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627B1 -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 및 버너시스템의 연소유닛과연소유닛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 및 버너시스템의 연소유닛과연소유닛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627B1
KR100829627B1 KR1020070007191A KR20070007191A KR100829627B1 KR 100829627 B1 KR100829627 B1 KR 100829627B1 KR 1020070007191 A KR1020070007191 A KR 1020070007191A KR 20070007191 A KR20070007191 A KR 20070007191A KR 100829627 B1 KR100829627 B1 KR 100829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unit
combustion
gas
mix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래
류정완
양대봉
류상민
정용기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7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627B1/ko
Priority to US12/449,106 priority patent/US8146582B2/en
Priority to PCT/KR2007/006042 priority patent/WO2008091058A1/en
Priority to MX2009007910A priority patent/MX2009007910A/es
Priority to CN2007800523286A priority patent/CN101641554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12Radiant burners
    • F23D14/14Radiant burners using screens or perforated plates
    • F23D14/145Radiant burners using screens or perforated plates combustion being stabilised at a screen or a perforated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6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rad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1Tops, e.g. hot plates; Rings provisions for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7Pan supports or grat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8Mounting of hot plate on work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wholly or partly by a radiant body, e.g. by a perforated plate
    • F24C3/047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 Cooker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조리기기의 크기를 줄이면서 연소공간의 확보가 가능해지는 버너시스템과, 연소유닛 및 연소유닛의 가공방법이 변경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덮는 세라믹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연소유닛; 및 상기 연소유닛의 상측에 위치하여 연소유닛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의 배기유로를 형성하는 버너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연소유닛은, 적어도 가스 및 공기가 균일하게 혼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버너포트와, 상기 버너포트의 측방에 놓여 가스 및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혼합관 유닛의 하면을 함께 제공하는 버너베이스; 및 상기 버너베이스의 상측에 위치하여 적어도 상기 혼합관 유닛의 상면을 제공하는 버너커버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서 보면, 상기 버너포트와 혼합관 유닛은 상하로 체결되는 판상부재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가스연소방식의 가열조리기기 크기를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다.
가열조리기기, 연소유닛, 버너포트, 혼합관 유닛, 버너베이스, 버너커버

Description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 및 버너시스템의 연소유닛과 연소유닛의 제조방법{Burnner system for heating cooking appliance and conbustion unit of burnner system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conbustion unit}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세라믹 플레이트가 제거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연소유닛을 보인 상부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연소유닛을 보인 하부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연소유닛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연소유닛을 보인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연소유닛을 보인 후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공기 유동 경로를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세라믹 플레이트 120. 탑 프레임
140. 배기그릴 160. 조작스위치
200. 케이스 210. 적열플레이트
220. 메인공급관 230. 가스밸브
240. 가스공급관 300. 연소유닛
310. 버너포트 320. 혼합관 유닛
322. 혼합관 330. 버너베이스
332. 하체결공 340. 버너커버
342. 상체결공 350. 하부부재
360. 상부부재 370. 노즐안착부
372. 고정부재 374. 고정부재홀
400. 버너프레임
본 발명은 가열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조리기기의 크기를 줄이면서 연소공간의 확보가 가능해지는 버너시스템과, 연소유닛 및 연소유닛의 가공방법이 변경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가열조리기기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익힘으로써 사람이 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주방기기로써, 가열조리기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가열방법과, 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가스가열방법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가스가열방법은 가스와 공기를 혼합한 혼합가스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열로써 요리하 고자 하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상기 가스가열방법으로 동작되는 가열조리기기에는 연소유닛이 장착된다. 상기 연소유닛은 연소 가스를 공기와 혼합하여 연소시키게 되며, 소정의 관을 통하여 가스 연료를 분사하고, 분사된 가스연료의 부근에서 공기의 압력이 낮아지는 것을 이용하여 공기와 함께 연소유닛의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연소유닛의 내부로 유입된 혼합가스는 연소유닛의 내부에서 균일하게 혼합되고, 균일하게 혼합된 다음에는 연소되고, 연소된 공기에 의해서 발생된 열이 복사 및 전도의 방식으로 음식물에 전달되어, 음식물이 가열 조리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가열조리기기는 상기 연소유닛의 내부로 혼합가스가 유입된 뒤에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연소유닛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가스가 토출되는 방식으로 동작된다. 따라서, 연소유닛의 전체적인 높이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소유닛의 높이가 높아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연소유닛의 측방에서 연소유닛의 내부를 향하여 혼합가스가 토출되는 방식도 적용된 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측방분사방식은 연소유닛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추기 위하여 단순하게 연소유닛의 측방에 혼합가스의 유입구가 형성되기 때문에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는 상세 구성은 연소유닛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서 일정 수준 이상의 연소유닛 높이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연소유닛의 내부에서 혼합가스가 원활하게 혼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혼합관에서 분사되는 가스가 좁은 버너의 내부 공간에서 연소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마련되는 구성이었다.
만약, 상기 연소유닛이 일정 이상의 크기를 가지지 아니하면, 가스와 함께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부족하여 연소유닛의 내부에서 가스와 공기가 원활하게 혼합되지 못하고, 불완전 연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소유닛의 크기가 일정 정도의 크기만큼 크지 아니하면 혼합 공기의 유동저항이 증대되고, 충분히 혼합될 수 없기 때문에 균일하게 혼합가스가 제공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소유닛의 크기는 동일하게 하고 연소유닛으로 유입되는 가스의 양을 줄임으로써 가스의 연소 효율을 높일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발열량이 감소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뿐만아니라, 연소유닛은 몰드(mold) 타입의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공법에 의해 제조됨으로써 연소유닛 자체의 두께 및 부피가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알루미늄은 그 특성상 열용량이 커서 연소유닛 자체가 가지는 열이 커지게 됨으로써 연소유닛 자체가 열원이 되어 제품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소유닛 자체가 가지는 열이 가스의 연소 부하로 작용하게 되어 가스의 연소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크기가 작아지면서, 연소의 효율이 향상되고, 두께가 얇아지는 연소유닛이 구비되는 가열조리기기를 제안한다.
또한, 열용량이 적어지며, 가스의 연소 부하가 줄어들게 되고, 연소 부하의 감소에 따라 연소 성능이 향상되어 높은 발열량을 가지는 연소유닛이 구비되는 가열조리기기를 제안한다.
상기와 같은 제안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덮는 세라믹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연소유닛; 및 상기 연소유닛의 상측에 위치하여 연소유닛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의 배기유로를 형성하는 버너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연소유닛은, 적어도 가스 및 공기가 균일하게 혼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버너포트와, 상기 버너포트의 측방에 놓여 가스 및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혼합관 유닛의 하면을 함께 제공하는 버너베이스; 및 상기 버너베이스의 상측에 위치하여 적어도 상기 혼합관 유닛의 상면을 제공하는 버너커버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버너시스템의 연소유닛은,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어 연소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버너포트; 상기 버너포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버너포트로 가스와 공기를 안내하는 혼합관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버너포트와 혼합관 유닛은 상하로 체결되는 판상부재로 형성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연소유닛의 제조방법은, 원자재를 절단하고 절단된 원자재를 가압하여, 버너베이스 및 버너커버를 형성하는 단계; 및 형성된 상기 버너베이스와 버너커버를 상하로 서로 체결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이처럼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열조리기기에 의해, 가열조리기기의 전체 크기 특히, 가열조리기기의 높이가 줄어들면서도 동일하거나 더 나은 발열량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근본적인 효과는 연소유닛의 두께가 얇아지면서, 가압하는 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세라믹 플레이트가 제거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는, 가열조리기기 하측부의 외관을 이루고 상면이 개구되어 있는 케이스(200)와, 상기 케이스(200)의 상면을 덮는 세라믹 플레이트(100)와,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00)의 테두리 부분을 커버하는 탑 프레임(120)이 포함된다.
그리고, 가열조리기기의 추가적인 외관 구성으로는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00)의 후측 부분에 형성되어 연소 가스가 배기되는 배기그릴(140)과, 세라믹 플레이트(100)의 전반부에 형성되어 가스 연소를 온/오프 제어하는 조작스위치(160)가 구비되며, 이러한 상기 배기그릴(140)과 조작스위치(160)의 위치 및 형상은 구체적으로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달라질 수 있으나,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기 부분과 가스의 연소를 온/오프 제어하는 스위치 부분이 제공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00)와 케이스(200)로 정의되는 내부 공간에는 가스의 연소, 배기 및 가스의 연소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어 가스의 연소에 의해 음식물이 요리된다.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져, 가스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열을 견딜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세라믹 플레이트(100)의 상측에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위치하여 용기가 가스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복사열 및 전도열 등에 의해 가열되어 그 열로 인해 음식물이 요리된다.
이하에서는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00)와 케이스(200)로 정의되는 가열조리기기의 내부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00)와 케이스(200)의 내부 공간에는 가스와 공기의 혼합이 충분히 일어나서 균일하게 연소되는 연소유닛(300)이 세 개 마련되어 있다. 이때, 가스가 연소유닛(3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부분과 일정 간격이 유지된 상태에서 가스를 연소유닛(300)의 내부로 분사하게 된다.
상기 연소유닛(300)의 상측에는 버너프레임(400)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버너프레임(400)은 연소유닛(300)의 위치를 지지하고 적열플레이트(210) 상에서 발생하게 되는 연소가스의 배기 유로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버너프레임(400)의 후방에는 버너프레임(400)을 따라 유동하는 연소가스가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부와 상기 배기부의 상측에 놓이는 상기 배기그릴(140)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버너프레임(40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연소 가스의 배기 유로를 제공하도록 중앙부가 하방으로 함몰 형성됨에 따라 버너프레임(400)의 상측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연소유닛(300)의 상측 일부분에는 상기 적열플레이트(210)가 놓이고, 이러한 적열플레이트(210)는 혼합 가스의 연소 시에 발생하게 되는 고열에 의해서 가열된다. 적열 플레이트(210)가 가열되면, 적열 플레이트(210)의 물성에 맞는 주파수 대역의 복사 에너지가 방사된다.
상기 적열 플레이트(210)의 복사에너지는 적어도 가시광선 대역의 주파수가 포함되어 있고, 그 가시광선에 의해서 본 발명의 가열조리기기가 동작 중임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적열 플레이트(210)에 의해서 음식물이 가열되며,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00)의 전도열에 의해서도 음식물이 가열된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장착되는 상기 연소유닛(300)으로 가스가 공급되는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가열조리기기의 외부에서 내부로 메인공급관(220)을 통하여 가스가 공급되고, 상기 조작스위치(160)에 의해 조절되는 가스밸브(230)를 경유한 뒤에는 상기 메인공급관(220)으로부터 분지되는 가스공급관(240)을 통하여 가스가 각각의 연소유닛(300)에 장착되는 노즐유닛(도시되지 않음)으로 공급된다.
상기 노즐유닛으로 공급되는 가스는 상기 연소유닛(300)의 유입구와 일정 간격 유지되어 장착되는 노즐유닛에 의해 연소유닛(300)의 내부 공간으로 분사된다. 이때, 연소유닛(300)의 내부 공간으로 분사되는 가스는 고속이기 때문에, 베르누이 정리에 의해서 연소유닛(300)의 유입구 인접 공간은 저압이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도 가스와 함께 연소유닛(3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며, 연소유닛(300) 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가스와 혼합되면서 혼합가스가 형성된다.
상기 연소유닛(3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혼합가스는 상기 적열플레이트(210) 상에서 연소되고, 혼합가스가 연소될 때 발생하게 되는 연소열이 적열플레이트(210)를 가열하여 적열플레이트(210)는 적색으로 변하게 되고, 이러한 적열플레이트(210)에서는 복사열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적열플레이트(210)에서 발생하게 되는 복사열이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00)를 투과하여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게 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적열플레이트(210)에는 미세한 홀이 무수히 가공되어 있으며, 이러한 홀을 혼합가스가 통과하면서 연소되고, 연소가스는 상기 버너프레임(400)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배기그릴(140)을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기된다. 이처럼, 버너프레임(400)에 의해 형성되는 연소가스의 배기유로는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100)의 하부와 버너프레임(400)의 상부 사이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200) 내부 공간의 양 측편에 비교적 큰 두 개의 상기 연소유닛(300)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가운데에는 비교적 작은 연소유닛(300)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각 연소유닛(300)의 발열량에 맞는 음식물을 담긴 용기를 놓아서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00)의 가운데 놓이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상기 연소유닛(300)은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혼합가스가 공급되도록 형성되어 공기와 가스의 혼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적열 플레이트(210) 상에서 상기 혼합가스가 연소된 뒤에 후방으로 배기된다.
이와 달리, 케이스(200) 내부 공간의 양 측편에 놓이는 비교적 큰 크기의 연소유닛(300)은, 가열조리기기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가스가 공급되어 연소되고, 연소유닛(300)의 내부에서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뒤에 적열 플레이트(210) 상에서 연소된 뒤에 연소가스는 연소유닛(300)의 후방으로 배기된다.
이러한, 상기 연소유닛(300)의 배치는 최적의 버너시스템 배치 상태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연소유닛을 나타낸 상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연소유닛을 나타낸 하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연소유닛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은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연소유닛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연소 유닛을 나타낸 후면도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연소유닛(300)은, 연소유닛(300)의 높이를 낮추면서도, 가스에 대비되는 공기의 양―이하에서는 공기비라고 한다―을 증대시키고,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는 혼합가스의 유동 저항을 줄일 수 있는 특징적인 구조로 제공된다.
또한, 연소유닛(300)은 가스와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과 연소되는 공간이 적어도 하나의 동일면을 형성하게 되고, 연소유닛(300)의 두께가 얇아지는 특징적인 구조로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이 달성되도록 하는 가열조리기기의 연소유닛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연소유닛(300)이 제공된다. 연소유닛(300)은, 적어도 가스와 공기가 균일하게 혼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버너포트(310)와, 상기 버너포트(310)의 측방에 놓여 가스와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혼합관 유닛(320)의 하면을 함께 제공하는 버너베이스(330) 및 상기 버너베이스(330)의 상측에 위치하여 적어도 상기 혼합관 유닛(320)의 상면을 제공하는 버너커버(34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공간 상측에는 상기 버너커버(340)가 제공되고, 그 하측에는 버너베이스(330)가 체결된다. 상기 버너베이스(330)에는 상기 버너포트(310)가 제공되며, 상기 버너포트(310)의 측면에는 혼합관 유닛(320)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혼합관 유닛(320)은 상기 버너포트(310)의 측면과 정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혼합관 유닛(320)에는 서로 나란하게 복수개의 혼합관(322)이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와 함께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최대가 된다. 혼합관 유닛(320)과 버너포트(310)의 정렬 상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버너베이스(330)와 상기 버너커버(340)에는 상하 방향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체결공(332,342)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는 다양한 체결부재의 사용이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리벳(rivet)이 사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리벳에 의해 관통되는 상기 체결공(332,342)은 상기 버너베이스(330)에 형성되는 하체결공(332)과, 상기 버너커버(340)에 형성되는 상체결공(342)으로 구성되며, 어느 하나의 체결공(332,342)에는 다른 체결공(332,342)과 체결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테두리 부분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체결공(342)의 테두리 부분이 하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버너베이스(330)에 형성되는 상기 하체결공(332)을 살펴보면, 상기 버너포트(310)에 형성되는 하체결공(332)은 버너포트(310)의 상단부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혼합관 유닛(320)에 형성되는 하체결공(332)은 상단부 테두리 부분과, 혼합관 유닛(320)에 복수개가 구비되는 혼합관(322)과 혼합관(322)의 사이 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커버(340)에 형성되는 상기 상체결공(342)을 살펴보면, 상기 버너포트(31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버너커버(340)는 버너포트(310)의 상단부테두리 부분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부분과, 상기 혼합관 유닛(320)의 상단부 테두리 부분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부분과, 상기 혼합관(322)의 사이 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버너베이스(330)에 형성되는 상기 하체결공(332)과, 상기 버너커버(340)에 형성되는 상기 하체결공(332)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수량만큼 형성되어 그 부분에 상기 체결부재의 하나인 리벳이 관통되어 체결되면서 버너커버(340)가 버너베이스(330)의 상측에 놓이면서 체결되어 하나의 연소유닛(300)을 형성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버너베이스(330)의 상측에 상기 버너커버(340)가 위치하게 되면서, 버너커버(340)가 버너베이스(330)의 상측에 놓이면, 상기 상체결공(342)의 테두리 부분이 하측으로 절곡됨에 따라 그 절곡된 부분에 상기 하체결공(332)이 끼워지면서 버너커버(340)는 버너베이스(330)의 상측에 정위치 하게 된다.
상기 버너커버(340)가 상기 버너베이스(330)의 상측에 정위치하게 되면, 상기 상체결공(342)과 상기 하체결공(332)은 서로 연통되며, 이러한 상체결공(342)과 하체결공(332)에 리벳이 관통하면서 버너커버(340)와 버너베이스(330)가 체결되고, 리벳의 단부를 마모시킴으로써 리벳이 상기 체결공(332,34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소유닛(300)에는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버너프레임(400)의 하면에 연소유닛(300)이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나사공(334,344)이 더 형성된다. 상기 나사공(334,344)은 상기 체결공(332,342)보다 더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버너베이스(330)에 형성되는 하나사공(334)과, 상기 버너커버(340)에 형성되는 상나사공(344)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나사공(344) 및 하나사공(334) 중 어느 하나의 나사공(334,344)에는 관통되는 체결부재의 하나인 나사가 체결되는 면을 형성하도록 테두리 부분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절곡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나사공(334)의 테두리 부분이 하방으로 절곡되면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하나사공(334)의 테두리 부분이 하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면, 절곡된 면에 나사가 관통되면서 체결되어 상기 연소유닛(300)이 상기 버너프레임(400)의 하면에 체결된다.
한편, 상기 버너포트(31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버너커버(340)의 일부분은 버너포트(310)의 상단부 테두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부 테두리의 상측에 높이게 된다. 이러한 버너포트(31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버너커버(340)의 일부분 상면은 동일한 높이를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버너프레임(400)의 하면에 상기 연소유닛(300)이 체결되면 버너커버(340)의 상면이 균일한 높이에서 버너프레임(400)의 하면에 체결된다.
즉, 상기 버너프레임(400)의 하면에 상기 연소유닛(300)이 체결되면, 상기 버너포트(31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버너커버(340)는 동일한 높이에서 버너프레임(400)의 하면에 체결되어 긴밀하게 체결됨으로써 버너포트(3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와 공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가스와 공기가 연소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연소가스가 버너포트(310)의 외부로 누설되지 않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너베이스(330)와 버너커버(340)에는 강도의 보강 및 뒤틀림의 방지를 위해 다수의 포밍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포밍부는 버너베이스(330)와 버너커버(340)의 체결 시 안내부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즉, 상기 버너베이스(330)와 버너커버(340)가 체결될 때 상기 체결공(332,342)에 의해 체결 위치를 안내하게 되면서, 다수의 상기 포밍부에 의해서도 체결 위치가 안내되어 버너베이스(330)와 버너커버(340)가 정확한 위치에 체결되면서 서로 밀접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연소유닛(300)이 상기 버너프레임(400)의 하면에 체결되면, 연소유닛(300)의 상측과 버너프레임(400)의 하측 사이에는 단열과 기밀을 위한 부재가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부재는 열에 강한 고분자 섬유재질로 형성되며, 특히, 탄소 섬유 또는 유리섬유 등이 사용되어 연소유닛(300)과 버너프레임(400)의 하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되고, 연소유닛(300)의 상방으로 발산되는 열에너지에 의한 열이 하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단열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버너베이스(330)에 형성되는 상기 버너포트(310)와 혼합관 유닛(320)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버너포트(310)와 혼합관 유닛(320)이 연통되는 부분의 상하 높이는 버너포트(310)의 내부에서 가스와 공기가 충분히 혼합될 수 있는 공간의 상하 높이와 가능하면 동일하게 제공되도록 하여 최대한으로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가스가 버너포트(310)의 내부에서 확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버너포트(310)와 혼합관 유닛(320)의 연통되는 부분이 버너포트(310)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됨으로써 버너포트(310)의 내부에서 혼합가스의 확산을 증진시킬 수 있고, 버너포트(310)의 높이가 최대한으로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관 유닛(320)은 혼합관 유닛(320)의 유입구를 출발점으로 하여 상기 버너포트(310)로 접근할수록 처음에는 그 단면적이 감소되는 노즐의 형태로 제공되고, 최소 단면적 부분을 통과한 다음에는 디퓨저의 형태로서 그 단면적이 증가되는 양상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혼합관 유닛(320)의 디퓨저 부분은 버너포트(310)와 접하는 부분까지 그 단면적이 연속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내부로 유동되는 유체의 유동 저항을 감소시키는 면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즉, 상기 혼합관 유닛(320)의 확산각은 상기 버너포트(310)와 접하는 부분과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연소유닛(300)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혼합된 가스와 공기가 연소되는 버너포트(310)가 형성되고, 상기 버너포트(3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하면을 가지면서, 가스와 공기를 버너포트(310)로 안내하는 혼합관 유닛(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버너베이스(330)의 상측에 상기 버너커버(340)가 체결되면서 형성된다.
상기 버너포트(310)는 가스와 공기가 재 혼합되어 연소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며, 이러한 버너포트(310)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면서 일정 높이를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은 공기와 혼합된 가스가 상방으로 유동하도록 개구되며, 상면 테두리 부분은 외측으로 벤딩되어 일정 정도의 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버너커버(340)는 상기 버너포트(310)와 혼합관 유닛(320)의 상단부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는 일정 정도의 면에 장착되며, 혼합관 유닛(320)의 적어도 상면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버너커버(340)는 혼합관 유닛(320)이 가지는 노즐 형태 및 디퓨저 형태와 동일한 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버너커버(340)는 하면이 상기 버너포트(310)의 상단부 테두리 부분 연장면 및 상기 혼합관 유닛(320)의 상단부 테두리 부분 연장면과 체결되면서 혼합관 유닛(320)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버너커버(340)의 테두리 부분은 버너포트(310)의 상단부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는 면 및 혼합관 유닛(320)의 상단부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는 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버너포트(310)의 상단 부 테두리 부분 및 혼합관 유닛(320)의 상단부 테두리 부분과 체결부재의 하나인 리벳으로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버너포트(310)와 혼합관 유닛(320)의 상단부 테두리 부분에는 일정 정도의 간격을 가지도록 리벳이 관통된 다음 관통되는 반대 방향의 끝 부분을 마모시킴으로써 상기 버너커버(340)가 버너포트(310) 및 혼합관 유닛(320)의 상단부 테두리 부분에 고정된다.
상기 버너포트(310)의 상단부 테두리 부분과 상기 버너커버(340)의 사이에는 버너포트(310)로 유입되는 가스와 공기가 버너포트(310)의 상단부 테두리 부분과 버너커버(340)의 사이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기밀부재가 구비되기도 한다. 이러한 기밀부재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중앙부가 비어 있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 정도의 자체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면서 가스와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커버(340)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버너포트(310)와 혼합관 유닛(320)의 테두리 부분의 상측에, 상기 버너프레임(400)이 체결되면서, 버너커버(340)의 역할을 버너프레임(400)이 수행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즉, 버너포트(31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버너프레임(400)이 혼합관 유닛(320)의 상면을 형성하여 혼합관 유닛(320)으로 유입되는 가스와 공기를 버너포트(310)로 안내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관 유닛(320)에는 복수개의 상기 혼합관(322)이 구비되며, 이러한 혼합관(322) 가운데 혼합관 유닛(320)의 중앙부 다시 말해, 혼합관(322)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는 혼합관(322)은 혼합관(322)의 적어도 상반부를 제공하게 되는 상기 버너커버(340)와 혼합관(322)의 적어도 하반부를 제공하게 되는 상기 버너베이스(330)가 접촉하는 부분이 혼합관(322)의 세로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혼합관 유닛(320)의 길이 방향으로 볼 때 양측방에 위치하게 되는 혼합관(322)은 상기 버너커버(340)와 버너베이스(330)가 접촉하는 부분이 외측에는 세로변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고, 내측으로는 세로변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혼합관 유닛(320)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는 혼합관(322)은 상기 버너베이스(330)와 버너커버(340)가 접촉하는 부분이 양측 세로변의 중앙부가 되고, 혼합관 유닛(320)의 양측에 위치하게 되는 혼합관(322)은 버너베이스(330)와 버너커버(340)가 접촉하는 부분이 외측 세로변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고, 내측 세로변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버너시스템의 연소유닛은,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어 연소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버너포트(310)와, 상기 버너포트(310)와 일체로 형성되어 버너포트(310)로 가스와 공기를 안내하는 혼합관 유닛(320)이 포함되고, 상기 버너포트(310)와 혼합관 유닛(320)은 상하로 체결되는 판상 부재로 형성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상기 연소유닛(300)은 상기 버너포트(310)와 상기 혼합관 유닛(320)의 하반부가 하나의 판 형상의 하부부재(350)로 형성되고, 버너포트(310)의 상단부 테두리 부분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일부분과 적어도 혼합관 유 닛(320)의 상면을 덮는 일부분이 하나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부재(3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부재(360)와 하부부재(350)가 상하 방향으로 체결되면서, 연소유닛(300)이 완성된다.
상기 상부부재(360)와 하부부재(350)가 상하 방향으로 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혼합관 유닛(320)은 가스와 공기가 유동하게 되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부부재(360)가 혼합관 유닛(320)의 상면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하부부재(350)가 혼합관 유닛(320)의 다른 면 다시 말해, 측면과 하면을 형성하게 되어 가스와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포트(310)는 상면이 개구되고, 일정 정도의 높이를 가지면서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버너포트(310)의 상단부 테두리 부분을 따라 상기 상부부재(360)의 일 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체결된다.
이처럼 형성되면 상기 혼합관 유닛(320)은 상기 버너포트(310)의 측방에 위치하게 되며, 혼합관 유닛(320)에 의해 가스와 공기가 안내되어 버너포트(310)의 내부로 가스와 공기가 유입되어 버너포트(310)의 내부 공간에서 가스와 공기가 재 혼합되어 버너포트(310)의 상측에 놓이는 적열플레이트(210) 상에서 연소되어 연소되는 열에 의해 상기 적열플레이트(210)가 가열되면서 복사열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부재(360)와 하부부재(350)의 끝 부분에는 상부부재(360)와 하부부재(350)가 상하 방향으로 체결되면서 형성되는 상기 혼합관 유닛(320)의 유입구와 일정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혼합관 유닛(320)의 내부를 향해 가스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노즐유닛(도시되지 않음)이 안착되는 노즐안착부(370)가 구비된다.
상기 노즐안착부(370)는 상기 상부부재(360)와 하부부재(350)의 끝 부분에서 하방으로 벤딩된 다음 길이 방향으로 더 연장되면서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노즐안착부(370)에 상기 노즐유닛이 안착되는 부분은 일정 곡률을 가지고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며, 하방으로 함몰되는 부분에 노즐유닛이 안착되면, 노즐유닛의 분사 중심과 상기 혼합관 유닛(320)의 유입구 중심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의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노즐안착부(370)의 함몰 깊이에 따라 상기 노즐유닛의 분사 중심이 달라지게되므로, 노즐안착부(370)에 형성되는 함몰 깊이는 노즐유닛이 안착될 때 상기 혼합관 유닛(320)의 유입구 중심과 노즐유닛의 분사 중심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서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진다. 따라서, 조립자에 의해 노즐유닛이 안착되면, 그 분사 중심과 혼합관 유닛(320)의 유입구 중심이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의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노즐안착부(370)는 상기 상부부재(360)의 끝 부분에서 하방으로 벤딩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게 되며, 상기 하부부재(350)의 끝 부분에서 하방으로 벤딩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게 되고, 상부부재(360)와 하부부재(350) 끝 부분이 동일하게 하방으로 벤딩되어 체결되면서 노즐안착부(370)를 형성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부재(360)와 하부부재(350)가 동일하게 하방으로 벤딩되어 상기 노즐안착부(370)를 형성하게 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노즐안착부(370)에는 일정 깊이를 가지면서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부분에 상기 노즐유닛이 안착된 다음 노즐유닛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372)가 더 구비되며, 노즐안착부(370)에는 상기 고정부재(372)가 체결되도록 하는 고정부재홀(374)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372)는 소정의 두께와 면적을 가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긴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는 부재의 중앙부가 상방으로 부드러운 곡선을 가지도록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고정부재(372)의 돌출부와 상기 노즐안착부(370)에 형성되는 하방으로 함몰되는 함몰부의 사이에 노즐유닛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372)의 중앙부가 상기 노즐유닛의 상반부를 고정시키게 되고, 상기 노즐안착부(370)의 함몰부가 노즐유닛을 지지하게 된다. 노즐안착부(370)의 함몰부에는 고정부재(372)의 일 단부가 삽입되도록 절제되어 있으며, 이러한 절제부에 고정부재(372)의 일 단부가 삽입되고, 함몰부의 측방에는 고정부재(372)의 타 단부가 상기 고정부재홀(374)에 삽입되어 장착됨으로써 고정부재(372)에 의해 노즐유닛이 노즐안착부(370)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혼합관 유닛(320)에는 복수개의 혼합관(322)이 구비됨으로써 혼합관 유닛(320)의 유입구는 혼합관(322)의 수량만큼 수평으로 나란하게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노즐안착부(370)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고 형성되며, 상기 노즐유닛에서 분사되는 가스와 함께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 즉, 공기비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다수개의 유입구가 형성됨으로써 각각의 유입구를 통해 가스와 함께 공기가 다량으로 흡입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다량의 공기가 흡입되는 것은, 단일의 유입구를 통하여 가스가 흡입되는 경우와 비교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의 유입구를 통하여 가스가 흡입되는 경우에는 단일의 유입구 주위에만 저압 분위기가 조성되어 유입구로 공기가 유입되지만, 다수의 유입구 주위가 저압 분위기로 조성되면 다수의 유입구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이 증대되기 때문에, 상기 혼합관 유닛(320)으로 유입되는 전체의 공기량은 증대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관 유닛(320)에서 상기 혼합관(322)은 복수개가 동일한 높이에서 나란하게 마련되어 있다. 물론 상하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그 중심이 어긋날 수도 있다. 이는 각각의 혼합관(322)에 형성되는 유입구의 단면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에 의해 그 중심이 서로 어긋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각각의 상기 혼합관(322)이 연장되는 방향은 서로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각각의 혼합관(322) 연장선은 서로 만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형성되면 상기 버너포트(310)의 내부로 서로 다른 혼합관(322)에서 유출되는 가스와 공기의 난류 발생이 증진되고, 난류 발생이 증진됨에 따라 공기와 가스의 혼합이 증진됨으로써 가스의 연소 효율이 향상된다.
상기 상부부재(360)와 하부부재(350)의 끝 부분에 상기 노즐안착부(370)가 형성되면, 노즐유닛의 장착이 편리해지고 제작 공정이 간단해지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부재(360)와 하부부재(350)가 상하 방향으로 체결됨으로써 형성되는 상기 혼합관 유닛(320)은 상부부재(360)와 하부부재(350)가 상하 방향으 로 체결됨으로써 형성되는 상기 버너포트(310)로 향할수록 단면적의 변화가 생기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혼합관 유닛(320)의 유입구로부터 버너포트(310)로 일정 길이만큼 단면적이 줄어드는 노즐 형상으로 형성되며, 최소 단면적을 가지는 부분에서 버너포트(310)로 향할수록 다시 단면적이 커지면서 디퓨져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혼합관 유닛(320)에 구비되는 상기 혼합관(322)의 하면을 보면, 최소 단면적을 가지는 부분에서부터 다시 단면적이 커지는 디퓨져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부분의 하면은 상기 버너포트(310)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혼합관(322)이 최소 단면적을 가지는 부분에서부터 상기 버너포트(310)로 접근할수록 혼합관(322)의 단면적이 커지는 디퓨저의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혼합관(322)의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가스와 공기가 디퓨저 부분을 유동하면서 확산되어, 가스와 공기가 잘 혼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하부부재(350)의 하면 일부분, 상세하게는 상기 혼합관(322)의 하면을 형성하게 되는 부분은 상기 버너포트(310)로 갈수록 하향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버너포트(31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상부부재(360)의 일부분과 버너포트(310)의 상면 사이에는 단열과 기밀을 위한 부재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이러한 부재는 일정 정도의 자체 탄성을 가지면서 자체 탄성에 의해 상부부재(360)의 하면 및 버너포트(310)의 상면과 긴밀하게 체결되어 버너포트(310)의 내부로 유 동하게 되는 유체의 누설 및 가스가 연소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연소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연소유닛의 제조 방법을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연소유닛(300)은 원자재를 절단하고 절단된 원자재를 가압하여, 버너베이스(330) 및 버너커버(340)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형성된 버너베이스(330) 및 버너커버(340)를 상하 방향으로 서로 체결하는 단계에 의해 하나의 연소유닛(300)을 형성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재 형상의 원자재를 일정 정도의 크기 즉, 상기 연소유닛(300)을 제조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절단하게 된다. 이때, 일정 정도의 크기로 절단되는 원자재는 두 장을 준비하게 된다.
일정 정도의 크기로 절단된 두 장의 원자재 중 하나는 상기 버너베이스(330)를 제조하기 위하여 버너베이스(330)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금형에 위치시킨 다음, 끝 부분이 버너베이스(33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압부재로 가압하게 된다.
상기 버너베이스(330)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끝 부분이 형성되는 상기 가압부재가 버너베이스(330)의 내측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금형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면, 그 사이 공간 즉, 금형의 상측에 일정 크기로 절단된 원자재 가운데 한 장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가압부재의 끝 부분과 상기 금형의 내부 공간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 부분 교차되면서 가압부재의 끝 부분이 금형의 내부 공간으로 일정 부분 수용된다.
상기 가압부재의 끝 부분이 금형의 내부 공간으로 일정 부분 수용되면, 가압부재의 끝 부분과 상기 금형의 내부 공간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원자재는, 외부 형상은 금형의 내부 공간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 형상은 가압부재의 끝 부분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가압부재의 끝 부분과 대응되는 형상의 내부 형상과 상기 금형의 내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외부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버너베이스(330)는 상면이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며, 가공자에 의해 일정 정도의 마무리 손질이 실시되면서, 제조가 완성된다.
그리고, 일정 정도의 크기로 절단된 두 장의 원자재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버너커버(340)를 제조하기 위하여 내부가 버너커버(340)의 외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금형의 상측에 원자재를 위치시킨 다음, 끝 부분이 버너커버(340)의 내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압부재로 가공하게 된다.
상기 버너커버(340)의 내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그 끝 부분이 형성되는 상기 가압부재가 버너커버(340)의 외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내부가 형성되는 상기 금형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면, 그 사이 공간 즉, 가압부재와 금형의 사이에 일정 크기로 절단된 원자재의 나머지 한 장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가압부재의 끝 부분이 상기 금형의 내부 공간에 일정 정도 수용된다. 금형의 내부 공간에 끝 부분이 일정 정도 수용되는 가압부재와 금형의 내부 공간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원자재는, 외부 형상이 금형의 내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 형상은 가압부재의 끝 부분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가압부재의 끝 부분과 대응되는 형상의 내부 형상과 상기 금형의 내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외부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버너커버(340)는 하면이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며, 이러한 버너커버(340)는 일정 정도의 마무리 과정을 거치게 되면서 제조가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되는 상기 버너베이스(330)와 상기 버너커버(340)는 상하 방향으로 체결되면서 하나의 연소유닛(300)이 제조된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내부에서 발생하게 되는 유체의 유입경로와 유출경로를 도시하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 공간 양 측편에 놓이는 버너시스템에는 전방을 향하여 유체 즉, 가스와 공기가 유입된 다음, 상기 버너포트(310)의 내부에서 가스와 공기가 이차적으로 충분히 혼합된다. 그리고, 가스와 공기가 충분히 혼합된 혼합가스는 상기 적열플레이트(210)를 통과하여 상방으로 유동되면서 연소되고, 후방을 향하여 연소가스가 배기된다.
이와 같은 버너시스템에는, 상기 버너포트(310)의 내부에서 충분한 혼합가스간의 충돌에 기인하여 난류가 충분하게 발생하게 되고, 이로써 최초 전방으로 이동되는 혼합가스의 이동속도는 없어지게 되고, 버너포트(310)의 내부에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스와 공기의 혼합이 일어나게 된다.
나아가, 혼합가스는 상기 적열플레이트(210)를 통하여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 면, 적열플레이트(210) 상에서 가스의 연소가 발생하게 되고, 이때, 발생하게 되는 연소가스는 원활하게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기기의 내부 공간에서 양 측편에 놓이는 버너시스템은 유체의 유입측과 토출측이 전혀 다름에도 불구하고, 유동 저항이 없이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여서 다음과 같은 다른 실시예를 더 제안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혼합관 유닛(320)은 상기 버너포트(310)를 중심으로 하여 일방향으로 흡입되고, 서로 다른 위치에서 출발하여 버너포트(310)의 내부로 흡입되는 유체는 혼합관 유닛(320)을 따라 유동하면서 혼합되고, 버너포트(310)의 내부에서 난류를 발생시키면서 균일하게 혼합된 다음 상기 적열플레이트(210)를 향하여 토출되면서 연소된다.
이러한, 상기 혼합관 유닛(320)은 상기 버너포트(310)의 측면에 대하여 반드시 서로 균등하게 분배될 필요는 없고, 서로 다른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분배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때, 버너포트(310)의 내부에서 혼합가스의 균등 분배와 난류의 효율적인 발생을 위하여 혼합관이 균등 분배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사실이다.
또한, 상기 혼합관 유닛(320)은 하나의 버너포트(310)에 하나의 혼합관 유닛(320)이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고 이으나, 혼합관 유닛(320)이 두 개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공기비가 증진되고, 난류의 발생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장점 이 있으나, 하나의 혼합관 유닛(320)으로도 충분한 것을 감안하면, 두 개의 혼합관 유닛(320)이 설치되는 것은 재료비의 차원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가열조리기기가 전체적으로 커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고, 상기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서로 부분적으로 병합하는 것에 의해서 다양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가열조리기기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서 가열조리기기의 대부분 높이를 차지하는 버너시스템의 높이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설치의 편의성 및 재료비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열조리기기의 전체적인 크기 및 높이가 줄어들게 되어도 종래 기술에 의한 가열조리기기와 대비하여 향상된 발열량 또는 적어도 동일한 발열량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연소유닛의 두께가 현저하게 얇아지게 됨으로써 종래 기술에 의한 연소유닛에 비해 넓은 연소 공간의 확보가 가능해지며, 넓어지는 연소 공간의 확보는 보다 향상된 발열량을 얻을 수 있게 됨으로써 열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가스 및 공기의 유동 저항이 감소되고, 유입되는 가스와 공기의 공 기비가 증대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으며, 연소효율이 향상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2)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덮는 세라믹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연소유닛; 및
    상기 연소유닛의 상측에 위치하여 연소유닛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의 배기유로를 형성하는 버너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연소유닛은,
    적어도 가스 및 공기가 균일하게 혼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버너포트와, 상기 버너포트의 측방에 놓여 가스 및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혼합관 유닛의 하면을 함께 제공하는 버너베이스; 및
    상기 버너베이스의 상측에 위치하여 적어도 상기 혼합관 유닛의 상면을 제공하는 버너커버가 포함되는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관 유닛에는 복수개의 혼합관이 제공되는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베이스와 상기 버너커버에는 서로 간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재가 관 통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리벳인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
  5.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베이스와 상기 버너커버에는 상기 연소유닛이 상기 버너프레임과 체결되도록 하는 나사공이 형성되는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베이스에 형성되는 나사공에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 나사체결면이 형성되는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버너포트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버너커버는, 상면이 동일 높이를 형성하여 상기 버너프레임의 하면에 긴밀하게 체결되는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커버에는 상기 버너베이스와의 체결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되는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강도 보강을 위한 포밍부로 형성되는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버너커버와 상기 버너프레임의 사이에는 단열과 기밀을 위한 부재가 구비되는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관 유닛의 양 측단부에 위치하게 되는 혼합관은,
    상기 버너커버와 상기 혼합관 유닛의 접촉 부분이 외측으로는 상측에 위치하게 되고, 내측으로는 중앙에 위치하게 되는 버너시스템의 연소유닛.
  12.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어 연소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버너포트;
    상기 버너포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버너포트로 가스와 공기를 안내하는 혼합관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버너포트와 혼합관 유닛은 상하로 체결되는 판상부재로 형성되는 버너시스템의 연소유닛.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관 유닛은 상기 버너포트의 측방에 위치하게 되는 버너시스템의 연소유닛.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관 유닛의 단부에는 혼합관 유닛으로 가스를 분사하는 노즐유닛이 안착되는 노즐안착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버너시스템의 연소유닛.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안착부는 상기 노즐유닛의 분사 중심이 상기 혼합관 유닛의 유입구 중심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게 되는 버너시스템의 연소유닛.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안착부는 상기 노즐유닛의 위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버너커버및/또는 상기 혼합관 유닛으로부터 하방으로 벤딩되는 버너시스템의 연소유닛.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안착부에는 상기 노즐유닛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버너시스템의 연소유닛.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안착부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체결되도록 하는 고정부재홀이 형성되는 버너시스템의 연소유닛.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관 유닛의 하면은 상기 버너포트로 향할수록 하향경사 지는 버너시스템의 연소유닛.
  20. 제 12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버너포트와 상기 버너커버의 사이에는 단열과 기밀을 위한 부재가 구비되는 버너시스템의 연소유닛.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관 유닛에 구비되는 혼합관은 단면적의 변화를 가지는 버너시스템의 연소유닛.
  22. 원자재를 절단하고 절단된 원자재를 가압하여 연소공간과 연소를 위한 가스의 유동을 안내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버너베이스와, 연소를 위한 가스의 유동을 안내하는 공간의 적어도 상면을 차폐하는 버너커버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버너베이스와 버너커버를 상하로 체결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연소유닛의 제조방법.
KR1020070007191A 2007-01-23 2007-01-23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 및 버너시스템의 연소유닛과연소유닛의 제조방법 KR100829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191A KR100829627B1 (ko) 2007-01-23 2007-01-23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 및 버너시스템의 연소유닛과연소유닛의 제조방법
US12/449,106 US8146582B2 (en) 2007-01-23 2007-11-27 Burner system and heating cooking appliance having the same
PCT/KR2007/006042 WO2008091058A1 (en) 2007-01-23 2007-11-27 Burner system and heating cooking appliance having the same
MX2009007910A MX2009007910A (es) 2007-01-23 2007-11-27 Sistema de quemadores y electrodomestico de coccion y calentamiento que tiene el mismo.
CN2007800523286A CN101641554B (zh) 2007-01-23 2007-11-27 加热烹饪器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191A KR100829627B1 (ko) 2007-01-23 2007-01-23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 및 버너시스템의 연소유닛과연소유닛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9627B1 true KR100829627B1 (ko) 2008-05-16

Family

ID=39644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191A KR100829627B1 (ko) 2007-01-23 2007-01-23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 및 버너시스템의 연소유닛과연소유닛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46582B2 (ko)
KR (1) KR100829627B1 (ko)
CN (1) CN101641554B (ko)
MX (1) MX2009007910A (ko)
WO (1) WO200809105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832B1 (ko) 2009-03-09 2010-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US8399806B2 (en) 2008-12-05 2013-03-19 Lg Electronics Inc. Built-in type cook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155B1 (ko) * 2007-12-05 2010-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즐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617499B1 (ko) 2013-12-26 201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버너 유닛
KR101573989B1 (ko) * 2013-12-26 2015-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버너 유닛
ES2784539A1 (es) * 2019-03-25 2020-09-28 Bsh Electrodomesticos Espana Sa Encimera y métod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6512A (en) 1991-03-13 1993-01-05 Lennox Industries Inc. Inshot burner cluster apparatus
KR19990001979A (ko) * 1997-06-18 1999-01-15 구자홍 가스오븐레인지의 가스혼합관의 구조
US5873713A (en) 1996-09-13 1999-02-23 Osterhues; Konrad Fuel/air supply assembly for gas burners
JP2003065507A (ja) 2001-08-23 2003-03-05 Noritz Corp ガス供給用マニホール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ガス燃焼機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6235A (en) * 1996-06-25 1998-10-06 Tony Yang Magic Corporation Infrared gas burner for gas cookers
US6253759B1 (en) * 1999-08-13 2001-07-03 Sunbeam Products, Inc. Side burner for a grill
FR2848642B1 (fr) * 2002-12-17 2005-08-05 Service Nat Dit Gaz De France Bruleur a gaz a flamme interne, de compacite elevee
CN1547923A (zh) * 2003-05-20 2004-11-2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燃气辐射烤箱的隔热结构
US7481210B2 (en) * 2004-10-12 2009-01-27 Lg Electronics Inc. Gas range
ITSV20050023A1 (it) * 2005-06-30 2007-01-01 Cast S P A Bruciatore per forno o gril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6512A (en) 1991-03-13 1993-01-05 Lennox Industries Inc. Inshot burner cluster apparatus
US5873713A (en) 1996-09-13 1999-02-23 Osterhues; Konrad Fuel/air supply assembly for gas burners
KR19990001979A (ko) * 1997-06-18 1999-01-15 구자홍 가스오븐레인지의 가스혼합관의 구조
JP2003065507A (ja) 2001-08-23 2003-03-05 Noritz Corp ガス供給用マニホール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ガス燃焼機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9806B2 (en) 2008-12-05 2013-03-19 Lg Electronics Inc. Built-in type cooker
KR101004832B1 (ko) 2009-03-09 2010-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09007910A (es) 2009-09-18
US20100071682A1 (en) 2010-03-25
WO2008091058A1 (en) 2008-07-31
US8146582B2 (en) 2012-04-03
CN101641554A (zh) 2010-02-03
CN101641554B (zh) 2013-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1942B2 (en) Cooker
KR100829627B1 (ko)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 및 버너시스템의 연소유닛과연소유닛의 제조방법
US8065997B2 (en) Heating cooking appliance
US9080774B2 (en) Cooker
US7942143B2 (en) Heating cooking appliance and burner system thereof
KR100826711B1 (ko) 가열조리기기 및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
US9416978B2 (en) Cooker and burner assembly thereof
US7717105B2 (en) Gas radiation burner
KR101617499B1 (ko) 조리기기 및 버너 유닛
KR100809745B1 (ko) 가열조리기기 및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
KR101573989B1 (ko) 조리기기 및 버너 유닛
KR100829629B1 (ko) 빌트 인 가열조리기기
KR100829628B1 (ko) 가열조리기기
KR100826710B1 (ko) 가열조리기기 및 가열조리기기의 버너시스템
KR100809746B1 (ko) 가열조리기기 및 그 조립 방법
KR100809747B1 (ko) 가열조리기기의 버너 시스템
CN101204286B (zh) 加热烹饪器具
KR100829624B1 (ko) 가열조리기기
KR100826712B1 (ko) 가열조리기기의 버너 시스템
KR100829625B1 (ko) 가열조리기기
KR100739545B1 (ko) 가스복사 버너
KR100829626B1 (ko) 가열조리기기
CN218895403U (zh) 燃烧器以及燃气灶
CN214664394U (zh) 一种高效强鼓风红外燃烧器
CN208108094U (zh) 燃烧器及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11