움 조립되는 제 3 측널 결합홈이 형성되고, 배면에 상기 천판 결합홈에 끼움 조립되는 제 2 뒷널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앞널부재와 문판부재, 측널부재는 들쇠부재가 끼움 조립되는 들쇠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가구본체의 저면에 족대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바닥부재에는 족대부재가 결합되는 족대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구본체, 들쇠부재, 족대부재, 걸목부재는 폼보드, 골판지, 플라스틱 판재, 아크릴 판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가구본체 및 족대부재는 표면이 나무 재질의 질감으로 인쇄층이 형성되며, 상기 들쇠부재, 걸목부재, 장석부재는 표면이 금속 재질의 질감으로 인쇄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장석부재는 종이, 부직포, 필름, 비닐을 포함하는 시트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장석부재는 스티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통 가구를 모티브로 교육용 키트를 제공하므로써 학교나 박물관, 민속촌, 문화 관광지 등에서 학생이나 관광객, 남녀노소 누구나 쉽고 즐겁게 전통 장석 및 전통 공예를 체험할 수 있고 학습 효과가 탁월하며 전통 공예의 우수성과 심시성, 장식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가구본체가 경량 소재로 이루어져 취급이 쉽고 결합부위가 끼움 조립되는 결합 구조로 조립이 용이하며, 가구본체에는 금속 질감의 장석부재를 스티커 형태로 간편하게 부착 가능하며, 전통 가구(가구본체, 장석부재)의 구조나 각부 명칭, 형상등을 눈으로 보고 직접 제작 체험할 수 있어 학습효과를 높이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1:1 교육위주의 수업법으로 인한 1회 교육생의 인원수가 4명 정도로 제한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백골 제작 비용과 장석 제작 비용 제작 기간등을 감소시키고 어린 유아에서부터 고령의 노년층까지 남녀노소 전연령대의 장석 교육을 1회에 50명 이상도 동시에 교육할 수 있는 교보재 역할로서 전통 장석 및 공예의 교육에 기여할 수 있다. 장석 뿐만아니라 반닫이 전통 가구의 구조를 교육할 수가 있어 전통 가구 제작 체험도 겸비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를 나타낸 사시도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를 구성하는 가구본체(10) 및 들쇠부재(60), 걸목부재(70), 배목부재(74)의 전개도임.
도 3은 상기 가구본체(10)에 부착되는 장석부재(80)의 구성도면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면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면에 따른 본 발명의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는, 목재나 금속을 제외한 경량의 소재로 모형화된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에 있어서, 앞널부재(12) 및 문판부재(16), 양쪽 측널부재(20), 뒷널부재(30), 천판부재(40), 바닥부재(50)로 이루어진 육면체 형태의 가구본체(10); 상기 가구본체(10)의 앞널부재(12) 및 측널부재(20)에 결합되는 들쇠부재(60); 상기 천판부재(40)에 부착되어 상기 문판부재(16)를 고정하는 걸목부재(70); 상기 가구본체(10)의 표면에 접착제로 접착되며, 면판(82,82a), 귀잡이(84), 감잡이(86), 광두정(88), 경첩(90)을 포함하는 장석부재(8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를 구성하는 가구본체(10) 및 들쇠부재(60), 걸목부재(70), 배목부재(74)의 전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가구본체(10)에 부착되는 장석부재(80)의 구성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는 전통 가구인 반닫이를 모티브로 전통 공예 및 가구 제작 체험을 위해 목재나 금속이 아닌 남녀노소 누구나 손으로 다루기 쉽도록 경량의 소재로 모형화된 교육용 키트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가구본체(10), 손잡이 역학을 하는 들쇠부재(60), 자물쇠가 결합되는 걸목부재(70), 가구본체의 표면 및 모서리에 부착되는 장석부재(80)로 구성된다.
가구본체(10)는 전통 목가구의 백골에 해당하는 것으로, 앞널부재(12) 및 문판부재(16), 측널부재(20), 양쪽 천판부재(40), 뒷널부재(30), 바닥부재(50)로 이루어진 육면체 형태로써 내측에 수납공간이 마련된 반닫이의 형태로 구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공되는 반닫이의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장석부재가 구비되는 전통 가구의 장, 농, 함등의 형태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가구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앞널부재(12)와 문판부재(16)는 절반으로 분할 형성되고 가구본체와 일체로 된 문판부재(16)의 상부 앞널부재(12)가 경첩(90)을 통해 전방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들쇠부재(60)는 가구본체(10)의 앞널부재(12) 및 측널부재(20)에 각각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U'자 형태의 손잡이 형태로 형성된다. 걸목부재(70)는 천판부재(40)의 전방 윗면 중간부에 'ㄱ'자 형태로 부착되며 문판부재(16)의 상단부가 전방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또 문판부재(16)의 중간부에는 걸목부재(70)를 고정하기 위한 배목부재(74)가 구비된다. 배목부재(74)는 일정 간격을 두고 'ㄷ'자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걸목부재(70)가 끼워져 고정되며, 자물쇠(미도시)가 결합 가능하도록 잠금용 구멍이 형성된다.
장석부재(80)는 반닫이를 비롯한 장, 농, 함등과 같은 전통 가구에 구비되는 장석을 모형화한 것으로, 형태나 문양에 따라 면판(82,82a), 귀잡이(84,84a), 감잡이(86), 광두정(88,88a), 경첩(90)등의 다양한 디자인으로 연출되며, 가구본체(10)의 표면에 접착제로 간편하게 접착할 수 있는 시트지의 형태로 형성된다. 면판(82,82a)은 문판부재(16) 부착용과 천판부재(40) 부착용이 각각 구비되며, 중심부에 걸목부재(70) 또는 배목부재(74)가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된다. 귀잡이(84,84a)는 가구본체(10)의 각 모서리부의 연결부위에 부착하여 고정 및 보강되며, 전면으로 노출되는 문판부재(16)에는 장식 귀잡이(84a)를 부착하여 한층더 우수한 미적 감각이 연출된다. 광두정(88,88a)은 국화 광두정(88), 배꼽 광두정(88a) 이외에도 약과 광두정, 달 광두정, 이화 광두정, 불로초 광두정, 붕어 광두정등으로 형성되며, 기타 박쥐형, 참새형, 팔각형등으로도 형성된다. 광두정(88,88a)은 중심부에 들쇠부재(60)가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된다. 한편, 장석(裝錫)은 본래 두석(豆錫)이라고 하였으며, 목가구나 건조물에 장식 및 개폐용으로 부착하는 금속으로 결구나 모서리의 보강을 위한 것이며, 개폐장치인 자물쇠도 여기에 포함된다. 배목 고정부재(83)는 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문판부재(16)의 배목 결합홈(17) 이면에 부착되며, 배목부재(74)를 배목 결합홈(17)에 끼워 조립시 배목부재(74)의 단부에 접착력이 작용하므로 임의대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력이 작용하고 걸목부재(70)를 단단히 고정하게 된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앞널부재(12)는 측면에 제 1 측널 결합홈(14)이 형성되며; 상기 문판부재(16)는 중간부에 배목 결합홈(17)이 형성되고 상기 배목 결합홈(17)의 양측에 들쇠 결합홈(18)이 형성되며; 상기 측널부재(20)는 일 측면에 상기 제 1 측널 결합홈(14)에 끼움 조립되는 앞널 결합부(22)가 형성되고 타 측면에 제 1 뒷널 결합부(24)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천판 결합부(26)가 형성되며; 상기 뒷널부재(30)는 양 측면에 상기 제 1 뒷널 결합부(24)가 끼움 조립되는 제 2 측널 결합홈(32)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천판 결합부(26)가 끼움 조립되는 천판 결합홈(34)이 형성되며; 상기 천판부재(40)는 양 측면에 상기 천판 결합부(26)가 끼움 조립되는 제 3 측널 결합홈(42)이 형성되고, 배면에 상기 천판 결합홈(34)에 끼움 조립되는 제 2 뒷널 결합부(4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앞널부재(12)와 측널부재(20)는 양측 제 1 측널 결합홈(14)와 일측 앞널 결합부(22)가 끼움 조립되며, 측널부재(20)와 뒷널부재(30)는 타측의 제 1 뒷널 결합부(24)와 양측 제 2 측널 결합홈(32)에 끼움 조립되어져, 평면으로 볼 때 'ㅁ'자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천판부재(40)는 양측 제 3 측널 결합홈(42)에 측널부재(20)의 상단 천판 결합부(26)이 끼움 조립되고 후방의 제 2 뒷널 결합부(44)가 뒷널부재(30)의 상단 천판 결합홈(34)에 끼움 조립된다. 또 문판부재(16)는 앞널부재(12)와 천판부재(40) 사이의 빈 공간부에 끼워지고 경첩(90)으로 앞널부재(12)와 연결하여 가구본체(10)를 형성하게 되며, 들쇠 결합홈(13)이 형성된다. 바닥부재(50)는 가구본체(10)의 저면에 구비되며, 'ㅁ'자 형태로 조립된 앞널부재(12), 측널부재(20), 뒷널부재(30)의 밑면 내측으로 끼워지고 모서리에 부착되는 귀잡이(84)로 고정된다. 한편, 가구본체(10)를 조립시에 결합부위에 접착제를 적당량 도포하여 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앞널부재(12)와 문판부재(16), 측널부재(20)는 들쇠부재(60)가 끼움 조립되는 들쇠 결합홈(13,18,2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 들쇠부재(60)는 양쪽 단부를 들쇠 결합홈(28)에 끼운 후 아래로 꺾어내림에 따라 매달린 것처럼 자연스럽게 처짐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마치 반닫이의 들쇠가 광두정에 매달린 것처럼 연출된다. 이때, '꺾어내림'이라 함은 들쇠 결합홈(28)에 삽입되는 들쇠부재(60)의 양쪽 단부의 윗면에 절개선(C)이 형성되는데, 폼보드의 윗면이 절개선(C)으로 분리되더라도 미절단된 밑면에 의해 아래로 꺾이면서 자연스럽게 처지게 된다. 폼보드(Foam board)는 폴리스틸렌(PS) 시트의 양면에 종이, 부직포, 비닐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시트지를 합지하여 만든 복층 구조의 보드를 일컫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구본체(10)의 저면에 족대부재(64)가 구비되며, 상기 바닥부재(50)에는 족대부재(64)가 결합되는 족대 결합홈(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족대부재(64)는 가구본체(10)의 저면에 구비되어 일정한 높이로 떠받치는 받침대 역할을 한다. 족대부재(64)는 부분 절개선(C) 외측의 가장자리를 'U'자로 접어 올려 상향 개방된 직육면체로 만들고, 상단에 돌출된 족대 결합부(66)를 바닥부재(50)에 형성된 족대 결합홈(52)에 끼움 조립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가구본체(10), 들쇠부재(60), 족대부재(64), 걸목부재(70)는 폼보드, 골판지, 플라스틱 판재, 아크릴 판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목재로 이루어지는 전통 가구의 본체 부분의 가구본체(10) 및 들쇠부재(60), 족대부재(64), 걸목부재(70)는 경량으로 가벼우면서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폼보드, 골판지 또는 플라스틱 판재, 아크릴 판재 등으로 이루어져 취급 및 관리, 조립 등이 쉽고 생산성이 탁월하여 매우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구본체(10) 및 족대부재(64)는 표면이 나무 재질의 질감으로 인쇄층이 형성되며, 상기 들쇠부재(60), 걸목부재(70), 장석부재(80)는 표면이 금속 재질의 질감으로 인쇄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전통 가구의 본체 및 족대는 목재로 이루어지고 장석(들쇠, 걸목 등)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데, 목재 부분인 가구본체(10) 및 족대부재(64)는 나무 재질의 질감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금속 부분인 들쇠부재(60), 걸목부재(70), 장석부재(80)는 금속 개질의 질감으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각 부재의 표면에는 목재 또는 금속 재질의 질감이 나는 페인트, 잉크등의 도료가 도포된 인쇄층을 형성하여 다양한 질감으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다. 예컨대, 가구본체(10) 및 족대부재(64)는 목재와 유사한 노랑색, 황색, 밝은 갈색등으로 나뭇결(나이테) 질감을 연출할 수 있으며, 들쇠부재(60), 걸목부재(70), 장석부재(80)는 금속(황동, 백동, 거멍쇠)과 유사한 황금색, 은색 또는 검정색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장석부재(80)는 종이, 부직포, 필름, 비닐을 포함하는 시트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장석부재(80)는 여러가지의 장석 형태로 디자인되고 한지를 포함하는 종이, 부직포, 필름, 비닐등과 같은 시트지 형태로 형성되어져 가구본체(10)의 표면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쉽게 접착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장석부재(80)는 스티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종이, 부직포, 필름, 비닐등과 같은 시트지의 전면에는 금속 질감의 인쇄층이 형성되어 장석의 미적 감각을 제공하며, 이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층이 형성되고 이 접착층은 커버지로 덮여 있어서,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하고 사용시에는 커버지를 분리한 후 쉽게 접착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는 이어지는 사용상태의 설명으로 좀더 쉽게 이해가 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써,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a)단계: 준비된 키트에서 국화 광두정(88)과 배꼽 광두정(88a)를 앞널부재(12), 문판부재(16), 측널부재(20)의 걸쇠 결합홈(13,18,28)에 맞춰 홈이 노출되도록 부착한다. (b)단계: 앞널부재(12), 문판부재(16), 측널부재(20)의 들쇠 결합홈(13,18,28)에 들쇠부재(60)를 각각 끼워 결합한다. (c)단계: 문판부재(16)와 천판부재(40)의 결합홈(17,46)에 맞추어 면판(82,82a)을 부착한다. (d)단계: 족대부재(64)의 부분 절개선(C)을 따라 절곡시켜 가장자리를 접어 올린 후 족대 결합홈(52)에 결합한다. (e)단계: 4방의 앞널부재(12), 측널부재(20), 뒷널부재(30)를 세워서 바닥부재(50)를 중심으로 'ㅁ'자 형태로 결합하며, 이때 각 결합부와 결합홈이 끼움 조립된다. (f)단계: 앞널부재(12)와 측널부재(20)의 결합부위 모서리에 장식 귀잡이(84a)를 부착하고 가구본체(10)의 결합부위 모서리에 귀잡이(84)를 부착시켜 고정한다. (g)단계: 천판부재(40)의 걸목 결합홈(46)에 걸목부재(70)을 결합한다. (h)단계: 문판부재(16)의 배목 결합홈(17)에 배목부재(74)를 결합한다. (i)단계: 문판부재(16)의 이면에 배목 고정부재(83)를 부착해서 배목부재(74)가 홈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j)단계: 앞널부재(12)를 문판부재(16) 위에 올리고 경첩(90)을 부착하여 서로 연결한다. (k)단계: 가구본체(10)의 상면에 천판부재(40)를 올리고 결합부위 모서리에 귀잡이(84)를 부착시켜 고정한다. (l)단계: 가구본체(10)에 들쇠부재(60), 걸목부재(70), 장석부재(80)가 부착되어 완성된 전통 가구(반닫이)의 모습이다.
도 4에서 예시하고 있는 사용상태도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임의대로 조립이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아울러,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들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당업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려는 것이며, 치환, 변경, 개량이 가능하다.
10:가구본체, 12:앞널부재, 13,18,28:들쇠 결합홈, 14,32,42:측널 결합홈, 16:문판부재, 20:측널부재, 22:앞널 결합부, 24,44:뒷널 결합부, 26:천판 결합부, 30:뒷널부재, 34:천판 결합홈, 40:천판부재, 46:걸목 결합홈, 50:바닥부재, 52:족대 결합홈, 60:들쇠부재, 70:걸목부재, 74:배목부재, 80:장석부재, 82,82a:면판, 83:배목 고정부재, 84,84a:귀잡이, 86:감잡이, 88,88a:광두정, 90:경첩, C:부분 절개선

Claims (8)

  1. 목재나 금속을 제외한 경량의 소재로 모형화된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에 있어서,
    앞널부재(12) 및 문판부재(14), 양쪽 측널부재(20), 뒷널부재(30), 천판부재(40), 바닥부재(50)로 이루어진 육면체 형태의 가구본체(10);
    상기 가구본체(10)의 앞널부재(12) 및 측널부재(20)에 결합되는 들쇠부재(60);
    상기 천판부재(40)에 부착되어 상기 문판부재(14)를 고정하는 걸목부재(70);
    상기 가구본체(10)의 표면에 접착제로 접착되며, 면판(82,82a), 귀잡이(84,84a), 감잡이(86), 광두정(88,88a), 경첩(90)을 포함하는 장석부재(8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널부재(12)는 측면에 제 1 측널 결합홈(14)이 형성되며;
    상기 문판부재(14)는 중간부에 배목 결합홈(17)이 형성되고 상기 배목 결합홈(17)의 양측에 들쇠 결합홈(18)이 형성되며;
    상기 측널부재(20)는 일 측면에 상기 제 1 측널 결합홈(14)에 끼움 조립되는 앞널 결합부(22)가 형성되고 타 측면에 제 1 뒷널 결합부(24)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천판 결합부(26)가 형성되며;
    상기 뒷널부재(30)는 양 측면에 상기 제 1 뒷널 결합부(24)가 끼움 조립되는 제 2 측널 결합홈(32)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천판 결합부(26)가 끼움 조립되는 천판 결합홈(34)이 형성되며;
    상기 천판부재(40)는 양 측면에 상기 천판 결합부(26)가 끼움 조립되는 제 3 측널 결합홈(42)이 형성되고, 배면에 상기 천판 결합홈(34)에 끼움 조립되는 제 2 뒷널 결합부(4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널부재(12)와 문판부재(16), 측널부재(20)는 들쇠부재(60)가 끼움 조립되는 들쇠 결합홈(13,18,2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본체(10)의 저면에 족대부재(64)가 구비되며, 상기 바닥부재(50)에는 족대부재(64)가 결합되는 족대 결합홈(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
  5. 제1항, 제4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본체(10), 들쇠부재(60), 족대부재(64), 걸목부재(70)는 폼보드, 골판지, 플라스틱 판재, 아크릴 판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
  6. 제1항, 제4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본체(10) 및 족대부재(64)는 표면이 나무 재질의 질감으로 인쇄층이 형성되며, 상기 들쇠부재(60), 걸목부재(70), 장석부재(80)는 표면이 금속 재질의 질감으로 인쇄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석부재(80)는 종이, 부직포, 필름, 비닐을 포함하는 시트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석부재(80)는 스티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
KR1020200134758A 2020-10-17 2020-10-17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 KR202200511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758A KR20220051119A (ko) 2020-10-17 2020-10-17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758A KR20220051119A (ko) 2020-10-17 2020-10-17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119A true KR20220051119A (ko) 2022-04-26

Family

ID=81391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4758A KR20220051119A (ko) 2020-10-17 2020-10-17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111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6904A (ko) 2016-01-19 2017-07-2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조립식 가구의 축소 모형 전개도를 포함한 포장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6904A (ko) 2016-01-19 2017-07-2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조립식 가구의 축소 모형 전개도를 포함한 포장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oudon An Encyclopædia of Cottage, Farm, and Villa Architecture and Furniture: Containing Numerous Designs for Dwellings, Each Design Accompanied by Analytical and Critical Remarks
US5971165A (en) Puzzle book rack
Bjørnholt Room for thinking—The spatial dimension of Waldorf education
US20020172924A1 (en) Three dimensional family tree or relationship system with photo and plaque
KR20220051119A (ko) 반닫이를 활용한 전통 장석 교육용 키트
Gandini et al. Early childhood integration of the visual arts
Ellert The bauhaus and black mountain college
Kashim et al. Culturally inspired design education: A Nigerian case study
CN200990999Y (zh) 角落柜
JP3232643U (ja) 組立式情景展示物、及び、その組立キット
Rubin Hierarchies of Vision: Fra Angelico's Coronation of the Virgin from San Domenico, Fiesole
Mason et al. Craft education at the cross roads in Britain and Japan
Meda et al. The Impossible Schools: Rural Classrooms in the Paintings of Italian Artists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Haney Decoration of Schools and School-Rooms
Wardle Handwork in Religious Education
Bolin Samuel Hume: artist and exponent of American art theatre
Kaufmann Frank Lloyd Wright's Architecture Exhibited: A Commentary by Edgar Kaufmann, Jr.
Basu 5 The Italian Connection to Indian Art in Calcutta
Starr Report of the Public School Art Society March, 1896 1
Benson Elements of Handicraft & Design
Carrara Vasari, Giorgi
Barlex et al. Developing trainee teacher’s ability to teach designing within secondary school design & technology in England
Flexner The Scope of Painting in the 1790's
Fattal Bilingualism and Project Arts-Based Learning
Manta Teaching Southeast Asian Ethnographic Arts and Crafts for the Development of Aesthetic and Cultural Experiences In Schoo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